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220B1 -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220B1
KR101345220B1 KR1020117021873A KR20117021873A KR101345220B1 KR 101345220 B1 KR101345220 B1 KR 101345220B1 KR 1020117021873 A KR1020117021873 A KR 1020117021873A KR 20117021873 A KR20117021873 A KR 20117021873A KR 101345220 B1 KR101345220 B1 KR 101345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ower
communication modules
modu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383A (ko
Inventor
존 더블유. 토마스
리차드 토마스 카바나프
데이비드 유진 테오발드
진 필립 키엘즈니아
바스카 에스 . 바다타부르
거스타브 제랄드 보스
케빈 루쎌 코트스 엘로이드
Original Assignee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에라 와이어리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13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electively disabling software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각각은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를 가진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이 제공되며, 공통 소스로부터 전력을 인입한다. 중재는 고전력 상태에 있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수행됨으로써, 전원에 의해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apparatus providing plural wireless transceivers within a desired power budget and associated method}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 가능 출력(capability)을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분야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이나 프로토콜이 계속해서 이용되고 있다. 임의의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접근 가능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 중 하나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점점 가능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Wi-MAX, CDMA, GSM, UMTS 또는 기타 통신 프로토콜은 전세계 여러 장소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는데 현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여러 통신 프로토콜로 작동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무선 기기의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또는 임의의 위치에 여러 개의 통신 프로토콜의 가용성을 활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작동할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CDMA 및 GSM을 모두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장치는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다양한 지리적 영역에서 유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CDMA 및 Wi-MAX를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는 장치는 각 프로토콜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으며, 모두를 사용할 경우 프로토콜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모드 장치를 만들기 위한 과제는 비용, 크기, 성능 및 파워 제약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는 한 가지 방법은 무선 장치 내에서 재설정 가능한 무선 모듈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모듈은 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재설정 가능한 공통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7,035,596호에 설명되어있다. 그러나, 그러한 포괄적이고 재설정 가능한 컴포넌트는 성능 및 비용과 같은 지표에 대해 보통 열악하게 동작한다. 또한, 재설정 작동은 추가 시간이 필요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 장치의 전반적인 성능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접근 방식은 복수의 단일 모드 무선 통신 모듈을 하나의 무선 통신 장치에 통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다중 모드 무선 단말기는 와이파이와 셀룰러 네트워크간 음성 세션의 원활한 핸드오프를 제공하도록 제안되었다. 이러한 단일 모드 무선 통신 모듈의 사용은 그들의 상대적인 단순성과 시장에서 가용성으로 인해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단일 모드 통신 모듈을 일반적인 무선 장치로 통합하는 것은 전력 제한이 있는 경우 작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에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은 증가된 전력을 필요로 하며, 증가된 전력은 정격 전력 제한보다 높을 수 있으므로, 기능적 문제 야기 및/또는 장치 손상을 초래한다. 예를 들어 범용 직렬 버스 (USBTM)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이러한 제한이 분명 있으며, 복수의 단일 모드 무선 통신 모듈의 동시 작동은 관련 범용 직렬 버스의 최대 정격 전류보다 무선 어댑터로의 전류 인입이 더 크게 되는 결과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 기술의 하나 이상의 제약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장치의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기술 정보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출원인에 의해 가능한 믿고 알려진 정보를 만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가 본 발명에 대한 선행 기술을 구성한다는 점에 대하여 인정하는 것도 아니며, 그렇게 해석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이 저전력상태와 고전력 상태를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거기에 전력을 전달하는 전원과,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파워를 제어하는 중재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에 연관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적어도 저전력 상태 및 고전력 상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작동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들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것과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2A와 2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결합된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도 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장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재 모듈의 부울 로직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5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재 모듈의 부울 로직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6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재 모듈의 구현을 도시한다.
도 7은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재 모듈의 구현을 도시한다.
도 8A와 8B는 상기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작동하는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작동하는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모듈과 무선 통신 장치의 중재 모듈을 도시한다.
도 11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의 컴포넌트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중재 모듈을 도시한다.
도 12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기열(queue) 및 중재 모듈을 통해 무선 통신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정보 소스를 도시한다.
도 13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재 모듈을 도시한다.
정의
여기에 사용되는 용어 "전력"은 단위 시간당 에너지 흐름의 양을 말한다. 예를 들어, 평균 또는 순시 전력은 와트로 측정될 수 있으며, 볼트로 측정된 평균 또는 순시 전압과 암페어로 측정된 평균 또는 순시 전류의 제품과 연관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용어 "파워 버짓"은 순시 전력의 흐름, 하나 이상의 평균 전력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상한의 집합을 말한다. 전력의 흐름은 관련 장치 또는 그 일부로부터 또는 관련 장치 또는 그 일부로 이해된다. 전력 흐름의 평균양은 단기 평균, 장기 평균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 버짓은 관련 장치의 특정 부품으로 흘러가는 허용 가능한 순시 및/또는 평균 전력의 총합을 나타낼 수 있다. 파워 버짓은 정적이거나 동적이거나 장치 정의 또는 사용자 정의일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약"이라는 용어는 공칭값에서 ± 10 %의 편차를 의미한다. 특별히 언급되어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이 같은 편차는 여기에서 제공된 임의의 값에 항상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았다면, 여기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이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은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송수신기 또는 통신 가능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전원, 및 중재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제공된다.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저전력 상태는 수신 전용 상태일 수 있으며, 상기 모듈은 작은 전력을 소비하지만 송신기로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고전력 상태는 모듈이 대신 또는 추가적으로 송신기로 작동하는 상태이므로,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전원은 전력 전달을 위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설계 제약으로 인하여 전원에 의하여 전달되는 순시 및/또는 평균 전력의 양은 파워 버짓에 의해,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최대값으로 일반적으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그들의 집합적 전력 인입 또는 시도된 전력 인입이 파워 버짓에 따르도록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되고 있다. 중재 모듈은 실질적으로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복수의 무선통신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특히, 중재 모듈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전원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로 전송되는 총 전력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전력 인입이 문제일 때, 사전에 결정되거나 재설정가능한 우선순위 부여 규칙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떤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있을지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보류중 또는 계속중인 통신 작동이 미리 결정된 파워 제약 내에서 수행될 수 있을 때, 중재 모듈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 모듈 상태의 요청된 조합, 즉 요청된 집합 상태(collective state)가 파워 버짓에 특정된 것보다 많은 전력을 요구하면, 중재 모듈은 고전력 상태에서의 작동에 대한 요청에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일부 요청이 다른 요청에 비해 더 큰 범위로 만족되도록 하며, 다른 요청들은 예를 들어 보류중을 유지하거나 거부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만 만족된다. 