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497B1 - 신발 건조기 - Google Patents

신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497B1
KR101344497B1 KR1020120135033A KR20120135033A KR101344497B1 KR 101344497 B1 KR101344497 B1 KR 101344497B1 KR 1020120135033 A KR1020120135033 A KR 1020120135033A KR 20120135033 A KR20120135033 A KR 20120135033A KR 101344497 B1 KR101344497 B1 KR 101344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ozone
blower
shoes
ho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대
Original Assignee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강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남강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4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효율을 높여 신발의 건조 기능을 향상시킨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류 현상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열풍공금장치를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가열된 열풍이 각각의 신발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하였고, 히터를 송풍기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여 히터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공기가 송풍되게 하여 충분히 가열된 더운 공기가 신발에 작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분할된 신발수납실을 구비하고 각각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신발의 분실을 방지하였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밀폐시켜 공기가 건조기의 내부에서만 순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건조기를 구성하는 음이온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건조기{shoes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게하게는 열효율을 높여 신발의 건조 기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대류 현상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열풍공금장치를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가열된 열풍이 각각의 신발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하였고, 히터를 송풍기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여 히터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공기가 송풍되게 하여 충분히 가열된 더운 공기가 신발에 작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였고, 본체를 밀폐시키고 오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여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신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전투화, 장화, 구두, 안전화 등의 신발류를 장시간 착용하거나, 비나 눈이 거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사용할 경우, 신발의 내부에는 습기가 차게 되며, 이 습기를 오랫동안 제거하지 않으면 신발 내부에는 각종 세균이 번식할 뿐만 아니라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발을 세척하거나 건조시킴과 동시에 살균하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 이렇게 신발을 관리하는 종래의 방법은 신발을 세척한 후, 태양의 복사열과 자외선, 자연풍으로 건조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연조건에 의존한 신발의 건조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번거롭고 불편하였다. 특히, 여러 켤레의 신발을 대량으로 관리하여야 할 경우에는 그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더욱 가중될 뿐만 아니라. 흐리거나 습도가 높은 계절 또는 동절기에는 신발이 쉽게 건조되지 않아 건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발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는 신발 건조기가 개발된 바 있으며, 그 일예로 특허문헌 1 내지 4가 있다.
이들 선행의 신발 건조기들은 대부분이 사각 함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부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도어가 전면에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수평 형성되어 신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는 신발받침부재와, 상기 본체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신발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신발 건조기는 신발에 공급되는 열풍은 풍력이 비교적 미약한 송풍팬을 이용하고 있고,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신발에 이르기까지 형성되는 열풍 공급관로는 복잡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풍력이 비교적 미약한 송풍팬으로 상기 복잡한 열풍 공급관로를 통해 열풍을 공급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신발 내부의 구석구석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건조시키기 어려워,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 켤레의 신발을 대량으로 건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 외에도 송풍팬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신발의 건조 효율은 떨어져 송풍팬로부터 멀리에 보관된 신발은 건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신발 건조기는 자외선램프 혹은 오존 램프를 이용하여 신발의 내부를 살균시키고 있으나,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신발 내부를 살균시키고자 할 때에는 자외선이 신발 내부에 구석구석 침투하도록 자외선램프를 신발 내부에 일일이 직접 삽입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오존 램프를 이용한 경우에는 생성되는 오존의 양이 미약하여 신발 내부를 확실하게 살균시키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특허 제1056902호가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형상의 함체형으로 형성되되, 전면에는 개폐가능한 도어가 형성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내설되는 열풍 공급부(200)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되, 일측단은 상기 열풍 공급부의 배출관(240)과 수평으로 연결되고, 타측단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내부에 열풍을 수직 방사하는 열풍 분배관(300)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수평으로 설치되는 신발받침부재(400)와; 상기 열풍 분배관(300)의 하측에 형성되되, 상기 신발받침부재(400)의 좌우 양측부에 형성되는 열풍 이동통로(500)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신발의 건조와 살균을 완료한 오존가스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부(6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열풍 공급부(200)는,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부(210)와, 상기 송풍부(210)의 일측에 형성된 외부공기 유입관(220)에 내장되는 제1제수필터와, 상기 송풍부(210)의 타측에 형성된 배출관(240)에 내설되되, 바람 배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히터부, 오존발생부, 제2제수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기부(600)에는 활성탄 충진부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오존가스는 활성탄의 탄소와 결합하여 일산화탄소 혹은 이산화탄소와 산소로 분해되어 배출되게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신발건조기는 도시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체의 상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들이 설치되어 있어 열풍 공급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즉, 통상적으로 더운 공기는 위로 흐르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흐르는 것이 대류 현상인데 상기한 신발건조기는 열풍공급장치가 위에 설치되어 있어 공급되는 열풍이 최 하단의 신발에 까지 영향을 주비 못하고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최하단에 보관된 신발은 충분히 건조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송풍부(240)에 설치되는 히터부가 송풍기와 인접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히터부가 가열되기 전에 이미 송풍기가 작동하게 되어 가열되지 않은 찬 공기가 신발에 공급되어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송풍기의 공기가 히터에서 가열되어야 하지만 송풍기와 인접한 부분에 히터가 설치됨으로 히터에서 가열되기 전에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게 됨으로 신발에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되지 않은 상태로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신발 건조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오존가스를 분해할 수 있게 하였으나 분해 효율이 떨어지거나 오작동 등에 의해 오존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오존이 외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신발 건조기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통체 형상의 본체에 다수의 신발을 보관한 상태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신발의 분실 염려가 있었다. 즉, 신발에는 기능성을 갖는 고가의 신발이 많이 있고 이러한 신발을 하나의 저장 공간에 보관할 경우 제3자에 의해 신발을 도난당하는 문제가 있었다.
