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8237B1 -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8237B1
KR101348237B1 KR1020120128174A KR20120128174A KR101348237B1 KR 101348237 B1 KR101348237 B1 KR 101348237B1 KR 1020120128174 A KR1020120128174 A KR 1020120128174A KR 20120128174 A KR20120128174 A KR 20120128174A KR 101348237 B1 KR101348237 B1 KR 101348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le
fastening
ground
excav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6176A (en
Inventor
강민준
Original Assignee
(주)아리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터 filed Critical (주)아리터
Publication of KR20130056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1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8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82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62Compacting the soil at the footing or in or along a casing by forcing cement or like material through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2Piles composed of separable parts, e.g. telescopic tubes ; Piles composed of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2Placing by screw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에 형성된 굴착공 내부에 설치되며 시멘트계 충진물이 상기 굴착공 내부에 충진 및 경화되어 상기 지반에 지지 고정되게 시공되는 지지파일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파일은,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소정의 직경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시공 시에 상기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파일체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고, 상기 지지기둥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지지기둥을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키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기둥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날개부가 구비됨으로써 지반에 대한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굴착공의 바닥면에 슬라임이 존재하더라도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지반이 교란되지 않게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회전 관입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날개부가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구비되더라도 지지기둥의 직경이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굴착공을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굴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기둥과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경우, 작고 가벼운 지지기둥을 회전 관입하여 굴착공의 바닥면에 먼저 설치한 후 파일체를 지지기둥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지파일의 운반 및 그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when the building structure or civil structure drying, and the cement pile is filled and cured in the excavation hole and the support pile and construction to be fixed to the ground construction and its construction According to a method, a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e body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e bod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hole inner peripheral surface during construction; And a screw shap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in whole or in part in an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in plan during construction. Is positioned, and the support pillar is rotated as one or more rotary blades for rotationally penetrating the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compris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lar is provided with a screw-shaped rotary blad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even if slime is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the ground is rotated by the support pillar. The support column can be firmly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o as not to be disturbed, and the diameter of the support colum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even if the rotary wing part having such a role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colum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large and thereby reduce the amount of excavation, not only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ime, but also when the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column and the pile body is further provided, the small and light support column is rotated. Penetrate and install it on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first, then fasten the support pillar to the pile Transport and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can be made easily.

Description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Support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에 대한 지지파일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굴착공의 바닥면에 슬라임(Slime)이 존재하더라도 회전관입을 통해 지지파일을 지지지반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시공 중에 지지파일에 작용하는 부력을 억제하고 지지력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편하게 운반 및 시공될 수 있는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port pi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attachment force of the support pile to the ground, and even if a slim is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the support pile is rotated through the penetration. By firmly installing on the supporting grou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buoyancy acting on the supporting pile during construc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supporting force, not only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time, but also support pile and its easily transported and constructed. It is about a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을 지반 상에 건조할 때, 지반이 연약하거나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이 큰 경우에는 하중에 대한 충분한 지지력 확보를 위해 콘크리트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파일이 사용된다.In general, when the building structure or civil structure is dried on the ground, when the ground is weak or the load of the building structure or the civil structure is large, a support file made of concrete or the like is used for securing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load.

종래의 지지파일(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콘크리트 원형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지지파일(10)을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건조 예정 지반(BG)에 형성한 굴착공(20)에 삽입한 후, 굴착공(20)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부어 충진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upport pile 10 is formed of a concrete circular tube having a hollow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support pile 10 is formed on the construction ground BG of a building structure or a civil structure. After inserting into the excavation hole 20,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pour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is constructed in a way to cure the fill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파일(10)은 굴착공(20)을 형성하는 굴착 작업시에 생성되어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에 의해 그 하단부의 지지력이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고,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에는 시공 중에 지지파일(10)이 부력에 의해 떠오르거나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지지파일(10)의 위치를 측량, 확인하는 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쳐야 하는 작업 공정상의 불편함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support pile 10 is generated during the excavation work forming the excavation hole 20, and it is difficult to sufficiently secur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lower end portion by the slime presen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and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case of high, the support pile 10 rises or inclines due to buoyancy during construction,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e work process that additionally goes through the process of measuring and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pile 10.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지지파일(10)을 굴착공(20)에 삽입한 후, 타격 공법을 이용해 굴착공(20)의 바닥면에 박아 넣어 하단부의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굴착공(20)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부어 충진 양생시키는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after inserting the support pile 10 into the excavation hole 20, while driv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using a blow method to secure the support force of the lower end, the excavation hole 20 Pour the cement-based filler 30 to the filling curing is made.

그러나 이렇게 시공된 종래의 지지파일(10)도 구조물의 하중이 인가되면 지지파일(10)과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충진 양생되어 이루어진 시멘트계 충진부의 경계면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구조물의 하중이 좁은 면적의 지지파일(10) 하단부에 집중 인가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그 허용하중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pport pile 1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ad of the structure is applied, the support pile 10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are filled and cured, so that slip occur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ement-based filler and the narrow load of the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centration is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10, the allowable load is small.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외주면에 돌기 형태의 날개(11)를 다수 형성하여 지반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킨 지지파일(10')이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으나, 해당 날개(11)로 인해 지지파일(10') 하단부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지지파일(10')이 설치되는 굴착공(20')의 직경을 늘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To compensate for this, as shown in Figure 2, by forming a plurality of wings 11 of the projection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to improve the attachment force to the ground (10 ') has been developed and constructed, the corresponding wings ( 11) due to an increase in 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10 ', the diameter of the excavation hole 20' in which the support pile 10 'is installed has to be increased.

이처럼 더 큰 직경의 굴착공(2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굴착량이 많아져 굴착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고, 굴착토의 양도 증가하여 그 처리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form a larger diameter excavation hole (2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excavation is increased and the excavation cost and time is increased, the amount of excavated soil is also increased, the treatment cost is also high.

또한, 매우 길고 큰 부피의 지지파일(10') 운반 중에 다수의 날개(11)가 장애물과 접촉하면서 빈번하게 손상되는 등, 그 운반이 어려운 단점도 있다.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wings 11 are frequently damag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 obstacle during transport of a very long and large volume of the support pile 10 ', which is difficult to carry.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파일(10, 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타격 공법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많아, 이로 인한 소음과 진동 발생으로 인접 구조물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많은 민원을 불러일으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upport piles 10 and 10 'as described above are often constructed by the above-described striking method, which may cause damage to adjacent structures due to th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resulting in many complaints. There is a drawback to it.

뿐만 아니라, 타격 시에 지지파일(10, 1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굴착공(20, 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이나 지지파일(10, 10') 타격으로 인한 굴착공(20, 20')의 바닥면 지반의 교란으로 인해 지지파일(10)을 견고하게 설치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In addition, cracks may occur in the support piles 10 and 10 'at the time of the hitting, and due to the slime or the hitting of the support piles 10 and 10' existing at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20 or 20 '. Due to the disturbance of the ground ground of the excavation hole (20, 20 '), there is a limit in installing the support pile 10 firmly.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반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지반이 교란되지 않도록 굴착공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하여 시공 중 지지파일의 부상 및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고, 슬라임이 지지파일의 하부에 존재하지 않게 지지파일을 지지지반에 설치할 수 있으며, 굴착공의 형성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상되기 쉬운 부분을 별도로 운반 및 시공할 수 있는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dhesion to the ground while being firmly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o that the ground is not disturbed to suppress the injuries and inclination of the support pile during construction The support pile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 ground so that the slime does not exist in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ile, and the size of the excavation hole can be reduced, and the support pile and its construction can be separately transported and installed. To provide a method.

본 발명의 지지파일은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의 내부에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소정의 직경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시공 시에 상기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파일체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회전날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ile which is constructed in the ground to secure support stability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re provided, and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File body;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e bod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hole inner peripheral surface during construction; And a screw shap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in whole or in part in an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in plan during construction. Rotating blade portion is located;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pillar and the pile body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ile body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에 상기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지지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 및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체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이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와 각각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날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tu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wing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tube; And one or more second fastening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such that the fastening tub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while the support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tube. wing;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에 상기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지지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체결관;상기 체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 및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날개부의 상면을 따라 상기 제1체결날개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만큼 이격되게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체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이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체결날개가 상기 제2체결날개와 상기 회전날개부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astening tu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at least one first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tube Fastening wing; And one or more second fastening blade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to be spaced apart by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fastening bla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w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The first fastening blade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wing and the rotary blade part as the fastening pip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while the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pe.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에는 지지파일을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 시공하기 위한 시공관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돌기 또는 홈 형상의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or groove-shape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or fastened to or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pipe for rotating penetration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체의 상단부에는 지지파일을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 시공하기 위한 시공장치에 체결 또는 분리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pil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s are fastened or separated on the construction device for rotating penetration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일체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lar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including a support support including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체의 하면과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파일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상기 지지기둥에 전달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보강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te-shaped reinforcement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to stably transfe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ile body to the support pillar;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보강플레이트는, 상기 파일체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갖되, 그 평면 형상의 외경이 상기 파일체의 외경보다 큰 형태 및 그 평면 형상의 내경이 상기 파일체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 중 하나 이상의 형태 조건을 만족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has a planar shape of a donut-shaped pl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body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of the form conditions of th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body is satisfied.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체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갖되 그 평면 형상의 외경이 상기 파일체의 외경보다 큰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파일체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된 보강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planar shape of a donut-shaped pl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bod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Reinforcing plate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illar;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지지파일은,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에 시공되는 지지파일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ile constructed in the grou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when the building structure or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the pile provided in a column shape;

상기 파일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 및 상기 파일체 하단과 상기 지지기둥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upport column provided below the pile body; At least one wing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체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판에 대향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으로 하단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면과 맞대면하는 단관; 및 상기 단관 내외측의 각 측벽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를 이루는 복수 개수의 판 형상으로 상기 단관의 내외측 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는 내외측 보강 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body is configured to have a connecting plate at the top and the bottom,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lange portion facing the connecting plate; A short pipe facing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in a tubular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And inner and outer reinforcement ribs formed in a vert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walls of the end pi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and outer side walls of the end pipe in a plurality of plate shapes that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each side wall circumference of the end pip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은 판 형상으로 접하는 상기 단관의 측벽으로부터 각각 법선 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배열을 이루고,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 중 상기 내측 보강 리브들은 상기 단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 보강 리브들의 배치 사이에 있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are arranged in a shape erected in a normal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of the short pipe in contact with the plate shape, wherein the inner reinforcing ribs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are sandwiched between the short pipe. And staggered so as to be between the arrangement of the outer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단관의 하단부는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 of the shor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 각 사이에 있는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홀을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관통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하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과 나사 결합하는 볼트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between each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and the connecting plate has a fastening hole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olt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lange and the fastening hole screwed.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홀의 상측 주연으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상기 파일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벽에 상기 체결홀에서 연속 연장된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브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extends from the upp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hole to form a tubular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pile body, the inner wall is further provided with a sleeve having a female thread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fasten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일체의 하단면에 접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면과 일대일 맞대면하는 단관과; 상기 단관 내외측의 각 측벽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를 이루는 복수 개수의 판 형상으로 상기 단관의 내외측 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는 내외측 보강 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lan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body; A short pipe facing one-to-one with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in a tubular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Inner and outer reinforcement ribs having a shape of a plurality of plate to form a uniform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each side wall of the short pipe in a vert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 walls of the short pi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djacent thereto;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본 발명의 지지파일은, 지반에 지지 고정되게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 소정의 직경의 원형 또는 도넛형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받침부; 시공 시에 상기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지지판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지지받침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는 파일 골재;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받침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기둥을 상기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 시공하기 위한 시공관에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 또는 홈 형상의 체결부가 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ile constructed to be supported and fixed on the ground, the support supporting portion comprising a circular or donut-shaped support plat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a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hol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widened during construction; Pile aggregate seated on the support plate;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crew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when the whole or part is located in the area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s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when viewed in plan It includes one or more rotary w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illar, that is formed in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or groove-shaped fastening or groove-shaped fastening or detachment to the construction pipe for rotating penetration construc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lling hole It features.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파일 골재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받침부에 구비되어, 상기 파일 골재와 상기 지지받침부를 결합시키는 결합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with a lower end of the pile aggregat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coupling means for coupling the pile aggregate and the support base;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지지파일에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파일 골재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받침부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 및 상기 파일 골재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받침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홈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mean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provided in any one of the lower end and the support portion of the pile aggregate; And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pile aggregate and the support base to engage the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지지파일은,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의 내부에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소정의 직경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시공 시에 상기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파일체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원판 디스크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회전날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pport pile which is constructed in the ground to ensure support stability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the pile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e bod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hole inner peripheral surface during construction; And a disk disc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as a whole or in an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in plan during construction. Rotating blade part is located;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0);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저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상기 파일체를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하는 단계(s1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1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through a construction pipe (s130); Fastening the pile to the support pillar through a fastening means (s14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16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파일체가 형성된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1);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저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a construction pipe to a support column on which the pile body is formed (s121);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through a construction pipe (s13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16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상기 파일체를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하는 단계(s1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1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130); Fastening the pile to the support pillar through a connecting means (s14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16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2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2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230); 파일골재를 지지받침부에 체결하는 단계(s240); 상기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25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2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2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230); Fastening the pile aggregate to the support base (s240);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250); And a step (s260)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3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3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33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파일을 역회전시켜 인발하는 단계(s3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일부 충진하는 단계(s350); 상기 단계(340) 및 단계(s350)을 1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s36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최종 회전관입하는 단계(s370); 상기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38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완전히 충진하는 단계(s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3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3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330); Drawing and rotating the support pile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s340); Partiall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s350); Repeating the steps 340 and s350 one or more times (s360); Final rotational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370);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380); And a step (s350) of completel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41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단계(s420); 지지파일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43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4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410); Inserting the support f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420); Rotating the support pile (s430); And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S44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51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단계(s520); 지지파일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530); 지지파일을 최종경타하는 단계(s5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5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510); Inserting the support f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520); Rotating the support pile (s530); Finally hitting the support file (s5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onsisting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drilling hole (s56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주입 및 교반하여 지반량체를 형성하는 단계(s610); 지지파일을 지반개량체에 자중에 의해 회전관입하여 지반개량체 내부의 배치시키고자 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는 단계(s620); 지지파일을 양생시키는 단계(s6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ground mass by injecting and stirring cement milk through auger on the soft ground (s61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by rotational weight by its own weight and inserting the support pile to a position to be placed in the ground improver (s620); Curing the support fi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s630).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은,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주입 및 교반하여 지반개량체를 형성하는 단계(s710); 지지파일을 지반개량체에 자중에 의해 회전관입하여 지반개량체 바닥면 근방까지 삽입하는 단계(s720); 지지파일을 역회전시키면서 가압하여 지반개량체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730); 및 지반개량체를 양생시키는 단계(s7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injecting and stirring cement milk through auger on the soft ground to form a ground improver (s71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by self-rotation by inserting it into the ground near the bottom of the ground reformer (s72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while rotating the support pile (s730); And curing the ground improver (s730).

