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392B1 -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 Google Patents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392B1
KR101348392B1 KR1020130106084A KR20130106084A KR101348392B1 KR 101348392 B1 KR101348392 B1 KR 101348392B1 KR 1020130106084 A KR1020130106084 A KR 1020130106084A KR 20130106084 A KR20130106084 A KR 20130106084A KR 101348392 B1 KR101348392 B1 KR 101348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air
buffer
air injection
indoo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낙준
Original Assignee
(주)마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마루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106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83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3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insulating noises between floors of apartment houses which comprises: an indoor structure including a lower indoor structure and an upper indoor structure which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and composed of a buffering space sandwiched therebetween; a noise measuring unit which is arranged inside the buffering space and which measures the noises from multiple predetermined regions inside the buffering space; a noise buffering unit which is placed under the noise measuring unit and which has air injection units changeable in size according to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multiple regions; noise dispersion units which are arranged i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the noise measuring unit, and in between the noise buffering uni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which disperse noises from the multiple positions; and a buffering-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units to form the predetermined amount of the air according to noise values measured at the multiple regions by using the noise measuring unit.

Description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본 발명은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역 별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수준에 따라 소음을 능동적으로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noise preventing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noise preventing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that can actively mitigate and absorb the nois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vel of the floor noise generated for each area.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공동주택 등의 2층 이상 건축물의 통상적인 시공방법은 콘크리트 슬래브(slab)를 건물의 층수에 따라 시공하여 기초공사를 완료한 다음 콘크리트 슬래브 위에 난방 배관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자갈과 시멘트 몰탈을 소정두께로 시공하는 것이다.In general, a common construction method of two-story or mor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or multi-unit houses is to construct concrete slab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loors of the building to complete the basic construction, and then arrange heating pipes on the concrete slab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construction of gravel and cement mortar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와 같이 아파트, 고층빌딩 등과 같은 적층식 다층 건물의 층과 층을 구획하는 슬래브(slab)는 콘크리트만으로 시공됨에 따라 건물의 해당층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 층간 슬래브를 통하여 바로 아래층으로 전달된다.As the slab that divides the floors and floors of multi-storey multi-storey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and high-rise buildings is constructed of concrete only, the noise and shock generated inside the relevant floor of the building are directly lowered through the interlayer slabs. Is passed to.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 등 공동주택의 건물 구조체에 가해지는 충격음은 사람의 보행, 문의 개폐, 기물의 이동이나 설비기기의 가동 혹은 정지 등이 충격의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고체 전달음이 사방으로 전달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건물 구조체의 표면을 진동시킴은 물론 공기 전달음으로 전환되어 주변의 사람들 귀에 들리게 될 때, 소음으로 인식되게 된다.In general, the impact sound applied to the building structure of apartment houses such as apartments and villas is transmitted to all directions by solid walking sound generated by people walking, opening and closing doors, moving objects, starting or stopping equipment, etc. This causes the surface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vibrate, as well as being converted to air transmission sound, which is perceived as noise when it is heard by people around it.

예를 들어, 물건의 낙하 등의 충격이 바닥에 가해지거나 의자를 옮기는 소리 등은 고체 전달음을 발생시키고, 이 고체 전달음이 바닥 슬래브를 통해 아래층에 전달되는 것을 층간소음이라 한다.For example, an impact such as a drop of an object is applied to the floor or a movement of a chair generates a solid transmission sound, and the solid transmission sound is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through the floor slab.

요즘에는, 이러한 층간소음문제가 공동주택에서 심각하게 대두되어 정부에서는 층간소음유발행위에 대해 경범죄처벌법의 인근 소란죄를 적용하여 범칙금을 부과하겠다고 발표하고, 심지어 층간소음으로 이웃간에 난투극이 벌어지는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더욱 강화, 개정되기에 이르렀다.Nowadays, the problem of floor noise has emerged seriously in apartment houses, and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that it will impose penalties for neighboring noise-induced acts by applying the neighboring crimes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law, and even struggling between neighbors with floor noise. As a result,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and revised.

