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437B1 -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437B1
KR101347437B1 KR1020120103393A KR20120103393A KR101347437B1 KR 101347437 B1 KR101347437 B1 KR 101347437B1 KR 1020120103393 A KR1020120103393 A KR 1020120103393A KR 20120103393 A KR20120103393 A KR 20120103393A KR 101347437 B1 KR101347437 B1 KR 101347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oad
renewable energy
energy sourc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디파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디파워닉스 filed Critical (주)에스엔디파워닉스
Priority to KR1020120103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3Load forecast, e.g. methods or systems for forecasting future load dema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007Arrangement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load or loads to one or several among a plurality of power lines or power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은,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부하 용량 산출부;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부하 용량 비교부; 및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상기 축전지 또는 상기 계통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부하 용량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 전력을 연계하거나 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전력 제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통의 피크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계통 전력을 평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신재생 에너지원 및 축전지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 및 계통으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 가능하여, 모자라는 전력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원에 대해 초기 투자를 적은 규모로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Power Control System with Load Follow Driving Function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전력 제어 시스템(HYBRID Power Control System, Hybrid PCS)은, 태양광 에너지 등의 신재생 에너지를 계통으로 연계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에 축전지를 추가하여 PCS의 기본 기능인 계통 연계 운전 모드와 축전지를 기본 전원 소스로 하는 자립 운전 모드를 갖는다.
기존의 단순한 PV(Photovolaic)용 PCS나, 축전지용 인버터와 구분해서 볼 때, 하이브리드 전력 제어 시스템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계통 전력(또는 발전기)이 비교적 설치가 많이 진행되어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어, 아직까지는 신재생 에너지 전원 소스들에 비교해서 경제적 우위에 있다는 것이다. 다만, 계통 전원의 가장 큰 문제점은 신규 증설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증가하고 있는 부하의 필요를 따라가기에는 여러 가지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반면에 최근 부하의 사용 현황을 보면, 평상시의 전력량이 문제가 아니라 피크치의 문제가 보다 전력 부족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어, 효율적인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1. 국내 등록 특허 10-1020789 : 무정전 기능을 가진 계통연계형 하이브리드 태양광 발전 시스템 2. 국내 등록 특허 10-0891513 : 태양광 및 배터리 시스템을 이용한 계통 연계형 하이브리드발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전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부하 용량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 전력을 연계하거나 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전력 제어 가능한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전력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통의 피크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계통 전력을 평준화하는 것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재생 에너지원 및 축전지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 및 계통으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 가능하여, 모자라는 전력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원에 대해 초기 투자를 적은 규모로 가능하게 하는 것에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부하 용량 산출부;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부하 용량 비교부;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하는 전력량 비율 결정부; 및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상기 축전지 또는 상기 계통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부하 용량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부하 용량 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계통과 연계하여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은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방법은, (a)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d)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e) 상기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f)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을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h) 상기 (f)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부하 용량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 전력을 연계하거나 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전력 제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계통의 피크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계통 전력을 평준화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해 신재생 에너지원 및 축전지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 및 계통으로부터 부하에의 전력 공급량을 제어 가능하여, 모자라는 전력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원에 대해 초기 투자를 적은 규모로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은, 신재생 에너지원(New & Renewable energy),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으로, 부하 용량 산출부(10), 부하 용량 비교부(20), 전력량 비율 결정부(30) 및 전력 공급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신재생 에너지원은 태양 전지를 이용한 태양광 에너지, 풍력 발전 에너지 등 다양한 에너지원을 포함한다.
하기에 본 발명의 전력 제어 시스템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부하 용량 산출부(10)는 부하 전류 및 부하 전압을 적산하는 것에 의해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부하 용량 비교부(20)는, 부하 용량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전력량 비율 결정부(30)는, 부하 용량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부하 용량 산출부(10), 부하 용량 비교부(20) 및 전력량 비율 결정부(30)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하여,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또는 계통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에 의해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은 다음의 네 가지의 운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제 1 운전 모드는, 계통에 연계하여, 축전지가 방전하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최대 전력점 추적(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PPT) 방법에 의한다.
다음으로, 제 2 운전 모드는, 계통에 연계하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모드로, 계통에 연계하지 않으므로 자립 운전 모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 3 운전 모드는, 계통에 연계하여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부터의 전력을 부하에 공급하는 모드로, 부하 추종 운전 모드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제 4 운전 모드는 계통으로부터만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술한 네 가지 운전 모드의 효율적인 선택을 위해,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부하 용량 비교부(20)의 비교 결과 부하 용량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제 1 설정값 이하인 경우, 계통으로부터만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부하 용량 비교부(20)의 비교 결과 부하 용량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제 1 설정값보다 큰 경우, 계통과 연계하여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제 1 비율의 전력은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부하 용량 산출부(10)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 즉 (100% - 제 1 비율)의 전력 용량은 계통으로부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에 의한 제 1 비율 전력의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의 공급 제어는,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 1 비율의 전력 중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의한다.
다만, 전력 공급 제어부(40)는,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계통으로부터는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은, 제 1 설정값 이하의 전력에 대해서는 항상 계통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받도록 하는 제 4 운전 모드에 의해 동작한다.
다만, 제 1 설정값을 초과하는 전력에 대해,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이하인 경우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운전 모드에 의한다. 또한,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고 나머지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100% - 제 1 비율)의 전력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받게 되는 제 3 운전 모드에 의한다. 또한, 계통이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제 2 운전 모드에 의하여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전력 제어 방법은,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S5), S5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S10) 및 S10 단계의 비교 결과, S5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제 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신재생 에너지원 및 축전지는 대기 모드로 운전하고, 계통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S10 단계의 비교 결과, S5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제 1 설정값보다 큰 경우, S5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S20 단계 수행 후, 또는 수행 이전에,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계통의 이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S25). 다만, 도 2에서는 S20 단계 수행 후에 S25 단계를 실시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S25 단계의 확인 결과,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계통으로부터는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지 않고,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축전지로부터만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다(S30).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S25 단계의 확인 결과, 계통이 정상 동작을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력 제어 방법은, 제 1 비율의 전력을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S35), S35 단계의 비교 결과,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 및 S35 단계의 비교 결과, 제 1 비율의 전력이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부하로 공급하고, 제 1 비율의 전력 중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 부하 용량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 전력을 연계하거나 하지 않는 것에 의해 전력 제어 가능하다.
2. 한여름의 한낮 등과 같이 부하에서 피크 전력을 요구하는 경우에, 계통으로부터의 전력 공급뿐 아니라, 일정 분량의 부하 전력 용량을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 시프트하는 것에 의해, 즉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로부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계통 전력을 평준화할 수 있다.
3. 일반적인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만을 이용한 발전의 경우에는, 부하에서 요구하는 전력 용량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지만, 소규모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에의 투자를 실시하고, 과부족 부분은 계통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신재생 에너지원에 대해 초기 투자를 적은 규모로 가능하게 한다.
4. 또한, 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 요금의 누진제 요금 구간의 상승 구간 이전의 부하로부터 요구되는 전력을 계통으로부터 공급받고, 나머지는 신재생 에너지원 및/또는 축전지부터 공급받을 수 있어, 투자와 비용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도 있다.
10 : 부하 용량 산출부 20 : 부하 용량 비교부
30 : 전력량 비율 결정부 40 : 전력 공급 제어부

