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363B1 -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363B1
KR101347363B1 KR1020120018262A KR20120018262A KR101347363B1 KR 101347363 B1 KR101347363 B1 KR 101347363B1 KR 1020120018262 A KR1020120018262 A KR 1020120018262A KR 20120018262 A KR20120018262 A KR 20120018262A KR 101347363 B1 KR101347363 B1 KR 10134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pipeline
laying
cha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6794A (ko
Inventor
허종행
김종주
김화섭
박태근
서종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363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20Accessories therefor, e.g. floats, weights
    • F16L1/24Floats; We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2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16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or under water o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는 부설선으로부터 해저면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둘레를 감싸며 파이프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와, 부력체를 파이프라인에 고정하도록 부력체에 설치된 클램핑장치를 구비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클램핑장치는 챔버를 갖는 실린더와, 챔버를 외부 해수가 유입되는 변압실과 압축가스가 채워진 밀폐된 정압실로 구획하는 피스톤부재와, 피스톤부재와 연결되어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부재는 변압실과 정압실의 압력차이에 따라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BUOY FOR PIPELINE LAYING IN SUBSEA AND OPERATION METHOD OF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해저에 파이프라인의 부설시 사용되는 부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laying)하기 위한 부설선은 연해 또는 심해를 이동하며 선체에 마련된 파이프 부설 시스템을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한다. 파이프라인은 부설선에서 단위길이의 각 파이프섹션들을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해저에 투하된다.
이러한 파이프 부설선은 파이프를 부설하는 방법에 따라서 S-lay 및 J-lay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S-lay 방법은, 파이프라인이 파이프 부설경로를 따라 부설선으로부터 투하되는 경우 스팅거(stinger)라고 알려진 경사진 아치형 램프(ramp)의 도움을 받아 비교적 큰 곡률반경의 S형 진로를 따라 하강하여 해저에 부설된다. 따라서, 이러한 S-lay 방법은 이미 부설된 파이프라인의 하중에 의해 파이프라인이 스팅거를 벗어나는 지점에서 파이프의 만곡에 의한 소성변형을 줄 위험을 가지므로 비교적 얕은 깊이의 천해에서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J-lay 방법은, 부설선으로부터 투하되는 파이프라인은 수직 또는 급경사를 가지는 램프를 따라 하강하여 해저에 부설된다. 따라서, 파이프라인은 소성변형이 일어남이 없이 해저로 가라앉을 수 있게 되므로 비교적 수심이 깊은 심해에 부설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한편, 파이프라인을 해저에 부설하는 동안 그 수중 중량에 따른 파이프라인의 급속한 하강을 방지하도록 파이프라인에 부력장치를 매달아 수중에 투하하는 파이프 부설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이프 부설방법은 부력장치를 파이프라인에 매달은 상태에서 일정 수심까지 파이프라인을 해중에 하강시키고, 부설위치에서는 파이프라인으로부터 부력장치를 분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파이프라인의 부설시 사용되는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따라 일정수심구간에서 스스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설선으로부터 해저면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하도록 상기 부력체에 설치된 클램핑장치를 구비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챔버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챔버를 외부 해수가 유입되는 변압실과 압축가스가 채워진 밀폐된 정압실로 구획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의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가 제1수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정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고,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제1수위보다 깊은 제2수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변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압실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정압실의 용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압실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력조절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압실의 일측을 형성하도록 상기 변압실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베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은 상기 변압실로의 해수 유입을 위한 연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상기 피스톤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에 지지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롤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마찰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압실의 일측에는 상기 변압실과 상기 변압실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변압실 외부의 해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수유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부력체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클램핑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압실의 압력은 상기 다수의 클램핑장치 중 다른 하나의 정압실의 압력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실린더 내면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에 결합되며 상기 변압실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의 안정적 이동을 위해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는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장치는 