상기 규정에는 각 층간의 바닥충격음이 경량충격음은 58데시벨(dB)이하이어야 하고, 중량충격음은 50데시벨(dB)이하이거나 건설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표준바닥구조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The regulations stipulate that the floor impact sound between floors should be less than 58 decibels (dB) and the weight impact sound should be less than 50 decibels (dB) or standard floor structure as determined and announced by th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이와 같이, 심각하게 대두되는 층간소음을 줄여 최소화하기 위한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들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기존의 통상적인 층간 바닥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를 기준으로 상부에 경량기포 콘크리트층(2)이 형성되고, 그 상단으로 난방 배관(3)과 마감용 몰탈층(4)이 형성되며, 그 위에 모노륨이나 원목, 타일 등의 장식재로 된 바닥장식층(5)으로 구성된다.As such, conventional interlayer floor structures are proposed for minimizing and minimizing severely generated interlayer noise, which is based on a concrete slab 1, as shown in FIG.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heating pipe (3) and finishing mortar layer (4) are formed on the upper part, and the floor decorative layer (5) made of decorative materials such as monolium, solid wood, and tiles thereon (5). It is composed of

그러나, 위의 층간 바닥구조는 콘크리트 슬래브 상부에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층이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담당하고 있으나,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 등의 소음을 제대로 흡수하거나 차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interlayer floor structure above, but the lightweight foam concrete layer form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slab is responsible for attenuating the noise, the situation is not properly absorb or block the noise, such as light impact sound and heavy impact sound.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의 바닥구조로 건물을 시공한 경우, 예컨대 위층에서 아이들이 뛰어 다니는 행위에 의해서 바닥에 가해진 충격으로 유발된 소음과 진동은 곧장 아래층으로 전달되고, 그 결과 건물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such a conventional floor structure, the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the impact applied to the floor, for example, by the children running around on the upper floor, are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lower floor. As a result, the comfort of the building is greatly reduced. Will be.

이로 인해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이나 충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콘크리트 슬래브와 경량기포 콘크리트 사이에 층간소음 방지재를 형성하는 시공방법이 개발되었다.Due to this,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block noise or impact, a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an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between the concrete slab and lightweight foamed concrete has been developed.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는 통상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저면에 돌기를 형성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뜬바닥 구조를 제공Such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usually made of a resin material, and provides a floating structure to form an air layer by forming protrusions on the bottom surface.

하는데,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40 이하이거나 80 이상으로 형성된다.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jections is formed to be 40 or less than 80.

그러나,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20에서 40정도이므로 매우 유연하고, 신축성이 뛰어나 실제로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기존의 상기 층간소음 방지재를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마감 몰탈을 타설하면 경량 콘크리트와 몰탈의 무게(1m×1m 당 170㎏)에 눌려져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버려 공기층이 전혀 형성되지 못하여, 진동과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이 상실되어 버려 소음차단 효과가 매우 경미한 것이 현실이다.However, since 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s about 20 to 40, it is very flexible and excellent in elasticity. In fact, the existing layer of noise preventing material is laid on the slab surface of the apartment house, and light weight foam concrete and finishing mortar are placed on it. When pressed under the weight of lightweight concrete and mortar (170kg per 1m × 1m),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and projections are attached to the slab surface, and no air layer is formed, and the function to block vibration and noise is lost. The reality is that it is very slight.

