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139B1 -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139B1
KR101345139B1 KR1020070103199A KR20070103199A KR101345139B1 KR 101345139 B1 KR101345139 B1 KR 101345139B1 KR 1020070103199 A KR1020070103199 A KR 1020070103199A KR 20070103199 A KR20070103199 A KR 20070103199A KR 101345139 B1 KR101345139 B1 KR 101345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channel gain
packet
relay node
rout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719A (ko
Inventor
권태수
김영두
김응선
이용훈
정세영
유희정
신원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10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139B1/ko
Priority to US12/166,875 priority patent/US8411611B2/en
Priority to JP2008177328A priority patent/JP5280756B2/ja
Priority to CN2008102127779A priority patent/CN101409678B/zh
Publication of KR20090037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32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for defining a routing cluster membershi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각각의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라우팅, 기회적(Opportunistic) 라우팅, 라우팅 영역

Description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METHOD FOR ROUTING IN AD-HOC NETWORK, AND APPARU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의 전송 경로 설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송될 패킷의 허용 가능한 지연 시간 및 노드 간 채널상태를 기초로 패킷의 전송 경로를 결정함으로써, 패킷의 전송 경로를 최적화 할 수 있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한 기반 망의 도움 없이 노드들 간의 멀티 홉 라우팅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은 대역폭이 제한되고 낮은 에너지의 사용이 요구된다.
무선 네트워크, 특히 애드혹(ad-hoc)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프로토콜은 소스(source) 노드로부터 목적(destination) 노드까지의 효율적인 패킷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라우팅 방법은 소스 또는 릴레이(relay) 노드로부터 패킷을 받은 노드 중 목적 노드에 가장 가까운 노드가 다음 홉에서의 송신 노드가 되어 패킷을 포워딩(forwarding)하는 것이다. 상기한 라우팅 방법은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노드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총 홉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라우팅 방법은 네트워크 내에 복수의 소스 노드 - 목적 노드 쌍(S-D pair)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패킷 전송 경로간의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소스 노드는 모적 노드에 가까운 노드 중 보다 많은 노드가 전송 패킷을 성공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더 높은 송신 전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라우팅 방법은 전력이 제한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적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멀티 홉 기반 애드 혹 네트워크의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서 패킷을 릴레이하는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기회적인(Opportunistic)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패킷 지연을 고려하여 홉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홉수에 따라서 라우팅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간섭에 강하고 송신 전력의 조정이 가능한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는 패킷 지연과 송신 전력간에 효율적인 트레이드 오프를 제공할 수 있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각각의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미리 설정된 홉수 N은 전송될 패킷에 대하여 허용 가능한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N-1개의 라우팅 영역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r) 및 전송될 패킷에 대한 홉 거리(d)의 비 r/d는 0보다 크고 0.5보다 작은 임의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는,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 릴레이 노드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각 노드로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 값 이상인 노드를 다음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1개의 라우팅 영역 중 목적 노드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패킷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 노드가 상기 목적 노드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각 노드로 RTS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RTS 신호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 값 이상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노드 들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인 노 드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노드 들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대응하는 백-오프 타임에 따라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TS 메시지를 가정 먼저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장치는, 전송 패킷에 허용되는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홉 수를 결정하는 소스 노드,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이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로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이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제2 릴레이 노드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네트워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드-혹 네트워크는 n개의 노드가 랜덤(random)하게 분포한다. 상기 애드-혹 네트워크는 n보다 작거나 같은 수의 S-D pair 가 랜덤하게 존재한다. 도 1에서 소스 노드 1 - 목적 노드 1 및 소스 노드 2 - 목적 노드 2는 멀티 홉 통신에 의한 라우팅 예를 나타낸다. 각 S-D pair 당 채널 용량(capacity)은 노드 수 n에 관계 없이 일정한 것으로 가정한다.
하기 설명에 있어서, 애드-혹 네트워크의 채널 모델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적용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2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3
를 만족하는 레일리(Rayleigh) 페이딩 채 널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4
는 경로 손실 지수(path loss exponent)로써 2보다 큰 값이라 가정한다. 한편, 채널 상태 정보는 소스 노드와 같은 송신단에서는 모르고, 수신단에서 측정 가능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region)을 설정하는 단계(S201) 및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각각의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S203)를 포함한다.
