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338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338B1
KR101345338B1 KR1020060067989A KR20060067989A KR101345338B1 KR 101345338 B1 KR101345338 B1 KR 101345338B1 KR 1020060067989 A KR1020060067989 A KR 1020060067989A KR 20060067989 A KR20060067989 A KR 20060067989A KR 101345338 B1 KR101345338 B1 KR 10134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hield
shield plate
plate fixing
fixing member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567A (ko
Inventor
이영재
오영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338B1/ko
Priority to US11/780,536 priority patent/US8109480B2/en
Priority to CNA2007103051823A priority patent/CN101201492A/zh
Publication of KR2008000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28Illuminating devices with coo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4Arrangements for reducing warping-twi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10T24/205One piece
    • Y10T24/206Mounted on support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8Corner faste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009Gripping member adapted for tool actuation or relea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이러한 고정 부재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 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및 바디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액정표시장치, 열차단판, 열차단판 고정 부재, 몰드 프레임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Liquid crystal displa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가 몰드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열차단판 고정 부재가 몰드 프레임에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와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분리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0; 열차단판 고정 부재 510; 베이스부
520; 바디부 530; 헤드부
600; 열차단판 800; 몰드 프레임
830; 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단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차단판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열차단판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평판표시장치는 종래의 CRT(Cathode Ray Tube)와 비교하여 소형, 경량화 및 대화면화의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TV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종래의 광고판을 대체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모듈(PID; Public Information Display)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ID 모듈을 설계함에 있어서, 고휘도로 인한 램프수 증가에 따른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액정표시패널과 램프 사이에 열차단판을 추가적으로 배치하여 열을 차단시키고 있다.
한편, 상기 PID 모듈에 사용되는 열차단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종래에는 후크를 이용하여 열차단판을 고정하였는데, 후크를 이용하여 열차단의 X,Y,Z 방향 이동을 고정시키면, 열차단판의 이동 및 위치 이탈문제는 해결될 수 있으나, 열차단판이 램프로부터 열을 받을 경우, 열팽창률이 큰 열차단판이 X 및 Y방향(수평 방향)으로 충분히 팽창되지 못하고, Z방향(즉, 수직 방향)으로 휘게 되며, 그 결과 화상 불량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차단판 고정 구조는 열차단판이 강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므로 조립이 어렵고, 조립시 이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보다 상세하게는 열차단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차단판의 이동을 고정하기 위한 열차단판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부재로서, 상기 고정 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 의 일 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용 플레이트 고정 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플레이트는 열차단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는 소정 형태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제2 바디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1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제2 바디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제2 헤드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대향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의 연장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디부 및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대향면이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면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제2 바디부 중 상기 제1 헤드부가 형성되지 않는 바디부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 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의 중심 영역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양쪽으로 분리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내부에 소정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용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용기의 수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열차단판 및 상기 열차단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 단은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열차단판의 일 면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열차단판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헤드부는 상기 각 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차단판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학 시트 및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체결되는 하부 수납 용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 일 면은 상기 열차단판의 일 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단판의 상하 이동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 바디부 및 