또한, 이러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의 경도가 80 이상인 경우 공기층은 형성할 수 있으나, 돌기가 슬래브면에 붙어 있어 소음이 경도가 강한 층간소음 방지재 및 돌기를 통하여 전달되기 때문에 공기층이 확보한 소음차단 효과를 상쇄시켜 버린 그 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층간소음 방지재도 매우 종류가 많고 다양하지만 모두가 공동주택의 콘크리트 슬래브면에 밀착되어 깔려 있음으로서 소음 차단 효과가 크지 않다. 예를 들면 기존의 층간소음 방지재는 주로 스티로폼 단열재나 기타 합성수지 발포 시트를 공동주택의 슬래브면에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와 몰탈을 타설하는 형태이므로 소음이 차단되지 못하고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air layer may be formed when the hardness of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is 80 or more, but the noise is secured by the air layer because the protrusion is attached to the slab surface and the noise is transmitted through the strong interlayer noise preventing material and the protrusion. There are many kinds of noise prevention materials that are currently used, which have canceled the blocking effect, but there are many kinds and various kinds of noise preventing materials because they are laid on the concrete slab surface of the apartment house. For example, the existing interlayer noise prevention material is mainly in the form of laying styrofoam insulation or other synthetic resin foam sheet on the slab surface of the multi-family house and placing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mortar on 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noise is not blocked and transmitted.

본 발명의 목적은, 영역 별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수준에 따라 소음을 능동적으로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loor noise preventing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that can actively mitigate and absorb the noise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inter-layer noise generated for each area.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서로 상하로 적층되며, 서로 완충 공간을 갖는 하부 실내 구조물과 상부 실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실내 구조물과; 상기 완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 공간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영역에서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와; 상기 소음 측정부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에 크기가 가변 가능한 공기 주입부들을 갖는 소음 완충부와;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단과 상기 소음 측정부의 사이 및, 상기 소음 완충부와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위치에서 소음을 분산시키는 소음 분산부; 및 상기 소음 측정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영역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로 공기를 주입하는 완충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제공한다.In a preferre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oor structure comprising a lower indoor structure and an upper indoor structu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having a buffer space therebetween; A noise measuring unit disposed in the buffer space and measuring noise in a plurality of areas preset in the buffer space; A noise absorbing part stacked on a lower part of the noise measuring part and having air injecting parts having a variable siz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eas; A noise dispers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and the noise measuring unit and between the noise buffer uni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dispersing nois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 buffer air injection unit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jection units so that a predetermined air injection amount is formed according to the noise value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from the noise measurement unit.

상기 소음 측정부는,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고정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소음치를 측정하여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소음 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measuring unit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nd is disposed inside the fixing panel, and i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areas, respectively, to measure the noise value to measure the buffer air. It is desirable to have a number of sound level meters that transmit to the injection section.

상기 소음 완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패널의 하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내부에 상기 공기 주입부들이 형성되는 완충 패드와, 상기 공기 주입부들이 상기 완충 패드의 측부를 통해 노출되어 공기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absorb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xed panel, the buffer pad is formed therein the air inlet to be dispos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eas and the air inlet It is preferable to have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passages exposed through the side of the buffer pad to allow air injection.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 주입관과,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유로들을 개폐하는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에 설치되며, 외기를 펌핑하여 상기 공기 주입부들에 강제 주입하는 다수의 펌프와, 상기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펌프를 구동하며, 상기 소음치에 대한 공기 주입량이 미리 설정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The buffer air inj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aths,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jection paths, and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s. It is installed in the pipe, and pumps the outside air and forcibly injecting the air inlet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valves and the controller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pumps, the air injection amount to the noise level is provided in advance.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영역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기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valves and the plurality of pumps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jection portions so that a predetermined air injection amount is formed according to the noise value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상기 소음 분산부는,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콘크리트 층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과, 상기 고정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콘트리트 층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1돌기들을 갖는 탄성의 제 1탄성층과,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콘크리트 층과, 상기 제 2콘크리트 층과, 상기 완충 패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콘크리트 층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2돌기들을 갖는 탄성의 제 2탄성층을 갖되,The noise dispersing unit is provided between a first concrete layer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the first concrete layer, and the fixing panel, and has an embossed first shape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layer. An elastic first elastic layer having protrusions, a second concrete layer dispos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the second concrete layer, and the buffer pad,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layer. A second elastic layer of elasticity having second embossed second protrusions disposed therein;

상기 제 1돌기들과, 상기 제 2돌기들은 소음 및 충격을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preferably disperse noise and impact.

