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441B1 -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441B1
KR101348441B1 KR1020120000642A KR20120000642A KR101348441B1 KR 101348441 B1 KR101348441 B1 KR 101348441B1 KR 1020120000642 A KR1020120000642 A KR 1020120000642A KR 20120000642 A KR20120000642 A KR 20120000642A KR 101348441 B1 KR101348441 B1 KR 10134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nufacturing
jig
carbon
meta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9887A (ko
Inventor
홍성태
염영진
최승태
허승현
전치훈
서정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4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B82B3/0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al devices or systems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ssure Welding/Diffusion-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각 하단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절곡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개구(開口)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하판부를 포함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탄소 나노 소재가 공기 중으로 산포될 위험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금속기지(Metal matrix)에 홈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금속기지의 형상이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metal matrix nano composites}
본 발명은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Metal Matrix Nano Composites)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의 금속기지(Metal matrix)에 탄소 나노 소재를 마찰 교반 처리(FSP;Friction Stir Process)하여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Metal Matrix Nano Composites)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지그(Jig) 및 이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탄소 나노 소재의 하나인 그래핀은 탄소 원자들이 sp2 결합에 의해 2차원 상으로 배열된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그래핀은 구조적 물성이 안정할 뿐 아니라, 그 밀도가 2g/cm3 이하로서 금속재료 대비 가볍고, 인장강도가 수십 GPa 정도로 매우 강하며, 열전도도가 매우 크기 때문에 열적 인터페이스 재료(TIM;Thermal Interface Material)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소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소재로 인정되어 현재 전 세계적인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특히, 열전도도 측면에서 기존 재료들은 표면의 비결합 원자들과 결정구조 결함이 많은 저항을 발생시켜 전도 효율에 한계가 있는데 비하여, 상기 그래핀은 원자 하나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표면결함이 매우 적고 양자역학적 구조특성으로 인해 열전도도가
Figure 112012000655036-pat00001
이하로서 매우 우수한 전도도를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향후 가볍고, 높은 열전도도가 필요한 분야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2차원 소재인 상기 그래핀을 1차원 소재인 탄소 나노 튜브(CNT;Carbon Nano Tube)와 하이브리드(Hybrid)화 할 경우에는, 전도에 필요한 퍼콜레이션 한계(Percolation limit) 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열전도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탄소 나노 소재를 금속기지에 첨가하여 금속기지의 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등의 경량인 금속소재를 기지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경량의 알루미늄 판재에 마찰교반처리법(FSP)을 적용하여 알루미늄 기지의 경량성과 탄소 나노 소재의 높은 강도와 열전도도를 동시에 가지는 경량 고강도 복합재를 개발한다.
상기 마찰교반처리법(FSP)은 비용융 접합공정인 마찰교반용접(FSW;Fiction Stir Welding)에서 파생된 표면처리법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공구로 소재의 표면에 국부적인 소성변형을 발생시켜 소재표면의 미세구조를 원하는 형태로 변화시켜 표면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마찰교반처리법(FSP)의 응용분야로서, 공정 중에 소재의 표면에 나노사이즈의 첨가물을 산포하여, 표면에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를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는 주조공정으로 제작된 복합재에 비하여 미세균열 등이 극단적으로 적으며, 주조공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나노사이즈 첨가물이 뭉치는 현상(Aggregation)을 피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에는 종래 알루미늄 기지 상에 탄소 나노 소재를 마찰 교반 처리하여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사전에 모재인 알루미늄 시편에 홈을 만들고, 이 홈에 탄소 나노 소재(1)를 채운다. 그런 다음, 공구(2)의 핀(2a)이 그 위를 지나가면서 마찰 교반 처리를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찰 교반 처리용 공구(2)의 고속 회전으로 인하여 나노 크기인 탄소 소재가 공기 중에 산포되는 것을 조절하기 힘들며, 이 때문에 안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또한 모재인 금속기지에 홈을 만들어야 하므로 제품의 형상 이나 두께에 의하여 제약을 받는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마찰 교반 처리 과정에서 나노 탄소 소재가 공기 중으로 산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으며, 금속기지의 형상이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개선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용 지그는,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 및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각 하단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절곡 연장되어, 상하방향으로 개구(開口)된 채널(Channel)을 형성하는 하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판부는, 상기 채널이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 확장 단면을 갖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그를 금속기지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그의 하판부에 형성된 채널에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가 제공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금속기지를 마찰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그래핀(Graphene), 카본 나노 튜브(CNT;Carbon Nano Tube), 익스텐디드 그라파이트(Extended Graphite)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판부는 상기 채널이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 확장 단면을 갖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에서는 상기 스텝을 이용하여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가 제공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찰 교반 처리에 의한 상기 금속기지의 탄소 나노 소재 함량은, 물과 혼합된 탄소 나노 소재의 콜로이드 농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에 의하면,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탄소 나노 소재가 공기 중으로 산포될 위험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기지(Metal