KR101349323B1 -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323B1
KR101349323B1 KR1020130080298A KR20130080298A KR101349323B1 KR 101349323 B1 KR101349323 B1 KR 101349323B1 KR 1020130080298 A KR1020130080298 A KR 1020130080298A KR 20130080298 A KR20130080298 A KR 20130080298A KR 101349323 B1 KR101349323 B1 KR 10134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le
water supply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복석
Original Assignee
송복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복석 filed Critical 송복석
Priority to KR102013008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2Arrangement of in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20Noise reduction fea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밸브를 통해 탱크에 저장되는 물이 사이폰덮개에 관통된 통공을 통해 보올부로 공급되어 보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부품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 부품의 간소화 및 부품 수의 감소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Water supply device for water supply tank and bool part of toilet}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밸브를 통해 탱크에 저장되는 물이 사이폰덮개에 관통된 통공을 통해 보올부로 공급되어 보충되도록 함으로써, 내부 부품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내부 부품의 간소화 및 부품 수의 감소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양변기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를 경유하여 탱크에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사이폰덮개가 상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이 개방됨과 동시에 개방된 배수공으로 탱크에 저장된 물이 양변기의 보올부로 배수되면서 보올부에 위치한 용변과 함께 트랩 및 플랜지를 경유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는 과정으로 용변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용변의 세척이 완료되면서 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사이폰덮개가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를 경유하여 탱크 및 보올부로 일정량 공급되어 저장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수도전의 물을 탱크 및 보올부로 공급하는 필밸브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7510호로 양변기의 세척수 제어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필밸브로 공급되는 물이 수조측급수관과 림측급수관으로 공급될 때, 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하우징의 가압으로 방향전환레버가 전환되면서 수조측급수관과 림측급수관으로 물이 공급되는 방향을 설정하였으며, 설정된 방향으로 공급되는 물이 양변기의 보울부에 보충수를 보충함은 물론 탱크에 저장되었다.
그러나 선 등록된 실용신안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수조측급수관과 림측급수관을 통해 탱크와 보올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림측급수관과 보올부를 호스로 연결하는 구성이 복잡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탱크 내부 부품 간의 간섭으로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동작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를 통해 탱크에 저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되는 물이 사이폰덮개의 통공을 통해 보울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충수의 물을 보올부로 공급하는 내부 부품의 간소화로 제조가 간단함은 물론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한 작동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는,
필밸브의 제어에 따라 탱크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을 사이폰덮개의 통공을 통해 보올부로 공급하여 보충수를 보충하는 보충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탱크에 저장하는 필밸브와;
상기 필밸브의 제어에 따라 탱크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을 사이폰덮개의 통공을 통해 보올부로 공급하여 보충수를 보충하는 보충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를 통해 탱크에 저장되도록 함과 아울러 저장되는 물이 사이폰덮개에 관통된 통공을 통해 보울부로 공급되어 보충되도록 함으로써, 보올부로 보충수의 물을 용이하게 공급함은 물론 보올부로 물이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음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충수의 물을 보올부로 공급하는 내부 부품의 간소화 및 부품 수의 감소로 제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을 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품 간의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활한 작동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변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필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보충수공급부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보충수공급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15는 본 발명 보충수공급부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양변기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필밸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보충수공급부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보충수공급부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100)는, 필밸브(110)의 제어에 따라 탱크(11)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을 사이폰덮개(122)의 통공을 통해 보올부(12)로 공급하여 보충수를 