Claims (13)

  1.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부하 용량 산출부;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미리 설정된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부하 용량 비교부;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상기 축전지 또는 상기 계통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력 공급 제어부; 및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하는 전력량 비율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은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부하 용량 산출부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제 1 비율을 제외한 나머지는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제어부는,
    상기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8. 신재생 에너지원, 축전지 및 계통으로부터의 전력을 선택하여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부하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 용량을 산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을 제 1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계통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b)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이 상기 제 1 설정값보다 큰 경우, 상기 (a) 단계에서 산출된 부하 전력 용량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공급받을 전력량의 비율인 제 1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은,
    (e) 상기 계통이 이상 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 또는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은,
    (f)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을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은,
    (g) 상기 (f)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상기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방법은,
    (h) 상기 (f)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이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이 공급 가능한 전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상기 부하로 공급하고, 상기 제 1 비율의 전력 중 상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 가능한 최대 전력을 제외한 전력은 상기 축전지로부터 상기 부하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제어 방법.
KR1020120103393A 2012-09-18 2012-09-18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101347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93A KR101347437B1 (ko) 2012-09-18 2012-09-18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393A KR101347437B1 (ko) 2012-09-18 2012-09-18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7437B1 true KR101347437B1 (ko) 2014-01-03

Family

ID=5014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393A KR101347437B1 (ko) 2012-09-18 2012-09-18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4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083A (ko) * 2020-02-20 2021-08-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SS의 SoC 부하 최소화를 위해 시프트된 전력을 재공급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14B1 (ko)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097260B1 (ko) 2009-12-15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14B1 (ko) 2009-12-03 2011-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KR101097260B1 (ko) 2009-12-15 2011-1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계통 연계형 전력 저장 시스템 및 전력 저장 시스템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6083A (ko) * 2020-02-20 2021-08-30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SS의 SoC 부하 최소화를 위해 시프트된 전력을 재공급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KR102414200B1 (ko) 2020-02-20 2022-06-2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ESS의 SoC 부하 최소화를 위해 시프트된 전력을 재공급하는 전력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6544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1259728B1 (ko) 마이크로그리드 운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García et al. Energy management system based on techno-economic optimization for microgrids
CN104092278A (zh) 应用于光伏储能系统的能量管理方法
US8253271B2 (en) Home power supply system
KR101818168B1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202495774U (zh) 防逆流系统
KR101445738B1 (ko) 전력 사용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 저장량을 조정하는 전력저장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KR101380530B1 (ko) 계통 연계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
CN105790255A (zh) 多微电网供电系统与控制方法
JP2017051083A (ja) 発電システム、発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40197B1 (ko) 에너지 저장장치용 인버터 출력 제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인버터 출력 제어 방법
KR2015008522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50005040A (ko) 전기저장장치 운전모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21606A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무효 전력 보상 방법
CN113949054A (zh) 电网自治系统及方法
KR102016731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2268723B1 (ko) 충전율 제어가 가능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062812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1347437B1 (ko) 부하 추종 운전 기능을 가진 전력 제어 시스템 및 그 전력 제어 방법
KR102053812B1 (ko) 하이브리드 배터리에 연결된 전력 변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75969A (ko) 주파수 조정 운용 방법 및 계통 주파수 조정 시스템
WO2020034240A1 (zh) 再生能源管理系统
JP2015164380A (ja) 独立型分散電源システムの運転方法
CN105281352A (zh) 一种光储一体化离网系统及其多级优化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