또한,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의 사이에는 소음 반사부가 더 설치된다.In addition, a noise reflector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and the first concrete layer.

상기 소음 반사부는, 상기 제 1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상방이 개구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홈 구조물을 구비한다.The noise reflector includes a plate-shaped bas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layer, and a groove structure forming a plurality of grooves opened upward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상기 홈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립되는 상태의 육각의 벽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은 상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 내측면에는 소음 반사판이 설치된다.
The groove structure is formed to form a hexagonal wall in an upright state on the base, the hexagonal wall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side, and the noise reflection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exagonal wall.

본 발명은, 영역 별로 발생되는 층간 소음의 수준에 따라 소음을 능동적으로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ctively mitigating and absorbing noise according to the level of interlayer noise generated for each region.

도 1은 종래의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소음 측정부를 보여주는 황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소음 완충부 및 완충 공기 주입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소음 완충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소음 반사부가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noise reduction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or noise preventing structure for a multi-uni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noise measuring unit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noise buffer and the buffer air injection unit of FIG. 2.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ise buffer.
6 to 8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noise reflector is further install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floo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 multi-uni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소음 측정부를 보여주는 황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소음 완충부 및 완충 공기 주입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소음 완충부의 작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 multi-unit hous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ise measuring unit of Figure 2,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noise buffer and a buffer air injection of Figure 2,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noise buffer.

도 2 내지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은 서로 상하로 적층되며, 서로 완충 공간(SA)을 갖는 하부 실내 구조물(120)과 상부 실내 구조물(110)로 이루어지는 실내 구조물(100)과; 상기 완충 공간(SA)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 공간(SA)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영역(A)에서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200)와; 상기 소음 측정부(200)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A)에 해??되는 위치에 크기가 가변 가능한 공기 주입부들(311)을 갖는 소음 완충부(300)와;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110)의 하단과 상기 소음 측정부(200)의 사이 및, 상기 소음 완충부(300)와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120)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위치에서 소음을 분산시키는 소음 분산부(500); 및 상기 소음 측정부(200)로부터 상기 다수의 영역(A)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311)로 공기를 주입하는 완충 공기 주입부(4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을 제공한다.2 to 5, the present invention is stacked up and down each other, the indoor structure 100 consisting of a lower interior structure 120 and the upper interior structure 110 having a buffer space (SA) with each other; A noise measuring unit (200) disposed in the buffer space (SA) and measuring noise in a plurality of areas (A) preset in the buffer space (SA); A noise absorbing part 300 stacked below the noise measuring part 200 and having air injecting parts 311 variable in size at positions positioned in the plurality of areas A; It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110 and the noise measuring unit 200, and between the noise buffer 300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120, the noise is distribut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Noise dispersing unit 500; And a buffer air injector 400 for injecting air from the noise measurer 200 to the air injectors 311 such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formed according to noise value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A. It provides a floo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s.

상기 소음 측정부(200)는,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120)의 하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영역(A)으로 구획되는 고정 패널(210)과, 상기 고정 패널(210)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영역(A)에 각각 배치되어, 소음치를 측정하여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300)로 전송하는 다수의 소음 측정기(2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measuring unit 200 is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120, and is fixed to the fixed panel 210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A and the fixed panel 2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lurality of noise measuring devices 220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areas A, respectively, to measure noise values and transmit the noise values to the buffer air injection unit 300.