이러한 본 발명의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지지기둥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날개부가 구비됨으로써 지반에 대한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굴착공의 바닥면에 슬라임이 존재하더라도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지반이 교란되지 않게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회전 관입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pport pi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lar is provided with a screw-shaped rotating blad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at the same time, even if slime exist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By rotating the column, the support column can be firmly rota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o that the ground is not disturbed.

이에 따라 지지파일의 하단부를 지반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지지파일의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고, 지지파일을 회전 관입을 통해 지지지반에 설치함으로써 시공 중 부력으로 인한 지지파일의 부상 및 기울어짐 발생도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지지지반의 교란을 방지하는 회전 관입 시공을 통해 선행 굴착으로 인한 지지파일 하단부의 슬라임의 영향을 줄여 매우 향상된 시공 품질을 갖는 고지지력 지지파일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to maximiz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pile, and the support pile is installed on the support ground through rotational penetration, so that the incidence and inclination of the support pile due to buoyancy during construction can be increa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rough the rotation penetration construction to prevent such disturbance of the support ground to reduce the influence of the slime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due to the preliminary excava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 bearing support pile having a very improved construction quality.

또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날개부가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구비되더라도 지지기둥의 직경이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회전날개부의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할 수 있어 굴착공을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rotary wing portion that performs this rol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is provided with a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from the plane during construction All or part of the rotary blade portion may be located in the area, there is an advantage that does not have to form a large drilling hole.

이에 따라 굴착공을 형성할 때에 굴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굴착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굴착량에 비례하여 발생하는 굴착토의 양도 줄일 수 있으므로 그 처리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ly, since the amount of excavation can be reduced when forming the excavation hole, the cost and time required for the excavation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the excavated soil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excavation can also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rocessing cost.

그리고 지지기둥과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손상되기 쉬운 회전날개부가 구비된 지지기둥을 길이가 긴 파일체와 별도로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고, 작고 가벼운 지지기둥을 회전 관입하여 굴착공의 바닥면에 먼저 설치한 후 파일체를 지지기둥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지파일의 시공도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by providing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column and the pile body can be carried safely to the support pillar having a rotary blade that is easy to be damaged apart from the long pile body, and the small and light support pillar is rotated through the excavation hole The installation of the support pile can also be made more simply by installing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first and then installing the support pillar.

뿐만 아니라, 파일체를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지지받침부가 구비됨으로써, 기존의 기성 파일체를 지지받침부에 안착시키는 형태로 저렴하고 간편하게 지지파일의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by being provided with a support support including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pile body,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can be made inexpensively and simply in the form of seating the existing existing pile body to the support base.

게다가, 이와 같은 지지받침부에 파일 골재를 안착시킨 상태로 굴착공 내부에 파일 골재가 함침되게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 및 양생하는 파일체 현장 타설 방식으로도 시공될 수 있어 매우 저렴하고 간편하게 지지파일을 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pile pile on the support base, so that the pile aggregate is impregnated inside the excavation hole with the pile aggregate seated on the support base. You may.

한편, 본 발명의 지지파일 시공방법에 의하면, 회전날개부를 이용하여 지지파일이나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한 후 다시 회전 인발하고, 굴착공의 하부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한 상태로 이러한 회전 관입 및 회전 인발 작업을 1회 이상 반복한 후 최종 회전 관입함으로써, 시멘트계 충진물이 회전날개부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지반에 침투 경화됨으로써 지반에 대한 지지파일의 지지력과 부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support pil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rotary blade portion of the support pile or the support pillar to the rotational penetration of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and then to draw again, in the state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cavation hole By repeating the rotational penetration and rotation drawing operation one or more times, the final rotational penetration, cement-based fillers can be maximized the support and adhesion of the support pile to the ground by penetrating into the ground in the stat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ry wing.

또한, 지지파일이나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하기 전에 회전날개부가 형성된 높이까지 굴착공의 바닥면에 항타 관입하는 과정을 더 거침으로써, 더 신속하고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파일이나 지지기둥을 최종 회전 관입한 후 최종 경타하는 과정을 더 거침으로써, 더욱 견고한 시공이 가능하다.In addition, before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ile or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driving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to the height of the rotor blade formed, not only can be installed more quickly and easily More robust construction is possible by going through the final rolling process after the final rotation of the supporting pile or support pillar.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에 있어서, 파일체와 지지받침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에 있어서, 파일체가 현장 타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파일 골재를 적용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파일 골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B-B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지지파일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지지파일의 구성 및 이들 구성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한 연결관의 변형예를 도시한 저면도,
도 18은 도 14에 도시한 연결관이 결합되는 연결판 구성을 나타낸 저면도,
도 19는 도 1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한 변형 적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파일체와 연결관 및 지지기둥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2a 내지 22g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4a 내지 도 24f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6a 내지 26g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C-C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에 있어서, 보강플레이트가 그 외경은 증가되고 내경은 감소된 형태로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1a 내지 도 31d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3a은 도 32에 도시된 D-D의 단면도,
도 33b는 체결돌기가 보강판의 상면에 구비된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에 있어서, 보강플레이트가 구비되지 않고 회전날개부의 개수 및 위치가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6a 내지 도 36e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 은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8 은 도 37 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다른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40 은 도 39 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1 은 개량공법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지지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2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shown i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body in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pile aggregate is applied in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ile bod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in-site castin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ile aggregate shown in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shown in FIG.
13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upport pile shown in FIG. 14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se structures;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ile shown in FIG.
FIG. 17 is a bottom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onnector shown in FIG. 14; FIG.
18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late coupled to the connector shown in Figure 14,
1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application relationship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pile member and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upport pillar shown in FIG.
21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a to 22g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A to 24F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6A to 26G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struction method of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C shown in FIG. 27,
2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dified in a form in which the reinforcing plate is increased in its outer diameter and its inner diameter is reduced;
30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1A to 31D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3A is a sectional view of DD shown in FIG. 32,
33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in which the fastening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3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rotor blades is deformed without a reinforcing plate in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6A to 36E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7 i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pplying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38 is a diagram showing specific contents of FIG. 37.
39 is a flowchart of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40 is a diagram showing specific contents of FIG. 39.
Fig. 41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used in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한다)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파일은,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예정 지반에 형성된 굴착공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그 외주면을 감싸도록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 및 양생함으로써 지반에 견고하게 설치되는 일종의 말뚝이다. 여기서, 지반이란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의 건조를 위해 터파기를 한 후 드러난 지면 및 지중을 일컫는다.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lls and cures cement-based fillings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ile in a state of being located inside an excavation hole formed i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r civil construction structure to secure supporting stability when the construction structure or civil structure is dried. This is a kind of pile that is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Here, the ground refers to the ground and ground exposed after the excav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은, 파일체(110), 지지기둥(120), 회전날개부(130) 및 체결수단(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le body 110, a support pillar 120, a rotary wing 130, and a fastening means 140.

상기 파일체(110)는 내부에 공동부(111)가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데, 콘크리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파일체(110)의 형상 및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파일체(110)는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여 지반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pile body 110 has a cavity 111 formed therein and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made of a concrete material.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pile body 110 is not limited thereto. The pile 110 supports the load of the building structure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serves to transfer it to the ground.

상기 지지기둥(120)은 원형관 형상을 가지며, 체결수단(140)을 통해 파일체(110)의 하단에 체결 구비되고, 회전날개부(130)를 지지한다. The support pillar 120 has a circular tube shape,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pile body 110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40, and supports the rotary wing 130.

상기 지지기둥(120)은 그 직경이 파일체(11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파일체(110) 하측의 지지기둥(120) 외주면과 굴착공(20) 내주면 사이 공간에 회전날개부(130)가 위치할 수 있어 굴착공(20)을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The support column 120 is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 and accordingly, the rotor blade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below the pile body 110 130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excavation hole 20 may not be large.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120)의 내주면에는 지지파일(100)의 시공시에 지지기둥(1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시공관(도시 안됨: 굴착공 굴착시 사용되는 관)에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돌기 형상의 체결부(121)가 형성된다.4 and 5,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is a construction pipe (not shown: excavation hole excavation used to rotate the support pillar 120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100) When used in the pipe) is used to form a fastening portion 121 of the protrusion shape to be fastened or separated.

이 체결부(121)를 통해 지지기둥(120)이 시공관에 체결되고, 시공관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서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날개부(130)에 의해 지지기둥(120)이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될 수 있다.The support pillar 120 is fastened to the construction pipe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21, and by rotating the construction pipe, the support pillar 120 can be rotat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e support column 120 may be rotationally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by the 130.

그리고 지지기둥(120)의 회전 관입이 완료된 후에는 지지기둥(120)으로부터 시공관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And after completion of the rotational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lar 120 can be removed to remove the construction pipe from the support pillar (12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20)은 원형관의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그 구현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기둥(120)은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다각형 관이나 H형 단면을 갖는 기둥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illar 120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ircular tube, but the implementation form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upport column 120 may be implemented in a cylindrical shape, or may be implemented in a column having a polygonal tube or an H-shaped cross section.

이와 같이 상기 지지기둥(120)이 원형관이나 원기둥 형상으로 구현되지 않는 경우, 그 직경은 지지기둥(120)의 단면에서 가장 먼 거리를 이루며 위치하는 두 점을 잇는 선분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이 선분의 길이가 굴착공(2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support column 120 is not implement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tube or a cylinder, the diameter refers to the length of a line connecting two points that are positioned at the longest distance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support column 120. That is, the length of the line segment should be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cavation hole (20).

상기 회전날개부(130)는 지반(BG)에 대한 지지기둥(120) 하단부의 부착력을 향상시켜 지지파일(100)이 큰 지지력을 가지면서 지반에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20)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된다.The rotary blade unit 130 is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to the ground (BG) so that the support pile 100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ground while having a large support force in Figures 3 to 5 As show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is provided in a screw shape.

이러한 회전날개부(130)는 지지파일(1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과 함께, 지지파일(100)이 굴착공(20)에 시공될 때, 시공관에 의해 지지기둥(120)이 회전됨에 따라 지반(BG)을 교란시키지 않고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otary wing unit 130 serves to improv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pile 110, when the support pile 100 is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because the support column 120 is rotated by the construction pipe Accordingly, the support pillar 120 rotates and penetra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without disturbing the ground BG.

이 같은 회전날개부(130)로 인해 지지파일(110)의 지지력이 향상되고, 지지파일(100)이 타격공법에 의하지 않고도 슬라임이 존재하는 굴착공(20)의 바닥면까지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지지기둥(120)을 회전 관입 설치할 경우, 굴착공(20)의 벽면과 바닥면을 교란시키지 않고 지지기둥(120)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지지파일(100)의 하단부에 대한 지지력과 부착력은 더 향상될 수 있다.Due to the rotary blade 130,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pile 110 is improved, and the support pile 100 can be firmly installed up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in which the slime is present without a hitting method. have. In particular, when the support pillar 120 is installed in a rotational penetration, since the support pillar 120 can be installed without disturbing the wall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e support force and the attachment force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100 are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이처럼 지지기둥(120)이 회전 관입 설치되므로, 지하수위가 높은 경우라도 시공 중에 지지파일(100)이 부력에 의해 부상하거나 경사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안정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pillar 120 is rotated and installed in this way, even when the groundwater level is high, the support pile 100 can be prevented from rising or inclined by buoyancy during construction, so that stable construction is possible and construction quality can be improved. Can b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개부(130)는 360°로 형성된 세 개의 회전날개로 구비되었으나, 그 구현 방식이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날개부(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회전날개로 구현될 수 있고, 1080°까지 연속하는 나선형상으로 형성한 하나의 회전날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blade unit 130 is provided with three rotary blades formed in 360 °, the implementation manner or the number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rotary blade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it may be implemented as one rotary blade formed in a spiral shape up to 1080 °.