상기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S201)에서, 홉 수 N은 전송될 패킷에 대하여 허용되는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소스 노드에서 설정된다. 이때, 전송될 패킷에 대하여 허용 되는 지연시간은 시스템 용량, S-D pair 당 평균 전송 전력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될 패킷에 대하여 허용되는 지연 시간이 짧을수록 홉 수는 적게 설정된다.
상기 라우팅 영역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노드(301)와 목적 노드(309)사이에 설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각각의 라우팅 영역(303, 305, 307)은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노드(301)는 인접한 라우팅 영역(303) 안에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인 노드 중 어느 하나의 노드를 첫 번째 홉에서의 패킷 수신 노드로 결정한다. 상기 첫 번째 홉에서의 패킷 수신 노드는 결국 다음 홉(두 번째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가 된다. 또한 두 번째 홉에서 결정된 릴레이 노드는 인접한 라우팅 영역(305) 안에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인 노드 중 어느 하나를 다음 홉(세 번째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하나의 라우팅 영역 내에서 채널 이득이 우수한 노드를 릴레이 노드로 선택함으로써, MUD(Multi User Diversity)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때, MUD 이득은 상기 라우팅 영역(303) 내의 노드 개수의 대수(logarithm)와 같다.
상기 설정된 라우팅 영역(303,305,307,309) 내에 충분히 많은 노드가 존재하면, 채널 이득이 높은 노드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노드는 채널 이득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신 전력의 감소는 더 많은 S-D pair를 수용할 수 있고, 전체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 노드(309)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307)은 상기 목적 노드(309)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인 노드를 릴레이 노드(311)로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목적 노드(309)로부터 두 홉 전의 릴레이 노드는 라우팅 영역(307)내의 릴레이 노드(311)로 패킷을 전송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우팅 영역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라우팅 영역은 스퀘어(square)로 설정 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 라우팅 영역의 크기는 하기 수학식 2에 관련된다.
[수학식 2]
r =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5
d (여기서, 0<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6
<1/2)
상기 수학식 2에서, r은 라우팅 영역(403)의 중심(x1, y2)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d는 홉 거리이다. 상기 d 및 r은 네트워크의 요구 조건에 따라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d는 패킷 전송 노드(소스 노드 또는 릴레이 노드)(401)에서 인접 라우팅 영역(403) 내의 릴레이 노드까지의 거리 또는 이전 라우팅 영역의 중심(x0, y0)에서 다음 라우팅 영역의 중심(x1, y2)까지의 거리이다.
이때, 인접한 노드로의 홉핑(hopping)은 큰 간섭을 야기하기 때문에 r은 d에 비하여 충분히 작은 값이 되도록 설정한다. 상기 홉 거리 d는 r에 비하여 충분히 큰 값이기 때문에, 상기 d는 매 홉 당 동일한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는 GPS 장치에 의하여 자신의 코디네이트(coordinate) 정보를 알고 있다. 따라서, 각 노드는 어떤 라우팅 영역에 속하는지 여부와 상기 d 및 r에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다.
상기 소스 노드(301) 및 각각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홉 거리를 크게 설정하면 이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은 크 게 설정되고, 홉 거리를 짧게 설정하면 홉 수 N은 크게 설정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응하여 송신 전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501)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노드 들(503)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05),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507),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보다 큰 노드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509, 511) 및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여 패킷을 전송하는 단계(513)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505)에서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는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RTS(Request To Send) 메시지를 인접 라우팅 영역내의 각 노드(후보 노드)(503)에게 전송한다.
상기 단계(507)에서, 라우팅 영역 내의 각 후보노드(503)는, RTS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상기 RTS 메시지 및 CTS 메시지는 패킷 전송시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임의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단계(509)에서, 각 노드는 추정된 채널 이득이 Threshold 값 보다 큰지 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511)에서, 채널 이득이 Threshold 값 보다 큰 노드는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는 CTS(Clear To Send)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로 전송한다.
상기 Threshold 값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7
상기 수학식 3에서, m은 라우팅 영역 내에 존재하는 노드의 개수이다. 상기 m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면, 가장 큰 채널 이득은 이론적으로 logm 과 같다.
그러나, 실제적인 m을 고려하면, 채널 이득에 대한 오차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8
(
Figure 112007073386457-pat00009
>0)가 발생한다. 상기 Threshold는 총 TTH 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채널 이득에 대한 오차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0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1
와 같다.
상기 단계(513)에서,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를 다음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고 패킷을 전송한다.
상기 CTS 를 전송한 노드는 패킷이 수신되면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만일, 미리 설정된 시간구간 동안 어느 하나의 노드도 CTS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으면, Threshold는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2
로 변경된다.
