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244B1 -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244B1
KR101349244B1 KR1020130058750A KR20130058750A KR101349244B1 KR 101349244 B1 KR101349244 B1 KR 101349244B1 KR 1020130058750 A KR1020130058750 A KR 1020130058750A KR 20130058750 A KR20130058750 A KR 20130058750A KR 101349244 B1 KR101349244 B1 KR 101349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ocking
lid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레버
Priority to KR1020130058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48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음식쓰레기통에서 뚜껑을 개방하여 추가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채워진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누출을 최소화시키면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음식쓰레기통(10)과,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뚜껑(20)과, 뚜껑(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측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1)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여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다음 투입되는 음식쓰레기가 안착되고, 다시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악취차단판(30)과, 악취차단판(30)가 안착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도록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에 마련되어서 악취차단판(30)을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A DOUBLE DOOR STRUCTURE FOR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음식쓰레기통에서 뚜껑을 개방하여 추가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채워진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누출을 최소화시키면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인구의 과밀화로 말미암아 음식쓰레기에 의한 환경오염이 극심하여 그동안 음식쓰레기 처리에 관한 연구가 있어 왔고 수많은 음식쓰레기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음식쓰레기처리장치는 일측에 구비된 음식쓰레기통에 음식쓰레기를 채운상태에서 분쇄기로 분쇄하거나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시켜서 분해한 후에, 퇴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여기서, 전술한 음식쓰레기통은 뚜껑을 덮어서 먼저 채워진 음식쓰레기통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사용자가 음식쓰레기통에 음식쓰레기를 추가적으로 채우기 위해서는 뚜껑을 열어야 하는데, 뚜껑을 개방함에 따라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 때문에, 음식쓰레기를 추가적으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불쾌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적나라하게 노출됨에 따라 미관상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음식쓰레기통에서 뚜껑을 개방하여 추가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채워진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누출을 최소화시키면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는,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외주면에 걸림홈(12)이 대칭되면서 복수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통(10)과,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뚜껑(20)과, 뚜껑(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측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1)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여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다음 투입되는 음식쓰레기가 안착되고, 다시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악취차단판(30)과, 악취차단판(30)가 안착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도록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에 마련되어서 악취차단판(30)을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하고,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배면의 중앙이 결합되고, 일측에서 내부까지 관통하는 측방홀(45)이 형성되고, 측방홀(45)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면서 측방홀(45)의 길이를 따라 장방형의 가이드홀(46)이 형성되는 노브(44)와, 노브(44)의 측방홀(45)에서 돌출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47)과, 버튼(47)에서 연장되어 가이드홀(46)을 따라 유동되어서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가이드홀(46)을 통해 노브(44)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걸쇠(48) 및 걸쇠(48)가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측방홀(45)에 장착된 상태로 버튼(47)을 탄력지지 하는 탄성체(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악취차단판(30)은 악취누출을 차단하도록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33)을 더 포함하며, 패킹(33)은 일측의 테두리를 따라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악취차단판(30)은 걸림돌기(34)가 삽입되어서 걸리도록 테두리를 따라 내부로 오목하게 테두리홈(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180도로만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설정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는 피니언(41)과, 피니언(41)에 교합되는 워엄기어(42) 및 워엄기어(4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모터(43)는 수평상태의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어서 정지되게 하는 시간동안만 워엄기어(4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뚜껑(20)은 일단이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에서 일측에 뚜껑힌지(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뚜껑손잡이(22)가 형성되며, 뚜껑힌지(21)를 중심으로 뚜껑손잡이(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뚜껑힌지(21)로부터 이격되면서 수평하게 회전핀(23)이 설치되며, 음식쓰레기통(10)의 일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회전부재(40)가 결합되고, 음식쓰레기통(10)의 타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홀(32)이 형성되며, 록킹홀(32)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승강홀(15)이 형성된 록킹가이드(14)가 형성되고, 회전부재(40)는 뚜껑(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부재(50)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서 이탈되어서 록킹가이드(14)에 위치되고, 뚜껑(20)의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여 록킹가이드(14)에서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부재(50)인 샤프트는 탄력적으로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부재(50)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상부록킹샤프트(54)와, 상부록킹샤프트(54)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이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 삽입되어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는 하부록킹샤프트(55) 및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과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동시에 관통하여서 고정되어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에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음식쓰레기통에서 뚜껑을 개방하여 추가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리 채워진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누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악취에 의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고,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미관상 혐오스러운 불쾌감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차단판과 패킹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부재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회전부재를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또 다른 회전부재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록킹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폐쇄된 뚜껑에 의해 록킹부재가 언록킹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개방된 뚜껑에 의해 록킹부재가 록킹된 상태의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는 음식쓰레기통(10)과,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뚜껑(20)과, 뚜껑(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측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1)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여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다음 투입되는 음식쓰레기가 안착되고, 다시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악취차단판(30)과, 악취차단판(30)가 안착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도록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에 마련되어서 악취차단판(30)을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한다.