matrix)에 홈을 만들지 않기 때문에 금속기지의 형상이나 두께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판재 형태의 금속기지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표면 복합재가 아니라, 소재 전체 두께에 걸쳐서(Through- thickness) 나노 복합재(MMNC)의 특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는 탄소 나노 튜브 이외에도, 탄소 나노 튜브보다 우수한 열전도율을 가지는 그래핀이나 익스텐디드 그라파이트(Extended Graphite)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초경량 고열전도율 금속 소재로서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알루미늄 기지 상에 탄소 나노 소재를 마찰 교반 처리하여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를 제조하는 공정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의 탄소 분포도를 에스이엠(S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10;이하 "지그"라 함)는, 경량의 금속기지(40;Metal matrix)에 탄소 나노 소재(30)를 마찰 교반 처리(FSP;Friction Stir Process)하여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Metal Matrix Nano Composites)를 제조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그래핀(Graphene), 카본 나노 튜브(CNT;Carbon Nano Tube), 익스텐디드 그라파이트(Extended Graphite)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그(10)는, 한 쌍의 측판부(100)와, 하판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판부(100)는 서로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측판부(100)는, 공구(20)를 이용하여 후술할 마찰 교반 처리를 할 때 폭 방향의 작업영역을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각 측판부(100)는 금속기지(40)에 수직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하판부(200)는 상기 한 쌍의 측판부(100)의 각 하단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절곡 연장된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개구(開口)된 채널(201;Channel)을 형성한다. 상기 채널(201)에는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가 채워지는 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판부(200)는 상기 채널(201)이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 확장 단면을 갖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21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스텝(210)은, 제공되는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를 개략적으로 가늠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스텝(210)이 3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그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그(10)를 이용하여,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용 지그를 이용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10)를 준비한다(S100). 여기서 상기 지그(10)는 한 쌍의 측판부(100)와, 하판부(2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판부(200)에는 채널(20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여기서도 상기 하판부(200)는 상기 채널(201)이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 확장 단면을 갖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21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그(10)를 금속기지(40) 상에 안착시킨다(S200). 상기 금속기지(40)로는 경량의 알루미늄(Al)이나 마그네슘(Mg) 등의 금속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형상이나 두께에 제약이 있어서 판재 형태의 금속기지만을 사용하던 종래와는 달리, 금속기지(40)에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금속기지(40)의 형상이나 두께에 제약이 없으며, 소재 전체 두께에 걸쳐서(Through- thickness) 나노 복합재(MMNC)의 특성이 부여되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상기 지그(10)의 하판부(200)에 형성된 채널(201)에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를 제공한다(S300). 이와 같이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를 사용하여 나노 크기의 탄소 소재(30)가 공기 중으로 산포될 위험을 없앨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가 제공되는 양은 상기 스텝(210)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끝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30)가 제공된 상태에서, 공구(20)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201)을 통해 상기 금속기지(40)를 마찰 교반 처리한다(S400). 이 때 마찰 교반 처리에 의한 상기 금속기지(40)의 탄소 나노 소재(30) 함량은, 물과 혼합된 탄소 나노 소재(30)의 콜로이드 농도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지그(10)를 이용하여 제조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의 탄소 분포도를 에스이엠(SEM)을 이용하여 맵핑(Mapping)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금속기지(40)로는 탄소가 함유되지 않은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였으며, 탄소 나노 소재(30)로는 그래핀을 사용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 나노 소재(30)인 그래핀이 마찰 교반 처리에 의해 알루미늄의 금속기지(40) 안으로 원활히 교반되어, 탄소의 함유량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지그(10)에 의해 제조된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는 탄소 나노 튜브 이외에도, 탄소 나노 튜브보다 우수한 열전도율을 가지는 그래핀이나 익스텐디드 그라파이트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초경량 고열전도율 금속 소재로서 다양한 제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그 20 : 공구
30 : 탄소 나노 소재(콜로이드 상태) 40 : 금속기지
100 : 측판부 200 : 하판부
201 : 채널 210 : 스텝
S100 : 지그 준비
S200 : 금속기지 상에 지그 안착
S300 :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 제공
S400 : 마찰 교반 처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부; 및 서로 대면하는 상기 측판부의 하단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개구된 채널이 형성된 하판부를 포함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용 지그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지그를 금속기지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그의 하판부에 형성된 채널에 물과 혼합된 콜로이드(Colloid)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가 제공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채널을 통해 상기 금속기지를 마찰 교반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 소재는,
    그래핀(Graphene), 카본 나노 튜브(CNT;Carbon Nano Tube), 익스텐디드 그라파이트(Extended Graphite) 및 이들의 하이브리드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판부는 상기 채널이 상측으로 갈수록 계단식 확장 단면을 갖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스텝을 이용하여 상기 콜로이드 상태의 탄소 나노 소재가 제공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마찰 교반 처리에 의한 상기 금속기지의 탄소 나노 소재 함량은, 물과 혼합된 탄소 나노 소재의 콜로이드 농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MMNC) 제조방법.