상기 소음 완충부(30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패널(210)의 하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A)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내부에 상기 공기 주입부들(311)이 형성되는 완충 패드(310)와, 상기 공기 주입부들(311)이 상기 완충 패드(310)의 측부를 통해 노출되어 공기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3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oise absorbing part 3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panel 2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air injecting parts 311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eas A. ) Is provided with a buffer pad 310 and a plurality of air inlet flow paths 320 to expose the air inlet portion 311 through the side of the buffer pad 310 to enable the air injection. Do.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400)는,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320)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 주입관(410)과,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410)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유로들(320)을 개폐하는 다수의 밸브(420)와,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410)에 설치되며, 외기를 펌핑하여 상기 공기 주입부들(311)에 강제 주입하는 펌프(430)와, 상기 다수의 밸브(420)와 상기 펌프(430)를 구동하며, 상기 소음치에 대한 공기 주입량이 미리 설정되는 제어기(440)를 구비한다.The buffer air injection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410 and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410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aths 320, and the air injection paths. A plurality of valves 4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eld 320, a plurality of valves 42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ir inlet pipes 410, for pumping outside air and forcibly injecting them into the air inlets 311, and the The controller 440 drives a plurality of valves 420 and the pump 430, and a preset air injection amount for the noise level.

상기 제어기(400)는, 상기 다수의 영역(A)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311)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기 다수의 밸브(420)와, 상기 펌프(430)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400 may include the plurality of valves 420 and the pump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s 311 so that a predetermined air injection amount is formed according to noise value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A. 430 controls the driving.

상기 소음 분산부(500)는,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콘크리트 층(510)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510)과 상기 고정 패널(2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콘트리트 층(510)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1돌기들(521)을 갖는 탄성의 제 1탄성층(520)과,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120)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콘크리트 층(530)과, 상기 제 2콘크리트 층(530)과 상기 완충 패드(310)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콘크리트 층(530)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2돌기들(541)을 갖는 탄성의 제 2탄성층(541)으로 구성된다.The noise dispersing unit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layer 510 and the first concrete layer 510 and the fixed panel 210 which ar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110. And an elastic first elastic layer 520 having embossed first protrusions 521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layer 510 and an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120. Embossed second protrusions 541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ncrete layer 530 and the second concrete layer 530 and the buffer pad 310, and ar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layer 530. And a second elastic layer 541 having elasticity.

상기 제 1돌기들(521)과, 상기 제 2돌기들(541)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볼록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소음 및 충격을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Since the first protrusions 521 and the second protrusions 541 are curved and convex,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521 and 541 may be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 하면,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100)의 하면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510)의 사이에는 소음 반사부(700)가 더 설치된다.6 to 8, a noise reflector 700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100 and the first concrete layer 510.

상기 소음 반사부(700)는 상기 제 1콘크리트 층(510)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710)와, 상기 베이스(710)의 상면에 상방이 개구되는 다수의 홈(721)을 형성하는 홈 구조물(720)을 구비한다.The noise reflector 700 forms a base 710 on a plat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layer 510, and a plurality of grooves 721 opening upwardly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710. A groove structure 720 is provided.

상기 홈 구조물(720)은 상기 베이스(710) 상에서 직립되는 상태의 육각의 벽(730)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730)은 상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730) 내측면에는 소음 반사판(740)이 설치된다.The groove structure 720 is formed to form a hexagonal wall 730 in an upright state on the base 710, the hexagonal wall 730 is formed so as to be open to each other along the upper side, the hexagonal wall ( The noise reflecting plate 740 is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surface 730.

소음 반사판(740)은 상부 실내 구조물(110)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을 홈들(721)에 일시적으로 저장 후 상방을 따라 벌어지는 육각의 벽(730)을 따라 유도하고, 이때, 소음 반사판(740)을 통해 상부로 소음을 효율적으로 반사할 수 있다.The noise reflecting plate 740 temporarily stores the noise generated from the upper indoor structure 110 in the grooves 721 and guides the hexagonal wall 730 that opens along the upper side, and at this time, through the noise reflecting plate 740. Noise can be effectively reflected to the top.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고정 패널(210)은 두께가 10~50mm로 마련된 상판과, 너비와 깊이가 각각 1~5㎜이면서 홈 간격이 5~20㎜로 형성된 그리드홈, 지름이 10~50㎜이면서 높이가 5~10㎜로 마련된 지지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xing panel 210 has a top plate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10 to 50 mm, a grid groove having a width and depth of 1 to 5 mm and a groove spacing of 5 to 20 mm, respectively, a diameter. It may be made of a support pillar provided with a height of 5 to 10 mm while being 10 to 50 mm.

