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756B1 -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756B1
KR101344756B1 KR1020130046617A KR20130046617A KR101344756B1 KR 101344756 B1 KR101344756 B1 KR 101344756B1 KR 1020130046617 A KR1020130046617 A KR 1020130046617A KR 20130046617 A KR20130046617 A KR 20130046617A KR 101344756 B1 KR101344756 B1 KR 101344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ordinate information
unit
coordinat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식
Original Assignee
(주)한성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한성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3004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6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post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관측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수집하는 관측위성부, 수집된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전달받아 격자형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이미지 좌표정보를 3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 하는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 이미지 좌표정보를 저장하고, 이미지 좌표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차이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고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 및 도시의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지적도, 건축물 배치도, 건축물 설계도 및 도시계획정보를 저장하고, 관측위성부,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 및 휴대용 단말에 제공하는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특정시설 및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수집 분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은 좌표정보를 제공하고, 이미지 좌표정보를 시뮬레이션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시계획정보의 진척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며, 터치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특정시설에 대한 부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어 보다 분석적인 도시계획정보를 수립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GENERATING SYSTEM USING METHOD OF GENERA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SPECIFIC FACILITY ACCORDING TO CITY PLANNING INFORMATION}
본 발명은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도시계획정보와 이에 따른 도시계획의 진척상황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시각적으로 표출하고, 수집된 상황정보와 도시계획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도시계획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는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계획의 진척상황에 대한 정보는 현장에서의 실제 검측 및 측량을 통해서 수집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감독자들이 기계조작기술 미숙이나 판단력 부재 등의 이유로 시공업체가 제공하는 도면 및 자료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고, 현실적인 도시계획의 진척상황에 대한 정보 수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38469에서는, Mobile GIS과 GPS 기술을 이용하여, 주택 위치정보를 수치지적도로 표현하고 주택특성 관련 속성정보는 리스트형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검색/조회/편집 기능을 제공하며, GPS 수신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에 표시된 주택의 현재 위치를 통해 현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Map Navigation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현장에 접근하여 GPS 정보를 수집하여야 하므로, 특정시설의 좌표정보를 수집하거나 이를 시각적인 좌표정보의 형태로 제공하는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며, 나아가 현실성이 떨어져 사용자에게 합리적인 도시계획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6-0105389호(2006. 10. 30.) "위성항법장치를 탑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 기반의주택특성조사를 위한 모바일지아이에스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도시계획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관측 위성부로부터 수집된 이미지 정보 및 좌표정보를 세부적인 격자 형태의 좌표정보로 환산하고, 환산된 좌표정보와 기설정된 좌표정보와의 오차를 산정 및 보완하여, 기설정된 도시계획정보에 대응시킴으로써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의 관측지역에 대한 3 차원의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관측위성부(10); 상기 관측위성부(10)로부터 실시간 수집된 3 차원의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전달 받아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를 3 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또는 관측위성부(10)와 무선 접속하여 3 차원 영상정보와 좌표정보를 무선수신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를 저장하여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차이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30); 및 상기 휴대용 단말(30)과 접속하고 사전에 설정된 도시의 지형정보가 포함된 지적도, 건축물 배치도, 건축물 설계도와 조경도가 포함된 도시계획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연계상태로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30)에 제공하여 상기 관측위성부(10),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각각 전달시키는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 를 포함하되, 상기 관측위성부(10)는 3 차원의 적외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의 지형지물에 대한 흑백 영상정보를 3 차원 정보로 수집하는 적외선 촬영부(110); 상기 적외선 촬영부(11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 가시광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의 지형지물에 대한 3 차원 컬러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가시광선 촬영부(120); 상기 가시광선 촬영부(12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거나 전달하며 상기 적외선 촬영부(110)가 수집한 흑백 영상정보에 기설정된 소정의 가로와 세로 길이에 의한 격자 프레임 정보를 부여하여 지형지물의 영상정보가 격자 프레임 내에서 차지하는 구획에 따라 지정된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추정 