우선순위 부여 원칙은 작동 도중에 설정 가능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듯이 몇몇 측면에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제(pre-emptive), 비선제(non pre-emptive), 선입선출(first come first served), 고정, 가변, 재설정, 및 다른 종류의 우선순위 원칙이 본 발명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제어 스케줄에 따라 작동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대한 전력 자원의 공유는 상이한 시간에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을 우선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중재 모듈의 우선순위 원칙을 변경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제어 스케줄은 또한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보류중인 통신 패킷의 대기열 길이, 무선 통신 모듈의 사전 또는 예상 향후 활동, 무선 통신 모듈의 활성 또는 대기 상태,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처리되는 트래픽의 종류 등과 같은 관측치를 나타내는 피드백에 기초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케줄링은, 무선 통신 모듈을 적절한 저전력 또는 고전력 상태로 배치하는 것과 같은 전력 제어 작동과 함께, 호스트 컴퓨팅 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모듈로 데이터의 전송과 같은 통신 작동을 조정하는 중재를 함께 수행될 수 있다. 스케줄링은 미래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의 계획, 상기 계획의 수정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시스템 성능 기준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 간에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서 정적 우선순위 부여 규칙 또는 우선순위 부여 규칙의 동적 스케줄은 미리 결정되거나 작업 중에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USBTM, FirewireTM, PCMCIATM, CardBusTM, 등과 같은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팅 장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플러그인 무선 어댑터의 파워 버짓의 요건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각각은 전달될 수 있는 전력의 양에 대하여 표준화되어 있으며, 그것은 종종 제품을 제공할 때 이러한 표준 내에서 작동해야 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USBTM 2.0 사양은 USBTM 버스가 직류 전력 2500 밀리 와트(mW)까지 전달할 수 있을 것을 요구하며, 일반적으로 5볼트 (V)에서 최대 500 milliamperes (mA)까지 전달할 수 있을 것을 요구한다. 일부 USBTM 구현이 더 많은 전력을 제공할 수 있더라도, 표준 요건을 고수하는 것은 추가적인 전원을 요구하지 않고도 장치가 어떠한 USBTM 버스와도 작동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307)에 결합한 무선 통신 장치를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전원(307)는 전력 공급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102, 104, 106)에 결합된다. 중재 모듈(300)은 복수의 무선 모듈(102, 104, 106)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이 모듈들이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에 의해 허용된 것보다 더 많은 전력이 전원(307)로부터 인입되는 집합 상태에서 작동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중재 모듈(300)은, 예를 들어,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이, 상태를 변경하려고 시도할 때마다 상기 무선 통신모듈(102, 104, 106)로부터 요청을 수신하고, 현 조건과 미리 결정한 규칙들에 따라 요청을 허가하거나 거부하는 것으로 표시함으로써 이 목적을 위해 구성된다. 전원은 무선 통신 모듈(102, 104, 106)로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연결과 같은 외부 커넥터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무선 어뎁터(260)로서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무선 어댑터(260)는 USBTM, PCMCIA, CardBus, FirewireTM 또는 다른 연결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265)에 연결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265)은, 예를 들면, 플러그인 연결의 전력 및 접지 전도체를 통하여 무선 어댑터(260)의 전원을 제공하는 전력 공급장치를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무선 어댑터(270)로서 무선 통신 장치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원격 무선 어댑터(270)는 배터리 또는 배터리 터미널과 같은 내장 전원(275)를 가지며, 적외선, BluetoothTM, 무선 이더넷 등과 같은 단거리 무선 프로토콜을 통해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265)과 통신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는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265) 또는 개인 디지털 보조 (PDA), 휴대 전화, 차량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호스트 시스템에 내장된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의 집합인 무선 통시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전원은 호스트 시스템의 전력 공급 버스로의 연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며, 각각은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의 상태는 하나 이상의 파워다운 상태, 대기 상태, 수신 전용 상태, 저전력 송신/수신 상태 및 고전력 송신/수신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 전력 송신/수신 상태 같은 다른 상태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포함될 수 있다. 저전력과 고전력 상태는 각각 비교적 낮은 전력량과 높은 전력량을 인입하는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력 상태는 파워다운 상태, 대기 상태 또는 수신 전용 상태인 반면, 고전력 상태는 송신/수신 상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는 변화하는 전력의 송신/수신 상태일 수 있다.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공존하는 상태는 그들의 집합 상태라고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은 실질적으로 사전 패키지된(pre-packaged) 또는 내장된(self-contained)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CDMA, UMTS, GSM, WWAN, 와이맥스,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무선 트랜시버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로직 컴포넌트,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신호 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 아날로그-디지털 또는 디지털 - 아날로그 컨버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프로세서, 전력 증폭기, 안테나, 주파수 컨버터 등과 같은 추가적인 사전 패키지 또는 비사전 패키지 컴포넌트와 함께 작동하여 무선 통신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추가 컴포넌트는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와 연결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컴포넌트는 직렬 버스 허브 컨트롤러, 직렬 버스 스위치, 라우팅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전 패키지된 또는 내장된 컴포넌트의 사용은 다양한 이유로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은 컴포넌트가 포함되고,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일반적으로 잘 정의된 입/출력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의 사용은 설계 및 제조 노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맞춰질 수 있으므로, 하나 또는 몇 개의 무선 프로토콜 전용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향상된 성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전 패키지된 컴포넌트는 경제적인 대량 생산으로 인해 비용 절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모듈은, 송신될 신호를 증폭하는 사전 패키기되거나 내장된 전력 증폭기와 같은 추가적 컴포넌트에 결합된, 사전 패키지된 칩과 같은 프로토콜 특정 컴포넌트, 및 증폭된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상대적으로 고전력에서 작동하는 아날로그 전자 컴포넌트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므로, 다른 전자 컴포넌트와는 별도로 이러한 컴포넌트를 제공하는 것은 현재 일반적인 설계 관행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모듈은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공유되는 컴포넌트, 특정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서만 사용되는 전용 컴포넌트,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CDMA, GSM, 와이파이, Wi-MAX와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 표준, 또는 무선 랜과 무선 전화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를 관할하는 다른 표준은 무선 트랜시버가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해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거나 요구되는 무선 전력 레벨을 종종 지정한다.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이 동일한 전원을 공유할 때, 전원 또는 전력 연결의 특정된 최대 전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면서, 각 모듈은 각자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 주의를 요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면, 특정된 최대 전력은 어떤 경우에는 초과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내에 독립적으로 제공된 전력 증폭기가 있으면 전력 증폭기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함으로써 고전력 상태 및 저전력 상태를 각각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따라서, 송신이 고전력 상태에서 가능하지만 저전력 상태에서는 가능하지 않다. 본 실시예의 장점은 무선 통신 모듈의 소비 전력의 제어가 실질적으로 전력 증폭기 제어에 의해 인에이블된다는 점이다. 이는, 예를 들어, 전력 제어 기능이 내장된 또는 사전 패키지된 칩셋에 쉽게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증폭기는 무선 트랜시버에서 가장 높은 전력 소비자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력 소비 실질적인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증폭기와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나 그것의 컴포넌트는 연속적 또는 이산적 가변 전력 소비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신호는 전력 증폭기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의 양에 따라 저전력 또는 고전력에서 송신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무선 신호의 수신은 저잡음 증폭기와 같은 컴포넌트에 제공되는 전력의 양에 따라, 저전력 또는 고전력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적 또는 이산적 가변 전력 소비가 무선 통신 모듈의 저전력과 고전력 상태를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송신, 수신, 또는 두 가지 모두에서 사용되는 전력의 양의 변화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신호 대 잡음 비율, 듀티 사이클, 송신 스케쥴, 송신 속도, 송신 범위, 또는 그 조합과 같은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의 컴포넌트의 전력 소비는 가령, 스위칭 또는 이에 따라 인입된 전류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 내에서 전류를 인입하는 부하는 트랜지스터 또는 MEMS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전원에 연결되거나 전원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부하에 의해 인입되는 임피던스 및 전력을 변화시킨다. 부하에 인입되는 전력은, 예를 들어, 펄스 폭 변조, 세트 포인트 트래킹, 피드백 제어와 같은 또는 그 조합을 통해 순시 전류 또는 평균 전류를 제한하는 제어 가능한 전류 소스에 의해 더욱 규제될 수 있다.