음식쓰레기통(10)은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에 뚜껑(20)이 걸쳐져서 안착되도록 단턱(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 일측에는 후술되는 뚜껑힌지(21)가 고정됨에 따라 뚜껑힌지(21)를 축으로 뚜껑(20)이 음식쓰레기통(10)의 개구된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통(10)은 전면에 후술되는 걸쇠(48)가 선택적으로 걸려서 고정되도록 걸림홈(12)이 대칭되면서 복수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회전축(31)이 각기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복수의 축홀(13)이 형성되며, 배면에 회전축(31)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록킹가이드(14)가 형성된다. 여기서, 록킹가이드(14)는 상하로 수직되게 관통되는 승강홀(15)이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홀(15)은 후술되는 회전축(31)에 형성된 록킹홀(32)에 수직으로 대응되고, 이에 의해 샤프트가 승강홀(15)을 통해 록킹홀(32)에 록킹될 수 있다.
뚜껑(20)은 일단이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에서 일측에 뚜껑힌지(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뚜껑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뚜껑손잡이(22)를 파지하여 뚜껑힌지(21)를 축으로 뚜껑(20)을 회전시켜서 음식쓰레기통(10)을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뚜껑(20)은 하부면에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은 음식쓰레기통(10)을 폐쇄한 상태에서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접촉되어 악취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20)은 뚜껑힌지(21)에서 뚜껑힌지(21)를 중심으로 뚜껑손잡이(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뚜껑힌지(21)로부터 이격되면서 수평하게 회전핀(23)이 설치된다.
악취차단판(30)은 회전축(31)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어서, 수평상태로 되어서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한 상태로 악취의 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안착될 수 있고, 180도로 회전되어서 투입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하부로 낙하시킨 후에 다시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여 악취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음식쓰레기통(10)의 일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회전부재(40)가 결합되고 음식쓰레기통(10)의 타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홀(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일측의 회전축(31)은 회전부재(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타측의 회전축(31)에 형성된 록킹홀(32)은 회전부재(4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악취차단판(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누출을 정확하게 차단하도록 테두리에 패킹(33)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33)은 악취차단판(30)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면 음식쓰레기통(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악취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고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킹(33)은 일측의 테두리를 따라 걸림돌기(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악취차단판(30)은 걸림돌기(34)가 삽입되어서 걸리도록 테두리를 따라 내부로 오목하게 테두리홈(35)이 형성된다. 따라서, 패킹(33)은 악취차단판(30)의 테두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서 교체가 용이하다.
회전부재(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작동되어 회전축(31)에 회전력을 제공하여서 악취차단판(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반드시 180도로만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뚜껑(20)을 개방한 상태에서 음식쓰레기를 투입시켜도 모터의 구동에 의해 180도로 회전되어서 수평상태인 악취차단판(30)에 음식쓰레기가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뚜껑(20)을 폐쇄한 상태로 모터를 구동시키면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므로 악취차단판(30)에 안착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하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물론, 180도로 회전된 악취차단판(30)은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상하부로 분할하여서 차단한다.
또한, 회전부재(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는 피니언(41)과, 피니언(41)에 교합되는 워엄기어(42) 및 워엄기어(4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43)가 워엄기어(42)를 회전시킴에 따라 피니언(41)이 회전되므로 피니언(41)에 결합된 악취차단판(30)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모터(43)는 수평상태의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어서 정지되게 하는 시간동안만 워엄기어(4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모터(43)의 구동에 의해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된 후에 정지되면 수평상태의 악취차단판(30)에 음식쓰레기가 편중되게 안착되어도 피니언(41)에 워엄기어(42)가 직교된 상태로 교합되므로 음식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흔들리거나 회전되지 않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회전모터(43)를 작동시키면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어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하부로 투입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상하부로 분할하여서 차단한 상태로 고정된다.