연산하여 생성된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적용시켜 저장하는 위치정보 수집부(130);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3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의 상기 흑백 영상정보, 컬러 영상정보와 상기 격자 프레임 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휴대용 단말(30)에 각각 전송하는 위성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프레임에서 지정된 특정 기준점의 위치정보는 사전에 측정 또는 추정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3 차원의 흑백 영상과 컬러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좌표정보(위치정보)가 적용된 상태로 각각 수신받고 설정된 터치조작모드에 따라 수신된 3 차원 이미지 정보를 확대, 축소, 회전, 흑백 또는 컬러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디스플레이부(210);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관측지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특정시설의 건축 히스토리, 주변 교통량, GPS, 행정 주소, 공시지가, 실거래가격 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3 차원 이미지의 각 위치정보에 매칭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부가정보 제공부(220); 상기 부가정보 제공부(22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터치 조작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터치조작모드를 인식하고 해당 제어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전달하며,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의 터치패널 민감도 조절 상태와 밝기조절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전달하는 조작인식부(230); 상기 조작인식부(23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3 차원 흑백 영상정보에 3 차원 컬러 영상정보를 결합하여 격자형으로 구획되고 좌표정보가 적용된 3 차원 이미지의 지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별도로 수신되어 입력된 도시계획정보를 위치정보 기준으로 비교하여 상기 도시계획정보에 포함된 개발진척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개발진척정보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부분과 매칭되지 않는 부분을 색깔로 구분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좌표분석부(240); 및 상기 좌표분석부(240)와 상기 휴대용단말기(30)에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위성통신부(140)를 통하여 3 차원 흑백 영상정보, 3 차원 컬러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좌표분석부(240)에 제공하는 통신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30)은 상기 관측위성부(10)의 위성통신부(140)와 무선접속하여 3 차원의 흑백 영상정보, 3 차원의 컬러 영상정보, 격자 프레임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의 통신부(250)와 무선접속하여 상기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310); 상기 단말 통신부(31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수신되어 입력된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출력하는 좌표정보 저장부(320); 상기 좌표정보 저장부(32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수신되고 전달되어 입력된 상기 도시계획정보를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고 좌표정보로 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순차 저장하는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 상기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의 좌표정보에 상기 격자 프레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도시계획정보에 좌표정보가 상이하게 존재하는 지형지물의 계획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정보 저장부(320)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좌표정보 분석부(340); 상기 좌표정보 분석부(34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접속하여 상기 좌표분석부(240)가 생성한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상기 계획좌표정보와 좌표정보를 대비 분석하여 상기 계획좌표정보와의 오차율을 산정하며, 설정된 허용범위의 오차율을 벗어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전송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오차분석 제어부(350);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성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특정시설 및 지역에 대한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수집 분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은 좌표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영상정보와 좌표정보를 바탕으로 이미지 좌표정보를 시뮬레이션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시계획정보의 진척상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특정시설에 대한 부가 정보를 열람할 수 있어, 보다 분석적인 도시계획정보를 수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Mobile GIS과 GPS 기술을 이용하여 주택 위치정보를 수치지적도 형태로 표시하는 기능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관측위성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의 세부 기능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대좌표 구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좌표 구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그리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 좌표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의 설명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은 관측 위성부(10),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휴대용 단말(30) 및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측위성부(10)는 실시간으로 관측지역에 대한 3 차원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수집한다.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는 관측위성부(10)로부터 수집된 3 차원 영상정보와 좌표정보를 무선수신하여 전달받고 격자형으로 구획시킬 수 있는 다수의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며, 다수 중에서 선택된 이미지 좌표정보를 알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에 의하여 3 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표시) 한다.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는 벽걸이 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책상 또는 테이블처럼 평편한 바닥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입체감을 높이고 관찰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므로 도면에서는 책상과 같은 형상으로 도시한다.