상기 체결수단(14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체(110)의 하단부와 지지기둥(1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지지기둥(120)과 파일체(110)를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수단(140)은 체결관(141) 및 제1ㆍ제2체결날개(142, 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to 6, the fastening means 14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ile body 110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to fasten the support pillar 120 and the pile body 110. It plays a role. To this end, the fastening means 140 includes a fastening tube 141 and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wings 142 and 143.

상기 체결관(14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체결날개(142)를 파일체(110)에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파일체(110)의 하단부에 파일체(110)의 직경보다 작고 지지기둥(1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관으로 구비되는데, 파일체(110)와 함께 제작되고, 파일체(110)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체(110) 내부로 연장된 다수의 고정부재(141-1)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astening pipe 141 is a component that serves to fix and support the first fastening wing 142 to the pile body 110, and has a pile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110. It is provided with a tub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ieve 110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120, which is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pile body 110, and is provided with a pile body 110 to improve adhesion to the pile body 110.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41-1 extending inwardly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체결관(14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1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41-2)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ipe 141, as shown in Figure 4,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141-2) to firmly support the load of the pile body (110).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체결관(141)은 파일체(110)의 공동부(111) 내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관으로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주부가 완전히 파일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공동부(111)의 내경보다 크고 파일체(110)의 외경보다는 작은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pipe 141 is provided as a tub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vity 111 of the pile body 1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ile completely It may be provided with a tu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avity 111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 to be located inside the sieve 110.

상기 제1ㆍ제2체결날개(142, 143)는 체결관(141)의 외주면과 지지기둥(120)의 상단부 외주면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고, 서로 맞물려 파일체(110)와 지지기둥(120)을 서로 체결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wings 142 and 143 are formed in a pai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pipe 14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respectively, and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pile body 110 and the support pillar 120. ) To each other.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체결날개(143)는 최상측에 위치한 회전날개부(130)의 상면을 따라 제1체결날개(142)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만큼 이격되게 지지기둥(120)의 상단부 외주면에 형성된다.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fastening wing 143 has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fastening wing 142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wing 130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It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to be spaced apart.

그러므로 상기 제2체결날개(143)의 사이 공간으로 제1체결날개(142)가 삽입된 상태로 지지기둥(120)에 대해 파일체(110)가 회전하면, 제1체결날개(142)가 최상측에 위치한 회전날개부(130)의 상면과 제2체결날개(143)의 하면 사이로 삽입되면서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ile body 11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120 with the first fastening blade 142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blades 143, the first fastening blade 142 is the best. It can be firmly fastened while being inser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wing 130 located on the sid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astening wing 143.

이 경우 최상측에 위치한 회전날개부(130)가 제2체결날개(143)에 대한 제1체결날개(142)의 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 역할 및 시멘트계 충진물(30)이 굴착공(20)에 충진 및 양생되기 전까지 파일체(110)의 하중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rotary wing 130 located at the uppermost side serves as a stopper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fastening wing 142 with respect to the second fastening wing 143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fi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And temporarily serves to support the load of the pile body 110 until curing.

물론 상기 체결수단(140)의 구현방식이 상술한 바와 같은 제1실시예의 구현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방식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Of course, the implementation manner of the fastening means 140 is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manner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various method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체결수단(140)으로 인해 회전날개부(130)가 형성된 지지기둥(120)과 파일체(10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 시공할 수 있다.Due to the fastening means 140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illar 120 and the pile 100 in which the rotary wing 130 is formed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the field.

이에 따라, 파일체(100)와 지지기둥(120)을 별도로 운송할 수 있어서, 파손되기 쉬운 회전날개부(130)를 포함하는 지지기둥(120)을 거대한 부피와 무게를 갖는 파일체(100)의 분리하여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고,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되는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에 간편하게 먼저 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ile 100 and the support pillar 120 can be transported separately, the pile pillar 100 having a huge volume and weight of the support pillar 120 including the rotary wing 130 is easy to break The separation can be transported safely, the support pillar 120 that is rotationally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may be easily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first.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이 지반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인데, 지반(BG)에 형성된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지지기둥(120)을 회전 관입하여 지반(BG) 교란 없이 먼저 설치하고, 체결수단(140)을 통해 파일체(110)를 지지기둥(120)에 체결한 후, 굴착공(20)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충진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지지기둥(120)의 직경이 파일체(110)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지지기둥(120)에 회전날개부(130)가 구비되더라도 파일체(1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굴착공(20)을 형성하면 족하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formed in the ground (BG) Rotational penetration of the 120 and first installed without disturbing the ground (BG), and after fastening the pile body 110 to the support pillar 120 through the fastening means 140, cement-based fillings in the excavation hole 20 (30) ) Is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filling,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120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 even if the support wing 120 is provided with a rotary wing 130,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 It is sufficient to form the excavation hole 20 to the size corresponding to.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 100-1', 100-2')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 100-1', 100-2')은, 파일체(110', 110-1')의 형상이 상이하고, 파일체(110) 대신 현장 타설 방식으로써 파일 골재(115)가 적용된다는 점이 상이하며, 체결수단(140)이 구비되지 않는 대신 지지기둥(120', 120-1', 120-2')에 파일체(110', 110-1')나 파일 골재(115)를 안착 또는 체결할 수 있도록 지지받침부(122, 122-1, 122-2)가 구비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support piles 100 ', 100-1' and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The support piles 100 ', 100-1' and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different shapes of the pile bodies 110' and 110-1 ', instead of the pile body 110. It is different that the pile aggregate 115 is applied as a site-pouring method, and the pile body 110 ', 110 is not provided on the support pillars 120', 120-1 'and 120-2' instead of the fastening means 140. -1 ') or the support pi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support supports 122, 122-1, and 122-2 are provided to seat or fasten the pile aggregate 115. 100 and its configuration is similar.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 100-1', 100-2')의 파일체(110', 110-1')와 지지받침부(122, 122-1, 122-2)를 중심으로 설명한다.Therefore, hereinafter, the pile body 110 ', 110-1' and the support bases 122 and 122-1 of the support piles 100 ', 100-1' and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2-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파일체(110')는 체결관(141) 등이 설치되지 않은 시판되고 있는 기성 말뚝이다. As shown in FIG. 7, the pile body 110 ′ of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ercially available pile having no fastening tube 141 installed therein.

그리고 상기 지지파일(100')의 지지기둥(120')의 상단부에는 이러한 파일체(1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받침부(122)가 형성된다. 이 지지받침부(122)는 파일체(110')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지지판(122a)과 지지판(122a)에 대한 파일체(110')의 위치를 안내하는 안내판(122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upport base 12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of the support pile 100' such that the pile body 110 'can be seated. The support base 122 may include a support plate 122a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110 'and a guide plate 122b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pile body 1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late 122a. .

또한, 지지판(122a)이 파일체(11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기둥(120')에는 보강리브(141-2')가 형성되는데, 이 보강리브(141-2')는 지지기둥(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체결부(121')의 위치에 대응되는 지지기둥(120')의 외주면에 형성됨으로써 시공관과의 체결에 대한 체결부(12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inforcing rib 141-2 'is formed in the support column 120' so that the support plate 122a can firmly support the load of the pile body 110 '.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fasten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fastening portion 121' for fastening with the construction pipe.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은, 체결부(121')를 통해 지지기둥(120')을 소정의 시공관에 연결하여 굴착공(20)의 바닥면에 먼저 회전 관입하고, 이어서 시공관과 안내판(122b)을 가이드 삼아 기성 말뚝으로 이루어지는 파일체(110')를 지지판(122a)에 안착시킨 후, 시공관을 분리하고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에 충진, 양생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이루어진다.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support pillar 120' to a predetermined construction pipe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2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First, the rotary pipe is inserted, and then, the guide pipe 122b is guided by the construction pipe and the guide plate 122b, and the pile 110 'made of a ready-made pile is seated on the support plate 122a. Then, the construction pipe is separated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excavated ( 20) Construction is done by filling and cur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1')에 있어서, 파일체(110-1')와 지지받침부(122-1)의 형상이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리 단면도이다.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shape of the pile body 110-1 'and the support base 122-1 is modified in the support pile 100-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 section.

상기 파일체(110-1)는 하단부에 강관 등과 같은 체결관(141')을 포함하여 제작되고, 이 체결관(141')의 하부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지지받침부(122-1)가 지지기둥(120-1')에 구비되며, 지지받침부(122-1)의 내측에 시공관 체결을 위한 체결부(121)가 형성된다. 이 지지파일(100-1')의 시공방법은 전술된 바와 대동소이하다.The pile body 110-1 includes a fastening pipe 141 'such as a steel pipe at a lower end thereof, and has a support base 122-1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lower diameter of the fastening pipe 141'. It is provided in the support pillar (120-1 '), the fastening portion 121 for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is formed inside the support base portion (122-1).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support pile 100-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bove-mentioned.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2')에 있어서, 파일체가 현장 타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받침부(122-2)에 파일 골재(115)를 설치한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9 shows that the pile aggregate 115 is installed on the support base 122-2 in the support pile 100-2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ile body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in-site casting. Sectional drawing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이 경우,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에 충진, 양생할 때에 시공관을 지지기둥(120-2')으로부터 미리 분리 제거하고, 파일 골재(115)가 함침되게 시멘트계 충진물(30)을 충진, 양생함으로써, 파일체가 현장 타설 형태로 형성된다.In this case, when filling and curing the cement-based filler 30 in the drilling hole 20, the construction pipe is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support pillar 120-2 'in advance,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impregnated with the pile aggregate 115. By filling and curing, the pile is formed in the form of in-site casting.

이러한 시공을 위한 파일 골재(11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도넛형의 고정판(115a)에 철근 등과 같은 보강 골재(115b)가 설치된 형태로 구현된다.As shown in FIG. 10, the pile aggregate 115 for such a construction is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reinforcing aggregate 115b such as reinforcing bars is installed in a circular or donut-shaped fixing plate 115a.

그리고 상기 지지파일(100-2')에는 파일 골재(115)와 지지받침부(122-2)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결합수단(116)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수단(116)은 지지받침부(122-2)에 형성된 결합홈(116a) 및 고정판(115a)에 형성된 결합돌기(1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upport pile 100-2 ′ is provided with a coupling means 116 that serves to couple the pile aggregate 115 and the support base 122-2. To this end, the coupling means 116 includes a coupling groove 116a formed in the support base 122-2 and a coupling protrusion 116b formed in the fixing plate 115a.

상기 결합수단(116)은 파일 골재(115)가 지지받침부(122-2)에 안착됨에 따라 결합돌기(116b)가 결합홈(116a)에 삽입되어 결합홈(116a) 저면에 대하여 결합돌기(116b)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파일 골재(115)를 지지받침부(122-2)에 안정적으로 결합한다.As the coupling means 116 is pile aggregate 115 is seated on the support base 122-2, the coupling protrusion 116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16a,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116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16a. The pile aggregate 115 is stably coupled to the support base 122-2 by the 116b).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파일 골재(115)는 결합수단(116)에 의해 지지받침부(122-2)와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되었으나, 이러한 결합수단(116)이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며, 파일 골재(115)가 지지받침부(122-2)에 단순히 안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le aggregate 115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being coupled with the support portion 122-2 by the coupling means 116, this coupling means 116 is an essential component The pile aggregate 115 may be embodied in a form in which the pile aggregate 115 is simply seated on the support base 122-2.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은, 파일체(110'')와 지지기둥(120'')이 분리되지 않게 일체형으로 구비되므로, 제1실시예와 같은 별도의 체결수단(140)이 구비되지 않고 지지기둥(120'')이 파일체(110'')와 함께 제작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과 그 구성이 유사하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provided so that the pile body 110 ″ and the support pillar 120 ″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support pile 100 ″ may be separa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support pile 100 and its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fastening means 140 is not provided and the support pillar 120 '' is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pile body 110 ''. This is similar.

따라서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파일체(110'')에 직접 구비되는 지지기둥(120'')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refore,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given based on the support pillar 120 ″ provided directly on the pile body 110 ″ of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지지기둥(120'')은 파일체(110'')와 함께 제작되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10'')에 대한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체(110'') 내부로 연장된 다수의 고정부재(123)가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pillar 120 ″ is manufactured together with the pile body 110 ″, and as shown in FIG. 12, the pile body 110 ″ to improve the attachment force to the pile body 110 ″.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123 extending inwardly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지지파일(100'')도 도 13과 같이 굴착공(20)에 시공될 때에, 제1ㆍ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시공관을 지지파일(100'') 내의 공동부(111)를 통해 삽입하여 체결부(121'')를 통해 지지기둥(120'')에 체결하여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일체(110'')에 직접 토크를 가해 회전 관입하기에는 파일체(110'')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When the support pile 100 '' is also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as shown in FIG. 13, the cavity 111 in the support pile 100 ''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construction pip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t is preferable to insert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21 ″ to the support pillar 120 ″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21 ″ to rotationally insert the support pillar 120 ″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is is because the pile body 110 '' may be damaged in order to directly inject the torque into the pile body 110 ''.