또 한편, 회전부재(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배면의 중앙이 결합되고, 일측에서 내부까지 관통하는 측방홀(45)이 형성되고, 측방홀(45)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면서 측방홀(45)의 길이를 따라 장방형의 가이드홀(46)이 형성되는 노브(44)와, 노브(44)의 측방홀(45)에서 돌출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47)과, 버튼(47)에서 연장되어 가이드홀(46)을 따라 유동되어서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가이드홀(46)을 통해 노브(44)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걸쇠(48) 및 걸쇠(48)가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측방홀(45)에 장착된 상태로 버튼(47)을 탄력지지 하는 탄성체(49)를 포함한다. 여기서, 노브(44)는 커플링이나 볼팅으로 회전축(31)에 결합되도록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44)를 파지한 상태로 버튼(47)을 가압하여 탄성체(49)가 압축되게 하면서 걸쇠(48)가 걸림홈(12)에서 이탈되게 한다. 이러한 상태로 노브(44)를 180도로 회전시켜서 버튼(47)의 가압을 해제하여 걸쇠(48)가 다른 걸림홈(12)에 걸리게 한다. 여기서, 걸쇠(48)의 폭은 가이드홀(46)의 내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노브(44)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어서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걸쇠(48)가 걸림홈(12)에 걸리게 하여 악취차단판(30)의 정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40)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부재(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록킹부재(50)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서 이탈되어서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위치되고, 뚜껑(20)의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여 록킹가이드(14)에서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샤프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샤프트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측방으로 관통되게 고정됨에 따라 회전핀(23)을 축으로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는 탄력적으로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는 뚜껑(20)의 회전동작에 의해 휘어지면서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서 용이하게 승강동작 되어서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판(30)은 전술한 노브(44)의 걸쇠(48)가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수평된 상태이므로, 록킹홀(32)이 수직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음식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 폐쇄된 뚜껑(20)이 개방됨에 따라 록킹부재(50)인 샤프트가 록킹홀(32)에 록킹되므로, 차단판(30)은 수평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뚜껑(20)이 개방되어도 차단판(30)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음식쓰레기의 악취가 차단되면서 투입되는 많은 양의 음식쓰레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판(30)은 뚜껑(20)이 폐쇄된 상태에서만 회전될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하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
또한, 록킹부재(50)는 도 8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0)의 회전핀(23)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상부록킹샤프트(54)와, 상부록킹샤프트(54)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이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 삽입되어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는 하부록킹샤프트(55) 및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과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동시에 관통하여서 고정되어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에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56)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록킹샤프트(54)가 회전핀(2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뚜껑(20)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부록킹샤프트(54)가 경사상태로 승강되어도 하부록킹샤프트(55)가 수직상태로 바르게 승강될 수 있다. 즉, 하부록킹샤프트(55)는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 삽입된 상태로 승강되어서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통(10)에 음식쓰레기를 투입시키는 과정에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가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어서, 투입된 음식쓰레기에 의한 불쾌감을 현저하게 최소화할 수 있는 것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음식쓰레기통 11 : 플랜지
12 : 걸림홈 14 : 록킹가이드
15 : 승강홀 20 : 뚜껑
21 : 뚜껑힌지 22 : 뚜껑손잡이
23 : 회전핀 30 : 악취차단판
31 : 회전축 32 : 록킹홀
33 : 패킹 34 : 걸림돌기
35 : 테두리홈 40 : 회전부재
41 : 피니언 42 : 워엄기어
43 : 회전모터 44 : 노브
45 : 측방홀 46 : 가이드홀
47 : 버튼 48 : 걸쇠
49 : 탄성체 50 : 록킹부재
54 : 상부록킹샤프트 55 : 하부록킹샤프트
56 : 연결핀

Claims (10)

  1.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외주면에 걸림홈(12)이 대칭되면서 복수로 형성되는 음식쓰레기통(10)과,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개방하여 음식쓰레기의 투입을 허용하고,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를 폐쇄하여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 및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하는 뚜껑(20)과,
    뚜껑(20)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측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각각 형성되는 회전축(31)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관통되어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를 차단하여 먼저 투입된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상태로 다음 투입되는 음식쓰레기가 안착되고, 다시 회전되어서 수평상태로 고정되어 음식쓰레기의 악취누출을 방지하는 악취차단판(30)과,
    악취차단판(30)가 안착된 음식쓰레기를 음식쓰레기통(1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도록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에 마련되어서 악취차단판(30)을 회전시키고 정지시키는 회전부재(40)를 포함하고,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배면의 중앙이 결합되고, 일측에서 내부까지 관통하는 측방홀(45)이 형성되고, 측방홀(45)에서 배면으로 관통하면서 측방홀(45)의 길이를 따라 장방형의 가이드홀(46)이 형성되는 노브(44)와,