휴대용 단말(30)은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또는 관측위성부(10)와 무선 접속하며 3 차원 영상정보와 좌표정보를 무선수신하여 전달받고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연동하여 이미지 좌표정보를 표시하며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3 차원의 이미지 좌표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차이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한다.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는 기설정된 도시의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지적도, 건축물 배치도, 건축물 설계도 및 조경도를 포함하는 도시계획정보를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30)에 제공하여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전달되도록 하는 동시에 관측위성부(10)에 전달되도록 요청한다.
관측 위성부(10),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휴대용 단말(30)의 각 구성에 대한 세부구성(상세구성)과 역할(기능)은 도 3 내지 도 5 를 통하여 후술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관측위성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이다.
도 3 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예)에 따른 관측위성부(10)는 적외선 촬영부(110), 가시광선 촬영부(120), 위치정보 수집부(130) 및 위성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외선 촬영부(110)는 3 차원 적외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에 위치하는 지형지물에 대한 흑백 배치도면 정보를 3 차원 정보로 수집한다.
가시광선 촬영부(120)는 적외선 촬영부(110)와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 가시광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의 지형지물에 대한 3 차원 컬러정보를 포함하는 컬러 배치도면 정보를 수집한다.
위치정보 수집부(130)는 가시광선 촬영부(120)와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달하며 적외선 촬영부(110)에 기설정된 소정의 가로와 세로 길이에 의한 격자 프레임 정보를 제공하며, 지형지물이 격자 프레임 내에서 차지하는 구획에 따라 해당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지정된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연산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추정 연산하여 생성하며 생성된 위치정보를 적용시켜 저장한다.
즉, 격자 프레임은 지정된 각 위치에 대하여 정밀하게 측정 또는 추정된 좌표정보가 포함되며 더욱 상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 을 통해서 후술한다.
위성통신부(140)는 위치정보 수집부(130)와 접속하고 해당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의 흑백 배치도면정보, 3 차원의 컬러 배치도면정보와 격자프레임에 의한 위치정보를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휴대용 단말(30)에 각각 제공되도록 출력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의 세부 기능 구성도이다.
도 4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는 터치디스플레이부(210), 부가정보 제공부(220), 조작인식부(230), 좌표분석부(240)와 통신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터치디스플레이부(210)는 좌표정보가 포함된 3 차원 이미지 좌표정보를 인가(수신) 받고 3 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설정된 터치조작모드에 따라 수신된 3 차원 이미지를 확대, 축소, 회전, 흑백 또는 컬러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터치디스플레이부(210)가 표시하는 3 차원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기술이 모두 적용됨은 당연하다.
터치디스플레이부(210)는 테이블과 같은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부가정보 제공부(220)는 터치디스플레이부(21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관측지역 내에 위치하는 특정시설의 건축 히스토리, 주변 교통량, GPS, 행정 주소, 공시지가, 실거래가격 등의 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를 저장하고 터치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표시)되는 3 차원 이미지의 각 위치에 매칭되는 해당 부가정보가 출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조작인식부(230)는 부가정보 제공부(22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터치 조작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터치조작모드를 인식하고 해당 제어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0)에 전달하며, 터치디스플레이부(20)의 터치패널 민감도 조절 상태와 밝기조절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0)에 전달시킨다.
좌표분석부(240)는 조작인식부(23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3 차원 흑백 배치도면정보에 3 차원 컬러 배치도면정보를 결합하여 격자형으로 구획된 3 차원의 이미지 좌표정보에 의한 지도정보를 생성하며, 위치정보 수집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별도로 수신되어 입력된 도시계획정보와 비교하여 개발진척 정보를 생성하며, 매칭되는 부분과 매칭되지 않는 부분을 색깔로 구분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통신부(250)는 좌표분석부(24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위성통신부(140)를 통하여 3 차원 흑백 배치도면정보, 3 차원 컬러 배치도면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좌표분석부(240)에 제공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의 세부 기능 구성도이다.