그리고 상기 체결부(121'')는 지지파일(100'')의 회전 관입시에 비틀림 응력이 과도하게 인가될 수 있으므로, 그 내구성 향상을 위해 최상측에 위치한 회전날개부(130)와 보강리브(141-2'')의 사이 지지기둥(12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torsional stress may be excessively applied during rotation insertion of the support pile 100 ″, the fastening portion 121 ″ may include the rotary blade 130 and the reinforcing rib positioned at the top thereof to improve dur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 between 141-2 ″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20'')의 외경은 파일체(110'')의 공동부(111) 내경에 대응되게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기둥(120'')의 상단부가 파일체(110'')에 의해 감싸지도록 파일체(110'')의 공동부(111) 내경보다는 크고 파일체(110'')의 외경보다는 작게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120 ″ is implement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cavity 111 of the pile body 11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upper end of 120 ″ may be embodied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cavity 111 of pile 110 ″ an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pile 110 ″ so as to be wrapped by pile 110 ″.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이하, 도 14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5, 100-6)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5, 100-6)은, 파일체(110-5, 110-6)가 위의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언급한 파일체 형상과 상이하고, 제 1 실시예의 체결수단(140)이 구비되지 않는 대신 파일체(110-5, 110-6) 하부에 장착 또는 일체로 제작된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 160-1)를 통해 지지기둥(120-5, 120-6)이 현장에서 고정설치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과 유사하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support piles 100-5 and 100-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20. The support piles 100-5 and 100-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ile bodies 110-5 and 110-6 have the shape of the pile body mention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160d and 160 which are different and are not provided with the fastening means 14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mounted or integrally formed under the piles 110-5 and 110-6. -1) is similar to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support pillars 120-5 and 120-6 are fixedly installed in the field.

따라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5, 100-6)의 파일체(110-5, 110-6)와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 160-1) 및 지지기둥(120-5, 120-6)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회전날개부(130)와 보강밴드(114) 및 공동부(111) 구성은 그 기능이 제 1 실시예에 기술된 회전날개부(130)와 다른 파일체의 보강밴드나 공동부(111)의 기능과 형상이 동일 내지는 동일범위에 있는 관계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refore, the pile body (110-5, 110-6) and the connecting member (160, 160a, 160b, 160c, 160d, 160-) of the support pile (100-5, 100-6)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nd the support pillars 120-5 and 120-6,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ry blade 130, the reinforcement band 114 and the cavity 111 i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function and shape of the reinforcement band or cavity 111 of the rotary wing 130 and the other pile is the same or in the same rang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given,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5)은, 파일체(110-5)의 제작 과정에서 파일체(110-5)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판(170)을 일체로 구비토록 한 말뚝이다.As shown in FIG. 14, the support pile 100-5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pile body 110-5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ile body 110-5. It is a pile to be provided with a plate 170 integrally.

이러한 연결판(170)은, 도 14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 부위가 지지파일(100-5)의 공동부(111)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도우넛 형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14 and FIG. 18, the connecting plate 170 penetrates through the same siz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cavity 111 of the support pile 100-5 to form a donut shape as a whole.

또한, 연결판(170)은 내측 가장자리 부위와 외측 가장자리 부위에 대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홀(172a, 172b)들이 등간격 배치를 이루며 형성되고, 내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심 구간에는 파일체(110-5) 내의 골격을 이루는 강봉(174)의 일단이 고정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170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ner edge portion and the outer edge portion. One end of the steel bar 174 constituting the skeleton in 110-5) is fixed.

이러한 연결판(17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홀(172a, 172b)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와의 연결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이들 체결홀(172a, 172b)은 연결판(170) 구성의 쓰임과 관련하여 두 개의 파일체(110-5) 상호 간에 용접으로 연결하기 위한 용도 또는 후술하는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에 대하여도 용접될 수 있으므로 연결판(170) 구성에 대한 부차적인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것이다.Each of the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formed in the connection plate 170 i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acilitate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se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are used for connecting two piles 110-5 by welding with respect to the use of the connecting plate 170, or connecting members 160, 160a and 160b described later. , 160c and 160d may also be welded, and thus will serve as a secondary function for the connection plate 170 configuration.

그리고, 연결판(170)의 상면에는, 상술한 체결홀(172a, 172b) 주연으로부 상측으로 돌출한 관 형상의 슬리브(176)가 형성되고, 이 슬리브(176)의 외측 부위는 파일체(110-5)의 하측 단부로부터 그 돌출 길이 만큼의 깊이로 삽입되고, 그 내측 부위에는 상술한 체결홀(172a, 172b) 내에 암나사가 연속하여 슬리브(176)의 상측까지 연장 형성된다.In addition, a tubular sleeve 176 protruding up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above-mentioned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170,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sleeve 176 is a pile body ( It is inserted from the lower end of 110-5 by the depth of the protruding length, and the inner thread is continuously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to extend to the upper side of the sleeve 176.

더불어, 상술한 연결판(170)은, 비록 도 14에서 파일체(110-5) 상측에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를 연결하기 위한 파일체(110-5)의 하부에만 체결홀(172a, 172b)을 갖는 연결판(170)을 구비토록 함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파일체(110-5)의 상부와 하부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양측에 상술한 연결판(170)을 모두 구비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late 17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ile body 110-5 in FIG. 14, a pile body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 It is preferable to have the connecting plate 170 having the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only at the lower portion of the 110-5,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ile body 110-5 can be used without being distinguished as necessary. It may be made of having both of the connection plate 170 described above on both sides.

한편, 상술한 연결판(170) 하부에는,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mber 160, 160a, 160b, 160c, 160d is provided below the connecting plate 170.

이러한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체(110-5) 하단에 구비된 연결판(170)과 측벽에 회전날개부(130)를 구비한 지지기둥(120-5) 사이에 이들을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As shown in FIGS. 14 to 17,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may include a rotary blade part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connection plate 170 and the side wall of the pile 110-5. 130 and serves to connect them between the support columns (120-5).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의 구성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부위가 상술한 연결판(170)에 대항하는 판 형상으로 플랜지부(162)를 이루고, 이 플랜지부(162)의 저면에는 그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돌출한 관 형상을 이루며 지지기둥(120-5)의 상단 부위와 맞대응하는 단관(164)이 형성되며, 이 단관(164) 내외 양측의 각 측벽과 이들 측벽에 각각 인접하는 플랜지부(162)의 저면에는 플랜지부(162)의 저면으로부터 단관(164)을 수직하게 지지하도록 하는 복수의 보강 리브(141a, 141b)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4,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forms a flange portion 162 in a plate shape in which an upper portion thereof faces the connecting plate 170 described above.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62 is formed with a tubular shape extending protruding vertically downward and a short pipe 164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 pillar (120-5), each of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short pipe (164)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41a and 141b are formed on the sidewall and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162 adjacent to the sidewalls so as to vertically support the short pipe 164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162.

상술한 단관(164)을 사이에 두고 단관(164)의 내측과 외측에 있는 각각의 보강 리브(141a, 141b)들은,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그 측부가 접하는 위치의 단관(1644) 측벽에서 단관(164) 중심으로부터의 법선 방향으로 배열을 이룸과 동시에 그 상부가 접하는 플랜지부(162) 저면으로부터 각각 수직하게 세워진 형상을 이룬다.Each of the reinforcing ribs 141a and 141b inside and outside the end pipe 164 with the above-described end pipe 164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plate shape having a thickness, as shown in FIGS. 14 to 17. At the side wall of the end tube 1644 at the contact position, the array is arranged in a norm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end tube 164, and at the same time, the top tube 1644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162 to which the upper side is in contact.

또한, 내외측 보강 리브(141a, 141b)들의 배치에 있어서, 단관(164)을 사이에 둔 내측의 것과 외측의 것 상호 간에는 도 17의 (a) 유형과 (c) 유형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관(164) 중심에 대한 내외측 보강 리브(141a, 141b)들의 각 법선 방향이 일선상에 있도록 상호 맞대응하는 배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41a and 141b,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shell having the end pipe 164 interposed therebetween as shown in (a) and (c) of FIG. 17. 164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normal direction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41a, 141b) with respect to the center is in one line.

이렇게 내외측 보강 리브(141a, 141b)들이 상호 맞대응하는 배치유형은, 상술한 플랜지부(162)가 대체적인 형상인 도우넛 형상인 것으로 할 때, 상술한 단관(164)이 플랜지부(162)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 중 어느 일 측으로 치우져 상대측 보다 근접한 직경으로 형성될 경우에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arrangement type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41a and 141b correspond to each other is such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162 described above is a donut shape having an alternative shape, the above-described end pipe 164 is formed of the flange portion 162. It is preferable to form it when it is deviated to either side between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so as to have a diameter closer to the opposite side.

그리고, 내외측 보강 리브(141a, 141b)들의 배치에 있어서, 단관(164)을 사이에 둔 내측의 것과 외측의 것 상호 간에는 도 17의 (b) 유형과 (d) 유형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단관(164)을 사이에 두고 상호 엇갈린 배치를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And, in the arrangement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41a, 141b), the inner tube and the outer one having the end pipe 164 therebetween as shown in (b) and (d) of FIG. 164 may be placed in a mutually staggered arrangement.

이러한 경우의 적용은, 상술한 플랜지부(162)가 대체적인 형상인 도우넛 형상인 것으로 할 때, 상술한 단관(164)이 플랜지부(162)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 사이의 중심 위치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될 경우에 형성토록 함이 바람직하다.Application in such a case is that when the flange portion 162 described above is a doughnut shape having an alternative shape, the above-described short pipe 164 has a diameter equal to the center position between the inner edge and the outer edge of the flange portion 162. It is preferable to form when formed.

더불어, 상술한 내외측 보강 리브(141a, 141b)들의 하측 단부는, 접하는 단관(164)의 하측 단부보다 상측 즉, 단관(164)의 측벽 위치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above-mentioned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41a and 141b is preferably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short end pipe 164 in contact, that is, at the side wall position of the short end pipe 164.

이것은 파일체(110-5)와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 및 지지기둥(120-5)을 각각 별도로 운송하여 현장에서 결합 및 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단관(164)의 하측 단부에 대한 지지기둥(120-5)의 용접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transport the pile body (110-5), the connection member (160, 160a, 160b, 160c, 160d) and the support column (120-5) separately, so that it can be combined and installed in the field, the short pipe 164 To facilitate the welding of the support column (120-5) to the lower end of the.

사실상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판(170) 상에 형성된 체결홀(172a, 172b)을 통해 복수의 볼트(B)로 체결되는 것으로 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단관(164)의 외측으로 형성된 관통홀(168a)들을 통하여 체결홀(172a, 172b)들과 볼트(B)로 결합하는 힘이 충분한 경우에는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와 지지기둥(120-5)을 결합한 상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파일체(110-5)와 결합하여 시공토록 할 수 있다.In fact, as shown in FIG. 15,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are fastened with a plurality of bolts B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170. The coupling can be made, and the coupling member 160, if the force to b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s (172a, 172b) and the bolt (B) through the through holes (168a) formed to the outside of the end pipe 164 is sufficient. 160a, 160b, 160c, 160d) and the support pillar (120-5) by carrying in a combined state can be combined with the pile body (110-5) in the field to be constructed.

더불어 상술한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의 내주면에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체(110-5)와 연결부재(160) 및 지지기둥(120-5)을 결합한 지지파일(100-5)의 시공시에 파일체(110-5)의 공동부(110)를 통해 삽입되는 시공관과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한 형상의 체결부(166)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includes the pile body 110-5, the connection member 160, and the support pillar 120-5. Fastening part 166 protruding inwardly so that it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from the construction pipe inserted through the cavity 110 of the pile body 110-5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the support pile 100-5 combined therewith Is formed.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4실시예 구성에 따르면, 파일체(110-5)와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를 포함한 지지기둥(120-5)을 운송함에 있어서, 파손 가능성이 높은 회전날개부(130)를 포함한 지지기둥(120)과 거대한 부피와 무게를 갖는 파일체(110-5)를 각각 분리하여 안전하게 현장으로 운송토록 할 수 있고, 현장에서 이들을 나사결합 또는 용접으로 결합하여 시공관을 통해 굴착공(20)에 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ransporting the support column (120-5) including the pile body (110-5) and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160d), damaged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support pillar 120 including the highly probable rotor blade 130 and the pile 110-5 having a large volume and weight, and to transport them safely to the site, and screw or weld them in the field. By combining with the construction can b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한편, 도 19와 도 20에 도시한 지지파일(100-6)의 기술구성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이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은, 전술한 제4실시예에서 파일체(110-5)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되는 연결판(170) 구성 및 그 기능을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에 적용하여 파일체(110-6)의 하측 단부에서 일체를 이루도록 제작 연결한 것에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ile 100-6 shown in Figs. 19 and 20 is a modificati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forementioned configuration. In th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late 170 provided at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of the pile body 110-5 and its function is a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In the lower end of the) is manufactured and connected to form an integral.

따라서, 도 19와 도 20에 도시한 지지파일(100-6)은, 파일체(110-6)와 연결부재(180)를 그 제작과정에서 일체로 제작되어 운반되는 것이고, 연결부재(180)와 회전날개부(130)를 갖는 지지기둥(120-6)의 결합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기술한 바와 같거나 같은 범주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ccordingly, the support pile 100-6 shown in FIGS. 19 and 20 is configured to transport the pile body 110-6 and the connection member 180 integrall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connection member 180. And the coupling of the support pillar (120-6) having the rotary blade 130 is in the same or the same category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파일체(110-6)의 하측 단부에는 연결부재(180)의 플랜지부(182) 상면이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19 and 20, the upp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82 of the connecting member 1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pile body 110-6.