미설명부호 650은 배기팬, 220은 외기유입관, 900은 제어부이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2-0043496호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4-0021999호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97164호 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45449호 5.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569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써, 대류 현상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열풍공급장치를 하부 일측에 설치하여 가열된 열풍이 각각의 신발에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하고, 히터를 송풍기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설치하여 히터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공기가 송풍되게 하여 충분히 가열된 더운 공기가 신발에 작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분할된 신발수납실을 구비하고 각각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신발의 분실을 방지하였고, 본체를 밀폐시켜 공기가 건조기의 내부에서만 순환이 이루어지고 오존이 남아 있을 때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함으로써 건조기를 구성하는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신발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은 신발을 건조 및 살균하는 신발 건조기에 있어서. 각각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가 설치되어 켤레의 신발만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나누어진 다수의 신발수납실로 이루어진 본체와; 본체의 최하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신발건조용 열풍공급장치가 설치된 기계수납실과;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고, 기계수납실의 일측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제어판과 ;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신발수납실로 공급하는 공급배관과; 각 신발수납실을 경유한 열풍이 통과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로 귀환되게 하는 귀환홀이 형성된 바닥판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는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바람을 하기 송풍탱크로 보내는 송풍덕트와, 송풍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오존을 공급하여 공기 중의 오존이 신발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게 하는 음이온 오존발생기와, 상기 음이온 오존발생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존을 포함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판에 형성된 귀환홀에 송풍기로 귀환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걸러내고 탈취를 위한 필터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은 각 신발수납실의 배면 벽의 안쪽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를 향하여 복수의 통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배관 하단에는 분배관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복수의 열로 신발수납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탱크의 상단과 상기 분배관 사이는 탱크연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부에는 오존검출센서를 설치하고, 제어판에 오존표시부를 구성하여 본체 내부의 오존농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음이온 오존발생기가 최적의 상태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제어함은 물론, 본체의 내부에 오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함에 따라 오존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은 열풍공급장치를 신발 건조기의 본체의 하부에 설치하여 최하단의 신발수납실로부터 가열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대류 현상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보다 쉽게 위로 상승하여 위의 각 신발수납실에 공급될 수 있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열된 열풍이 각각의 신발에 고르게 공급되어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히터를 송풍기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히터가 충분히 가열된 상태에서 공기가 송풍되게 하여 충분히 가열된 더운 공기가 신발에 작용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분할된 신발수납실을 구비하고 각각에 신발을 보관할 수 있게 하여 신발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를 밀폐시켜 공기가 건조기의 내부에서만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내부에 오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여 건조기를 구성하는 음이온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하여 대기가 오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일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기계실을 통과하는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의 기계실의 일부와 수납실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열풍공급장치와 배관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신발건조기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열풍 공급 효율을 상승시켜 신발의 건조 효율을 높인 것으로서, 본체(1)의 하부에 연풍공급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열풍공급장치(20)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은 최하단에 배치된 신발수납실(1r)로부터 위를 향하며 점차 상승하여 공급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대류 형상이 작용하여 더운 공기의 흐름이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본체(1)에 다수의 신발수납실(1r)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신발수납실(1r)은 서로 분리되어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게 된다. 물론, 도 2 및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의 후방에 귀환홀(5h)이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이 공급배관(4)과 귀환홀(5h)을 통해 상하의 신발수납실(1r)이 연결되지만 다른 신발수납실에 신발을 넣거나 꺼낼 수는 없게 하였다. 즉, 신발수납실(1r)을 단곡의 격실로 구성하고 각 신발수납실의 전면에 도어(11)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신발만을 따로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물론 각 신발수납실(1r)에 설치된 도어(11)에는 잠금장치(12)가 설치되어 있어 제3자가 다른 사람의 신발이 보관된 수납실의 신발을 꺼낼 수 없게 하여 신발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상기 잠금장치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본 출원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제1031806호의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하고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풍공급장치(20)는 본체(1)의 최 하단의 기계수납실(2)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20b)와,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바람을 하기 송풍탱크(20t)로 보내는 송풍덕트(20d)와, 송풍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로부터 전달된 공기를 오존을 공급하여 공기 중의 오존이 신발의 세균을 살균할 수 있게 하는 음이온 오존발생기(20e)와, 상기 음이온 오존발생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존을 포함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0h)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20b)는 통상의 송풍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소음이 적은 블로워(Blower)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수개의 송풍날개를 가진 임펠러와,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성되는 블로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기(20b)에서 송풍되는 바람은 송풍덕트(20d)를 통하여 송풍탱크(20t)의 내부로 공급되고, 송풍탱크(20t)의 내부에 설치된 음이온 오존발생기(20e)와 히터(20h)를 경유하여 공급배관(4)d0 공급된다.