부설되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가 각각 수중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설정수심구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클램프장치에 형성된 정압실의 압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회전축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한 쌍의 회전바디와,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의 각 자유단부에 서로 교호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결속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결속홀을 관통하는 결속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는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하여 상기 부설선에 설치된 권취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결속와이어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가 순차적으로 개방되어 부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설정수심구간에서 승강하는 동안 변화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중에 하강하는 파이프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실린더 내부를 정압실과 변압실로 구획하는 피스톤부재와, 상기 피스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를 배치하고, 상기 정압실은 상기 부력장치가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설정수심구간에 해당하는 압력을 가지도록 초기 설정하고, 상기 변압실에는 상기 부력장치의 이동시 수심에 해당하는 외부 해수의 유입을 유도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변압실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에 응답하여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향해 전후로 이동하는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압실의 압력은 상기 정압실의 용적을 가변하는 압력조절피스톤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는 파이프라인의 부설시 사용되는 부력장치를 회수하여 재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선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배치된 부력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배치된 부력장치가 분리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에 부착되어 투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가 설정수심구간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나의 부력장치에 설치되는 다수의 클램핑장치의 각 정압실 용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를 이용하여 해저에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선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실시 예에서는 S-lay 방식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법을 설명하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 파이프라인을 부설하는 방식으로 J-lay, Reel-lay 등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해저 파이프라인의 부설방법은 부설선(10)의 작업라인을 따라 이동하여 조립된 파이프라인(20)이 부설선(10)으로부터 스팅거(30)를 통해 해수면에 진입된 후 해중에 하강하면서 해저의 부설위치에 부설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부설선(10)에는 단위 길이의 다수의 파이프 섹션이 구비되고, 각 파이프 섹션들은 작업라인의 경로에 설치된 다수의 작업스테이션(12)을 지나면서 일체로 연결되는 길이가 긴 파이프라인(20)을 이루게 된다.
다수의 작업스테이션(12)은 용접 전 단위 길이의 파이프 섹션들의 단부를 베벨링하기 위한 스테이션, 단위 길이의 파이프 섹션을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용접 스테이션, 연결된 파이프 섹션의 용접 부분을 검사 및 코팅을 위한 검사 스테이션 및 코팅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작업라인에서 조립된 파이프라인(20)은 선미부에 설치되는 스팅거(30)에 지지되어 해수면에 진입되고, 해수면에 진입된 파이프라인(20)은 그 자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수중에 하강하는 파이프라인(20)의 투입속도는 부설선(10)의 속도에 따라 작업라인에 설치된 장력기(15)를 통해 제어되면서 해저면의 부설위치에 가라앉게 된다.
이때, 스팅거(30)에는 부설선(10)과 해저면 사이에 위치하는 파이프라인(20)의 하중에 의하여 큰 응력이 걸리게 되므로 파이프라인(2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한 부력장치(40)가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배치된 부력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라인에 배치된 부력장치가 분리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부력장치(40)는 파이프라인(20)의 둘레를 감싸는 중공형태의 길이가 긴 부력체(41)를 구비하고, 부력체(41)에는 파이프라인(20)의 하중을 줄이기 위한 부력물질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부력체(41)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상호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한 쌍의 회전바디(43,44)를 구비하고, 한 쌍의 회전바디(43,44)의 자유단부(45,46)에는 각각 서로 교호되도록 돌출된 결속홀(47,48)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바디(43,44)는 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도록 마련되고, 내부에는 파이프라인(20)을 수용하는 중공부(41a)가 마련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회전바디(43,44)가 닫힌 경우에는 그 자유단부(45,46)에서 바디부(41)의 길이를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되는 결속홀(47,48)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일렬로 정렬되게 되고, 일렬로 배치된 결속홀(47,48)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나도록 설치되는 결속와이어(50)에 의해 한 쌍의 회전바디(43,44)는 서로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결속와이어(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부설선(10)에 설치되는 권취기(59)에 의해 감긴 상태를 유지하고, 타단은 파이프라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부력장치(40) 중 최하측에 배치되는 부력장치(40a)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결속와이어(50)는 최하측 부력장치(40a)의 일측에 고정되어 파이프라인(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부력장치(40)의 각 결속홀(47,48)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지나도록 마련됨으로써 다수의 부력장치(40)를 서로 연결시킨다.