전원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전원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전원은 미리 결정된 공칭 전압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DC 파워를 공급하기 위해 장착될 수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에 공급되는 총 전력 또는 전류는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 내에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은 호스트 컴퓨터에 있는 반면, 무선 통신 장치는 전용 또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로서 제공된다. 전력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무선 통신 장치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무선 USBTM 어댑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USBTM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트북과 같은 호스트 컴퓨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데이터 신호가 호스트 컴퓨터와 무선 통신 장치 사이에 제공됨으로써, 호스트 컴퓨터를 무선 통신 장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무선 어뎁터는 이러한 방식으로 전용 또는 범용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가능하게 연결 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무선 어뎁터와 호스트 컴퓨터는 무선 어뎁터에도 전력을 제공하는 USBTM인터페이스에 의하여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른 가능한 인터페이스는 FirewireTM, PCMCIATM, CardBusTM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무선 통신 장치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버스의 직접 전기적 커플링 오프(direct electrical coupling off), 유도 커플링, 변압기를 통한 커플링, 아이솔레이팅 변압기, 자동 변압기 또는 필터, 또는 다른 중간 전력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커플링이 본 발명의 다양일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은 경로, 전압 및 전류와 같은 전자 커플링의 일부를 제어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원 및 관련 전력 송신 라인은 제공될 수 있는 순시 및/또는 평균 전력의 양에 관하여 제한되어 있다. 이러한 한계를 초과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원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 또는 다른 장치들과 같은 부하의 전부 또는 일부분으로부터 전원의 보호적인 분리 또는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성능 보증을 제공하거나 복수 부하가 전원을 공유하도록 하기 위해, 전력을 제공하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얼마나 많은 전력이 사용가능한지와 각 디바이스 또는 인터페이스와 연결된 부하에 의해 얼마나 많은 전력이 걸려야 하는지를 명시한다. 일부 경우에는, 전력 소비는 능동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TM 2.0 장치는 5 V에서 전류가 100mA를 인입하도록 기본적으로 제한되어 있지만, 이러한 전력이 이미 다른 장치용으로 예약되지 않은 경우 5 V에서 전류 500mA까지 인입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중재 모듈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떤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있을지를 제어하는 중재 모듈을 제공한다. 중재 모듈은 전원에 의해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어, 원하는 파워 버짓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가 미리 결정된 전력 소비 요건을 준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에 의하여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의 제어는 무선 통신 모듈의 집합 상태를 가능한 집합 상태의 부분 집합으로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부분 집합은, 부분 집합에 속하는 각각의 집합 상태에 있는 모든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요구되는 총 평균 또는 순시 전력이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에 따라 미리 결정된 최대치보다 작거나 같은 조건을 충족시킨다. 예를 들어, A상태 중 하나를 각각 실행할 수 있는 N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가능한 집합 상태 A N 개가 있다. 물론, 부분집합은 M< A N 집합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M 개의 집합 상태는 미리 결정된 최대치, 예를 들어, 고전력 상태에 있는 모든 모듈의 집합 상태보다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새로운 상태를 입력하라는 요구를 받을 수 있고, 따라서 중재 모듈이 허가하거나 거부할 수 있는 새로운 집합 상태는, 새로운 상태가 상술한 허용된 부분 집합에 속하는 집합 상태 초래하는지 여부에 의존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요청은 일반적으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고전력 상태에서 저전력 상태로 천이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요청은 자동으로 허가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전력에서 저전력 상태로의 천이는 명시적인 요청 또는 실질적인 중재 활동의 요건 없이 실행될 것으로 간주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의 생성과 허가는 전자 회로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전자 회로는 부울 로직 컴포넌트, 래치 회로 등, 또는 그 조합과 같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의 사용은 실질적으로 낮은 복잡도를 가진 중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장기간 동안 허용되지 않는 집합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의 단기 작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무선 통신 모듈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고전력 상태에서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시에 허용될 수 있어서 음성 또는 데이터 세션의 끊김 없는 핸드 오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전원이 손상 없이 단기 과전류 상태를 처리할 수 있거나 전력 분배가 커패시터와 같은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결정된 기간은 전원과 전력 분배 시스템의 사양에 의해 제한될 수 있어서, 과전류 상태가 전원이 처리할 수 있는 것보다 더 장기간 유지되지 않는다. 이것은 과전류 상태 사이에 미리 결정된 복구 시간의 제공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일시적인 과전류 상태 및 복구 시간은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의 일부로 지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단기와 장기 파워 버짓 요건 모두를 충족하기 위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버짓이x mA의 단기 총 전력 인입 및 y(x> y) mA의 장기 총 전력 인입을 허용한다고 가정하자. 무선 통신 모듈의 작동을 위한 요청이 z(z <x 이지만, z> y) mA의 전력 인입을 야기한다고 더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요청은 단기간은 허가되지만, 장기간은 재평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이 지난 후, 낮은 우선순위 무선 통신 모듈은 장기 파워 버짓의 요건을 수용하기 위해 고전력 상태에서 배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은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고, 중재 모듈은 전력 증폭기의 부분 집합이 한 번에 인에이블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은 하나, 둘, 또는 그 이상 전력 증폭기가 한 번에 인에이블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전력 증폭기가 실질적으로 서로 다른 전력을 인입할 경우, 그렇게 하는 것이 파워 버짓의 전력 인입에 반하는 결과를 야기하지 않는다면, 중재 모듈은 전력 증폭기의 부분 집합이 동시에 인에이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중재 모듈은 전문 또는 범용 목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의 일부는, 예를 들어, 원하는 상태를 요구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입력 요청을 포함하는 부울 로직 네트워크로 표현될 수 있으며, 현재 상태 및 그 요청에 따라 무선 통신 모듈의 원하는 상태를 제어하는 출력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중재 모듈의 일부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 래더 로직, 수학 공식, 유한 상태 기계, 대기열 시스템 등에 의하여 다른 방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그러한 표현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울 로직 및 기타 기능은 이산 로직 칩,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s),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SICs),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PLDs), 전자적으로 삭제 가능한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메모리 (EEPROM), 플래시 메모리등과 같은 같은 메모리 컴포넌트와 같은 전용 또는 범용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구현 할 수 있다. 메모리에 있는 작업 제어를 위한 지시와 함께,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부울 로직, 유한 상태 기계, 대기열 등과 같이 중재 모듈의 일부분을 인에이블 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전력 상태에서 작동하는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저전력 상태로부터 고전력 상태로 스위치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정보를 수신하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자신이 저전력 상태로 스위치하거나,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고전력 상태로 스위칭하지 못하게 하거나, 그 조합 등을 할 수 있다.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과 같이 유사하게 작동할 수 있다. 중재 모듈은, 예를 들어 그것의 작동 규칙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로 구성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작동하는 동안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인입되는 최대 전력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데이터의 활발한 송신 및/또는 수신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적극적인 통신에 포함되어 있고,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무선 스캐닝과 같은 소극적인 작동에 포함되면, 중재 모듈은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에 제한을 부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스캐닝은 하나 이상의 순차적으로 선택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의 존재, 강도, 및/또는 내용을 결정하는 무선 리시버의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G 프로토콜에 따라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 작동은 활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반면, 4G 프로토콜에 따라 작동하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스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를 수행할 수도 있다.