도 5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단말(30)은 단말 통신부(310), 좌표정보 저장부(320),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 좌표정보 분석부(340), 오차분석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 통신부(310)는 관측위성부(10)의 위성통신부(140)와 무선접속하여 3 차원의 흑백 배치도면정보, 3 차원의 컬러 배치도면정보, 격자 프레임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의 통신부(250)와 무선접속하여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통신부(310)는 각종 데이터, 정보,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USB, 시리얼 통신, IEEE 1394, 블루투스, 무선랜 등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정보 저장부(320)는 단말 통신부(31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수신되어 입력된 계획좌표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출력한다.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는 좌표정보 저장부(32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전달되어 입력된 도시계획정보를 입력된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고 좌표위치별로 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순차 저장한다.
좌표정보 분석부(340)는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도시계획정보에 격자 프레임을 적용하여 도시계획정보에 존재하는 지형지물의 계획좌표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좌표정보 분석부(340)는 계획좌표정보 생성을 위한 고성능 연산프로세서 또는 고성은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한다.
오차분석 제어부(350)는 좌표정보 분석부(340)와 접속하여 해당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접속하여 좌표분석부(240)가 생성한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의 해당 정보와 대비 분석하여 오차율을 산정하며, 설정된 허용범위의 오차율을 벗어나는 경우 해당 경고 메시지를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전송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서 디스플레이(표시)되도록 요청 또는 제어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대좌표 구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소좌표 구획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을 참고하면 대좌표 구획은 특정 지역에 대하여 소정의 길이에 의하여 가로와 세로로 규칙적이며 격자 형상으로 설정된 격자 프레임에 대한 좌표정보를 규칙성 있는 좌표 번호로 표현한다.
이러한 대좌표 구획은 관측 위성부(10)의 위치정보 수집부(130)에 의하여 처리된다.
즉, 관측위성부(10)는 지상의 특정된 위치 또는 다수의 특정된 위치에 대하여 정밀하게 측정된 각각의 좌표정보를 지상의 특정된 장치로부터 무선 수신하거나 휴대용단말(30)이 무선 송신하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격자 프레임의 특정된 해당 위치에 적용한다.
이때, 관측위성부(10)는 좌표정보가 적용된 특정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지점들에 대한 좌표정보는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하고 상대적인 값으로 연산된 좌표값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좌표값은 누적된 결과 및 반복된 보정에 의하여 매우 정밀한 좌표값으로 일치될 수 있음은 매우 명확하다.
대좌표 구획은 우선, 관측 위성부(10)의 3 차원 적외선 촬영부(110)를 통해서 수집된 특정 관측지역의 3 차원 지형지물 영상(이미지)에 대하여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싱(DSP) 기술을 이용한 스케치 효과 처리하므로 지형지물의 외곽선 형태만 남기고 텍스쳐 정보, 렌더링 정보 등은 모두 제거한다.
이후, 스케치 효과 처리된 이미지의 실제 크기를 반영하여 대좌표 구획의 해당 크기에 적합한 크기로 동일한 거리 비율이 되도록 확대 또는 축소하고, 동일한 비율로 조정된 이미지와 대좌표를 합성하므로 도 6 에 도시된 것과 같이 S11 내지 S55 까지의 규칙성 있는 대좌표 구획 정보를 생성한다.