이러한 결속와이어(50)는 강성이 큰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분리시 마찰저항에 의한 영향을 줄이도록 내마모성 및 윤활성이 우수한 비철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속와이어(50)의 단부가 연결된 최하측의 부력장치(40a)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와이어(50)와 최하측의 부력장치(40a)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고정부(55)가 마련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55)는 결속와이어(50)와 부력장치(40a)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폭발볼트(explosive bolt)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부(55)는 부설선(10)에서 원격작동에 의하여 작동되거나, 결속와이어(50)의 당김력에 의한 점화에 의하여 폭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공지된 구성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최하측의 부력장치(40a)에 연결된 결속와이어(50)가 연결 해제되어 권취기(59)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에는 결속와이어(50)는 다수의 부력장치(40)의 각 결속홀(47,48)에서 순차적으로 벗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파이프라인(20)을 감싸는 한 쌍의 바디부(43,44)는 열리게 되므로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이격 배치된 다수의 부력장치(40)는 최하측의 부력장치(40a)부터 파이프라인(20)에서 순차적으로 분리되어 해수면을 향해 떠 오르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부력장치(40)는 부력체(41)에 설치되며 파이프라인(20)의 둘레를 감싸는 부력체(41)를 파이프라인(20)에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60)를 구비할 수 있다.
클램핑장치(60)는 부력체(41)의 내벽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배치되고, 파이프라인(20)이 설정된 수심구간에서 하강하는 동안에는 부력체(41)를 파이프라인(20)과 함께 하강되도록 구속하고, 설정된 수심구간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부력체(41)를 파이프라인(20)으로부터 구속 해제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부력체(41)는 설정된 수심구간에서는 수심에 의한 압력차에 따라 동작되는 클램핑장치(60)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을 따라 자율적으로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핑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력체(41)를 설정된 수심구간에서 수심에 의한 압력차에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 시키기 위한 클램핑장치(60)는 부력체(41)의 내벽에 설치되는 실린더(61)와, 실린더(61) 내부의 챔버(62)를 정압실(63)과 변압실(64)로 구획하는 피스톤부재(70)와, 피스톤부재(70)와 연결되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80)와, 정압실(63)의 용적을 가변하도록 정압실(63)의 일측을 형성하는 압력조절피스톤(90)을 포함한다.
실린더(61)는 내부에 챔버(62)를 갖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부력체(41)에 일측(61a)이 고정되고, 타측(61b)은 부력체(41)의 중공부(41a)를 향해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61)의 돌출된 부분의 단부에는 변압실(64)의 일측을 형성하도록 슬라이딩 베어링(65)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베어링(65)은 외주면이 실린더(61)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그 중앙부에는 가압부재(80)의 미끄럼 이동을 지지하는 베어링부(65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베어링(65)은 베어링부(65a)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절개되어 중공부(41a) 내에 존재하는 해수를 변압실(64)로 유입하기 위한 연통홀(65b)이 구비될 수 있다.