소음 측정기(220)는 상기 그리드 홈에 위치될 수 있다.The sound level meter 220 may be located in the grid groove.

한편, 지지기둥의 단면적 총합이 상판 평면적의 15~50%로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upport pillar may be provided to 15 to 50% of the top plate area.

또한, 상기 완충 패널(310)은 두께가 5~20mm로 마련된다.In addition, the buffer panel 310 is provided with a thickness of 5 ~ 20mm.

여기서, 고정 패널(210)은 발포 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 발포 EVA(ethyrene vinilacetate), 발포 폴리에틸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Here, the fixed panel 210 is made of any one of expanded polystyrene (EPS), expanded EVA (ethyrene vinilacetate), expanded polyethylene (expanded poly-propylene, EPP).

또한, 상기 완충 패널(310)은 폴리에틸렌(Polyethrene, PE), EVA, 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된다.In addition, the buffer panel 310 is made of any one of polyethylene (Polyethrene, PE), EVA, polyurethane foam (polyurethane foam).

고정패널(210)은 밀도가 15㎏/㎥ 이상이면서 동탄성계수가 40MN/㎥ 이하인 것으로서, 두께가 10~50mm로 마련된 상판, 너비와 깊이가 각각 1~5㎜이면서 홈간격이 5~20㎜로 형성된 그리드홈, 지름이 10~50㎜이면서 높이가 5~10㎜로 마련된 지지기둥으로 구성하고, 완충 패드(310)는 두께가 5~20mm 이면서 밀도가 18㎏/㎥ 이상, 동탄성계수 40~150MN/㎥로 마련하여, 이와 같은 규격을 갖는 패널은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인정 및 관리기준"에 따른 표준바닥구조에 적용되는 바닥완충재로서 요구하는 성능을 기본적으로 고려한 것이며, 별도의 인증시험을 거쳐 규격을 최적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fixed panel 210 has a density of 15㎏ / ㎥ or more and a dynamic modulus of 40MN / ㎥ or less, a top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50mm, a width and a depth of 1 to 5mm, and a groove spacing of 5 to 20mm. The formed grid groove, the diameter is 10 ~ 50㎜ and the support pillar provided with a height of 5 ~ 10㎜, the buffer pad 310 has a thickness of 5 ~ 20mm and a density of 18㎏ / ㎥ or more, dynamic elastic modulus 40 ~ Prepared at 150MN / ㎥, the panel having such a standard basically considers the performance required as a floor buffer material applied to the standard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nd management standard of the floor shock sound blocking structure of a common house," and a separate certification test. Of course, the specification can be optimized through.

이상, 본 발명의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specific Example regarding th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multi-unit houses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실내 구조물 110 : 상부 실내 구조물
120 : 하부 실내 구조물 200 : 소음 측정부
210 : 고정 패널 220 : 소음 측정기
300 : 소음 완충부 310 : 완충 패널
311 : 공기 주입부 320 : 공기 주입 유로
400 : 공기 주입부 410 : 공기 주입관
420 : 밸브 430 : 펌프
440 : 제어기 500 : 소음 분산부
510 : 제 1콘크리트 층 520 : 제 1탄성층
530 : 제 2콘크리트 층 540 : 제 2탄성층
100: indoor structure 110: upper interior structure
120: lower indoor structure 200: noise measuring unit
210: fixed panel 220: noise meter
300: noise buffer 310: buffer panel
311: air injection unit 320: air injection flow path
400: air injection unit 410: air injection pipe
420: valve 430: pump
440 controller 500 noise dispersion
510: first concrete layer 520: first elastic layer
530: second concrete layer 540: second elastic layer