도 6은 목적 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목적 노드(609)는 미리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목적 노드(609)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605) 내의 릴레이 노드 선택은 수신 다이버시티 이득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즉, 목적 노드(609)로부터 두 홉 전의 릴레이 노드(603)는 목적 노드(609)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605) 내의 대표 노드(607)로 릴레이 노드 결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목적 노드(609)로부터 두 홉 전의 릴레이 노드(603)는 N-2(N은 미리 결정된 홉 수)번째 라우팅 영역(601) 내에 존재한다. 또한, 상기 목적 노드(609)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605)는 N-1번째 라우팅 영역을 나타낸다.
상기 릴레이 노드 결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대표 노드(607)는 상기 목적 노드(609)로 릴레이 노드 결정 요청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목적 노드(609)는 릴레이 노드 결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접한 라우팅 영역(605) 내의 각 노드로 RTS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는 수신된 RTS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보다 큰 노드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상기 목적 노드(609)로 전송한다.
다음에, 상기 대표 노드(607)는 상기 CTS 메시지를 상기 목적 노드(609)로 전송한 노드(최종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를 상기 두 홉 전의 릴레이 노드(603)로 알려 준다.
이후, 상기 두 홉 전의 릴레이 노드(603)는 패킷을 상기 최종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로 전송한다.
상기한 Threshold 값의 변경 과정과, CTS 메시지의 충돌 방지 과정은 상기 최종 홉에서의 릴레이 노드 결정 과정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은 도 5에서 어느 하나의 노드도 CTS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시간구간 동안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없는 경우에 Threshold 값은 변경된다(S701).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는 미리 설정된 시간구간 내에 CTS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면 Threshold를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3
로 변경하고, 변경된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4
를 포함하는 RTS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인접 라우팅 영역내의 각 노드(후보 노드)(503)는 변경된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5
와 추정된 채널 이득을 비교한다(S703).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상기 변경된
Figure 112007073386457-pat00016
보다 큰 노드는 CTS 메시지를 전송한다(S705). 만일, Threshold 값이 T-1번째 변경된 경우에도 CTS가 전송되지 않으면 노드 결정 실패(outage)가 발생한다(S707). 상기 노드 결정 실패가 발생되면, 라우팅 영역 내의 대표 노드는 N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대표 노드는 라우팅 영역 중심에 위치한 노드 또는 미리 설정된 코디네이트 노드일 수 있다.
이때, 두 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충돌(collision)이 발생 할 수 있다.
도 8은 두 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라우팅 영역 내의 각 후보노드(503)는, RTS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S801).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Threshold 보다 큰 노드는 CTS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로 전송한다.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는 라우팅 영역내의 2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한다(S803). 이때, 라우팅 영역내의 코디네이트 노드가 2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가 전송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이를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각 노드로 알려 줄 수 있다.
만일, 하나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로 전송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릴레이 노드는 결정된다(S805).
만일, 2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제1 릴레이 노드)(501)로 전송한 경우에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각 노드는 채널 이득에 대응하는 확률 값에 따라서 CTS 메시지를 재전송한다(S807).
이때, 채널 이득에 대응하는 확률 값은 미리 설정된 값으로서, 채널 이득이 높을수록 1에 가까운 확률 값으로 설정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채널 이득이 높을수록 높은 확률 값으로 CTS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때문에 CTS 메시지의 충돌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도 9는 복수의 송신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9는 라우팅 영역(909) 내의 노드(905, 907)가 2개 이상의 송신 노드(901, 903)로부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라우팅 영역(909) 내의 노드(905, 907)는 각각의 RTS 메시지에 대한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이때,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RTS 메시지를 전송한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의 식별정보(ID) 및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여 CTS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각각의 송신 노드(901, 903)는 식별 정보에 의하여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를 알 수 있다. 각각의 송신 노드(901, 903)는 어느 한 노드가 채널 이득이 가장 좋은 후보 노드를 선택하고, 다른 한 노드가 채널 이득이 두 번째로 좋은 노드를 선택함으로써, 링크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송신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에, Threshold 및 CTS메시지의 충돌에 대한 처리 과정은 하나의 송신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은,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1001)가 미리 설정된 영역 내의 노드 들(1003)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1005),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1007),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대응하는 백-오프 타임에 따라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1009, 1011) 및 상기 CTS 메시지를 가정 먼저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1013, 1015)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1005)에서, 소스노드(제1 릴레이 노드)(1001)는 목적 노드의 코디 네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RTS 메시지를 인접 라우팅 영역 내의 후보 노드(1003)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1007)에서, 인접 라우팅 영역 내의 후보 각 노드(1003)는 RTS 메시지를 이용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상기 RTS 메시지 및 CTS 메시지는 패킷 전송시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임의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단계(1009)에서, 인접 라우팅 영역 내의 후보 각 노드(1003)는 미리 설정된 Back-off 시간에 따라 타이머(미 도시함)를 작동시킨다.