피스톤부재(70)는 실린더(61) 내부의 챔버(62)를 두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챔버(62)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피스톤부재(70)에 의해 구획되는 정압실(63)은 일정압력을 가지도록 압축가스가 채워진 상태로 설정되고, 변압실(64)은 외부의 해수가 유입되도록 하여 수심에 따라 압력이 가변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정압실(63)은 피스톤부재(70)와 압력조절피스톤(90)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고, 변압실(64)은 해수의 자유로운 유출입이 이루어지도록 외부 해수와 연통하는 해수유로(67)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해수유로(67)는 변압실(64) 내부로 외부 해수의 원활한 유입을 유도하도록 실린더(6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가압부재(80)는 정압실(63)과 변압실(64)의 압력차이에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부재(70)와 함께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80)는 일측이 피스톤부재(70)와 연결되고, 타측이 슬라이딩 베어링(65)의 베어링부(65a)에 지지되는 로드부(81)와, 로드부(81)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파이프라인(20)의 외면과 접촉하는 지지부(82)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82)는 파이프라인(20)의 외면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도록 파이프라인(20)의 외면과 동일한 곡률을 가진 오목한 곡선형태로 이루어지고, 파이프라인(20)의 외면과 접촉하는 부분에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마찰패드(83)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82)는 파이프라인(20) 외면과의 마찰접촉을 통해 부력체(41)가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상에 있어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82)는 파이프라인(20) 외면과 구름 접촉하는 롤러부재(82a)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조절피스톤(90)은 정압실(63)의 일측을 형성하는 피스톤부(91)와, 피스톤부(91)에서 연장되어 부력체(41)의 외부로 돌출되며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로드(92)와, 체결로드(92)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헤드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부(91)는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이 실린더(61) 내면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부(91)는 정압실(63)의 용적을 가변함에 따라 정압실(63) 내의 압축가스를 압축하여 정압실(63)의 압력을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피스톤부(91)의 이동은 부력체(41)의 외부로 연장되는 헤드부(93)를 조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93)는 육각기둥 형태로 마련되어 체결 토크를 제공하는 유압식, 전동식 또는 에어식 토크렌치(미도시)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가 파이프라인에 부착되어 투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장치가 설정수심구간에서 상하 왕복 운동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해저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부력장치(40)는 부설선(10)에서 투하되기 전 압력조절피스톤(90)을 통해 정압실(63)의 압력을 초기 설정하여 파이프라인(20)에 부착된 상태로 해중에 투하되게 된다.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부력장치(40)는 각각 클램핑장치(60)의 정압실(63) 압력이 서로 다른 상태로 마련된다. 즉, 다수의 부력장치(40) 중 최하측에 위치하는 제1부력장치(40a)에 구비된 클램핑장치(60)의 정압실(63) 압력은 다른 부력장치(40)에 구비된 클램핑장치(60)의 정압실(63)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압력을 가진 상태로 마련되고, 최하측의 부력장치(40a)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부력장치(40)에 각각 구비된 클램핑장치(60)의 정압실(63) 압력은 순차적으로 줄어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수심에 따라 변화하는 압력에 대응하여 각 부력장치(40)가 설정수심구간(H)에서 클램핑장치(60)의 동작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을 따라 상하로 왕복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장치(40)에 구비된 클램핑장치(60)는 부력체(40)가 상하 이동하기 위한 설정수심구간(H)에서 변화하는 수압에 응답하여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 및 가압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수심구간(H)은 다수의 부력장치(40)가 각각 미리 설정된 수심(h1-h2)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이때, 다수의 부력장치(40)의 각 클램핑장치(60)의 정압실(63)의 압력은 해당하는 설정수심구간(H)의 최대수심(h2)에 해당하는 압력보다는 작은 압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부력장치(40)가 제2수위(h2)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외부의 해수가 클램핑장치(60)의 변압실(64)로 유입되게 되고, 피스톤부재(70)는 해수의 압력에 의하여 정압실(63) 쪽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피스톤부재(70)에 연결된 가압부재(80)는 피스톤부재(70)와 함께 이동되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이에 의해, 부력장치(40)는 파이프라인(20)의 길이를 따라 상부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부력장치(40)가 상부로 이동하는 동안 변압실(64)은 외부 해수와 연통하도록 마련되므로 변압실(64)의 압력은 수심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게 된다.
그리고, 정압실(63)의 압력보다 작은 압력을 가지는 제1수위(h1)에 부력장치(40)가 위치되는 경우에는 변압실(64)의 압력은 정압실(63)의 압력보다 낮게 되므로 가압부재(80)는 정압실(63)의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력장치(40)는 부설되는 파이프라인(20)의 진행방향을 따라 파이프라인(20)과 함께 이동하게 된다.