대좌표 구획의 정보는 S와 숫자의 조합 형태로 표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기호, 문자, 부호를 부가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도 7 을 참고하면 각각의 대좌표 구획 정보는 세부적인 소좌표 구획 정보로 표현할 수 있다. 도 7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6 의 S11 구역을 S111 내지 S144까지의 규칙성 있는 소좌표 구획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방식으로 크기 또는 규모가 작아지는 좌표구획정보를 무한히 생산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3 차원의 적외선 촬영부(110)를 통해서 수집된 관측지역의 지형지물 영상에 대하여, 적외선 촬영부(110)가 촬영된 이미지의 해상도로 구분이 가능한 허용하는 범위까지 각각의 픽셀에 대한 좌표구획정보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설정된 도시의 지형정보를 포함하는 지적도, 건축물 배치도, 건축물 설계도 및 조경도 등의 도시계획정보를 적외선 촬영부(110)에서 수집되는 영상과 동일한 배율로 설정하고 이를 대좌표 격자 정보 및 소좌표 격자 정보로 변환하여 표현하면 각각의 픽셀에 대한 합치(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며, 종국적으로 특정시설의 좌표정보에 대하여 신뢰성이 높은 좌표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도시계획 개발 진척도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이 가능하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 좌표정보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의 설명도 이다.
도 8 을 참고하면, 도 6 에서 표현된 대좌표 격자 중 S11 구역에 존재하는 지형지물의 외곽선 영상이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디스플레이 된다.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우측 상단에 존재하는 공원의 경우 소좌표 격자 정보를 통해 표현하면 <S131, S132, S141, S142>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며, 좀 더 세부적으로는 각 소좌표 격자 내에서 차지하는 픽셀의 위치에 따라서 더욱 상세한 격자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계획정보 상에서 S123 구획에 새로운 건물이 위치하기로 예정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S133 구획에 새로운 건물이 위치하기로 예정되어 있을 경우, 실제로 수집된 영상과 도시계획정보를 좌표에 의한 각 구획별로 대비하여 예정된 정보와 상이하다고 분석되면 해당 구획을 색깔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방식에 따라서 해당 구획뿐만 아니라 예정된 건물의 형태에 대하여 각각의 픽셀을 색깔로 구분하여 해당 건물형태만 다른 색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도시계획정보와 현재 수집된 영상을 비교하여, 실제 지형지물의 위치와 도시계획정보상의 지형지물의 위치의 오차발생 여부를 색깔로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허용 오차를 설정하여 기설정된 오차율 범위로부터 현재 영상정보가 벗어난 정도와 함께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을 통해 관계기관에 통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관측위성부 110: 적외선 촬영부
120: 가시광선 촬영부 130: 위치정보 수집부
140: 위성통신부 20: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
210: 터치디스플레이부 220: 부가정보 제공부
230: 조작인식부 240: 좌표분석부
250: 통신부 30: 휴대용 단말
310: 단말 통신부 320: 좌표정보 저장부
330: 도시계획정보 저장부 340: 좌표정보 분석부
350: 오차분석 제어부 40: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

  1.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의 관측지역에 대한 3 차원의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는 관측위성부(10);
    상기 관측위성부(10)로부터 실시간 수집된 3 차원의 영상정보 및 좌표정보를 전달 받아 격자형으로 구획된 다수의 이미지 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를 3 차원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 또는 관측위성부(10)와 무선 접속하여 3 차원 영상정보와 좌표정보를 무선수신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연동하여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를 저장하여 표시하고, 상기 이미지 좌표정보와 도시계획정보의 차이에 따른 오차를 분석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는 휴대용 단말(30); 및
    상기 휴대용 단말(30)과 접속하고 사전에 설정된 도시의 지형정보가 포함된 지적도, 건축물 배치도, 건축물 설계도와 조경도가 포함된 도시계획정보를 각각 할당된 영역에 연계상태로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30)에 제공하여 상기 관측위성부(10),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각각 전달시키는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 를 포함하되,
    상기 관측위성부(10)는
    3 차원의 적외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의 지형지물에 대한 흑백 영상정보를 3 차원 정보로 수집하는 적외선 촬영부(110);
    상기 적외선 촬영부(11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 가시광선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지상 관측지역의 지형지물에 대한 3 차원 컬러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가시광선 촬영부(120);