헤드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가 몰드 프레임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몰드 프레임(800)의 수납 공간 내에는 열차단판(600)이 배치되며, 상기 열차단판(6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의 일 단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열차단판(600)의 상부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단판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열차단판(600)은 상기 몰드 프레임(800)의 수납 공간 보다 작게 형성하여, 상기 열차단판(600) 측면과 상기 몰드 프레임(800) 측벽 간에는 소정 갭(미도시)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열차단판(600)이 램프에 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서, 열팽창할 경우, 열차단판의 크기 변화를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열차단판(600)의 상하 이동은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열차단판의 좌우 이동은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면, 상기 열차단판이 열팽창으로 인해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특정 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살펴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열차단판 고정 부재가 몰드 프레임에 체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상기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베이스부(510), 바디부(520) 및 헤드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510)는 전체적으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 영역은 소정 형태의 홈(515)이 형성되어 상부면과 하부면은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510)는 이하에서 상술될 열차단판(600)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열차단판(600)이 Z 방향 즉,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부가 열차단판과 접촉하는 면적 즉, 오버랩되는 폭이 충분히 넓어 열차단판(600) 측면과 몰드 프레임(800) 측벽 사이에 충분한 갭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열차단판이 열팽창하더라도 열차단판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5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소정 간격 이격시키면, 상기 베이스부(510)의 표면적이 넓어지므로, 상기 열차단판(600)으로부터 전도되는 열이 더욱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이스부(510)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부(510)의 일 단에는 이로부터 측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바디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20)의 일 단에는 상기 헤드부(5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520)는 제1 바디부(521)와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522)로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며, 상기 제1 바디부(521) 및 제2 바디부(522)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대향면이 이하의 열차단판(600)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바디부의 외측면 단부는 끝으로 갈수록 폭이 점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530)는 상기 제1 바디부(521)의 외측면 단부 즉,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제2 바디부(522)의 대향면의 반대면 끝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530)는 그 일 단이 상기 제1 바디부(521)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타 단은 폭이 점감되는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부(530)는 상기 제1 바디부(521)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바디부(522)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부(530)는 바디부(520)의 외측면 단부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과 같이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의 베이스부(510), 바디부(520) 및 헤드부(5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플라스틱 재 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의 재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정의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 2b에는 상기에서 살펴본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와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가 체결될 몰드 프레임의 일부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800)은 전체적으로 중앙 영역이 개방된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 공간에는 액정표시패널, 다수의 광학 시트 및 열차단판 등이 수납된다. 상기 몰드 프레임(800)은 다수의 측벽(810)과 상기 측벽로부터 내부의 수납 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수납면(82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측벽(810)에는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가 체결될 홀(830)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면(820) 상에는 램프(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열차단판(600)이 안착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와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3c 및 도 3d는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분리 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상기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몰드 프레임(800)의 수납면(820) 상에는 열차단판(600)이 안착되며, 상기 몰드 프레임(800)의 측벽(810) 상에 형성된 홀(830)에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510) 하부면은 상기 열차단판(60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단판(600)이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방 지하며, 상기 바디부(520)와 헤드부(530)는 상기 몰드 프레임의 측벽 상에 형성된 홀(830)에 체결되어,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를 상기 몰드 프레임의 홀(830)에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헤드부(530) 및 바디부(520)를 상기 홀(830)에 삽입하면, 제1 바디부(521)와 제2 바디부(522)의 간격은 좁아지면서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헤드부(530)가 상기 홀(830)을 완전히 관통하면,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제2 바디부(522)의 간격은 원래 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헤드부(530)의 일 단은 상기 홀(830)에 걸리게 되어, 견고하게 체결된다.