즉, 부력장치(40)가 제1수위(h1)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클램핑장치(60)의 가압부재(80)는 정압실(63)의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하고, 부력장치(40)가 제2수위(h2)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가압부재(80)는 변압실(64)의 압력에 의해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부력장치(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클램핑장치(60)의 각 정압실(63)의 압력은 모두 동일하도록 마련되었으나, 상하로 이동하는 설정수심구간(H)의 증가를 위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부력장치(40)에 설치되는 다수의 클램핑장치(60)의 각 정압실(63)의 압력은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클램핑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클램핑장치(40)에는 수심에 의한 압력차이에 따라 이동하도록 실린더(61)의 챔버(62)를 구획하는 실린더부재(100)는 실린더(61) 내면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101)와, 벨로우즈(101)에 결합되어 변압실(64)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 변화에 따라 챔버(62) 내에서 이동하는 다이아프램(103)을 구비할 수 있다.
벨로우즈(101)은 챔버(62) 내부를 정압실(63)과 변압실(64)로 구획하도록 챔버(62)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벨로우즈(101)의 중앙부분에는 벨로우즈(101)를 개재시킨 상태로 결합되는 다이아프램(10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이아프램(103)의 양측은 다이아프램(103)의 안정적 이동을 위한 한 쌍의 탄성부재(104,105)에 지지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04,405)는 다이아프램(103)의 이동시 선형 특성을 가지도록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정압실(63)의 압력에 의해 변압실(64) 쪽으로 가압되는 다이아프램(100)에 연결된 가압부재(80)는 파이프라인(20)의 외면을 가압한 위치에 배치되고, 부력체(41)가 설정 수심 이하로 하강된 경우에는 변압실(64)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에 의하여 다이아프램(1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압실(63) 쪽으로 가압되어 이동함에 따라 다이아프램(100)에 연결된 가압부재(80)는 파이프라인(20)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부설선, 20: 파이프라인,
30: 스팅거, 40: 부력장치,
41: 부력체, 43,44: 회전바디,
47,48: 결속홀, 50: 결속와이어,
60: 클램핑장치, 61: 실린더,
63: 정압실, 64: 변압실,
70: 피스톤부재, 80: 가압부재,
90: 압력조절피스톤.

Claims (20)

  1. 부설선으로부터 해저면에 부설되는 파이프라인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파이프라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를 상기 파이프라인에 고정하도록 상기 부력체에 설치된 클램핑장치를 구비한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챔버를 갖는 실린더;
    상기 챔버를 외부 해수가 유입되는 변압실과 압축가스가 채워진 밀폐된 정압실로 구획하는 피스톤부재;
    상기 정압실의 일측을 형성하며 상기 정압실의 용적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정압실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부력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일부분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로드와, 상기 체결로드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확장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압력조절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조절피스톤은 체결토크를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헤드부에 의해 상기 피스톤부를 이동시켜 상기 정압실에 채워진 상기 압축가스를 압축시킴에 의해 상기 정압실의 압력을 설정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변압실과 상기 정압실의 압력차이에 따라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는 위치와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가 제1수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정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하고,
    상기 부력체가 상기 제1수위보다 깊은 제2수위에 위치되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변압실의 압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을 가압 해제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실의 일측을 형성하도록 상기 변압실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은 상기 변압실로의 해수 유입을 위한 연통홀이 구비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측이 상기 피스톤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베어링에 지지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라인의 외면과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6. 제 5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실의 일측에는 상기 변압실과 상기 변압실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변압실 외부의 해수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해수유로가 구비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장치는 상기 부력체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클램핑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압실의 압력은 상기 다수의 클램핑장치 중 다른 하나의 정압실의 압력과 다르게 형성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재는 상기 실린더 내면에 결합된 신축 가능한 벨로우즈와, 상기 벨로우즈에 결합되며 상기 변압실에 유입된 해수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실린더 내에서 이동하는 다이아프램을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의 안정적 이동을 위해 상기 다이아프램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는 동일한 탄성력을 갖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3. 