여기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판(170)에 형성된 체결홀(172a, 172b)과 실리브(176) 구성 및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상에 형성된 관통홀(168a, 168b)은, 연결판(170)에 대하여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나, 이들 연결판(170)과 연결부재(160, 160a, 160b, 160c, 160d)를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그 연결을 위한 구성은 불필요한 관계에 있다.Her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holes 172a and 172b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170 and the sills 176 are formed and formed on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The through holes 168a and 168b are configured to connect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160b, 160c, and 160d to the connecting plate 170, but the connecting plates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s 160, 160a, In the case of integrally manufacturing 160b, 160c, 160d, the configuration for the connection is unnecessary.

다만, 도 19와 도 20에 표시한 홀(h)은, 연결부재(180)에 다른 기술 구성을 부가적으로 더 연결이 필요한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형성할 수 있음을 표현한 것이다.However, the holes h shown in FIGS. 19 and 20 represent that the connection member 180 may be formed in order to additionally require another technical configuration.

그리고, 연결부재(180)의 단관(184)은, 플랜지부(182)를 기반으로 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다수의 내외측 보강 리브(181a, 181b)에 의해 견고하게 수직한 형상을 유지하게 되며, 내외측 보강 리브(181a, 181b)의 하측 단부보다 더 돌출한 단관(184)의 하측 단부에 지지기둥(120-6)을 현장에서 근접 대응하도록 위치시킨 상태로 용접하여 고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nd pip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0 maintains a vertically solid shape by a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81a and 181b that are erected vertically based on the flange portion 182, On the lower end of the short pipe 184 protruding more than the lowe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181a and 181b, the support pillars 120-6 are welded and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illars 120-6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in the field.

더불어, 연결부재(180)의 내주연에는, 시공관을 통한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체결부(186)이 더 형성된 구성을 이룬다.In add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80, a fastening portion 186 capable of fastening and detaching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is further formed.

이하, 도 4, 도 22a 내지 도 22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시공방법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을 지반(BG)에 시공하는 방법이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22A to 22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on the ground BG.

먼저,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BG)을 오거로 천공하여 지지지반(BG')까지 굴착공(20)을 형성한다(s110). 이러한 굴착공(20)은 지지지반(BG')까지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지반(BG')에는 오로지 회전 관입 방식으로 지지기둥(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지반(BG')에 근접하는 정도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22A, the drilling hole 20 is formed to the supporting ground BG ′ by drilling the ground BG with the auger (S110). The excavation hole 20 may be formed up to the support ground BG ', and the support ground BG' is close to the support ground BG 'so that the support pillar 120 may be installed in a rotational penetration manner. It may be formed only to a degree.

그리고 지지파일(100)의 지지기둥(120)에 형성된 체결부(121)와 시공관(200)의 결합홈부(210)를 체결하여, 지지기둥(120)과 시공관(200)을 현장에서 결합시킨다(s120).Then, by coupling the fastening part 121 formed in the support pillar 120 of the support pile 100 and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construction pipe 200, the support pillar 120 and the construction pipe 200 are coupled in the field. Let (s120).

다음,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에 결합된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에 삽입하여 그 바닥면에 안착시킨 후, 도 2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회전시켜 회전날개부(130)가 형성된 지지기둥(120)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다(s130).Next, as shown in Figure 22b, after inserting the support column 120 coupled to the construction pipe 200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22c, the construction pipe By rotating the 200 to rotate the support pillar 120 is formed with the rotary blade 130 is rota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s130).

이때, 시공관(200)의 위치와 수직도를 통해 지지기둥(120)의 설치 위치나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이 시공관(200)은 이후 파일체(110)가 설치될 때에 이를 안내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installation position or the angle of the support column 120 can be set accurately through the position and the verticality of the construction pipe 200, and the construction pipe 200 guides this when the pile body 110 is installed later. It also plays a role.

그리고 이렇게 지지기둥(12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키는 작업은,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일부 충진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And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illar 12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e work may be made in the state filled with the cement-based filler 30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이와 같이 회전 관입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슬라임에도 불구하고 지지기둥(1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굴착공(20)의 바닥면을 이루는 지지지반(BG')의 교란 없이 지지기둥(120)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타격을 하지 않으므로 소음과 진동이 적은 시공이 가능하다.By using the rotation penetr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pillar 120 can be stably installed in spite of the slime exis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and the support ground BG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 Can be firmly installed on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without disturbing, and can be installed with less noise and vibration because it does not strike.

이후,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가이드 삼아 파일체(110)를 굴착공(20) 내부에 삽입하고,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수단(140)을 이용하여 파일체(110)를 지지기둥(120)에 체결한다(s140).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2D, the pile pipe 110 is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us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as a guide, and the file is fastened using the fastening means 140 as shown in FIG. 22E. The body 110 is fastened to the support pillar 120 (s140).

그 후, 도 2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20) 내부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충진하고(s150), 지지기둥(120)으로부터 시공관(200)을 분리 제거함으로써(s160), 지지파일(100)의 시공을 완료한다.Then, as shown in Figure 22f, b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30 in the excavation hole 20 (s150), by separating and remov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from the support pillar 120 (s160), The construction of the pile 100 is completed.

또한, 본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를 수행한 다음, 체결수단을 통해 파일체를 지지기둥에 먼저 체결하고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1)를 수행하고, 다음으로 단계(s130) 및 단계(s150)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to perform the step (s110) to form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and then fastening the pile to the support pillar first through the fastening means and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pillar (s121)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step (s130) and step (s150) next.

본 시공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일체를 지지기둥에 먼저 체결한 다음 지지파일 전체를 회전시켜 지지기둥을 관입한다는 점에서 지지기둥만을 먼저 회전관입시킨 다음 나중에 파일체를 연결하는 본 실시예의 시공방법과 상이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supporting body is first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pillar and then the supporting pillar is rotated so as to inject the supporting pilla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nects the supporting pillar first and then connects the pile later. Is different.

도 9, 도 23 내지 도 24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2')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2')의 시공방법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파일 골재(115)를 이용하여 현장 타설 형태로 파일체를 형성하는 지지파일(100-2')을 지반(BG)에 시공하는 방법이다.9, 23 to 24F,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2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ile in the form of in-site casting using the pile aggregate 11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pile 100-2 'in the ground BG.

먼저, 도 2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BG)을 오거로 천공하여 지지지반(BG')까지 굴착공(20)을 형성한다(s210). 그리고 지지파일(100-2')의 지지기둥(120-2')에 형성된 체결부(121')와 시공관(200)의 결합홈부(210)를 체결하여, 지지기둥(120-2')과 시공관(200)을 현장에서 결합시킨다(s220).First, as shown in FIG. 24A, the drilling hole 20 is formed to the support ground BG 'by drilling the ground BG with the auger (S210). Then, the fastening portion 121 'formed on the support pillar 120-2' of the support pile 100-2 'and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construction pipe 200 are fastened to each other, and the support pillar 120-2' is supported. And the construction pipe 200 is combined at the site (s220).

다음,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에 결합된 지지기둥(120-2')을 굴착공(20)에 삽입하여 그 바닥면에 안착시킨 후, 도 2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회전시켜 회전날개부(130)가 형성된 지지기둥(120-2')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다(s230).Next, as shown in FIG. 24B, the support pillar 120-2 ′ coupled to the construction pipe 200 is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nd seated on the bottom thereof, as shown in FIG. 24C. By rotat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by rotating the support pillar (120-2 ') formed with the rotary blade 130 is rotat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s230).

이후, 도 2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골재(115)를 굴착공(20) 내부에 삽입하고, 파일 골재(115)의 고정판(115a)을 지지받침부(122-2)의 지지판(122a')에 안착시키면, 고정판(115a)의 결합돌기(116b)가 지지판(122a')의 결합홈(116a)에 삽입 체결되면서, 파일 골재(115)가 지지받침부(122-2)에 결합된다(s240).Subsequently, as shown in FIG. 24D, the pile aggregate 115 is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nd the fixing plate 115a of the pile aggregate 115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22a ′ of the support base 122-2. ),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116b of the fixing plate 115a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6a of the support plate 122a ', the pile aggregate 115 is coupled to the support base 122-2 ( s240).

그리고 도 2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지지기둥(120-2')으로부터 분리하고(s250), 시멘트계 충진물(30)을 파일 골재(115)까지 함침되도록 굴착공(20)에 완전히 충진, 양생한다(s260).And, as shown in Figure 24e, the construction pipe 200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pillar (120-2 ') (s250), the cement-based filler 30 in the excavation hole 20 to be impregnated to the pile aggregate 115 Fully filled and cured (s260).

이렇게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양생 경화되면 파일 골재(115)를 내포하는 지지받침부(122-2)의 상측 부분이 하나의 현장 타설 파일체가 되어 건축구조물이나 토목구조물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When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cured,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base 122-2 including the pile aggregate 115 becomes a site-cast pile to stably support the load of the building structure or the civil structure. .

도 12, 도 25 내지 도 26g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시공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의 시공방법은 전술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을 지반(BG)에 시공하는 방법이다.12 and 25 to 26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pile 100 ″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ground BG.

먼저,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BG)을 오거로 천공하여 지지지반(BG')에 근접하는 정도까지만 굴착공(20)을 형성한다(s310).First, as shown in FIG. 26A, the drilling hole 20 is formed only to a degree close to the supporting ground BG ′ by drilling the ground BG with an auger (S310).

그리고 지지파일(100'')의 지지기둥(120'')에 형성된 체결부(121'')와 시공관(200)의 결합홈부(210)를 체결하여, 지지기둥(120'')과 시공관(200)을 현장에서 결합시킨다(s320).Then, the fastening portion 121 '' formed on the support pillar 120 '' of the support pile 100 '' and the coupling groove 210 of the construction pipe 200 are fastened to support the pillar 120 ''. Couple the pipe 200 in the field (s320).

다음,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과 결합된 지지파일(100'')을 굴착공(20)에 삽입하여, 지지기둥(120'')의 하단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안착시킨 후, 도 2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회전시켜 회전날개부(130)가 형성된 지지기둥(120'')을 회전시킴으로써 굴착공(20)의 바닥면에 1차적으로 회전 관입시킨다(s330). 이때, 지지파일(100'')의 지지기둥(120'')은 지지지반(BG')에 교란 없이 견고하게 회전 관입된다.Next, as shown in Figure 26b, by inserting the support pile 100 '' coupled to the construction pipe 200 into the excavation hole 20,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 excavation hole 20 After seat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s shown in Figure 26c, by rotat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to rotate the support column 120 '' formed with the rotary wing 130,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Primary rotational intrusion into (s330). At this time, the support pillar 120 ″ of the support pile 100 ″ is firmly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und BG ′ without disturbing it.

이후,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파일(100'')을 회전 인발하고(s340),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일부 충진한다(s350). 이에 따라 지지기둥(120'')이 지지지반(BG')에 관입되었던 공간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충진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26D, the construction pipe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draw the support pile 100 ″ (s340),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Partial filling (s350). Accordingly,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filled in the space where the support pillar 120 ″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support ground BG ′.

이렇게 일부 충진되는 시멘트계 충진물(30)은 지지파일(100'')의 하단부를 감싸게 되는데, 추후에 완전히 충진하는 시멘트계 충진물(30)과는 차별화되는 고강도의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사용될 수도 있다.The partially filled cement-based filler 30 wraps around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e 100 ″. A high-strength cement-based filler 30 may be used that is different from the cement-based filler 30 completely filled later.

이 상태에서, 도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정방향,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시켜 지지파일(100'')을 회전 관입, 회전 인발하는 작업을 1회 이상 반복한다(s360). 이러한 작업에 의해, 지지기둥(120'')이 지지지반(BG')에 관입되었던 공간에 충진된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지지기둥(120'')의 하단부 및 회전날개부(13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되며, 지지지반(BG')으로 일부 침투하게 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26E, the pipe 200 is rotated alternately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e 100 ″, and the drawing is repeated one or more times (S360). By this operation, the cement-based filler 30 filled in the space where the support column 120 ''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und BG 'i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olumn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wing 130. It is wrapped around, and partially penetrates into the support ground (BG ').

그 다음, 도 2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파일(100'')을 지지지반(BG')에 다소 깊게 최종 회전 관입한다(s370). 이 상태로 지지기둥(120'')의 하단부 및 회전날개부(1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지지지반(BG')으로 일부 침투한 시멘트계 충진물(30)이 양생 경화되면, 지지지반(BG')에 대한 지지파일(100'')의 지지력과 부착력이 극대화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26F, the construction pipe 20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finally penetrate the support pile 100 ″ into the support ground BG ′ somewhat deeply (S370). When the cement-based filler 30 partially infiltrated into the support ground BG 'while cur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wing 130 is cured, the support ground BG' Supporting force and adhesion of the support pile (100 '') can be maximized.