상기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여,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를 상기 몰드 프레임의 홀(83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상기 열차단판(600)을 교체하거나, 다른 구성 부품을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을 분리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 때,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510)를 Z 방향 즉,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베이스부(510)를 X 방향 즉, 몰드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상기 베이스부(510)를 들어올리면,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제2 바디부(522)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상기 헤드부(530)가 상기 홀(830)을 통과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부(510)를 잡아 당기면 바디부와 헤드부가 홀을 관통하면서 분리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510)의 형태만이 상이하다. 즉,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510)는 전체적으로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나머지 구성 요소는 거의 유사한 바, 나머지 설명은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3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헤드부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거의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베이스부(510), 바디부(520) 및 헤드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부(520)는 제1 바디부(521)와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522)로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530)는 제1 헤드부(531)와 제2 헤드부(532)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헤드부(531)는 상기 제1 바디부(521)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헤드부(532)는 상기 제2 바디부(522)의 외측면 단부에 형성된다. 이때, 각 헤드부(531, 532)는 그 일 단이 상기 바디부(52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타 단은 폭이 점감되는 형태 예를 들면, 삼 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헤드부(531)의 크기는 상기 제2 헤드부(532)의 크기 보다 크게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제2 헤드부(532)의 크기가 더 클수도 있으며, 제1 헤드부(531)와 제2 헤드부(532)의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2 헤드부를 추가로 형성하면,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열차단판의 상하 이동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제4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헤드부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거의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베이스부(510), 바디부(520) 및 헤드부(53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530)는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제2 바디부(522)의 일 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521, 522)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바디부(521), 헤드부(530), 제2 바디부(522)는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헤드부(530)의 일 단은 상기 바디부(520)의 폭 보다 넓게 형성되고, 타 단은 폭이 점감되는 형태 예를 들면, 화살촉 또는 원추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530)의 내부 중심 영역에는 홈(535)이 형성되어 헤드부가 양분되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바,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개략 사시도 및 몰드 프레임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제5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바디부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거의 유사한 바, 이하에서는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베이스부(510), 바디부(520) 및 헤드부(53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510)의 일 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바디부(520)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520)의 일 단에는 상기 헤드부(5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디부(520)는 제1 바디부(521)와 상기 제1 바디부(52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522)로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되며, 상기 제1 바디부(521) 및 제2 바디부(522)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대향면이 상기 열차단판(600)과 교차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을 몰드 프레임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5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힘을 가한 상태에서, 베이스부(510)를 몰드 프레임의 내측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가 분리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차단판 고정 부재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액정표시장치는 정보 디스플레이(PID) 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액정 표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 이외에 상부 수납용기(300), 액정표시패널(100), 구동 회로부(220, 240), 몰드 프레임(800), 다수의 광학 시트(700), 다수의 램프(400), 열차단판(600) 및 하부 수납용기(90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회로부(220, 24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과 연결되며, 콘트롤 IC을 탑재하고 TFT 기판(120)의 게이트 라인에 소정의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224)과, 콘트롤 IC(integrated circuit)를 탑재하고 TFT 기판(120)의 데이터 라인에 소정의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244)과, TFT 기판(120)과 게이트측 인쇄회로기판(22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게이트측 연성 인쇄회로기판(222)과, TFT 기판(120)과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244)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측 연성 인쇄회로기판(242)을 포함한다. 또한, 연성 인쇄회로기판(222, 242)에는 구동 IC(미도시)가 탑재되어 있어, 인쇄회로기판(224, 244)으로부터 생성된 RGB(Read, Green, Blue) 신호 및 디지털 전원 등을 액정 패널(100)에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AB(Tape-Automated Bonding) 실장 방식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구동 IC가 상기 연성 인쇄회로기판(222, 242)에 탑재되지 않고,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 설치되는 COG(Chip On Glass) 실장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몰드 프레임(800)에 형성된 수납 공간에는 기저면에서부터 상기 열차단판(600), 다수의 광학 시트(700) 및 액정표시패널(100)이 수납되며, 상기 하부 수납용기(900)의 수납 공간에는 다수의 램프(400)가 배치된다.