    상기 가시광선 촬영부(12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신과 수신하거나 전달하며 상기 적외선 촬영부(110)가 수집한 흑백 영상정보에 기설정된 소정의 가로와 세로 길이에 의한 격자 프레임 정보를 부여하여 지형지물의 영상정보가 격자 프레임 내에서 차지하는 구획에 따라 지정된 특정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추정 연산하여 생성된 위치정보(좌표정보)를 적용시켜 저장하는 위치정보 수집부(130); 및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30)와 접속하고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전달하며 3 차원의 상기 흑백 영상정보, 컬러 영상정보와 상기 격자 프레임 정보에 의한 위치정보를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휴대용 단말(30)에 각각 전송하는 위성통신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격자프레임에서 지정된 특정 기준점의 위치정보는 사전에 측정 또는 추정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는
    상기 3 차원의 흑백 영상과 컬러 영상의 이미지 정보를 좌표정보(위치정보)가 적용된 상태로 각각 수신받고 설정된 터치조작모드에 따라 수신된 3 차원 이미지 정보를 확대, 축소, 회전, 흑백 또는 컬러 형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터치디스플레이부(210);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관측지역 내에 위치하며 상기 특정시설의 건축 히스토리, 주변 교통량, GPS, 행정 주소, 공시지가, 실거래가격 정보가 포함된 부가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는 3 차원 이미지의 각 위치정보에 매칭된 상기 부가정보가 출력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부가정보 제공부(220);
    상기 부가정보 제공부(22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터치 조작되어 입력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터치조작모드를 인식하고 해당 제어명령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전달하며,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의 터치패널 민감도 조절 상태와 밝기조절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전달하는 조작인식부(230);
    상기 조작인식부(23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3 차원 흑백 영상정보에 3 차원 컬러 영상정보를 결합하여 격자형으로 구획되고 좌표정보가 적용된 3 차원 이미지의 지도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별도로 수신되어 입력된 도시계획정보를 위치정보 기준으로 비교하여 상기 도시계획정보에 포함된 개발진척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개발진척정보의 위치정보와 매칭되는 부분과 매칭되지 않는 부분을 색깔로 구분하여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좌표분석부(240); 및
    상기 좌표분석부(240)와 상기 휴대용단말기(30)에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위성통신부(140)를 통하여 3 차원 흑백 영상정보, 3 차원 컬러 영상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좌표분석부(240)에 제공하는 통신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30)은
    상기 관측위성부(10)의 위성통신부(140)와 무선접속하여 3 차원의 흑백 영상정보, 3 차원의 컬러 영상정보, 격자 프레임에 의한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의 통신부(250)와 무선접속하여 상기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통신부(310);
    상기 단말 통신부(31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수신되어 입력된 정보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하고 출력하는 좌표정보 저장부(320);
    상기 좌표정보 저장부(32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 데이터베이스(40)로부터 수신되고 전달되어 입력된 상기 도시계획정보를 상기 입력된 시간 순서대로 정렬하고 좌표정보로 분류하여 할당된 영역에 순차 저장하는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
    상기 도시계획정보 저장부(33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도시계획정보의 좌표정보에 상기 격자 프레임 정보를 적용하여 상기 도시계획정보에 좌표정보가 상이하게 존재하는 지형지물의 계획좌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좌표정보 저장부(320)에 전송하여 저장시키는 좌표정보 분석부(340);
    상기 좌표정보 분석부(340)와 접속하여 신호를 송신, 수신, 전달하며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와 접속하여 상기 좌표분석부(240)가 생성한 개발진척 정보를 수신하고 저장된 상기 계획좌표정보와 좌표정보를 대비 분석하여 상기 계획좌표정보와의 오차율을 산정하며, 설정된 허용범위의 오차율을 벗어나면 해당 경고 메시지를 상기 좌표정보 디스플레이부(20)에 전송하여 상기 터치디스플레이부(21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오차분석 제어부(350);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KR1020130046617A 2013-04-26 2013-04-26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KR101344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617A KR101344756B1 (ko) 2013-04-26 2013-04-26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617A KR101344756B1 (ko) 2013-04-26 2013-04-26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756B1 true KR101344756B1 (ko) 2014-01-16

Family