보충하는 보충수공급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100)는,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탱크(11)에 저장하는 필밸브(110)가 구성되고, 상기 필밸브(110)의 제어에 따라 탱크(11)로 공급되어 저장되는 물을 사이폰덮개(122)의 통공을 통해 보올부(12)로 공급하여 보충수를 보충하는 보충수공급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밸브(110)는, 상기 탱크(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도전과 연통되면서 상단부에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111')을 통해 수도전의 물이 탱크(11)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111)이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111)과 캡(113) 사이에 장착되어 공급관(111)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다이아프램(112)이 구비되며, 상기 다이아프램(11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급관(111)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배출구(113')가 관통된 캡(113)이 구비되고, 상기 캡(11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114')에 장착되어 탱크(11)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지지대(114') 단부가 배출구(113')를 개폐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부구(11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보충수공급부(120)는, 배수공(121')이 관통되어 보올부(12)와 연통되도록 탱크(11)에 결합되는 오버플로우어관(121)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121')을 개폐시키도록 오버플로우어관(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면에 부력구(122')가 형성되는 사이폰덮개(122)가 구비되며, 상기 사이폰덮개(122) 내부에 관통되어 탱크(11)에 저장되는 물을 보올부(12)로 공급하는 통공(123)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123)을 개폐시키도록 사이폰덮개(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충수공급덮개(1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부력구(122')는 사이폰덮개(122)에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충수공급덮개(124)는, 상기 사이폰덮개(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124a)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리브(124a) 단부에 형성되어 사이폰덮개(122)에 관통된 통공(123)을 개폐하는 개폐구(124b)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구(124b)에 장착되어 사이폰덮개(122)의 통공(123)을 개폐하는 제1개폐패킹(124c)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폰덮개(122)에 장착되어 오버플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개폐하는 제2개폐패킹(124d)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사이폰덮개(122)의 통공(123)에 장착되는 패킹(125)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며, 상기 패킹(125)은,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개폐하면서 내부에 통공(125b)이 관통된 몸체(125a)가 구비되고, 상기 통공(125b)을 중심으로 돌출되어 사이폰덮개(122)의 통공(123)에 결합되는 결합홈(125c)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25c) 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보충수공급덮개(124) 저면이 밀착되는 개폐돌기(125d)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과정 및 보충수공급부(120)의 다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배출공(111')이 관통된 공급관(111)에 공급공(112')이 관통된 다이아프램(112)을 안착시킨 후, 상기 다이아프램(112)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작동이 원활하도록 공급관(111)에 캡(113)을 체결하고, 상기 캡(113)에 부구(114)가 결합된 지지대(114')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한 필밸브(110)를 탱크(11)의 일측에 관통된 설치공으로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필밸브(110)와 수도전을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한다.
또한, 통공(123)이 관통된 사이폰덮개(122)에 보충수공급덮개(124)의 한 쌍의 리브(124a)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개폐구(124b)가 통공(123)에 안착되도록 하는데, 상기 개폐구(124b)에 제1개폐패킹(124c)이 장착되어 통공(123)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이폰덮개(122)에 제2개폐패킹(124d)을 장착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통공(123)에 패킹(125)의 결합홈(125c)을 결합하여 몸체(125a)가 사이폰덮개(122) 저면에 밀차되면서 개폐돌기가(125d)가 통공(123) 상부로 돌출되어 보충수공급덮개(124) 저면이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개폐패킹(124c) 또는 패킹(125)이 장착된 사이폰덮개(122)를 오버플로우어관(121)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미도시)에 통상의 방법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사이폰덮개(122)에 결합된 제2개폐패킹(124d) 및 패킹(125)이 개폐할 수 있도록 보충수공급부(120)를 조립하고, 상기 보충수공급부(120)의 오버플로우어관(21)을 탱크(11) 내부에 보올부(12)와 연통되도록 관통된 설치공(미도시)에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보충수공급덮개(124) 및 패킹(125)이 결합된 사이폰덮개(122)는 오버플로우어관(121)이 탱크(11) 내부의 설치공(미도시)에 통상의 방법으로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오버플로우어관(121)에 사이폰덮개(122)를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필밸브(110) 및 보충수공급부(120)가 탱크(11)에 설치된 후, 상기 사이폰덮개(122)와 레버(13)를 당김줄로 연결한 후,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필밸브(110)를 통해 탱크(11)에 일정량 저장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하게 된다.