상기 열차단판(600)은 상기 램프(400)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램프(4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램프로부터의 광을 상기 다수의 광학 시트(700) 및 액정표시패널(100)로 전달하기 위하여, 광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상기 다수의 열차단판 고정 부재(500)는 상기 몰드 프레임(800)의 측벽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열차단판(60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단판의 좌우방향 팽창을 고려한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하 이동을 고정함으로써, 열차단판의 상하 이동을 방지하고, 특정방향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용 열차단판 고정 부재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팽창으로 인하여 열차단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차단판의 상하 이동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액정표시장치의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해서도 열차단판이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여, 체결시 이물발생을 억제하며, 제조 시간 단축할 수 있고, 재작업성의 효율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18)

  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내부에 소정의 수납 공간이 형성된 수납 용기;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램프;
    상기 램프에서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 용기의 수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열차단판; 및
    상기 열차단판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일 단은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타 단은 상기 열차단판의 일 면 상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열차단판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 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일 단에 형성되는 헤드부;
    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의 측벽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헤드부는 상기 각 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액정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판 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광학 시트; 및
    상기 수납 용기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수납 용기와 체결되는 하부 수납 용기;
    를 더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액정표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 일 면은 상기 열차단판의 일 면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열차단판의 상하 이동을 고정시키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차단판 고정 부재의 베이스부, 바디부 및 헤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단판의 측면과 상기 수납 용기의 측면 사이에는 갭이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중심 영역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가 양쪽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분리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일 단에서 타 단으로 갈수록 점감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060067989A 2006-07-20 2006-07-20 액정표시장치 KR101345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89A KR101345338B1 (ko) 2006-07-20 2006-07-20 액정표시장치
US11/780,536 US8109480B2 (en) 2006-07-20 2007-07-20 Plate hold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CNA2007103051823A CN101201492A (zh) 2006-07-20 2007-07-20 板保持件及具有所述板保持件的液晶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989A KR101345338B1 (ko) 2006-07-20 2006-07-20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567A KR20080008567A (ko) 2008-01-24
KR101345338B1 true KR101345338B1 (ko) 2013-12-27

Family

ID=3897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989A KR101345338B1 (ko) 2006-07-20 2006-07-20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09480B2 (ko)
KR (1) KR101345338B1 (ko)
CN (1) CN1012014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5983B2 (ja) * 2008-03-28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764397B1 (ko) * 2011-01-12 2017-08-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89698B2 (en) * 2012-11-16 2014-07-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Package box of liquid crystal glass
KR102094969B1 (ko) * 2013-08-13 2020-03-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577165B2 (en) * 2017-09-25 2020-03-03 SEE Forming L.L.C. Key retention system for product packaging
US11155381B1 (en) 2018-10-08 2021-10-26 SEE Forming L.L.C. Joinable thermoform product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6435A (en) * 1993-06-04 1995-10-10 Hmg Worldwide In-Store Marketing, Inc. Shelf bracket apparatus
KR100258839B1 (ko) * 1998-01-24 2000-06-15 윤종용 엘씨디모듈
US6161804A (en) * 1999-01-12 2000-12-19 Andrew Corporation Transmission line hanger
KR100294688B1 (ko) * 1999-04-19 2001-07-12 구본준, 론 위라하디락사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DE10002020C2 (de) * 2000-01-19 2003-08-14 Schott Glas Beschichtung von gekühlten Vorrichtungen
KR100878206B1 (ko) 2002-08-13 2009-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 시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액정표시장치
KR100839163B1 (ko) * 2002-12-04 2008-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KR20040103673A (ko) * 2003-06-02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CN100345046C (zh) 2003-07-09 2007-10-24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TWM263730U (en) * 2004-08-10 2005-05-01 Au Optronics Corp A frame structure for a liquid crystal module
KR101340603B1 (ko) * 2007-11-15 2013-1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0617A1 (en) 2008-01-24
US8109480B2 (en) 2012-02-07
KR20080008567A (ko) 2008-01-24
CN101201492A (zh) 200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231B1 (ko) 평판표시장치
KR101377005B1 (ko) 탑 샤시,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US7525627B2 (en) Display device
KR10134533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60076215A (ko) 표시 장치
JP5238825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に装着される基板クリップ
KR10030816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KR101415968B1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모듈
US6945684B2 (en) Thin backlight module
JP2018116221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84534A (ko) 액정표시장치
JP2008129474A (ja) 表示装置
US10429566B2 (en) Light source module, and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421165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조 및 그 형성 방법
KR101797594B1 (ko) 표시 장치
KR20050070555A (ko) 액정표시모듈용 베젤
US20240155918A1 (en) Display apparatus
KR102671247B1 (ko) 가이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090004102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32352A (ko) 플레이트 고정부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064822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640086B1 (ko) 액정표시모듈용 수납용기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363643B1 (ko) 평판표시모듈용 마운팅 프레임
KR101782080B1 (ko) 표시 장치
KR200442054Y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