ID=5014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617A KR101344756B1 (ko) 2013-04-26 2013-04-26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7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717A (ko) * 2015-07-22 2017-02-03 홍의재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58419A (ko) * 2021-05-24 2022-12-01 (주)에스유지 다중 영상을 사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469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코리아 이앤씨 위성항법장치를 탑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 기반의주택특성조사를 위한 모바일지아이에스 시스템
KR20100011874A (ko) * 2008-07-24 2010-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공간정보를 통합한 도시 관리 시스템 구축장치 및 방법
KR20110065586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리정보 기반 도시지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0731B1 (ko) * 2011-08-02 2011-12-08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469A (ko) * 2006-10-30 2008-05-07 주식회사 코리아 이앤씨 위성항법장치를 탑재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 기반의주택특성조사를 위한 모바일지아이에스 시스템
KR20100011874A (ko) * 2008-07-24 2010-02-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차원 공간정보를 통합한 도시 관리 시스템 구축장치 및 방법
KR20110065586A (ko) * 2009-12-10 2011-06-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리정보 기반 도시지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90731B1 (ko) * 2011-08-02 2011-12-08 주식회사 정도유아이티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717A (ko) * 2015-07-22 2017-02-03 홍의재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1710860B1 (ko) * 2015-07-22 2017-03-02 홍의재 영상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58419A (ko) * 2021-05-24 2022-12-01 (주)에스유지 다중 영상을 사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KR102639240B1 (ko) 2021-05-24 2024-02-21 (주)에스유지 다중 영상을 사용한 옥외광고물 측정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307B2 (en) Online sensor calibration for autonomous vehicles
Keil et al. Creating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based on open geospatial data and game engines
US9116011B2 (en) Three dimensional routing
US9390519B2 (en) Depth cursor and depth management in images
US9619944B2 (en) Coordinate geometry augmented reality process for internal elements concealed behind an external element
CN112230759B (zh) 一种动态交互的城市观景视廊识别与规划模拟方法
EP2798309B1 (en) Path side imagery
US20130222375A1 (en) 3d building modeling
JP2012133471A (ja) 画像合成装置、画像合成プログラム、及び画像合成システム
US20230016153A1 (en) Map Feature Identification Using Motion Data and Surfel Data
Zhao et al. Mapping 3D visibility in an urban street environment from mobile LiDAR point clouds
Barrile et al. Geomatics and augmented reality experiments for the cultural heritage
Albrecht et al. Assessing façade visibility in 3D city models for city marketing
US7487070B2 (en) Method for planning a security array of sensor units
KR101344756B1 (ko) 도시계획정보에 따른 특정시설의 이미지 좌표정보 생성 방법을 이용한 생성 시스템
Puspitasari et al. A reliable method for visibility analysis of tall buildings and skyline: A case study of tall buildings cluster in Jakarta
Gkeli et al. Crowdsourced 3D cadastral surveys: looking towards the next 10 years
KR20150020421A (ko) 휴대용 측량 단말기를 이용한 증강 현실 기반의 측량 시스템
Kaźmierczak et al. Augmented reality as a technology that supports the spatial development process
WO2010099940A1 (en) Method for the surveying, the processing and the use of data relating to the topographical configuration and the morphology of the territory and of the road network
Kaźmierczak et al. Augmented Reality as a Support in the Process of Spatial Development
Jelacic Terrestrial laser scanner for 3D modelling of USQ Toowoomba campus
CN114511795A (zh) 管沟沟底和管沟边坡平整度的识别分析方法和系统
CN114519774A (zh) 油气管道线路工程中线的生成方法
Tovar Sketching in Sit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