전력 소비를 제한하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 제한은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증폭기에 대한 전력 공급 제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하나 이상의 최대 송신 전력 제한,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주파수 밴드의 각각에 대해 하나의 송신 파워 레벨 또는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밴드 클래스에 연관될 수 있으며, 전력 소비 제한은 이러한 최대 송신 전력 제한의 각각을 구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작동하는 동안,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휴면(dormant) 또는 대기(idle) 모드가 될 수 있다. 전력 소비 제한은 미리 결정된 파워 버짓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비 제한은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작동이 완료된 후에 제거되거나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CDMA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맥스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및 파워 버짓은, 400mA와 같은 첫 번째 상한을 초과하지 않는 총 전류 인입으로 CDMA 모듈의 작동이, 250mA와 같은 두 번째 상한을 초과하지 않는 전류 인입으로 와이맥스 모듈의 스캐닝 작동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첫 번째와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650mA의 전류 인입에 대응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집합 상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작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CDMA 모듈 총 전류 인입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통신 밴드를 위한 하나 이상의 최대 송신 파워 레벨의 한계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1013, 셀 384, 셀 777, PCS 25 PCS 1175, PCS 600과 같은 하나 이상의 밴드들은 18dBm과 같은 최대 송신 파워 레벨 수준으로 각각 제한될 수 있다. 최대 송신 파워 레벨은, 파워 버짓을 준수한다면, 각 밴드에 대해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
일 실시예에서, 송신이 요구된 경우,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증폭기는 전력 증폭기의 사양에 따라 인에이블 입력을 논리적 '1 '또는 '0' 레벨로 설정하여 먼저 인에이블된다. 무선 통신 모듈의 부분은 그 모듈에 해당하는 전력 증폭기의 인에이블 입력을 설정하도록 중재 모듈에 요청을 시작할 수 있다. 요청의 현재 상태 및 모든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은 요청을 허가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이 그들의 집합 상태가 허용된 집합 상태의 부분 집합을 벗어나는 상태로 진입하는 요청을 하면, 가장 높은 우선순위 속성을 가진 통신 모듈의 요청이 먼저 허가되고, 가능하다면, 낮은 우선순위의 요청이 선택적으로 그 뒤를 따를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는 우선순위 부여 규칙에 따라 중재 모듈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 규칙은 고정 또는 미리 프로그램되거나, 우선순위 부여 규칙을 수정하기 위한 신호를 가진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의 우선순위 부여는 선제 우선순위 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선제 우선순위 부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의 요청은, 우선순위가 낮은 무선 통신 모듈을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우선순위가 낮은 무선 통신 모듈의 희생에 의해 수용된다. 이것은 우선순위가 높은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사용 가능한 전력을 풀어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무선 통신 모듈은, 우선순위가 높은 장치의 요청 상태가 완료되면, 이전 상태를 즉시 재개할 수 있다. 허용된 단기 및 장기 작동은 파워 버짓의 측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재 모듈은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만이 한 번에 고전력 상태에 있을 수 있도록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은 한 번에 하나의 전력 증폭기만 인에이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재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보다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인에이블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우선순위가 높은 무선 통신 모듈이 중재 모듈에게 고전력 상태로 진입을 요청하고, 낮은 우선순위 모듈이 이미 고전력 상태에 있는 경우, 중재 모듈은 우선순위가 높은 요청을 허가하는 반면 낮은 우선순위를 중단하고 저전력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것은 다양한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증폭기의 인에이블을 연동시켜서 하나 이상의 전력 증폭기의 동시 작동을 방지함으로써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의 우선순위 부여는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요청의 처리가 집합 상태를 집합 상태의 허용된 부분집합을 벗어나는 결과를 초래하지만 않으면,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은 발생한 순서로 수행된다. 집합 상태가 변경되면, 이전에 차단되었던 보류중인 요청이 수행된다. 선택적으로, 보류중인 요청은 자동으로 수행되거나 이전에 차단된 요청을 한 무선 통신 모듈이 새로운 요청을 제출하도록 통지함으로써 수행된다. 보류중인 요구는 대기열에 두고 전원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자동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 방법으로, 보류중인 요청은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현재 또는 진행중인 통신 활동을 중단시키지 않으면서 추적되고 미래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요청의 우선순위 부여는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에서는, 우선순위에 상관없이, 한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이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즉각적인 중단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나, 둘 이상의 요청이 서로 다른 우선순위를 갖는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해 보류중인 때, 우선순위가 높은 요청이 우선순위가 낮은 요청보다 먼저 수행되는데, 예를 들어, 현재 서비스중인 통신 모듈이 저전력 상태로 천이할 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는 일부 경우에 선제 우선순위 부여 및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의 조합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보류중인 요청은 각각 선제적이지만, 기회가 허용될 때까지는 수행되지 않는다.
다른 우선순위 부여 방식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다중 대기열에 요청을 대기시키는 것에 기초한 우선순위 부여, 시간 공유 같은 공정성 고려를 포함한 우선순위 부여, 유한 상태 기계의 구현에 기초한 우선순위 부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단일 또는 다중 라운드 협상, 특정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 예약, 피드백 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모듈 사이의 고정 우선순위 부여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은 주로 데이터 통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모듈보다 통해 음성 통신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모듈에 우선권을 항상 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잠재적으로 시스템 관리 활동을 처리하는 무선 통신 모듈은 항상 활동의 성격이나 중요도에 따라 높거나 낮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활성화되거나 주요 통신 모듈은 대기 모드 또는 대체 통신 모듈보다 우선순위가 앞설 수 있다. 그들이 변화하려고 하지 않을 때 우선순위 부여는 중재 모듈로 '하드 와이어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모듈 사이의 구성 가능한 우선순위 부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 모듈 사이, 또는 다른 통신 프로토콜로 작동하는 무선 통신 모듈 사이의 우선순위 부여는 사용자의 선호, 위치, 시간, 배터리 레벨, 시스템 관리자 설정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 규칙은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은 어떤 무선 통신 모듈이 우선적이어야 하는지의 순서, 우선순위 부여 종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의 상태는 사용자 선호 또는 매 t초마다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통신하는 요건, 또는 특정 임계값 수준 이하로 송신하는 패킷의 대기열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한 요건 등과 같은 통신 요건에 따라서도 결정될 수 있다.
구성 가능한 우선순위 부여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은 레지스터, 메모리 위치, 하나 이상의 래치 시그널 등과 같은 우선순위 부여 상태 지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무선 통신 모듈보다 한 무선 통신 모듈의 우선순위 부여는,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는 우선순위 부여 상태 지시자에 의해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우선순위 부여를 명령하는 중재 모듈의 일부는 FPGA, PLD, EEP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그래머블 장치를 다시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중재 모듈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은 시간 변화 제어 스케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해서 작동한다. 제어 스케줄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과 관련된 동적 우선순위 부여 파라미터를 지정할 수 있다. 이것은 전력 자원의 시간 기반 공유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어 스케줄은 무선 통신 모듈 및/또는 정보 소스 또는 이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 정보 싱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이 연결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통신을 요구하는 경우, 제어 스케줄은 무선 통신 모듈이 이 주기적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어도 충분한 빈도로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어 스케줄은 무선 통신 모듈에 패킷을 제공하는 정보 소스의 정기적인 버스트 활동에 동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제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의도이며,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실시예 1:
도 3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넥터(110)를 통해 특별하거나 범용 목적의 컴퓨터일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100)에 결합된 무선 통신 장치(105)를 포함한다. USBTM 커넥터와 같은 커넥터(110)는 전기적 접속, 광 송신, 자기 유도 또는 용량성 커플링 등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데이터 경로(120)를 가진다. 커넥터(110)도 또한 전력 경로를 가지는데, 이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5)에 대한 전력이 호스트 프로세서(100)로부터, 전기적 접속을 통해 또는 자기 유도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5)의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 분배 시스템(107)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원은 호스트 프로세서 (100)에 있다.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밴드 프로세서(130), 업/다운 컨버터(140), 전력 증폭기(150), 안테나 스위치 또는 아이솔레이터(170), 및 안테나 또는 안테나 커넥터(180)를 포함하는 반면,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0), 업/다운 컨버터(210), 전력 증폭기(220), 안테나 스위치 또는 아이솔레이터(240), 및 안테나 또는 안테나 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안테나와 같은 일부 컴포넌트는, 무선 통신 모듈간에 공유될 수 있다.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한 송신을 위하여, 직렬 커넥터(110)로부터의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30)로 전달되며,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30)는 임의의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저주파 변조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변조된 신호는 업 컨버터(140)로 전달되며, 업 컨버터(140)는 변조된 신호를 송신을 위해 더 높은 주파수로 이동시킨다. 업/다운 컨버터(140)의 출력은 전력 증폭기(150)를 사용하여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는 무선 송신을 위해 안테나 스위치 또는 커플러(170)를 통해 안테나 또는 안테나 커넥터(180)로 보내진다.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송신 또한 유사하게 이루어지지만,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0), 업/다운 컨버터(210), 전력 증폭기(220), 안테나 스위치 또는 아이솔레이터(240) 및 안테나 또는 안테나 커넥터(250)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은 도 3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신호 경로를 수신(미도시) 및 수신 작동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데이터 경로(120)는 직렬 버스 허브 컨트롤러, 직렬 버스 스위치, 또는 데이터가 적합한 베이스 밴드 프로세서(130 또는 200)로 향하도록 하는 위한 라우팅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프로세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30, 200)는 각 요청 연결(160, 230)을 각각 사용하여 중재 모듈(300)로 요청을 보냄으로써 필요할 때 고전력 송신 상태를 요청하도록 구성된다. 중재 모듈은 우선순위 부여 규칙과 같은 중재 규칙에 따라 적절히 인에이블 연결(310 또는 320)을 통해 전력 증폭기(150 또는 220)중 하나를 인에이블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되는, 인에이블 신호와 같은 신호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것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직 신호는 논리적 '0' 또는 '1' 상태를 나타내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 V 이상의 전압 레벨은 논리적 '1' 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반면, 2 V 이하 전압 레벨은 논리적 '0'을 나타낼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재 모듈(303)의 표현을 도시한다. 중재 모듈(303)은 또 다른 무선 통신 모듈보다 고정 선제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디지털 로직을 포함한다. 입력(163 또는 233)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각각으로,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를 인에이블시켜서 고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요청을 나타낸다. 출력(313 또는 323)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 신호 연결(163)은, 논리적 레벨 '1'로 설정되면,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인에이블 연결(323)을 논리적 레벨 '0'으로 강제하여 디스에이블 시킨다. 그러므로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보다 선제 우선순위를 가진다. 많은 로직 회로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 셀과 같은 일반적인 목적의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들을 포함한, 동일한 로직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중재 모듈(304)의 표현을 도시한다. 중재 모듈(304)은 무선 통신 모듈에 대한 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이 우선순위 구성 입력(400)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는 디지털 로직을 포함한다. 우선순위 구성 입력(400)은, 논리적 레벨 '0'로 설정되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우선순위를 갖도록 한다. 이 경우, 중재 모듈은 실시예 2와 비슷하게 작동한다. 즉, 입력(164 또는 234)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각각으로,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를 인에이블시켜서 고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요청을 나타낸다. 출력(314 또는 324)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4에서 나타내듯이,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 신호 연결(164)은, 논리적 레벨 '1'로 설정되면,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인에이블 연결(324)을 논리적 레벨'0'으로 강제하여 디스에이블 시킨다.