상기 양변기(10)의 탱크(11)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용변 후, 레버(13)를 가압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13)의 가압력에 의해 당김줄(미도시)이 상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사이폰덮개(122)는 오버플로우어관(121)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되면서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개방하고, 개방된 배수공(121')을 통해 탱크(11)에 저장된 물이 보올부로 배수되어 보올부에 위치한 용변을 세척하게 되며, 상기 사이폰덮개(122)는 부력구(122')의 부력에 의해 물의 수위에 따라 하부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부력구(122')의 부력으로 사이폰덮개(122)가 단부가 물에 잠겨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사이폰덮개(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보충수공급덮개(124)는 자체 부력으로 물의 수위에 따라 사이폰덮개(122)의 상부로 회전하면서 통공(123)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보올부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보올부에 위치한 용변이 트랩 및 플랜지를 경유하여 정화조로 배출되면서 세척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탱크(11)에 저장된 물이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으로 배수되면서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부구(114)가 결합된 지지대(114')가 회전하면서 캡(113)의 배출구(113')를 개방함과 동시에 다이아프램(112)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캡(113)에 내장된 물이 개방된 배출구(113')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13')로 물이 배출됨에 따라 다이아프램(112)의 지지압력이 소멸되고,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압력으로 다이아프램(112)을 상부로 이동시켜 공급관(111)을 개방하고, 개방된 공급관(111)으로 수도전의 물이 공급됨과 동시에 배출공(111')으로 배출되면서 탱크(11)에 저장된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11)의 물이 배수공(121')으로 배수되어 낮아지는 수위에 따라 물에 단부가 잠긴 사이폰덮개(122)가 오버플로우어관(121)의 축(미도시)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면서 오버플로우어관(121)의 배수공(12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보충수공급덮개(124)는 물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이폰덮개(122)의 통공(123)을 폐쇄하지 않는다.
상기 통공(123)으로 탱크(11)에 저장되는 물이 배수되면서 보올부로 공급되어 보충수를 보충함은 물론 상기 통공(123)으로 배수되는 물의 압력으로 보충수공급덮개(124)가 하향으로 회전하여 통공(123)을 폐쇄시키는데, 상기 보충수공급덮개(124)의 제1개폐패킹(124c)이 통공(123)에 밀착되어 폐쇄할 수 있고, 상기 보충수공급덮개(124)가 패킹(125)의 개폐돌기(125d)에 안착되어 폐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사이폰덮개(122)에 관통된 통공(123)이 보충수공급덮개(124)에 의해 폐쇄되면, 도 1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밸브(110)로 공급되는 물이 탱크(11)에 일정량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탱크(11)에 저장되는 수위에 따른 부구(114)의 회전으로 지지대(114')가 회전하면서 캡(113)의 배출구(113')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지지대(114')에 의해 배출구(113')가 폐쇄되면, 공급관(111)으로 공급되는 물이 다이아프램(112)의 공급공(112')을 통해 캡(113)의 내부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물의 수압으로 다이아프램(112)을 가압하면서 다이아프램(112)이 공급관(111)을 폐쇄시킴과 동시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물공급장치 110: 필밸브
111: 공급관 112: 다이아프램
113: 캡 114: 부구
120: 보충수공급부 121: 오버플로우어관
122: 사이폰덮개 123: 통공
124: 보충수공급덮개 125: 패킹

Claims (9)

  1. 삭제
  2.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탱크에 저장하는 필밸브와;
    배수공이 관통되어 보올부와 연통되도록 탱크에 결합되는 오버플로우어관이 구비되고, 상기 배수공을 개폐시키도록 오버플로우어관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면에 부력구가 형성되는 사이폰덮개가 구비되며, 상기 사이폰덮개 내부에 관통되어 탱크에 저장되는 물을 보올부로 공급하는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개폐시키도록 사이폰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충수공급덮개가 구비된 보충수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밸브는,
    상기 탱크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도전과 연통되면서 상단부에 관통된 다수의 배출공을 통해 수도전의 물이 탱크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과 캡 사이에 장착되어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을 제어하는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공급관에 장착되면서 내부에 배출구가 관통된 캡과;