KR1020120000642A 2012-01-03 2012-01-03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KR10134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42A KR101348441B1 (ko) 2012-01-03 2012-01-03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0642A KR101348441B1 (ko) 2012-01-03 2012-01-03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887A KR20130079887A (ko) 2013-07-11
KR101348441B1 true KR101348441B1 (ko) 2014-01-09

Family

ID=4899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642A KR101348441B1 (ko) 2012-01-03 2012-01-03 금속기지 나노 복합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4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615A (ja) 2003-09-30 2005-04-21 Nippon Chemicon Corp 摩擦撹拌溶接用固定治具および該治具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804011B2 (ja) * 2005-02-02 2011-10-26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摩擦攪拌点接合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3615A (ja) 2003-09-30 2005-04-21 Nippon Chemicon Corp 摩擦撹拌溶接用固定治具および該治具を用いた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804011B2 (ja) * 2005-02-02 2011-10-26 住友軽金属工業株式会社 摩擦攪拌点接合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887A (ko) 201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daram et al. Copper/carbon nanotube composites: Research trends and outlook
Zhang et al. A powder-metallurgy-based strategy toward three-dimensional graphene-like network for reinforcing copper matrix composites
Cao et al. Aligning graphene in bulk copper: Nacre-inspired nanolaminated architecture coupled with in-situ processing for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and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Li et al. Enhanced mechanical behavior and fabrication of silicon carbide particles covered by in-situ carbon nanotube reinforced 6061 aluminum matrix composites
Yang et al. Simultaneously enhancing the strength, ductility and conductivity of copper matrix composites with graphene nanoribbons
Munir et al. Effect of dispersion method on the deterioration, interfacial interactions and re-agglomeration of carbon nanotubes in titanium metal matrix composites
Chen et al. Novel nanoprocessing route for bulk graphene nanoplatelets reinforced metal matrix nanocomposites
Chu et al. Fabrication and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reinforced Cu matrix composites for heat sink applications
Khobragade et 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opper-graphene nanocomposite fabricated by high pressure torsion
Saba et al. Formation mechanism of nano titanium carbide on multi-walled carbon nanotube and influence of the nanocarbides on the load-bearing contribution of the nanotubes inner-walls in aluminum-matrix composites
US20190002278A1 (en) Process for nano graphene platelet-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Tang et al. Enhancement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raphene–copper composites with graphene–nickel hybrids
Liu et al. Enhancing the interface bonding in carbon nanotubes reinforced Al matrix composites by the in situ formation of TiAl3 and TiC
You et al. Review on 3D-printed graphene-reinforced composite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JP2014141746A (ja) 放熱用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放熱用複合材製造用の混合粉
TWI472484B (zh) 順向排列石墨烯片高分子複合材料及其製造方法
Moosa et al.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ene nanoplates and carbon-nanotubes hybrid epoxy nanocomposites
Korznikova et al.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u-graphene composites produced by two high pressure torsion procedures
Hu et al. Laser additive manufacturing bulk graphene–copper nanocomposites
Zhou et al. Significant strengthening effect in few-layered MXene-reinforced Al matrix composites
Zhou et al. Micro-scale prediction of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CNT/Al composites by finite element method
Wang et al.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NPs and in-situ TiB hybrid reinforced Ti–6Al–4V matrix composites with 3D network architecture
Han et al. 3D continuous copper networks coated with graphene in Al-matrix composites for efficient thermal management
Sharma et al. Synthesis of a novel hybrid nanocomposite of AZ31Mg-Graphene-MWCNT by multi-pass friction stir processing and evalu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Huo et al. Interface design and the strengthening-ductility behavior of tetra-needle-like ZnO whisker reinforced Sn1. 0Ag0. 5Cu composite solders prepared with ultrasonic agi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