도 5를 계속 참조하면,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이 논리적 레벨 '1 '로 설정될 때,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은 첫 번째보다 우선권이 주어지므로, 만약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 신호 연결(234)이 논리적 레벨 '1 ' 설정된 경우, 첫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의 인에이블 연결(314)은 논리적 레벨 '0'으로 강제하여 디스에이블 된다. 이 경우 중재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의 우선순위가 반대는 것을 제외하고 예제 2와 비슷하게 작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400)은 베이스밴드 프로세서(130), 베이스밴드 프로세서(200) 또는 데이터 경로(120)와 연결된 라우팅 프로세서(미도시)로부터 발생할 수 있다. 우선순위 부여 구성 입력(400)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호스트 컴퓨터 (100)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으므로, 실시간 음성 또는 비디오 데이터와 같이, 가장 시간에 민감한 데이터를 가진 무선 통신 모듈에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다른 로직 회로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 셀과 같은 일반적인 목적의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들을 포함한, 동일한 로직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재 모듈은 우선순위 인코더(410)와 선제 우선순위 부여를 구현하기 위한 어드레스 디코더(420)를 포함한다. 우선순위 인코더(410)은 표준 74148 집적 회로 8:3우선순위 인코더로 도시되어 있는데, 우선순위 인코더는 이것의 입력으로서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최대 7개의 요청 라인을 가진다. 74148 우선순위 인코더는 네거티브 로직을 이용하므로, 요청은 무선 통신 모듈이 논리적 '0' 또는 낮은 레벨로 요청 라인을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선순위 인코더(410)의 세 출력 라인 A0, A1, A2는 논리적 '0 '을 구동된 최상위 번호 입력에 해당하는 인버트 3 비트 값을 나타낸다. 세 출력 라인 A0, A1, A2는 표준 74138 집적 회로 3:8 어드레스 디코더(420)의 입력 A0, A1, A2와 연결된다. 어드레스 디코더는 입력의 조합에 따라 논리적 '0'을 하나의 출력에 출력하며, 또한 네거티브 로직을 이용한다. 이 경우, 출력 라인 0은 인에이블 신호 라인 7, 출력 라인 1은 인에이블 신호 라인 6 에 연결된다. 인에이블 신호 라인은 상응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요청된 고전력 상태로 진입할 수 있도록 인에이블하는데 이용되며, 논리적 '0' 레벨은 상기 상태가 인에이블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은 우선순위 인코더와 호환 가능한 어드레스 디코더 또는 본 발명에 따라 중재 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회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다른 형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7은 본 발명의 구현에 따라 중재 모듈(306)의 또 다른 표현을 도시한다. 중재 모듈(306)은 래치 회로 또는 바이스테이블 멀티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한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를 제공하는 디지털 로직을 포함한다. 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입력(166 또는 236)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각각으로,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를 인에이블시켜서 고전력 상태에 진입하는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요청을 나타낸다. 출력(316 또는 326)에서 논리적 레벨 '1 '은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진입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인에이블 출력이 모두 논리적 레벨 '1'이 아닌 때 요청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면, 그 요청은 허가된다.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요청 입력이 논리적 레벨 '1'일 때 요청이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동시에 생성되면, 그 요청은 이전에 존재하는 요청 입력이 논리적 레벨 '0'으로 돌아갈 때까지 차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150 또는 220)(도 3에 도시됨)가 인에이블되면, 디스에이블될 때까지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많은 로직 회로가,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 셀과 같은 일반적인 목적의 전자장치를 사용하는 것들을 포함한, 동일한 로직 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6
도 8A와 8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작동하는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8A는 방법(7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떤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있을지를 제어하는 것은 지연 기능(705)의 이용을 포함하며, 지연 기능(705)은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상태를 변경하는 새로운 요청을 대기한다. 이러한 요청에 의해 실행되면(708), 무선 통신 모듈의 집합 상태는 미리 결정된 중재 원칙(710)에 따라 업데이트 된다. 방법은 새로운 요구를 대기하기 위해 복귀한다(709). 본 예에서, 요청의 감지는 단 하나의 요청만 한 번에 발생하기에 충분히 미세한 시간 스케일에서 수행된다고 일반적으로 가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필요한 경우 한 번에 여러 개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한 요청은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이 작동 상태에 변경을 요구하는 것을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은 파워다운 상태, 대기 상태, 수신 전용 상태, 저전력 송신/수신 상태, 중간전력 송신/수신 상태, 및 고전력 송신/수신 상태 중 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각 무선 통신 모듈의 유사한 상태는 반드시 동일한 전력량을 인입하지 안을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리 결정된 중재 규칙(710)의 구현을 도시한다. 상태를 변경하는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의 새 요청(708)은 먼저 평가되어(715) 요청을 허가하면 전원에서 인입되는 전력량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대기상태 또는 수신전용상태로부터 송신/수신 상태로 진입한다는 요청은 전력 인입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송신/수신 상태에서 대기상태 또는 수신 전용 상태로 복귀한다는 요청은 전력 인입을 감소한다. 요청이 전력 증가로 보이면, 평가(720)가 수행되어 파워 버짓을 준수하면서 요청을 허가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이 저전력 상태에 있다면 요청은 미리 결정된 최대 전력 인입을 초과하지 않는 선에서 허가될 가능성이 높다. 파워 버짓에 따라 요청의 허가가 가능하면, 요청은 허가되고(725) 방법은 경로(709)를 통해 지연 기능(705)으로 복귀한다.