    상기 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지지대에 장착되어 탱크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지지대 단부가 배출구를 개폐시키면서 물의 공급을 제어하는 부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력구는 사이폰덮개에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충수공급덮개는,
    상기 사이폰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리브와;
    상기 한 쌍의 리브 단부에 형성되어 사이폰덮개에 관통된 통공을 개폐하는 개폐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에 장착되어 사이폰덮개의 통공을 개폐하는 제1개폐패킹과;
    상기 사이폰덮개에 장착되어 오버플우어관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제2개폐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덮개의 통공에 장착되는 패킹을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오버플로우어관의 배수공을 개폐하면서 내부에 통공이 관통된 몸체와;
    상기 통공을 중심으로 돌출되어 사이폰덮개의 통공에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 단부에 상향으로 돌출되어 보충수공급덮개 저면이 밀착되는 개폐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KR1020130080298A 2013-07-09 2013-07-09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KR10134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298A KR101349323B1 (ko) 2013-07-09 2013-07-09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298A KR101349323B1 (ko) 2013-07-09 2013-07-09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323B1 true KR101349323B1 (ko) 2014-01-10

Family

ID=5014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298A KR101349323B1 (ko) 2013-07-09 2013-07-09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3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80Y1 (ko) * 1999-07-16 2000-02-15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23044Y1 (ko) 2003-05-07 2003-08-14 김익수 좌변기 물통 후레쉬 밸브(사이펀)
US20100251471A1 (en) 2009-04-07 2010-10-07 Cadavid Gonzalez Jorge Anibal Gravity fed toilet device of mega low water comsumption
KR101020102B1 (ko) 2008-05-19 2011-03-09 주식회사 에이에프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4180Y1 (ko) * 1999-07-16 2000-02-15 신우워토스주식회사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323044Y1 (ko) 2003-05-07 2003-08-14 김익수 좌변기 물통 후레쉬 밸브(사이펀)
KR101020102B1 (ko) 2008-05-19 2011-03-09 주식회사 에이에프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US20100251471A1 (en) 2009-04-07 2010-10-07 Cadavid Gonzalez Jorge Anibal Gravity fed toilet device of mega low water comsump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200875U (zh) 真空破坏器、座便器自动冲水系统及电子座便器
CN201106204Y (zh) 一种用水泵进行辅助冲刷的马桶
KR101024365B1 (ko) 양변기 필밸브의 림측급수관 물량조절밸브
KR101349323B1 (ko) 양변기의 탱크 및 보올부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KR100758827B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제어장치
KR101617421B1 (ko) 역류방지 기능이 포함된 양변기 탱크로의 물 공급장치
KR101261513B1 (ko) 로우탱크 양변기의 림부 급수 전환장치
CN202176010U (zh) 一种改进的马桶
KR20042427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CN202430776U (zh) 一种二次水、自来水配合使用的节水蓄水冲厕装置
JP2010236201A (ja) 水洗大便器
KR102287062B1 (ko) 변기세정장치
JP2020501046A (ja) 洋式便器の臭気排出逆流封鎖装置
KR200439595Y1 (ko) 좌변기의 수조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을 이용한 자동물내림기능이 부가된 비데
WO2006135348A1 (en) Flush tank with integrated lavatory bowl
CN217923932U (zh) 进水阀及坐便器
CN201730152U (zh) 一种二次水、自来水配合使用的蓄水冲厕装置
KR101152901B1 (ko) 양변기의 림으로 배수되는 세척수량 제어구조
CN201292563Y (zh) 座便器节水型冲水装置
KR200429966Y1 (ko) 양변기의 세척수 급수 제어장치
KR200190330Y1 (ko) 양변기의세척수제어장치
CN202324120U (zh) 一种用于坐便器的储压水箱
KR200465082Y1 (ko) 양변기 보충수 조절장치
KR100384388B1 (ko) 절수형 양변기
CN202769017U (zh) 浮球式启闭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