상기 Back-off 시간(U)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이득 값에 기초하는 유틸리티 함수이다. 상기 유틸리티 함수는 채널 이득 값에 대하여 단조 감소하는 특성을 갖도록 임의의 함수로 모델링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계(1007)에서, 인접 라우팅 영역 내의 후보 각 노드(1003)는 상기 RTS 메시지를 2개 이상의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각 RTS 메시지에 대한 채널 이득을 추정한다.
상기 단계(1011)에서, Back-off 시간에 따라 작동된 타이머가 0이 되는 노드는 추정된 채널 이득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소스노드(제1 릴레이 노드)(1001)로 전송한다.
상기 단계(1013)에서 소스노드(제1 릴레이 노드)(901)는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로 패킷을 전송한다. 상기 패킷을 수신한 노드는 ACK 신호를 소스노드(제1 릴레이 노드)(1001)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라우팅 영역 설정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우팅 영역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목적 노드로 패킷을 전송하는 릴레이 노드의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어느 하나의 노드도 CTS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경우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두 개 이상의 노드에서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복수의 송신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ack-off 시간에 대한 유틸리티 함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5)

  1. 멀티 홉 기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패킷 전송 경로의 설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및
    채널 이득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된 각각의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노드 및 각각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상기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은 전송될 패킷에 대하여 허용 되는 지연 시간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N-1개의 라우팅 영역 각각의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r) 및 전송될 패킷에 대한 홉 거리(d)의 비 r/d는 0보다 크고 0.5보다 작은 임의의 값임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어느 한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는,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전송된 패킷을 수신한 릴레이 노드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각 노드로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 값 보다 큰 노드를 다음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N-1개의 라우팅 영역 중 목적 노드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패킷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적 노드가 상기 목적 노드와 인접한 라우팅 영역 내의 각 노드로 RTS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RTS 신호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 값 보다 큰 노드를 패킷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7. 멀티 홉 기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서 패킷을 릴레이하는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노드 들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보다 큰 노드가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노드 및 각각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상기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소정 설정값을 변경하여 상기 추정된 채널이득을 상기 변경된 설정값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노드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한 각 노드는 채널 이득에 대응하는 확률 값에 따라 서 CTS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노드가 상기 RTS 메시지를 2개 이상의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각 RTS 메시지에 대한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보다 크면 상기 RTS 메시지를 전송한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11. 멀티 홉 기반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서 패킷을 릴레이하는 릴레이 노드를 결정하기 위한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홉 수 N(N은 2 이상의 정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소스 노드 또는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된 패킷을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가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노드 들로 R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RTS 메시지를 수신한 각 노드가 채널 이득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대응하는 백-오프 타임에 따라서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값을 포함하는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CTS 메시지를 가정 먼저 전송한 노드를 제2 릴레이 노드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노드 및 각각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상기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영역 내의 노드가 상기 RTS 메시지를 2개 이상의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각 RTS 메시지에 대한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대응하는 백-오프 타임에 따라서 상기 RTS 메시지를 전송한 소스 노드 또는 제1 릴레이 노드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CTS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13. 멀티 홉 기반 애드 혹 네트워크 장치에 있어서,
    전송 패킷에 허용되는 지연시간에 기초하여 홉 수 N을 결정하고, 상기 홉 수에 따라서 소스 노드와 목적 노드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노드를 포함하는 N-1개의 라우팅 영역을 설정하는 소스 노드;
    상기 소스 노드로부터 목적 노드의 코디네이트 정보를 수신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이상이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소스 노드로 전송하는 제1 릴레이 노드; 및
    상기 목적 노드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채널 이득을 추정하고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이 소정 설정값 보다 크면 응답 메시지를 상기 목적 노드로 전송하는 제2 릴레이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소스 노드 및 각각의 릴레이 노드는 상기 미리 설정된 홉 수 N, 홉 거리 및 상기 라우팅 영역 중심으로부터 경계까지의 거리 r에 기초하여 송신 전력을 설정하는 네크워크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 및 제2 릴레이 노드는 각각 상기 홉 수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는 다른 라우팅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노드는 상기 추정된 채널 이득 값에 대응하는 백-오프 타임에 따라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크워크 장치.