도 8B를 계속 참조하면, 만약 현재 요청(708)이 파워 버짓 범위를 벗어나는 전력 증가를 초래하면, 현재 요청과 현 집합 상태가 검사되어(730) 선제 우선권이 적용될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현재 요청(708)을 시작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현재 저전력 상태가 아닌 다른 무선 통신 모듈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하나 이상이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을 저전력 상태로 강제하는 것이 현재 요구(708)가 파워 버짓 내에서 수행되도록 한다면, 현재 요구(708)는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에 선제하도록 하여 허가된다(735). 어느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을 선제할지를 결정하는 것은 선택적으로 우선순위 부여, 협상, 스케줄링, 공정 조건의 적용, 또는 기타 작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활동을 방해받은 무선 통신 모듈은 그들의 활동을 가능한 빨리 재개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새로운 요청이 자동적으로 대기열에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단계 730에서, 선제 우선순위가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되면, 현재 요구(708)는 거부되거나 대기열에 들어감으로써, 미래에, 예를 들어, 더 많은 전력 용량이 가능해지면(740), 재평가될 수 있다. 이후에, 방법은 경로(709)를 통해 지연 기능(705)으로 복귀한다.
도 8B을 계속 더 참조하면, 만약 단계 715에서 평가된 요청(708)이 전력 감소를 야기한다고 간주 된다면, 이 경우 파워 버짓이 초과되지 않기 때문에 요청은 허가된다(750). 이 전력 감소는 다른 보류중인 요구(만약 요구가 있는 경우)가 허가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 원칙에 의해 이전에 거부된 요청 또는 예를 들어 단계 735에서와 같은 중단된 활동은 하나 이상의 대기열에 유지되고 미리 결정된 순서로 평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법은 다른 요청들이 보류 또는 대기열에 들어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제공한다(755). 만약 다른 보류중인 요청이 없는 경우, 방법은 경로(709)를 통해 지연 기능(705)으로 복귀한다. 만약 보류중인 요청이 있으면, 우선순위가 부여되고 중재된다(760). 예를 들어, 보류중인 요청은 도 8B에 묘사된 바와 같이 단계 710의 또 다른 재귀 또는 중첩된 시리즈에 의하여 중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류중인 요청은 전력 감소 초래할 다른 요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청은 즉시 허가된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보류중인 요청은 평가될 수 있으며, 단계 760에서 허가될 수 있다. 이후에 방법은 경로(709)를 통해 지연 기능(705)으로 복귀한다.
실시예 7
도 9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작동하는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세 개의 무선 통신 모듈에는 미리 결정된 우선순위 부여 규칙(810)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모듈 1은 무선 통신 모듈 2와 3 보다 선제 우선권이 주어진다. 무선 통신 모듈 2와 3은 서로에 대하여 선입선출 우선권에 따라 작동한다. 각각의 무선 통신 모듈은 저전력 대기 상태 S와 고전력 송신/수신 상태 T에서 작동할 수 있다. 파워 버짓은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만이 한 번에 송신/수신 상태 T에서 작동할 수 있다. 집합 상태는 (S,T,S)와 같이 순서쌍으로 표현되며,순서쌍의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요소는 무선 통신 모듈 1, 2, 3의 상태를 각각 표현한다. 모듈마다 둘 이상의 상태를 포함하며, 복수 모듈이 고전력 상태에 있을 수 있는 것과 같은 다른 변형도 고려될 수 있다.
도 9를 계속 참조하면, 우선순위 부여 규칙(810)은,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어느 것을 고전력 송신/수신 상태에 있도록 제어하는데 유용한 상태 천이 테이블(850)로 인코딩될 수 있다. 테이블(850)의 각 열은 현재 집합 상태를 나타내는 반면, 각 행은 가능한 후속 집합 상태를 나타낸다. 테이블에서 '1' 엔트리는 해당 열의 집합 상태에서 해당 행의 집합 상태로의 전환이 허용됨을 나타내는 반면 '0' 엔트리는 천이가 금지됨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 2 대기 모드로 전환하면 상태 (S, T, S)는 상태 (S, S, S)로 천이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 2에 선제하는 무선 통신 모듈 1이 송신/수신 모드로 진입하면, 상태 (S, T, S)도 상태 (T, S, S)로 천이할 수 있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테이블(850)은 집합 상태의 지시된 그래프를 위한 인접 행렬로 간주될 수도 있다. 본 예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상태를 한 번에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두 개 이상의 모듈이 동시에 상태 사이의 천이를 시도하면, 미리 정의된 시퀀스로 천이를 수행하거나 다른 충돌 해결 방법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추가적인 중재가 요구 될 수 있다.
실시예 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재 모듈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선 통신 모듈은 송신기 및 수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010, 1020)를 포함한다. 송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010)는 송신될 인코딩되거나 인코딩 되지 않은 데이터 스트림(1015)을 처리하고, 무선 통신 모듈에 설정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인코딩된 신호를 제공한다. 스트림(1015)은 예를 들어 외부 정보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통신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로서 내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010)부터의 인코딩된 신호는 RF 믹서, 필터 등 같은 무선 주파수 (RF) 전자장치(1030)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전자장치(1030)의 추가 처리된 출력은 RF 전력 증폭기(1040)에 의해 증폭되고 안테나 모듈(1050)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신된다. 안테나 모듈(1050)은 저잡음 증폭기(1060)에 의해 증폭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증폭된 수신 신호는RF 믹서, 필터등과 같은 RF 전자장치(1070)에 의해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다음으로 수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020)에 제공되며,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신호를 디코딩하여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1025)을 제공한다.
도 10은 중재 모듈(1080)을 더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중재 모듈(1080)은 최소한의 RF 전력 증폭기(104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전자장치(1010, 1020, 1030, 1070, 1060) 및 앰프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컴포넌트에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은 전력 경로(1012, 1022, 1032, 1042, 1062, 1072)에 의해 컴포넌트(1010, 1020, 1030, 1040, 1060, 1070)에 각각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RF 전력 증폭기는 중재 모듈(1080)에 의한 제어 가능한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하는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RF 전력 증폭기(1040)는,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인입되는 제어 가능한 전력을 초래하는, 전력 경로(1042)로부터 가변 전력을 소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컴포넌트는 실질적으로 고정되거나, 제어가능하게 가변적인 전력을 인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증폭기(1040)와 같은 컴포넌트가 저전력 상태일 때, 무선 송신은 디스에이블된다. 이 경우에, 송신이 디스에이블되면, 데이터 스트림(1015)은 제어 가능하게 중단되거나 버퍼링된다. 중재 모듈(1080)은 하나 이상의 다른 무선 통신 모듈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음으로써,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로 전달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9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하나 이상의 무선 통신 모듈의 무선 통신 컴포넌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 중재 모듈(118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무선 통신 컴포넌트의 첫 번째 집합은 무선 송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송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110), RF 전자장치(1130) 및 RF 전력 증폭기(1140)를 포함한다. 송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110)는 송신될 인코딩되거나 인코딩되지 않은 데이터 스트림(1115)을 처리하고, 무선 통신 모듈에 설정된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인코딩된 신호를 제공한다. 스트림(1115)은 예를 들어 외부 정보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통신 세션을 유지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로서 내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자장치(1110)부터의 인코딩된 신호는 RF 믹서, 필터 등 같은 무선 주파수 (RF) 전자장치(1130)를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처리된다. 전자장치(1130)의 추가 처리된 출력은 RF 전력 증폭기(1140)에 의해 증폭되고 전용 또는 공용 안테나를 사용하여 무선으로 송신된다.
수신을 위하여, 예를 들어 RF 전력 증폭기(1140)에 공유되는 전용 또는 공유 안테나는 저잡음 증폭기(1160)에 의하여 증폭된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 증폭된 수신 신호는 RF 믹서, 필터 등과 같은 RF 전자장치(1170)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다음으로 수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120)에 제공되며,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신호를 디코딩하여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1125)을 제공한다.
송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110), RF 전자장치(1130) 및 RF 전력 증폭기(1140)는 무선 통신 모듈의 일부이다. 수신기 신호 처리 전자장치(1120), RF 전자장치(1170) 및 저잡음 증폭기(1160)는 동일한 무선 통신 모듈 또는 다른 무선 통신 모듈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중재 모듈(1180)은 RF 전력 증폭기(1140) 및 저잡음 증폭기(116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중재 모듈(1180)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장치(1110, 1120, 1130, 117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전력은 전력 경로(1112, 1122, 1132, 1142, 1162, 1172)를 통해 각 컴포넌트(1110, 1120, 1130, 1140, 1160, 1170)에 각각 공급된다.