Claims (3)

서로 상하로 적층되며, 서로 완충 공간을 갖는 하부 실내 구조물과 상부 실내 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실내 구조물;
상기 완충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완충 공간에 미리 설정된 다수의 영역에서의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부;
상기 소음 측정부의 하부에 적층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에 크기가 가변 가능한 공기 주입부들을 갖는 소음 완충부;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단과 상기 소음 측정부의 사이 및, 상기 소음 완충부와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상단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의 위치에서 소음을 분산시키는 소음 분산부; 및
상기 소음 측정부로부터 상기 다수의 영역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로 공기를 주입하는 완충 공기 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소음 측정부는,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에 배치되며, 다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고정 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다수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소음치를 측정하여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로 전송하는 다수의 소음 측정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An indoor structure composed of a lower indoor structure and an upper indoor structur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and having a buffer space therebetween;
A noise measuring unit disposed in the buffer space and measuring noise in a plurality of areas preset in the buffer space;
A noise buffer stacked on a lower portion of the noise measurer and having air injectors having a variable size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reas;
A noise dispers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and the noise measuring unit and between the noise buffer unit and the upper end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dispersing noise at a plurality of positions; And
And a buffer air injector for injecting air into the air injectors so that a predetermined air injecting amount is formed according to the noise values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from the noise measurer.
The noise measuring unit,
A fixed panel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nd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areas;
The interior of the stationary panel,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areas, each of the floo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nois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noise value and transmits to the buffer air inle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완충부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패널의 하면에 부착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영역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내부에 상기 공기 주입부들이 형성되는 완충 패드와,
상기 공기 주입부들이 상기 완충 패드의 측부를 통해 노출되어 공기 주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 공기 주입부는,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 유로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공기 주입관과,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주입 유로들을 개폐하는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공기 주입관에 설치되며, 외기를 펌핑하여 상기 공기 주입부들에 강제 주입하는 다수의 펌프와,
상기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펌프를 구동하며, 상기 소음치에 대한 공기 주입량이 미리 설정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다수의 영역에서 측정된 소음치에 따라 기설정된 공기 주입량이 형성되도록 상기 공기 주입부들로 공기를 주입하도록 상기 다수의 밸브와, 상기 다수의 펌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noise buffer unit,
A buffer pa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attach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panel, and having the air inlets formed therein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regions;
And a plurality of air inlet flow paths through which the air inlets are exposed through the side of the buffer pad to enable air injection,
The buffer air injection unit,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aths;
A plurality of valve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ir injection pipes and opening and closing the air injection flow paths;
A plurality of pumps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air inlet pipes and pumping external air to forcibly inject the air inlets;
A controller is provided for driving the plurality of valves and the plurality of pumps, and an air injection amount for the noise level is preset.
The controller comprising:
Preventing inter-floor noise for multi-family hous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lurality of valves and the plurality of pumps to inject air into the air inlet portion to form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nj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noise value measured in the plurality of areas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 분산부는,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에 설치되는 제 1콘크리트 층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과, 상기 고정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콘트리트 층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1돌기들을 갖는 탄성의 제 1탄성층과,

상기 하부 실내 구조물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는 제 2콘크리트 층과,
상기 제 2콘크리트 층과, 상기 완충 패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 2콘크리트 층에 삽입 배치되는 엠보싱 형상의 제 2돌기들을 갖는 탄성의 제 2탄성층을 갖되,
상기 제 1돌기들과, 상기 제 2돌기들은 소음 및 충격을 분산시키고,
상기 상부 실내 구조물의 하면과 상기 제 1콘크리트 층의 사이에는 소음 반사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소음 반사부는,
상기 제 1콘크리트 층의 상면에 설치되는 판 상의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상방이 개구되는 다수의 홈을 형성하는 홈 구조물을 구비하되,
상기 홈 구조물은 상기 베이스 상에서 직립되는 상태의 육각의 벽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은 상방을 따라 서로 벌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육각의 벽 내측면에는 소음 반사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층간소음 방지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The noise dispersion unit,
A first concrete layer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An elastic first elastic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crete layer and the fixing panel and having embossed first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first concrete layer;