KR1020070103199A 2007-10-12 2007-10-12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KR101345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99A KR101345139B1 (ko) 2007-10-12 2007-10-12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US12/166,875 US8411611B2 (en) 2007-10-12 2008-07-02 Method for setting packet transmission path in ad hoc network, and network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8177328A JP5280756B2 (ja) 2007-10-12 2008-07-07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パケット送信経路設定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装置
CN2008102127779A CN101409678B (zh) 2007-10-12 2008-09-08 在ad hoc网络设置包传输路径的方法及网络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99A KR101345139B1 (ko) 2007-10-12 2007-10-12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719A KR20090037719A (ko) 2009-04-16
KR101345139B1 true KR101345139B1 (ko) 2013-12-26

Family

ID=4053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199A KR101345139B1 (ko) 2007-10-12 2007-10-12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11611B2 (ko)
JP (1) JP5280756B2 (ko)
KR (1) KR101345139B1 (ko)
CN (1) CN101409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856B1 (ko) * 2008-07-10 2014-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계층 변조 기법 또는 네트워크 코딩 기법을 이용하는 통신시스템
KR101056910B1 (ko) * 2009-12-30 2011-08-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송신율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애드-훅 라우팅 기반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패킷 송신 경로를 결정하는 방법
US20130290560A1 (en) * 2010-08-26 2013-10-31 West Bengal University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outes in networks
US20120099449A1 (en) * 2010-09-27 2012-04-26 Qual Comm Incorporated Spatial resuse in a wireless network
WO2013054415A1 (ja) * 2011-10-13 2013-04-18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2890185B1 (en) * 2012-08-22 2019-07-17 Fujitsu Limited Determination method of a vacant are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etermination program, determination device, and determination system
KR102198349B1 (ko) * 2012-10-23 2021-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협력 전송을 수행하는 소스, 릴레이 및 데스티네이션 및 각각의 제어 방법
WO2014065586A1 (en) * 2012-10-23 2014-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rce, relay, and destination executing cooperation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ach thereof
KR101665260B1 (ko) * 2015-07-30 2016-10-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967909B2 (en) * 2015-11-04 2018-05-08 Motorola Mobility Llc Wireless ad hoc network assembly using network coding
CN107277884B (zh) * 2017-05-18 2019-11-29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针对6TiSCH多跳无线网络的静态链路调度方法
KR102054715B1 (ko) * 2019-04-23 2019-12-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애드-혹 무선 네트워크에서 협력적 다중홉 라우팅을 위한 물리계층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N110381559B (zh) * 2019-06-29 2020-09-15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国防科技创新研究院 基于全局最优阈值决策的分布式无线网络频谱接入方法
US11778533B2 (en) * 2019-08-02 2023-10-03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ath optimization in a mesh network
KR102518458B1 (ko) * 2021-05-31 2023-04-0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항공기 시스템에서 경로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리아푸노프 기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30088058A (ko) * 2021-12-10 2023-06-1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스 전송 전력을 최소화하는 멀티 홉 릴레이 방식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N113965514A (zh) * 2021-12-21 2022-01-21 北京华云安信息技术有限公司 链路构建及展示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5084B2 (en) * 2001-12-28 2005-01-18 Tsys Acquisition Corp. Routing protocol selection for an ad hoc network
US7177295B1 (en) * 2002-03-08 2007-02-13 Scientific Research Corporation Wireless routing protocol for ad-hoc networks
JP4192528B2 (ja) * 2002-08-23 2008-1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
EP1632045B1 (en) * 2003-06-06 2013-08-21 Mesh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fairness and service differentiation in ad-hoc networks
US7142866B2 (en) 2003-09-09 2006-11-28 Harris Corporation Load leveling in mobile ad-hoc networks to support end-to-end delay reduction, QoS and energy leveling
US7085290B2 (en) * 2003-09-09 2006-08-01 Harris Corporation Mobile ad hoc network (MANET) providing connectivity enhancement features and related methods
US8527457B2 (en) * 2003-10-07 2013-09-03 Cisco Technology, Inc. Arrangement for autonomous mobile network nodes to organize a wireless mobile network based on detected physical and logical changes