물론, 상기 공급배관(4)을 통해 각 신발수납실(1r)에 공급되는 열풍은 탱크연결관(41)과 분배관(42)을 통해 각 공급배관(4)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풍기의 후단에 인정되게 히터를 설치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즉, 히터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상태에서 송풍기가 구동됨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신발수납실로 공급되거나 송풍기와 히터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 히터가 채 가열되기 전에 송풍기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히터를 통과함에 따라 가열되지 않은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히터(20h)가 설치되는 송풍탱크(20t)와 송풍기 사이에 송풍덕트(20d)를 설치하여 유로를 연장시킴은 물론, 히터(20h)를 음이온 오존발생기(20e)의 후단에 설치하여 가능한 히터가 송풍기(20b)f호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게 하였다.
상기 음이온 오존발생기(20e)는 교류전원의 전압을 낮추는 변압기와, 변압기에 의해 전압이 낮춰진 교류를 낮은 전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직류를 초고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승압기와, 인버터와 승압기 사이에 설치되되, 산소가 통과하도록 하여, 낮은 직류를 승압시키면서 발생하는 스파크로써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세라믹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음이온이 생성되어 음이온에 의한 탈취 공기 정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이온 오존발생기(20e)는 공지된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터(20h)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구동하는 통상의 발열수단 중 어느 하나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건조기는 구성요소의 제어를 위한 제어판(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판(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수납실(2)의 일측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다. 이렇게 제어판(3)을 기계수납실과 근접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제어판과 각 구성요소 사이에 연결되는 배선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배선에 의해 본체(1) 내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급배관(4)을 통해 각각의 신발수납실(1r)로 공급된 공기는 신발수납실(1r)의 신발을 가열 및 살균하면서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대류 형상에 의해 각 신발수납실(1r)의 바닥으로 가라않는다. 이렇게 바닥으로 가라않은 공기는 각 신발수납실(1r)의 바닥에 형성된 귀환홀(5h)을 통해 아랫단의 신발수납실로 이동하여 최하단에 설치된 신발수납실의 바닥에 설치된 귀환홀을 통해 바닥판(5)의 하부로 유입되고, 바닥판 하부의 귀환유로(5w)를 통해 송풍기(20b)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다시 순환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5)들 중 최하단의 바닥판(5)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저면커버(1c)가 설치되어 있어 바닥판(5)과 저면커버(1c) 사이에 귀환유로(5w)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유로 상에는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분배관(42)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건조기에서 송풍기(20b)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은 송풍덕트(20d) - 음이온 오존발생기(20e) - 히터(20h) - 텡크연결관(41) - 분배관(42) - 공급배관(4) - 귀환홀(5h) - 귀환유로(5w) 송풍기(20b)를 통해 순환되는 것이다.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귀환홀(5h) 중 적어도 최하단의 바닥판에 형성된 귀환홀(5h)에는 송풍기(20b)로 귀환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걸러내고 악취를 탈취하기 위한 필터(5f)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5f)는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나 보다 쉽게 구할 수 있고 구성이 단순한 활성탄이 포함된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f)는 미세한 통기홀이 형성된 통상의 필터에 활성탄을 부분적으로 도포하거나 활성탄을 포함하는 재질로 만들어진 필터가 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발 건조기는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기 공급배관(4)은 각 신발수납실(1)의 배면 벽의 안쪽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를 향하여 복수의 통기홀(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배관(4) 하단에는 분배관(42)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복수의 열로 신발수납실(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탱크(20t)의 상단과 상기 분배관(42) 사이는 탱크연결관(41)에 의해 연결어 있다.