그 후,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공관(200)을 지지기둥(120'')으로부터 분리한 후(s380),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에 완전히 충진, 양생한다(s390).Then, as shown in Figure 26g, after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from the support column 120 '' (s380), the cement-based filling 30 is completely filled and cured in the excavation hole 20 ( s390).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 있어서,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일부 충진한 상태로 지지기둥(120'')의 회전 관입과 회전 인발을 반복함으로써 지지지반(BG')에 대한 지지파일(100'')의 지지력과 부착력을 극대화시키는 방식은 전술된 제1ㆍ제2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에서 지지기둥(120, 120-2')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할 때에 적용될 수도 있다.In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penetration and rotational drawing of the support pillar (120 '') in the state filled with the cement-based filler 30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By repeating, the method of maximizing the holding force and the attachment force of the supporting pile 100 '' to the supporting ground BG 'is the supporting pillars 120 and 120-2' in th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may be applied when the rotary penetration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제5실시예][Fifth Embodiment]

이하,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3)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7 to 29,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upport pile 100-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3)은, 앞선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파일체(110-3)로서 보강판(112), 강선(113) 및 보강밴드(114)가 구비된 기성 PHC파일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상이하다.The support pile 100-3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inforcing plate 112, a steel wire 113, and a reinforcing band 114 as the pile body 110-3 in comparison with the previous embodiments. It is different in that a ready-made PHC pile is applied.

상기 파일체(110-3)의 보강판(112) 하면에는, 파일체(110-3)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으로 구비되는 보강플레이트(15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보강플레이트(150)는 파일체(110-3)의 보강판(112) 하면과 지지기둥(120-3)의 상단 사이에 개재되며, 파일체(110-3)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기둥(120-3)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2 of the pile body 110-3, a reinforcing plate 150 provided in a planar shape of a donut pl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is installed. That is, the reinforcement plate 150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late 112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3 of the pile body 110-3, and receives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pile body 110-3. It serves to stably deliver to the support pillar (120-3).

그리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50')는 이렇게 하중을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지지파일(100-3)의 내부 및 외부에 충진되는 시멘트계 충진물(30)에 대한 지지파일(100-3')의 부착력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도록,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10-3)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갖되, 평면 형상의 외경이 파일체(110-3)의 외경보다 크고 평면 형상의 내경이 파일체(110-3)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plate 150 'serves to stably transfer the load, and at the same time, the support pile 100-3' for the cement-based filler 30 filled in and out of the support pile 100-3. As shown in FIG. 29, the donut-shaped plate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may have a planar shape,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may be improved.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110-3 an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may be implemented.

물론, 이러한 변형실시예에 있어서, 보강플레이트(150')의 형상은 파일체(110-3)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갖되, 평면 형상의 외경이 파일체(110-3)의 외경보다 크고 평면 형상의 내경이 파일체(110-3)의 내경과 같거나 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평면 형상의 외경이 파일체(110-3)의 외경과 같거나 작고 평면 형상의 내경이 파일체(110-3)의 내경보다 작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is modifi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reinforcing plate 150 'has a planar shape of a donut plat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the out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of the pile body (110-3) The inn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is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and may be implemented to be the same as o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The inner diameter of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상기 지지기둥(120-3)은 파일체(110-3)의 내경보다 큰 내경, 파일체(110-3)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보강플레이트(15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support pillar 120-3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and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and has a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50.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그러나 상기 지지기둥(120-3)의 형상 및 크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일체(110-3)의 내경과 같은 내경을 갖는 관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However, the shape and size of the support pillar 120-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at of the pile body 110-3.

이러한 지지기둥(120-3)의 상단 외주면에는 보강플레이트(150)에 대한 지지기둥(120-3)의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는 보강리브(141-3)가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3 may be provided with a reinforcing rib 141-3 for reinforcing coupling of the support pillar 120-3 to the reinforcing plate 150.

그리고 상기 지지기둥(120-3)의 외주면에는 회전날개부(130)가 구비되는데, 이 회전날개부(130)는 지지기둥(120-3)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3) is provided with a rotary blade portion 130, the rotary blade portion 130 is installed in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3). .

이렇게 회전날개부(130)가 지지기둥(120-3)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은, 시공방법에 있어서 지지기둥(120-3)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날개부(130)가 위치한 높이까지는 신속하게 항타 관입하고, 이후에 지지기둥(120-3)을 회전시켜 회전 관입시키는 형태로 시공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rotary wing 130 is install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3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this way, in the construction method, the support pillar 120-3 is rot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To penetrate quickly to the height where the part 130 is located, and to be able to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rotating penetration by rotating the support pillar (120-3) after.

이하, 도 30 내지 도 31d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0 to 31D.

먼저,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BG)을 오거로 천공하여 지지지반(BG')까지 굴착공(20)을 형성한다(s410). 이러한 굴착공(20)은 지지지반(BG')까지 형성될 수도 있고, 지지지반(BG')에는 오로지 회전 관입 방식으로 지지기둥(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지반(BG')에 근접하는 정도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First, as illustrated in FIG. 31A, the drilling hole 20 is formed by drilling the ground BG with the auger to the supporting ground BG ′ (S410). The excavation hole 20 may be formed up to the support ground BG ', and the support ground BG' is close to the support ground BG 'so that the support pillar 120 may be installed in a rotational penetration manner. It may be formed only to a degree.

그리고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100-3)을 굴착공(20)에 삽입하여 그 바닥면에 안착시킨다(s420).As shown in FIG. 31B, the support pile 100-3 is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S420).

그 다음,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100-3)을 압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0-3)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기둥(120-3)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다(s430).Next, as shown in FIG. 31C, by using the factory presetter capable of compressing and rotating the support pile 100-3, the support pillar 120-3 is rotated by rotating the support pile 100-3. Rotational penetration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s430).

이러한 회전 관입 과정 중에, 전술한 실시예의 시공방법과 유사하게, 지지지반(BG')에 대한 지지파일(100-3)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에 일부 충진하고, 지지파일(100-3)의 회전 인발 및 회전 관입을 1회 이상 반복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During this rotation penetration process, similar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part of the excavation hole 20 so that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pile 100-3 on the support ground BG 'is improved. It may be filled, and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rotation drawing and rotation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e (100-3) one or more times.

또한, 지지기둥(120-3)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 후, 지지파일(100-3)이 지지지반(BG')에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파일(100-3)에 대한 추가적인 최종 경타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upport pillar 120-3 is rota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e support pile 100-3 can be installed on the support ground BG 'more stably, the support pile ( Additional final hits may be made on 100-3).

그 후, 도 31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20)의 내부와 지지파일(100-3)의 내부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충진함으로써, 시공을 마무리 한다(s440).Thereafter, as shown in FIG. 31D,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filled in the excavation hole 20 and the support pile 100-3 to finish the construction (S440).

[제6실시예][Sixth Embodiment]

이하, 도 32 내지 도 3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4)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32 to 34,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support pile 100-4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4)은, 파일체(110-3)로서 보강판(112), 강선(113) 및 보강밴드(114)가 구비된 기성 PHC 파일이 적용된다는 점에서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3)과 유사하지만, 체결돌기(117) 및 보강플레이트(150'')의 구성은 차별화된다.The support pile 100-4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ready-made PHC pile provided with the reinforcing plate 112, the steel wire 113, and the reinforcing band 114 as the pile body 110-3. Although similar to the support pile 100-3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and the reinforcing plate 150 ″ is differentiat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117)는 파일체(110-3)의 상단부에 구비된 보강밴드(11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지지파일(100-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시공장치가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구비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3A,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nd 114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e body 110-3 to rotate the support pile 100-4. The construction device that can be made is provided to be fastened or detached.

즉, 지지파일(100-4)을 회전시킬 때에는 시공장치가 체결돌기(117)에 체결되고, 지지파일(100-4)의 회전이 완료되면 시공장치가 체결돌기(117)로부터 분리된다.That is, when the support pile 100-4 is rotated, the construction apparatus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and when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ile 100-4 is completed, the construction apparatus is separated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한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4'')은, 도 3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100-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시공장치에 체결될 수 있게 구비된 체결돌기(117')가 파일체(110-3)의 상단부에 구비된 보강판(112)의 상면에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ile 100-4 ''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3b, is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construction device that can rotate the support pile 100-4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2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le body 110-3.

이렇게 체결돌기(117')가 보강판(112)의 상면에 설치될 경우, 보강밴드(114)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접촉 고정될 수 있는 면적이 넓고, 보강밴드(114)보다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더 높은 보강판(112)에 고정되므로, 지지파일(100-4'')의 내구성 및 시공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117 ′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2, the area that can be fixed in contact is wider than that of the reinforcing band 114, and is more durable than the reinforcing band 114. Since it is fixed to the higher reinforcement plate 112,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durability and construction stability of the support pile (100-4 '').

상기 보강플레이트(150'')는, 파일체(110-3)의 하면에 대응되는 도넛형 플레이트의 평면 형상을 갖고, 그 평면 형상의 외경이 파일체(110-3)의 외경보다 큰 형태로 구비되며, 파일체(110-3)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지지기둥(120-4)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된다.The reinforcing plate 150 ″ has a planar shape of a donut plat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and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planar shap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pile body 110-3. It is provided,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illar (120-4)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ile (110-3).

이 같은 보강 플레이트(150'')는 파일체(110-3)의 외주면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지지파일(100-4)과 시멘트계 충진물(30) 간의 부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einforcement plate 150 ″ is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more tha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adhesion between the support pile 100-4 and the cement-based filler 30. .

이러한 보강플레이트(150'')의 하면에는 지지기둥(120-4)과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강리브(141-4)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플레이트(150'')는 그 상면이 파일체(110-3)의 보강판(112) 하면에 밀착 구비됨으로써, 보강판(112)의 상면에도 보강리브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 reinforcing rib 141-4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50 ″ to improve the bonding strength with the support pillar 120-4. In addition,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50 ''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2 of the pile body 110-3, the same effect as that of the reinforcing rib is also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plate 112. have.

다시 말해, 상기 보강플레이트(150'')가 파일체(110-3)의 하면에 밀착되도록 지지기둥(120-4)의 상단 측면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보강리브(141-4)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로도 파일체(110-3)와 지지기둥(120-4)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inforcing plate 150 ″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illar 120-4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body 110-3, such that the reinforcing rib 141-4 is not installed. Even in the state,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pile body 110-3 and the support pillar 120-4.

도 34 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4')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4')에 있어서, 보강플레이트(150'')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회전날개부(130)가 지지기둥(120-4)의 하단부에도 구비되어, 시공시에 항타 관입하지 않고 바로 회전 관입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3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support pile 100-4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upport pile 100-4 ′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150 ″ may not be provided, and the rotary blade 130 has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 120-4. Is also provided, it may be implemented to be able to directly inject rotation without driving intrusion during construction.

이하, 도 35 내지 도 36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5 to 36E.

먼저,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BG)을 오거로 천공하여 지지지반(BG')까지 굴착공(20)을 형성한다(s510).First, as shown in FIG. 36A, the drilling hole 20 is formed to the support ground BG 'by drilling the ground BG with the auger (S510).

그리고 도 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100-4)을 굴착공(20)에 삽입하여 그 바닥면에 안착시킨다(s520).36B, the support pile 100-4 is inserted into the excavation hole 20 and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S520).

그 다음, 도 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100-4)의 상단 체결돌기(117)에 시공장치를 체결하고, 이러한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지지파일(100-4)을 회전시킴으로써, 지지기둥(120-4)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다(s540).Then, as shown in Figure 36c, by fastening the factory factory to the upper fastening projection 117 of the support pile (100-4), by using the factory factory by rotating the support pile (100-4), the support The column 120-4 is rotated and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s540).

이러한 회전 관입 과정 중에, 전술한 실시예의 시공방법과 유사하게, 지지지반(BG')에 대한 지지파일(100-4)의 지지력이 향상되도록, 시멘트계 충진물(30)을 굴착공(20)에 일부 충진하고, 지지파일(100-4)의 회전 인발 및 회전 관입을 1회 이상 반복하는 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During this rotation penetration process, similar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ement-based filler 30 is part of the excavation hole 20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 pile 100-4 on the support ground BG 'is improved. It may be filled and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rotation drawing and rotation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e (100-4) one or more times.

다음, 도 3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기둥(120-4)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시킨 후, 지지파일(100-4)이 지지지반(BG')에 더욱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파일(100-4)의 상단에 충격을 인가하여 추가적인 최종 경타 작업을 진행한다(s550).Next, as shown in FIG. 36D, after rotationally penetrating the support pillar 120-4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20, the support pile 100-4 is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ground BG ′. In order to be installed,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e (100-4) proceeds to the final final strike (s550).

이러한 최종 경타 작업은 시공 대상의 지반 조건이나 현장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s final beating may be selectively performed depending on the ground conditions or site conditions of the construction object.