US7414977B2 (en) 2003-11-25 2008-08-1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Power and delay sensitive ad-hoc communication networks
KR100626214B1 (ko) * 2004-02-12 2006-09-20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다중 안테나 및 랜덤 다중 빔을 이용한 다중 사용자 무선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7376122B2 (en) 2004-02-23 2008-05-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 quality source routing
US7697449B1 (en) * 2004-07-20 2010-04-13 Marvell International Ltd. Adaptively determining a data rate of packetized information transmission over a wireless channel
KR100656206B1 (ko) * 2004-12-28 200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타겟 영역으로 패킷의 전송이 가능한 애드 혹네트워크 및 그 패킷 전송방법
US20060182126A1 (en) * 2005-02-15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ybrid approach in design of networking strategies employing multi-hop and mobile infostation networks
US7331315B2 (en) * 2005-02-23 2008-02-19 Eastway Fair Company Limited Two-stroke engine with fuel injection
US7885287B2 (en) * 2005-03-29 2011-02-0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network allocation
JP4294620B2 (ja) * 2005-07-21 2009-07-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記録媒体
JP2007129542A (ja) * 2005-11-04 2007-05-24 Sony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40871B1 (ko) 2006-01-06 2007-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량간 통신 시스템에서의 멀티 홉 라우팅을 위한 맥포워딩 방법
US7693119B2 (en) * 2005-12-09 2010-04-06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Transmission power control over a wireless ad-hoc network
US8027259B2 (en) * 2006-06-30 2011-09-27 Nokia Corporation Opportunistic routing protocol in ad hoc networks
US7792138B2 (en) * 2006-09-13 2010-09-07 Seoul National University Foundation Distributed opportunistic scheduling in IEEE 802.11 wireless location area networks (WLANs)
KR100835285B1 (ko) * 2006-12-06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빔 형성 장치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INT OPTIMIZATION OF A PROTOCOL STACK FOR SENSOR NETWORKS", Military Communications Conference, MILCOM 2004, IEEE, (2004.11)
"Selection metrics for multihop cooperative relaying", in Proceeding of the Fourth Annual Mediterranean Ad Hoc Networking Workshop (MedHoc), (2005)
"The impact of the timeliness of information on the performance of multihop best-select", Military Communications Conference, MILCOM 2005, IEEE, (2005.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7432A1 (en) 2009-04-16
JP2009100443A (ja) 2009-05-07
US8411611B2 (en) 2013-04-02
CN101409678A (zh) 2009-04-15
CN101409678B (zh) 2013-04-17
KR20090037719A (ko) 2009-04-16
JP5280756B2 (ja) 2013-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139B1 (ko)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전송 경로 설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네트워크 장치
CN110463269B (zh) 用于多跳中继定向无线通信的方法和系统
KR101068667B1 (ko) 히든 노드 및 감지 간섭을 고려한 라우팅 경로 설정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040218557A1 (en) Method for performing packet flooding at wireless ad hoc network
JP2008507884A (ja) 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ノード間での通信方法
JP2009225444A (ja) 再伝送時間ベースのリンク・メトリックを用いるネットワーク・ルーティング
EP3629636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7688847B2 (en) Expected channel occupancy time as a wireless link metric
KR20190017906A (ko) 방향성 송신들을 가지는 무선 네트워크들에서의 데이터 패킷들의 라우팅
JP5703906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602458B1 (ko) 패킷 라우팅 장치 및 방법
JP2006081163A (ja) 無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40027161A (ko)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를 위한 최적의 다중 홉 Hybrid V-MIMO 전송 경로 설정을 위한 라우팅 방법 및 장치
JP4849326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120057349A (ko) 무선 메쉬 네트워크의 경로 설정 방법 및 시스템
Bazan et al. On the design of opportunistic mac protocols for multihop wireless; networks with beamforming antennas
JP5290306B2 (ja) 協調ノードの迅速な選択
Oliveira et al. The influence of broadcast traffic on IEEE 802.11 DCF networks
Khan et al. Location based dynamic probabilistic broadcasting for MANETs
KR20090040628A (ko) 멀티-홉 네트워크의 중계 노드에서의 채널 접근 제어 방법및 멀티-홉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중계기
JP200534787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363219B1 (ko) 기회주의적 라우팅 기법을 이용한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Singh Path reliability of multi path routing in MANET
KR100928897B1 (ko) 홉 카운트를 고려한, 무선 멀티홉 네트워크에서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방법과 장치 및 무선 멀티홉 네트워크시스템
JP5835443B2 (ja)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