RF 전력 증폭기(1140)는 중재 모듈(1180)에 의한 제어 가능한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하는 저전력 상태와 고전력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RF 전력 증폭기(1140)는, RF 전력 증폭기(1140)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인입되는 제어 가능한 전력을 초래하는, 전력 경로(1142)로부터 가변 전력을 소비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른 컴포넌트는 실질적으로 고정되거나, 제어가능하게 가변적인 전력을 인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1160)는 가변 전력을 소비하도록 구성되거나, 충분한 전력이 부족하면 턴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RF 전력 증폭기(1140)와 같은 컴포넌트가 저전력상태에 있을 경우, 전력은 저전력 증폭기(1160)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다른 컴포넌트 및 연관된 저잡음 증폭기(116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중재 모듈(1180)은, 바람직한 파워 버짓을 준수하면서, 무선 송신에 사용될 전력의 적어도 일부를 전환하도록 동작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무선 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10
도 1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중간 버퍼 또는 대기열(1220)를 통해 무선 통신 모듈(1230)에 의해 송신될 데이터 패킷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정보 소스(121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정보 소스(1210)는 탑재된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대기열(1220)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이나 무선 통신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대기열(1220)은,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되거나 제어 가능한 속도로 대기열에서 데이터 패킷을 내보냄으로써, 정보 소스(1210)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 패킷을 규제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중재 모듈(1240)은 정보 소스(1210), 대기열(1220), 무선 통신 모듈(1230)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1240)은 요청을 나타내는 정보 소스(1210)로부터의 신호 또는 무선 통신 모듈(1230)이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지시에 반응할 수 있다. 중재 모듈(1240)은 정보 소스로부터의 데이터 패킷 흐름에 영향을 주는 신호를 정보 소스(12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중재 모듈(1240)은 대기열(1220)의 길이와 패킷 유입 및 유출율을 모니터링하거나 유출 속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중재 모듈(1240)은 무선 통신 모듈(1230)의 작동을 모니터링하고, 모듈이 저전력 상태인지 고전력 상태인지를 제어한다.  각 컴포넌트(1210, 1220, 1230) 및 무선 통신 모듈의 다른 컴포넌트의 제어 및 모니터링은 복수 시스템 컴포넌트의 원하는 상호 동작이 가능하도록 독립적일 수 있다.
실시예 11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입력 및 출력과 동작 가능하게 결합한 중재 모듈(1300)을 도시한다. 이러한 입출력의 전체 또는 일부는 다양한 실시예로 제공될 수 있다. 잠재적인 중재 모듈 입력은 대기열 크기 측정(1320), 송신 요청 또는 통지와 같은 정보 소스 입력(1325), 사용자 선호와 같은 프로그래머블 설정(1330), 서로 다른 무선통신 모듈을 사용하는 서로 다른 통신 세션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규칙과 같은 우선순위 부여 설정(1335)을 포함한다. 잠재적인 중재 모듈 출력은 무선 통신 모듈 제어(1350), 정보 소스 제어 또는 메시지(1355), 및 대기열 설정 제어(13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를 들어 예 2 내지 5에서 설명된 것에 관한 중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재 모듈의 캐스캐이드 스테이지(cascaded stage), 병렬 및/또는 상호 연결된 중재 모듈부분 등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비록 여기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만 예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컴퓨터 및/또는 펌웨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기계에 의해 판독가능한 신호를 저장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프로그램 요소, 또는 반도체 메모리, 게이트 어레이, 양자 인터페이스 장치, 자기 또는 광학 크리스털, 테이프 또는 디스크 등과 같은 프로그램 저장 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 및/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따른 컴포넌트를 구축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의 일부는 본 발명이 범용 OS 및/또는 범용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비범용 OS를 이용하여 작동하도록 구현하는 것 및/또는 비범용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방법의 각 단계는 개인용 컴퓨터, 서버 등과 같은 범용 컴퓨터, 또는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고, 하나 이상, 또는 하나 이상의 일부, 프로그램 요소, 모듈 또는 C, 어셈블러, C++, JAVA, PL/1 등과 같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부터 생성된 오브젝트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각 단계, 또는 각 단계를 구현하는 파일 또는 오브젝트 등은 그 목적을 위해 설계된 전용 하드웨어 또는 회로 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대한 실시예는 예시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한 현재 또는 미래의 변경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난 것으로 간주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자명한 모든 수정도 후술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의도되어졌다.

Claims (38)

  1. a) 저전력 상태 및 고전력 상태를 각각 갖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b)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 전원; 및
    c)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중재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의 제어는 상기 고전력 상태에 있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자장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인에이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은 전력 증폭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무선 수신 및 무선 스캐닝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동만 작동 가능한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상태를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중 적어도 하나는 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및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 규칙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구성 입력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구성 입력은 하나 이상의 통신 요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호스트 컴퓨팅 장치에 연관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어댑터에 연관되며, 상기 호스트 컴퓨팅 장치와 상기 무선어댑터는 USBTM인터페이스, FirewireTM,인터페이스, PCMCIATM인터페이스 및 CardBusTM인터페이스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무선 통신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집합 상태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하나 이상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응답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상기 응답을 생성하는 부울 로직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하나 이상의 래칭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시변 제어 스케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더 제어하는 무선 통신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재 모듈은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을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소비를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소비의 제한은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 대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의 제한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18.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에 연관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적어도 저전력 상태 및 고전력 상태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 및
    b)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고전력 상태에 있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자장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인에이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저전력 상태에서, 무선 수신 및 무선 스캐닝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작동만 작동 가능한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1. 삭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에 기초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중 적어도 하나는 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및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 규칙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통신 요건 및 파워 버짓 요건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건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순위 부여 규칙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집합 상태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요청에 대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포함하는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스케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소비를 제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력 소비를 제한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통신 주파수 대역에 연관된 하나 이상의 최대 송신 전력 레벨을 제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29.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작동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고전력 상태에 있는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의 전자장치의 미리 결정된 부분을 인에이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유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에 기초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우선순위 부여 규칙 중 적어도 하나는 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비선제 우선순위 부여 규칙, 및 선입선출 우선순위 부여 규칙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통신 요건 및 파워 버짓 요건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요건에 기초하여 상기 우선순위 부여 규칙을 구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집합 상태를 변경하는 하나 이상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요청에 대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응답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6. a) 저전력 상태 및 고전력 상태를 각각 가지고, 트랜시버로서 동작하는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여기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함-;
    b)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 전원; 및
    c)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중재 모듈;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37.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에 연관된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트랜시버로서 동작하고, 저전력 상태 및 고전력 상태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를 가지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됨-; 및
    b)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원하는 파워 버짓 내에서 복수의 무선 통신 가능 출력을 제공하는 방법.