A second concrete layer installed between the top of the lower indoor structure,
A second elastic lay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concrete layer and the buffer pad and having an elastic second elastic layer having second protrusions having an embossed shape inserted into the second concrete layer,
The first protrusions and the second protrusions disperse noise and impact,
A noise reflector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indoor structure and the first concrete layer.
The noise reflector,
A base on a plat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crete layer,
Is provided with a groove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form a plurality of grooves that are opened upwards,
The groove structure is formed to form a hexagonal wall in an upright state on the base,
The hexagonal wall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side,
Interlayer noise prevention structure for a multi-family hous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ise reflection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hexagon.
KR1020130106084A 2013-09-04 2013-09-04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KR1013483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084A KR101348392B1 (en) 2013-09-04 2013-09-04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084A KR101348392B1 (en) 2013-09-04 2013-09-04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8392B1 true KR101348392B1 (en) 2014-02-13

Family

ID=5026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084A KR101348392B1 (en) 2013-09-04 2013-09-04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3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89Y1 (en) 2006-08-19 2007-02-21 (주)비엠아이건설 A triple air layer board for impulse sound and insulation on floors
KR100918240B1 (en) 2007-12-18 2009-09-21 부일테크 주식회사 Interstory noise reducing materials
KR101145878B1 (en) 2009-08-21 2012-05-15 박상민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KR101183261B1 (en) 2012-04-16 2012-09-14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A floor structure having a alarm of a nois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5789Y1 (en) 2006-08-19 2007-02-21 (주)비엠아이건설 A triple air layer board for impulse sound and insulation on floors
KR100918240B1 (en) 2007-12-18 2009-09-21 부일테크 주식회사 Interstory noise reducing materials
KR101145878B1 (en) 2009-08-21 2012-05-15 박상민 System for noise neduction of between floors
KR101183261B1 (en) 2012-04-16 2012-09-14 (주) 건축사사무소아라그룹 A floor structure having a alarm of a noise transmis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85B1 (en) Structure for noise reduction of between floors in apartment building
KR101181696B1 (en) Floor construction method used with an impulsive noise protection material has empty prominence and depression
KR101723976B1 (en) Building having double slave
KR101000406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1128873B1 (en) Floor impact sound cut-off construction of a build
KR101324261B1 (en)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KR102231260B1 (en) Floor and partition structure for insulation and soundproofing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62925B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1479167B1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20100001719U (en) Noise Preventing Assembling structure for Inter layer Noiseproofing
KR100998282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KR101574200B1 (en) Dividing floor structure for impact noise reduc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348392B1 (en) Impact sound insulating structure of apartment
KR102119407B1 (en) Vibration dampener for reduction of crashing sound
KR100750890B1 (en) Impact sound insulating material and floors structure of an apartment house using the same
KR101011949B1 (en) A floor structure falling a noise transmission with a boiler pipe body
KR101305239B1 (en) Floating floor structure for preventing noise between the stories for plural story buildings
KR102546126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terlayer noise of building
KR200378497Y1 (en) Concrete floor soundproof materials
KR100718700B1 (en) Plate for sound insulation
KR100546445B1 (en) Floor structure of building
KR101428760B1 (en) Material for reducing noise between floors
KR20120001159A (en) Reduce noise floors and structure reduce noise between floors of building
KR20070110630A (en) Soundproof interfloor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200416055Y1 (en) The bottom structure which flo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