그 후, 도 3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공(20)의 내부와 지지파일(100-4)의 내부에 시멘트계 충진물(30)을 충진함으로써, 시공을 마무리 한다(s560).Then, as shown in Figure 36e, b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30 in the interior of the excavation hole 20 and the support pile (100-4), the construction is finished (s560).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예 및 제6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3, 100-4)을 항타 관입 및 회전 관입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 100')의 지지기둥(120, 120')에도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upport piles (100-3, 100-4) by the driving piercing and rotational penetration according to the fifth and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can be applied to the support pillars 120 and 120 'of the support piles 100 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파일(100, 100')에 있어서, 회전날개부(130)가 지지기둥(120, 120')의 하단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곳에 설치된 경우에는, 지지기둥(120, 120')에 체결된 시공관(200)을 항타함으로써, 지지기둥(120, 120')을 굴착공(20)의 바닥면에 회전날개부(130)가 위치한 높이까지 항타 관입하고, 그 이후에 시공관(200)을 회전시켜 지지기둥(120, 120')을 회전 관입하는 형태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다.Specifically, in the support piles 100 and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blade 130 is predetermin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illars 120 and 120'. When installed at a spaced apart height, by driv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fastened to the support pillars (120, 120 '), the support pillars (120, 120')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20 rotating blades Drive intrusion up to the height 130 is located, and after that to rotate the installation pipe (120, 120 ') by rotating the construction pipe 200,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may be implemen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지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지지기둥에 스크류 형상의 회전날개부가 구비됨으로써 지반에 대한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굴착공의 바닥면에 슬라임이 존재하더라도 지지기둥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지반이 교란되지 않게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회전 관입시킬 수 있고,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회전날개부가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구비되더라도 지지기둥의 직경이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굴착공을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고 이에 따라 굴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시공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기둥과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될 경우, 작고 가벼운 지지기둥을 회전 관입하여 굴착공의 바닥면에 먼저 설치한 후 파일체를 지지기둥을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지파일의 운반 및 그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upport pil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crew-shaped rotating blade portion in the support pil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and at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Even if slime exists, the support pillar can be firmly rota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o that the ground is not disturbed by rotating the support pillar, and the support pillar is provided even if the rotor blade for performing this role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Since the diameter of the pil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it is not necessary to form a large drilling hole,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excavation,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 and time, and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column and the pile body. If further means are provided, the small and light support pillars may be rotated inward so that they After installation, the support pile can be transported and installed in such a manner as to fasten the support pillar to the pile body.

또한, 본 발명의 지지파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굴착공을 형성한 다음에 지지파일을 시공하는 방법 외에 개량공법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of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upport pile after forming the excavation hole as described above.

개량공법은 연약지반을 강화하기 위한 공법으로서 지반에 직경이 구멍을 뚫고 오거 등을 통해 지반토를 교반개량시키면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시켜 지반토와 시멘트 밀크가 고르게 혼합되는 지반 개량체를 형성하고 이 지반개량체가 양생되어 지중에 기둥형상의 고결체를 형성함으로써 연약지반을 강화하는 것이다.The improvement method is a method for reinforcing the soft ground. The cement is infused with cement milk while the soil is drilled through a diameter and stirred to improve the soil through auger, etc. to form a ground improvement body where the soil and cement milk are evenly mixed. The improved body is cured to form pillar-shaped solidified bodies in the ground to strengthen the soft ground.

지반의 특성상 고결체만으로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지반개량체의 내부로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삽입하여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If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only by the solidified bod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ground improver to reinforce the strength.

도 37 은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8 은 도 37 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7 is a flowchart of a first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38 is a diagram showing specific contents of FIG. 37.

개량공법의 제1실시예에서는 먼저, 도 38a 에서와 같이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구멍을 관통하면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함으로서 지반토와 시멘트 밀크가 혼합된 상태인 지반개량체(300)를 형성하는 단계(s610)를 수행하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as shown in FIG. 38A, first, the ground reformer 300 is formed by mixing cement soil with cement milk while penetrating a hole through the auger in the soft ground. S610 is performed.

다음으로, 도 38b 에서와 같이 단계(s610)를 통해 형성된 지반개량체(300)에 지지파일을 원래 배치하고자 하는 깊이까지 삽입하는 단계(s620)를 수행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38B, a step (s620) of inserting the support file into the ground improver 300 formed through the step s610 to the depth to be originally arranged is performed.

지지파일은 자중에 의해 액상상태인 지반개량체(300)의 하부로 가라앉게 되며, 이때 지지기둥(120)의 외측에 형성된 회전날개부(130)는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파일은 회전하면서 천천히 지반개량체로 하강하게 된다.The support pile sink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ground reformer 300 in a liquid state by its own weight. At this time, since the rotary wing 130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upport pillar 120 is inclined, the support pile rotates slowly while the ground It will descend to the improved body.

이와 같이 지지파일이 천천히 회전하면서 하강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개량공법에서와 같이 지반개량체(300)가 과다하게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방지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As the support pile is slowly rotated and lowered as described above, the ground reformer 300 is prevented from excessively leaking out to the outside as in the conventional improvement method.

또한, 지지파일이 하강하면서 회전날개부(130)의 날개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지반개량체는 지반개량체의 측면의 지반으로 가압되어 흡수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while the support pile is lowered, the ground reformer pressed downward by the blades of the rotary blade unit 130 is pressed and absorbed into the ground of the side of the ground reformer.

그런 다음, 도 38c 에서와 같이 지지파일을 매달은 상태에서 지반개량체(300)를 양생시키는 단계(s640)를 수행하면 된다.Then, as shown in FIG. 38C, the step of curing the ground reformer 300 in the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file is suspended may be performed (S64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경우 지반개량체의 내부로 지지파일이 삽입되어 지반개량체 부분의 강도가 개선된다.In this way, whe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improved method, the support pile is inserted into the ground improver, there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ground reformer portion.

뿐만 아니라, 지지파일의 삽입시 회전날개부(130)에 의해 지반개량체 측면의 지반으로 지반개량체가 흡수되므로 지반개량체가 양생되면 지반개량체 측면의 지반도 견고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ground reformer is absorbed into the ground of the side of the ground reformer by the rotary blade 130 when the support pile is inserted, the ground of the ground reformer becomes solid when the ground reformer is cured.

따라서, 지반개량체의 내부 및 외부에서 충분한 강도를 가지게 되므로 연약지반이 충분히 지지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soil has sufficient strength inside and outside the ground improver, the soft ground is fully supported.

도 39 는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40 은 도 39 의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39 is a flowchart of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40 is a diagram showing specific contents of FIG. 39.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다른 방법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improvement method in other ways.

개량공법의 제2실시예에서는 먼저, 도 40a 에서와 같이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구멍을 관통하면서 시멘트 밀크를 주입하여 지반개량체(300)를 형성하는 단계(s710)를 수행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first, as shown in FIG. 40a, cement milk is injected while penetrating a hole through the auger to form the ground improver 300 (s710).

그런 다음, 도 40b 의 도시와 같이 지지파일을 지반개량체에 자중에 의해 회전관입하여 지반개량체 바닥면 근방까지 삽입하는 단계(s720)를 수행한다. Then, as shown in FIG. 40B, the support pile is rotated by the ground weight into the ground reformer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near the bottom of the ground reformer (S720).

개량공법의 제1실시예 경우 단계(s620)에서 지지파일을 원래 배치하고자 하는 깊이까지 바로 삽입하였으나, 개량공법의 제2실시예의 단계(s720)에서는 지지파일을 원래 배치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삽입하지 않고 지반개량체의 바닥면 근방까지만 삽입한다는 점이 상이하다.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the support file is directly inserted to the depth to which the support file is originally arranged in step s620. However, in the step s720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proved process, the support file is not inserted to the original location to be arranged. The difference is that only the bottom of the ground reformer is inserted.

개량공법의 제1실시예의 단계(s620)에서와 같이 지반개량체가 외부로 과도하게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작용 및 지반개량체 측면의 지반으로 지반개량체가 가압되어 흡수되는 작용은 단계(s720)에서도 동일하다.As in the step (s620)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the action of preventing the soil from being excessively outflowed to the outside and the action of the soil being absorbed by the soil to the ground of the side of the surface of the ground reformer are the same in step S720. Do.

다음으로는 도 40c 에서와 같이 지지파일을 역회전시키면서 가압하여 지반개량체(300)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730)를 수행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40c, the support pile is pressed while being rotated in reverse to insert the inside of the ground improver 300 (S730).

단계(s730)에서는 지지파일을 역회전시키면서 하방으로 가압하므로 지지파일의 회전날개부(130)의 하면에 있는 지반개량체가 하방으로 가압되는데, 지지파일이 지반개량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가압되는 지반개량체는 지반개량체의 측면의 지반뿐만 아니라 지반개량체의 하부의 지반으로도 가압되어 흡수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step s730, since the support pile is pressed downward while the support pile is rotated downward, the ground improv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blade 130 of the support pile is pressed downward, since the support pile is located under the ground improver. The pressurized ground reformer acts to be pressed and absorbed into the ground of the lower side of the ground reformer as well as the ground of the side of the ground reformer.

마지막으로, 도 40d 에서와 같이 지지파일을 매달은 상태에서 지반개량체를 양생시키는 단계(s740)를 수행하게 된다.Finally, the step of curing the ground reformer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ing file is suspended as shown in FIG. 40D (s740).

개량공법의 제2실시예에서는 개량공법의 제1실시예의 작용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동시에, 지반개량체의 하면에 존재하는 지반도 견고하게 되는 작용을 더 포함하게 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includes all the effect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and further includes the action of solidifying the ground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ground improver.

따라서, 개량공법의 제2실시예에서는 지반개량체의 내부 및 외부뿐만 아니라 지반개량체의 저면부도 견고하게 되어 연약지반이 더욱 견고하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Therefor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improved method, not only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ground reformer but also the bottom portion of the ground reformer are firm, so that the soft ground becomes more firm.

본 발명의 지지파일을 개량공법에 사용하는 경우 지반을 굴착하기 않으므로 지반이완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기본적으로 슬라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종래기술에서 언급된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When the support pi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the improved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ground is not excavated, ground relaxation does not occur, and in particular, the slime does not occur basically. .

본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지지파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파일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파일의 제2 내지 제6실시예의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개량공법에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support file applied to the present improvement method, the present embodiment is illustrated only for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upport fi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lso in the case of the second to sixth embodiments of the support pile, it is possible to apply to the improvement method in the same manner.

또한, 개량공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4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파일에서 회전날개부를 원판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the improved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rotary blade portion in the form of a disc in the support pile as shown in FIG.

즉, 지지기둥(120)의 외주면에 높이방향의 상하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회전날개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회전날개부(130')는 환형 원판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전체가 360° 로 하나의 환형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360°를 분할한 복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one or a plurality of rotary wings 130 ′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ry blade 130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nular disk, which may be formed in one annular disk shape at 360 ° or in a plurality of disk shapes divided by 360 °.

회전날개부(130')가 복수의 원판형상의 경우에도 개량공법에 적용되는 경우에 작용효과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In the case where the rotary blade 130 'is applied to the improved method even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disc shapes, the effec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Is a matter of cours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100', 100-1', 100-2', 100'', 100-3, 100-3' 100-4, 100-4', 100-4'', 100-5, 100-6 : 지지파일
110, 110', 110-1', 110'', 110-3, 110-5, 110-6 : 파일체
111 : 공동부 112 : 보강판
113 : 강선 114 : 보강밴드
115 : 파일 골재 115a : 고정판
115b : 보강 골재 116 : 결합수단
116a : 결합홈 116b : 결합돌기
117, 117' : 체결돌기
120, 120', 120-1', 120-2', 120'', 120-3, 120-4, 120-4', 120-5, 120-6 : 지지기둥
121, 121', 121-1', 121'', 166, 186 : 체결부
122, 122-1, 122-2 : 지지받침부 122a, 122a' : 지지판
122b, 122b' : 안내판 123, 141-1, 141-1' : 고정부재
130 : 회전날개부 140 : 체결수단
141, 141' : 체결관
141-2, 141-2', 141-2'', 141-3, 141-3', 141-4, 141a, 141b, 181a, 181b : 보강리브
142 : 제1체결날개 143 : 제2체결날개
150, 150', 150'' : 보강플레이트 160 : 연결부재
170 : 연결판 174 : 강봉
168a, 168b : 관통홀 200 : 시공관
210 : 결합홈부 20 : 굴착공
30 : 시멘트계 충진물 BG : 지반
BG' : 지지지반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0, 100 ', 100-1', 100-2 ', 100'', 100-3, 100-3' 100-4, 100-4 ', 100-4'', 100-5, 100-6: Support pile
110, 110 ', 110-1', 110 '', 110-3, 110-5, 110-6: File
111: cavity 112: reinforcement plate
113: steel wire 114: reinforcement band
115: pile aggregate 115a: fixed plate
115b: reinforcing aggregate 116: coupling means
116a: coupling groove 116b: coupling protrusion
117, 117 ': fastening protrusion
120, 120 ', 120-1', 120-2 ', 120'', 120-3, 120-4, 120-4', 120-5, 120-6: Support pillar
121, 121 ', 121-1', 121 '', 166, 186: Fastening part
122, 122-1, 122-2: support base 122a, 122a ': support plate
122b, 122b ': guide plate 123, 141-1, 141-1': fixing member
130: rotary blade 140: fastening means
141, 141 ': fastening pipe
141-2, 141-2 ', 141-2'', 141-3, 141-3', 141-4, 141a, 141b, 181a, 181b: Reinforcement rib
142: first fastening wing 143: second fastening wing
150, 150 ', 150'': Reinforcement plate 160: Connection member
170: connecting plate 174: steel bar
168a, 168b: Through hole 200: Construction pipe
210: coupling groove 20: digging hole
30 cement filling BG: ground
BG ': Supporting ground