  38.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을 작동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전원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고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중 저전력 상태에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전원에 의해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에 전달되는 총 전력을 파워 버짓내에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여기서, 상기 복수의 무선 통신 모듈 각각은 트랜시버로서 동작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의 적어도 하나는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함-;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17021873A 2009-02-23 2010-02-23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KR101345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467709P 2009-02-23 2009-02-23
US61/154,677 2009-02-23
PCT/CA2010/000217 WO2010094119A1 (en) 2009-02-23 2010-02-23 Apparatus providing plural wireless transceivers within a desired power budget and associate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383A KR20110132383A (ko) 2011-12-07
KR101345220B1 true KR101345220B1 (ko) 2013-12-26

Family

ID=42631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873A KR101345220B1 (ko) 2009-02-23 2010-02-23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91932B2 (ko)
KR (1) KR101345220B1 (ko)
WO (1) WO2010094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4055B1 (en) 2004-05-15 2011-09-20 Sonos,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mplifiers
US8379548B1 (en) * 2009-03-06 2013-02-19 Qualcomm Incorporated Architecture for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multiple protocols in a wireless device
JPWO2010113453A1 (ja) * 2009-04-02 2012-10-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送受信回路、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送受信方法
JP5784588B2 (ja) * 2009-05-07 2015-09-2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移動通信デバイスの電力消費管理
US9256265B2 (en) 2009-12-30 2016-02-09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rtificially and dynamically limiting the framerate of a graphics processing unit
US9830889B2 (en) 2009-12-31 2017-11-28 Nvidia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 for artifically and dynamically limiting the display resolution of an application
TWM385871U (en) * 2010-01-06 2010-08-01 Azurewave Technologies Inc Universal-searial-bus-compatible apparatus
US8792930B1 (en) 2010-01-22 2014-07-29 Amazon Technologies, Inc.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transmissions
US8989792B1 (en) 2010-01-22 2015-03-24 Amazon Technologies, Inc. Using inertial sensors to trigger transmit power management
US20110223963A1 (en) * 2010-03-12 2011-09-15 Quantance, Inc. Maximum transmit power controller
US8839006B2 (en) 2010-05-28 2014-09-16 Nvidia Corporation Power consumption reduction systems and methods
US8762761B2 (en) * 2010-12-10 2014-06-24 Nvidia Corporation Engine level power gating arbitration techniques
US8980174B2 (en) * 2011-05-13 2015-03-17 Bactriblu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unt of infectious agents in intravenous access system
US10326309B2 (en) * 2011-05-13 2019-06-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system comprising power transmitter and power receiver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power of the apparatuses
US20130031392A1 (en) * 2011-07-29 2013-01-31 Mclane William J Usb device side wake-up for pow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WO2013049938A1 (en) * 2011-10-04 2013-04-11 Sierra Wireless, Inc. Electronic components accommodated by a cavity of the current pcm or by a cavity of the adjacent pcm to minimize height of cavities
US8774742B2 (en) 2012-01-18 2014-07-08 Qualcomm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transmitter
EP2984762A4 (en) * 2013-04-09 2016-12-07 Sierra Wireless Inc INTEGRATED RADIOCOMMUNICATION MODULE
US9887767B2 (en) * 2013-05-01 2018-02-06 Maxlinear, Inc. Hot-swappable hardware for wireless microwave links
US9197179B2 (en) * 2013-08-30 2015-11-24 Broadcom Corporation Low voltage transmitter
US9244516B2 (en) 2013-09-30 2016-01-26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using standby mode in a mesh network
US9629104B2 (en) 2013-11-27 2017-04-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ient-side scheduling for media transmissions according to client device states
US10117196B2 (en) * 2015-08-26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configurable apparatus for operating within the current capabilities of the power source
WO2017034055A1 (ko) * 2015-08-27 2017-03-02 전자부품연구원 유/무선 공유기의 모드 전환 방법
KR102419492B1 (ko) * 2017-03-28 2022-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US10871992B2 (en) * 2018-05-30 2020-12-2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Level two first-in-first-out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759A (en) 1997-09-15 2000-08-15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wer supply system for a packet-switched radio transmitter
DE69829650T2 (de) 1997-12-12 2006-02-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US6178514B1 (en) 1998-07-31 2001-01-23 Bradley C. Woo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device to a bus carrying power and a signal
US6377784B2 (en) 1999-02-09 2002-04-23 Tropian, Inc. High-efficiency modulation RF amplifier
US6894988B1 (en) 1999-09-29 2005-05-17 Intel Corporation Wireless apparatus having multiple coordinated transceivers for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US6600726B1 (en) 1999-09-29 2003-07-29 Mobilian Corporatio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US6990082B1 (en) 1999-11-08 2006-01-24 Intel Corporation Wireless apparatus having a transceiver equipped to support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US6891857B1 (en) 1999-09-29 2005-05-10 Intel Corporatio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proactive reduction of interference
AU7622200A (en) 1999-09-29 2001-04-30 Mobilian Corporation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quality of service considerations
JP3430119B2 (ja) * 2000-04-17 2003-07-28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
JP2001345731A (ja) 2000-06-06 2001-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モード携帯電話端末
US20030081579A1 (en) * 2001-10-29 2003-05-01 Sierra Wireless, Inc., A Canadia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a network data device to a digital network
US7190679B2 (en) 2002-05-16 2007-03-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rbitrating transmit events in a multimode communication device
US7321755B2 (en) * 2002-07-31 2008-01-22 Broadcom Corporation Dual-mode clock for improved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US7308611B2 (en) 2002-10-11 2007-12-11 Agil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power cycling of a wireless modem
US7106569B2 (en) 2002-11-27 2006-09-12 Sierra Wireless, Inc. Adaptive current limiter for wireless modem
JP3828892B2 (ja) * 2003-03-19 2006-10-04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高周波無線機
DE602004001684T2 (de) 2003-03-27 2007-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system zur leistungsersparnis in einem sender und sender
US7343175B2 (en) 2003-05-16 2008-03-11 Sierra Wireless, Inc. Peak current control in wireless network interface devices
US7502601B2 (en) 2003-12-22 2009-03-10 Black Sand Technologies, Inc. Power amplifier with digital power control and associated methods
KR100651843B1 (ko) * 2005-08-02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에 의한 통신모듈 제어 기능을 갖는 이중모드단말기와 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70060089A1 (en) 2005-09-12 2007-03-15 James Owen Wi-Fi network locator with directional antenna and wireless adaptor
TWI324462B (en) 2005-12-20 2010-05-01 Via Tech Inc A control method for producing a ramp of output power and a transmitter utilizing the same
US20080032643A1 (en) * 2006-07-20 2008-02-07 Sierra Wireless, Inc. A Canadian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put voltages to power amplifiers
US20080102765A1 (en) 2006-10-29 2008-05-0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Wireless Adaptor Power Control
KR100943621B1 (ko) 2006-12-11 2010-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US8359022B2 (en) 2006-12-29 2013-0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ordination of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7881682B2 (en) * 2007-01-29 2011-02-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module power limit
JP2009124896A (ja) * 2007-11-16 2009-06-04 Oki Semiconductor Co Ltd 電子機器、遠隔操作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CN101291487A (zh) * 2008-05-26 2008-10-22 嘉兴闻泰通讯科技有限公司 手机上低功耗的mp3播放方法
CN101360075B (zh) * 2008-09-12 2011-02-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组网关及节省功耗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16524A1 (en) 2010-08-26
WO2010094119A1 (en) 2010-08-26
US8391932B2 (en) 2013-03-05
KR20110132383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220B1 (ko) 원하는 파워 버짓내에서 복수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
EP3609049B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US9942851B2 (en) Dynamic power management in a wireless device
US10423205B2 (en) Voltage transition control for USB power delivery sources
CN108337695B (zh) 一种终端能力上报方法、基站及终端
JP5805855B2 (ja) マルチモードワイヤレスデバイスにおける温度に応じたエアリンクの選択
US20060069934A1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of data between processors
US8661281B2 (en) USB HUB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8170624B1 (en) Enhanced host sleep for WLAN devices
US20130212408A1 (en) Regulating a clock frequency of a peripheral
CN113966568A (zh) 具有集成功率和热管理的usb集线器
JP2023099071A (ja) エアロゾル送達デバイス、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9596341B2 (en) Smart card and mobile device using parameters included in an ATR signal and a terminal capabilities signal to indicate whether a maximum power supply value for the smart card can be renegotiated
US20040003311A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US10001830B2 (en) Input-output device management using dynamic clock frequency
WO2014089984A1 (zh) 一种终端及其实现功率自适应的方法
EP2918063B1 (en) Batching communication events
KR101220295B1 (ko) 이기종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전환을 통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방법
US20090034415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US20140327418A1 (en) Extended Current Capability for Power Sourcing Equipment
CN110971723A (zh) 一种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