제 1항, 제 2항, 제4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장치는 부설되는 상기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가 각각 수중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되는 설정수심구간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클램프장치에 형성된 정압실의 압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회전축을 통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한 쌍의 회전바디와,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의 각 자유단부에 서로 교호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속홀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결속홀을 관통하는 결속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와이어를 감거나 풀기 위하여 상기 부설선에 설치된 권취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결속와이어가 제거되는 경우 상기 한 쌍의 회전바디가 순차적으로 개방되어 부상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력장치의 각 부력체는 상기 설정수심구간에서 승강하는 동안 변화하는 압력에 응답하여 전후로 이동하는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파이프라인의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상기 진행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19. 삭제
  20. 삭제
KR1020120018262A 2012-02-23 2012-02-23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KR10134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262A KR101347363B1 (ko) 2012-02-23 2012-02-23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262A KR101347363B1 (ko) 2012-02-23 2012-02-23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794A KR20130096794A (ko) 2013-09-02
KR101347363B1 true KR101347363B1 (ko) 2014-01-16

Family

ID=49449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262A KR101347363B1 (ko) 2012-02-23 2012-02-23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36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5590A (en) * 1994-03-31 1996-11-19 Allseas Group S.A. Installation for laying a pipeline on a floor located under water, bearing means and terminal
JP3241445B2 (ja) 1991-08-12 2001-12-25 マシネンファブリック ズルツアー − バークハル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油無し圧縮用ピストン圧縮機
US6729803B1 (en) * 1999-11-12 2004-05-04 Bouygues Offshore Clamp system for holding a pipe under tension, and a floating support including the system
KR20100081825A (ko) *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1445B2 (ja) 1991-08-12 2001-12-25 マシネンファブリック ズルツアー − バークハル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油無し圧縮用ピストン圧縮機
US5575590A (en) * 1994-03-31 1996-11-19 Allseas Group S.A. Installation for laying a pipeline on a floor located under water, bearing means and terminal
US6729803B1 (en) * 1999-11-12 2004-05-04 Bouygues Offshore Clamp system for holding a pipe under tension, and a floating support including the system
KR20100081825A (ko) *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진동감지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794A (ko) 2013-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868B2 (en) Slip device for suspending a drill or casing string
EP3265641B1 (en) Riser assembly and method
US7556452B2 (en) Control of flexible riser curvature at the keel of a floating structure
NO318490B1 (no) Fremgangsmate og installasjon for legging av en rorledning pa sjobunnen
US20150300102A1 (en) Multi capacity riser tensioners
MX2012003767A (es) Ensamble de accionamiento y metodo para accionar una herramienta de fondo del pozo.
CN103261739A (zh) 用于引导柔性件的设备
US8657536B2 (en) Tensioning a riser
KR20130041206A (ko) 수중 유정을 봉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
US20110176874A1 (en) Coiled Tubing Compensation System
KR101347363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및 부력장치의 클램핑장치 작동방법
WO2003031765A1 (en) A riser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1313562B1 (ko) 부양식 파이프라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이프부설선과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방법
NO20190699A1 (en) Riser support system
KR101347359B1 (ko) 해저 파이프라인 부설용 부력장치
US10385630B2 (en) Riser tensioning system
CA2897644C (en) Spoolable swivel
KR101347362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KR101313559B1 (ko) 해저 파이프 설치용 클램프 및 그 이동방법
CN104428570B (zh) 海底管线安装张紧装置
AU2004291684B2 (en) Method of supplying oil from a floating production structure to an offloading buoy via a thermally insulated flexible transfer duct
US20070258775A1 (en) Means For Applying Tension To A Top Tension Riser
MX2012003765A (es) Ensamble de anclaje y metodo para anclar una herramienta de fondo del pozo.
CN116696993A (zh) 应用于导管架海上平台的自调节阻尼减震系统及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