Claims (30)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에 형성된 굴착공에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소정의 직경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시공 시에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파일체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에 상기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지지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 및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체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이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와 각각 맞물리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날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As a support pile to b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secure the support stability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 pil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e bod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during construction; And
It is provided with a screw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the whole or part of the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in plan during construction Rotating blade portion is located; And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pillar and the pil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ile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The fastening means,
A fastening tu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wing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tube; And
At least one second fastening wing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so that the fastening tube rotat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while the support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tube. ;
Support file,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에 형성된 굴착공에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된 소정의 직경의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시공 시에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파일체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과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회전날개부; 및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와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사이에서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파일체를 체결 또는 분리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파일체의 하단부에 상기 파일체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지지기둥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비되는 체결관;
상기 체결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체결날개; 및
최상측에 위치한 상기 회전날개부의 상면을 따라 상기 제1체결날개의 두께에 대응되는 너비만큼 이격되게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부 외주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2체결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기둥이 상기 체결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체결관이 상기 지지기둥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체결날개가 상기 제2체결날개와 상기 회전날개부의 사이로 삽입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As a support pile to be installed in the excavation hole formed in the ground to secure the support stability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 pile provided in a tubular shap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having a cavity formed therein;
A support column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in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le body so as to secure a wide sp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during construction; And
It is provided with a screw shap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the whole or part of the area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le body when viewed in plan during construction Rotating blade portion is located; And
It includes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or separating the support pillar and the pile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ile and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The fastening means,
A fastening tu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ile body an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illar;
At least one first fastening wing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tube; And
And one or more second fastening blade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to be spaced apart by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fastening blad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wing portion located on the uppermost side.
The support f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blade is inserted and fasten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blade and the rotary blade portion as the fastening pipe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illar while the support pillar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ipe. .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건축구조물 또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반에 시공되는 지지파일에 있어서,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파일체;
상기 파일체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날개부; 및
상기 파일체 하단과 상기 지지기둥 상단에 결합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파일체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연결판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결판에 대향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으로 하단부는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면과 맞대면하는 단관;
상기 단관 내외측의 각 측벽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를 이루는 복수 개수의 판 형상으로 상기 단관의 내외측 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는 내외측 보강 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은 판 형상으로 접하는 상기 단관의 측벽으로부터 각각 법선 방향으로 세워진 형상으로 배열을 이루고,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 중 상기 내측 보강 리브들은 상기 단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 보강 리브들의 배치 사이에 있도록 엇갈리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In the support pile which is constructed on the groun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when building or civil construction,
Pile body provided in a columnar shape;
A support column provided below the pile body;
At least one wing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And
A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pile body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pillar;
And,
The pile is configured to have a connecting plate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lange portion facing the connecting plate;
A short pipe facing the top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in a tubular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formed in a vert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djacent to the inner and outer side walls of the end pipe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late to form a uniform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each side wall of the single pipe. Is done by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are arranged in a shape erected in a normal direction from the side wall of the short pipe contacting in a plate shape, wherein the inner reinforcing ribs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ar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ipes and the outer reinforcing ribs are disposed.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staggered so as to be in betwe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단관의 하단부는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The method of claim 11,
The lower end of the end pip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made to protrude further than the lower end of the inner and outer reinforcement ribs.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보강 리브들 각 사이에 있는 상기 플랜지부에 관통홀을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 연결판은 상기 관통홀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홀을 형성한 것으로 하며,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부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홀과 나사 결합하는 볼트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15. The method of claim 14,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flange por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reinforcing ribs,
The connecting plate is to form a fastening hole formed with a female threa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hrough holes,
And a bolt through the through hole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and screwed to the fastening hole.
청구항 15 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홀의 상측 주연으로부터 연장 돌출하여 상기 파일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 형상을 이루고, 내벽에 상기 체결홀에서 연속 연장된 암나사가 형성된 슬리브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late extends from the upper periphery of the fastening hole to form a tubular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pile body, the inner wall further comprises a sleeve formed with a female thread extending continuously from the fastening hole file.
청구항 11 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파일체의 하단면에 접하는 판 형상의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돌출한 관 형상으로 상기 지지기둥의 상단면과 일대일 맞대면하는 단관과;
상기 단관 내외측의 각 측벽 둘레를 따라 등간격 배치를 이루는 복수 개수의 판 형상으로 상기 단관의 내외측 측벽과 이에 인접하는 상기 플랜지부의 저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세워진 형상을 이루는 내외측 보강 리브;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lang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pile body;
A short pipe facing one-to-one with an upp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in a tubular shap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lange portion;
Inner and outer reinforcement ribs having a shape of a plurality of plate to form a uniform interval along the periphery of each side wall of the short pipe in a vert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inner and outer side walls of the short pip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adjacent thereto;
Support fi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건축구조물 도는 토목구조물 건조 시에 지지안정성확보를 위해 지반의 내부의 굴착공에 시공되는 지지파일로서,
중앙에 원형이 형성된 도넛형상의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받침부;
시공 시에 굴착공 내주면과의 사이 공간이 넓게 확보되도록 상기 지지판보다 작은 직경의 관 또는 기둥 형상을 가지며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지지판의 중앙 원형에 설치되는 지지기둥;
상기 지지판에 안착되며 원형 또는 도넛형상을 가지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방향철근 및 상기 종방향철근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횡방향철근으로 이루어지는 보강골재로 이루어지는 보강골재로 이루어지는 파일골재와, 상기 파일골재가 함침되도록 굴착공에 충진되는 시멘트계 충진물이 양생되어 형성되는 파일체;
상기 지반에 대한 상기 지지기둥의 부착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에 스크류 형상으로 구비되어 시공 시 평면에서 바라볼 때에 상기 지지받침부의 외주면과 상기 지지기둥의 외주면 사이 영역에 전체 또는 일부가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골재는 상기 지지받침부에 대해 결합수단에 의해 겹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 및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고정판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결합홈에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둥은, 상기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 관입 시공하기 위한 시공관에 체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 또는 홈 형상의 체결부가 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
As a support pile which is constructed in the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upport when building 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 support base comprising a donut-shaped support plate having a circular shape in the center thereof;
A support column having a tube or column shap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support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and installed in a central circle of the support plate so that a space between the excavation hol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widely secured during construction;
A pile aggregate made of a reinforcing aggregate composed of a reinforcing aggregate seated on the support plate and having a circular or donut shape, a longitudinal reinforcement extending upward of the fixing plate, and a transverse reinforcement transversely surrounding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A pile formed by curing cement-based fillers filled in an excavation hole so that the pile aggregate is impregnated;
It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crew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to improve the adhesion of the support pillar to the ground, when the whole or part is located in the area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bas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pillar when viewed in plan Includes one or more rotary blades,
The pile aggregate is installed to be overlapped by the coupling mean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base,
The coupling means is formed of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provided in any one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ing plate and one or more coupling protrusions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fixing plate to engage the one or more coupling grooves,
The support pillar is a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or groove-shaped fastening portion is formed in the upper end to be fastened or separated in the construction pipe for rotating penetration installation of the support colum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0);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저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상기 파일체를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하는 단계(s1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Claim 1 or 2,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1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through a construction pipe (s130);
Fastening the pile to the support pillar through a fastening means (s14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16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파일체가 형성된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1);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굴착공의 저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of Claim 1 or 2,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a construction pipe to a support column on which the pile body is formed (s121);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hole through a construction pipe (s13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160).
청구항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1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1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130);
상기 파일체를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에 체결하는 단계(s1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150); 및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1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1, 14-17,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1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1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130);
Fastening the pile to the support pillar through a connecting means (s140);
Filling a cement-based filler in an excavation hole (s150); And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s160).
청구항 18 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2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2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230);
파일골재를 지지받침부에 체결하는 단계(s240);
상기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25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pile according to claim 18,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2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2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230);
Fastening the pile aggregate to the support base (s240);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250);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ing material in the excavation hole (s260).
청구항 1, 2,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310);
상기 지지기둥에 시공관을 체결하는 단계(s32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기둥을 회전시켜 상기 지지기둥의 회전날개부를 굴착공의 바닥면에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330);
상기 시공관을 통해 상기 지지파일을 역회전시켜 인발하는 단계(s3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일부 충진하는 단계(s350);
상기 단계(340) 및 단계(s350)을 1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s36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최종 회전관입하는 단계(s370);
상기 시공관을 분리하는 단계(s38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완전히 충진하는 단계(s3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 2, 11, 14-17,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310);
Fastening the construction pipe to the support column (s320);
Rotating the support pillar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to rotate the rotary blades of the support pilla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xcavation hole (s330);
Drawing and rotating the support pile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construction pipe (s340);
Partiall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s350);
Repeating the steps 340 and s350 one or more times (s360);
Final rotational penetration of the support p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370);
Separating the construction pipe (s380);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s350) of completely filling the cement-based filling in the excavation hole.
청구항 1, 2,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41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단계(s420);
지지파일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430); 및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4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 2, 11, 14-17,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410);
Inserting the support f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420);
Rotating the support pile (s430);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s440)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청구항 1, 2,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지반에 굴착공을 형성하는 단계(s510);
지지파일을 굴착공에 삽입하는 단계(s520);
지지파일을 회전관입시키는 단계(s530);
지지파일을 최종경타하는 단계(s540);
굴착공에 시멘트계 충진물을 충진하는 단계(s5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 2, 11, 14-17,
Forming an excavation hole in the ground (s510);
Inserting the support file into the excavation hole (s520);
Rotating the support pile (s530);
Finally hitting the support file (s540);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s560) of filling the cement-based filler in the excavation hole.
청구항 1, 2,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주입 및 교반하여 지반량체를 형성하는 단계(s610);
지지파일을 지반개량체에 자중에 의해 회전관입하여 지반개량체 내부의 배치시키고자 하는 위치까지 삽입하는 단계(s620);
지지파일을 양생시키는 단계(s6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 2, 11, 14-17,
Injecting and stirring cement milk through the auger on the soft ground to form a ground mass (s61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by rotational weight by its own weight and inserting the support pile to a position to be placed in the ground improver (s620);
A method of constructing a support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uring the support file (s630).
청구항 1, 2, 11, 14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지지파일의 시공방법으로서,
연약지반에 오거를 통해 시멘트 밀크를 주입 및 교반하여 지반개량체를 형성하는 단계(s710);
지지파일을 지반개량체에 자중에 의해 회전관입하여 지반개량체 바닥면 근방까지 삽입하는 단계(s720);
지지파일을 역회전시키면서 가압하여 지반개량체의 내부로 삽입하는 단계(s730); 및
지반개량체를 양생시키는 단계(s7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파일의 시공방법.
As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in any one of Claims 1, 2, 11, 14-17,
Injecting and stirring cement milk through auger on the soft ground to form a ground improver (s71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by self-rotation by inserting it into the ground near the bottom of the ground reformer (s720);
Inserting the support pile into the ground improver while rotating the support pile (s730);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upport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curing the ground improver (s730).
KR1020120128174A 2011-11-21 2012-11-13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34823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21659 2011-11-21
KR1020110121659 2011-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176A KR20130056176A (en) 2013-05-29
KR101348237B1 true KR101348237B1 (en) 2014-01-08

Family

ID=4866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74A KR101348237B1 (en) 2011-11-21 2012-11-13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823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480B1 (en) * 2015-05-14 2016-12-08 주식회사 정호 Support pile with reinforcing structure of lower part
KR101681583B1 (en) * 2015-05-14 2016-12-01 주식회사 정호 Complex pile for ground reinforcement
KR101681582B1 (en) * 2015-05-14 2016-12-01 주식회사 정호 Pile member with ground-pressing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577A (en) * 2008-12-26 2010-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 pipe pile
KR20110044720A (en) * 2009-10-23 2011-04-29 이상진 Combined pi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6577A (en) * 2008-12-26 2010-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Steel pipe pile
KR20110044720A (en) * 2009-10-23 2011-04-29 이상진 Combined pile having a different dia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176A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73671B2 (en) Structural foundation
JP5416622B2 (en) Pile head tension anchoring method
WO2006030893A1 (en) Foundation structure of tower
KR101348237B1 (en) Supporting pi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160025260A (en) Complex pile with improved end bearing capacity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6263873B2 (en) Pile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084829B1 (en) Top-down method using precast-concrete colum
JP5976373B2 (en) Pile foundation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KR101613039B1 (en)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soil cement pile
JP5456627B2 (en)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of connection between pile and steel column
JP6430271B2 (en) Footing-integrated foundation pi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oting-integrated foundation pile
KR101424736B1 (en) Pile molding apparatus
KR101331219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micro pile using reinforcing end bearing capacity
KR20120102480A (en) Phc pile with improved end bearing capacity and piling method of phc pile using the same
JP6542036B2 (en) Pile foundation structure
KR101488971B1 (en) Supporting pile with double steel pi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5457276B2 (en) Underground pillar construction
JP6924683B2 (en) Pile head seismic isolatio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973235B1 (en) Elevator pit structure
JP2005282043A (en) Earth retaining wall reinforcing method
JP7102062B2 (en) Building joint structure
KR101488970B1 (en) Supporting pile with reinforcing blad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121804B1 (en) Weldless PHC file connection structure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JP3203689U (en) Architectural pile
KR100727598B1 (en) Screw type anchor rod having extend r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