    노브(44)의 측방홀(45)에서 돌출가능하게 장착되는 버튼(47)과,
    버튼(47)에서 연장되어 가이드홀(46)을 따라 유동되어서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되도록 가이드홀(46)을 통해 노브(44)의 배면으로 돌출되는 걸쇠(48) 및
    걸쇠(48)가 음식쓰레기통(10)의 걸림홈(12)에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측방홀(45)에 장착된 상태로 버튼(47)을 탄력지지 하는 탄성체(4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악취차단판(30)은 악취누출을 차단하도록 테두리에 설치되는 패킹(33)을 더 포함하며,
    패킹(33)은 일측의 테두리를 따라 걸림돌기(34)가 형성되고,
    악취차단판(30)은 걸림돌기(34)가 삽입되어서 걸리도록 테두리를 따라 내부로 오목하게 테두리홈(3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되, 180도로만 회전된 후에 정지되도록 설정되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부재(40)는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에 축결합되는 피니언(41)과,
    피니언(41)에 교합되는 워엄기어(42) 및
    워엄기어(4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회전모터(43)는 수평상태의 악취차단판(30)이 180도로 회전되어서 정지되게 하는 시간동안만 워엄기어(4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뚜껑(20)은 일단이 음식쓰레기통(10)의 상부에서 일측에 뚜껑힌지(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뚜껑손잡이(22)가 형성되며, 뚜껑힌지(21)를 중심으로 뚜껑손잡이(22)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뚜껑힌지(21)로부터 이격되면서 수평하게 회전핀(23)이 설치되며,
    음식쓰레기통(10)의 일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회전부재(40)가 결합되고, 음식쓰레기통(10)의 타측으로 관통되어서 돌출된 회전축(31)은 수직으로 관통하는 록킹홀(32)이 형성되며,
    록킹홀(32)의 상부로 이격되면서 음식쓰레기통(10)의 외측면에 상하로 관통되는 승강홀(15)이 형성된 록킹가이드(14)가 형성되고,
    회전부재(40)는 뚜껑(20)이 개방된 상태에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부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록킹부재(50)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여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서 이탈되어서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 위치되고, 뚜껑(20)의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여 록킹가이드(14)에서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삽입되어서 록킹되는 샤프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9. 청구항 7에 있어서, 록킹부재(50)인 샤프트는 탄력적으로 휘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금속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록킹부재(50)는
    뚜껑(20)의 회전핀(23)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뚜껑(20)의 폐쇄동작에 의해 상승하고 개방동작에 의해 하강하는 상부록킹샤프트(54)와,
    상부록킹샤프트(54)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타단이 록킹가이드(14)의 승강홀(15)에 삽입되어서 악취차단판(30)의 회전축(31)의 록킹홀(32)에 록킹되거나 언록킹는 하부록킹샤프트(55) 및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과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동시에 관통하여서 고정되어 하부록킹샤프트(55)의 타단에 상부록킹샤프트(54)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핀(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KR1020130058750A 2013-05-24 2013-05-24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KR101349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750A KR101349244B1 (ko) 2013-05-24 2013-05-24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750A KR101349244B1 (ko) 2013-05-24 2013-05-24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244B1 true KR101349244B1 (ko) 2014-01-13

Family

ID=50144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750A KR101349244B1 (ko) 2013-05-24 2013-05-24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9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46Y1 (ko) 2017-12-12 2018-07-06 주식회사 보성 비에스 이앤지 쓰레기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509A (ko) * 2006-11-24 2006-12-26 최덕호 이중커버 음식물 쓰레기통
KR20100004019U (ko) * 2008-10-08 2010-04-16 정석원 악취차단 음식물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3509A (ko) * 2006-11-24 2006-12-26 최덕호 이중커버 음식물 쓰레기통
KR20100004019U (ko) * 2008-10-08 2010-04-16 정석원 악취차단 음식물쓰레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46Y1 (ko) 2017-12-12 2018-07-06 주식회사 보성 비에스 이앤지 쓰레기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284B2 (en) Container for recei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KR100787481B1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ES2403084T3 (es) Configuración de cierre para una máquina para el tratamiento de la colada
KR101349244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이중도어구조
DE202006004159U1 (de) Vorrichtung zum Entsorgen von Hygieneartikeln
KR10085111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170043490A (ko) 종량제 봉투용 쓰레기통
KR20200053210A (ko) 악취 누설 방지용 기밀수단을 구비한 쓰레기통
KR100530837B1 (ko) 냉장고의 반찬통 밀폐장치
CN109733771B (zh) 环保家用垃圾桶
CN208544684U (zh) 一种护理用废弃物存储装置
CN205994229U (zh) 榨汁机防退盖机构
US20060196573A1 (en) Door device comprising a double bayonet socket for an insulator
CA3121846A1 (en) Trash receptacle with snap lid closure
FR2617813A1 (fr) Recipient de mise au rebut d'objets pointus
KR200430222Y1 (ko) 음식물 쓰레기 보관 통
KR200347430Y1 (ko) 냉장고의 반찬통 밀폐장치
GB2427116A (en) A hay feeder with a hinged thrust plate pushing feed up against a meshed cover
EP3878770A1 (en) Wastebasket having airtight means for preventing leakage of foul odors
KR20150045110A (ko) 탄성이 부여된 잠금장치
KR101466971B1 (ko) 음식물 쓰레기 통
CN220097389U (zh) 一种避免异味散出的垃圾桶
CN215384697U (zh) 一种神经外科护理用利器盒
CN104856767B (zh) 可锁定壁挂式医用锐器盒
JP3539132B2 (ja) 生ごみ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