또한 상기 공급배관(4)에 형성되는 통기홀(4a)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가능한 신발수납실(1r)의 위쪽에 형성하여 공급되는 열풍이 신발의 위로부터 공급되게 하여 신발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함으로써 신발의 건조 효율을 높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 내부에서 순환하는 열풍 중에 포함된 오존 즉, 신발의 살균을 위해 음이온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공기가 내부에서 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과도하게 오존이 발생하거나 본체 내부에 오존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신발을 꺼낼 때 오존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오존을 감지할 수 오존검출센서(6)가 본체 내부에 더 구비되어 있어 과량의 오존이 존재할 때는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하였으며, 상기 제어판(3)에는 오존검출센서(6)에서 검출된 오존의 농도를 표시하는 오존표시부(3d)가 구비되어 있다.
1: 본체
1c: 저면커버 1r: 신발수납실
1f: 프레임 1p: 패널
11: 도어 12: 잠금장치
2: 기계수납실
20: 열공공급장치
20b: 송풍기 20d: 송풍덕트
20e: 음이온오존발생기 20h: 히터
20t: 송풍탱크
3: 제어판
4: 공급배관 4a: 통기홀
41: 탱크연결관 42: 분배관
5: 바닥판 5h: 귀환홀 5w: 귀환유로
6: 오존검출센서

Claims (5)

  1. 각각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도어(11)가 설치되어 켤레의 신발만이 보관될 수 있도록 나누어진 다수의 신발수납실(1r)로 이루어진 본체(1)와; 본체(1)의 최하단의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신발건조용 열풍공급장치(20)가 설치된 기계수납실(2)과; 상기 열풍공급장치(20)의 구동을 제어하고, 기계수납실의 일측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제어판(3)과 ; 상기 열풍공급장치(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각 신발수납실(1r)로 공급하는 공급배관(4)과; 각 신발수납실(1r)을 경유한 열풍이 통과하여 상기 열풍공급장치로 귀환되게 하는 귀환홀(5h)이 형성된 바닥판(5)을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장치(20)는 바람을 공급하는 송풍기(20b)와, 상기 송풍기에서 발생된 바람을 하기 송풍탱크(20t)로 보내는 송풍덕트(20d)와, 송풍탱크의 내부에 설치되어 송풍기로부터 전달된 공기에 오존과 음이온을 제공하여 신발을 살균할 수 있게 하는 음이온 오존발생기(20e)와, 상기 음이온 오존발생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오존을 포함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20h)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판에 형성된 귀환홀(5h)에는 송풍기(20b)로 귀환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걸러내고 탈취를 위한 필터(5f)가 더 설치되며, 상기 공급배관(4)은 각 신발수납실(1)의 배면 벽의 안쪽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내부를 향하여 복수의 통기홀(4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급배관(4) 하단에는 분배관(42)이 연결되어 측방으로 복수의 열로 신발수납실(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송풍탱크(20t)의 상단과 상기 분배관(42) 사이는 탱크연결관(41)에 의해 연결된 신발을 건조 및 살균하는 신발 건조기에 있어서,
    신발수납실(1r)이 다수의 분할되어 각 신발수납실에 설치된 도어(11)에 잠금장치(12)를 설치하여 신발을 따로 보관하여 신발의 분실을 방지하고,
    본체를 밀폐시키고, 상기 바닥판(5)들 중 최하단의 바닥판(5)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저면커버(1c)를 설치하여 바닥판(5)과 저면커버(1c) 사이에 귀환유로(5w)를 형성하여 송풍기(20b)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흐름이 송풍덕트(20d) - 음이온 오존발생기(20e) - 히터(20h) - 텡크연결관(41) - 분배관(42) - 공급배관(4) - 귀환홀(5h) - 귀환유로(5w) - 송풍기(20b)를 통해 순환이 이루어지게 하여 공기가 건조기의 내부에서만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본체의 내부에는 오존검출센서(6)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판(3)에는 오존검출센서(6)에서 검출된 오존의 농도를 표시하는 오존표시부(3d)가 설치하여, 오존량이 일정량 이상이면 도어가 개방되지 않게 제어하여,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건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20135033A 2012-11-27 2012-11-27 신발 건조기 KR101344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033A KR101344497B1 (ko) 2012-11-27 2012-11-27 신발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5033A KR101344497B1 (ko) 2012-11-27 2012-11-27 신발 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497B1 true KR101344497B1 (ko) 2013-12-23

Family

ID=49989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5033A KR101344497B1 (ko) 2012-11-27 2012-11-27 신발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284A (zh) * 2016-06-20 2016-09-14 湖南海裕信息科技有限公司 温度可控家用烘鞋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92Y1 (ko) * 2005-01-22 2005-04-14 나종관 신발 건조장치
KR101056902B1 (ko) * 2010-12-24 2011-08-1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일체형 열풍 공급부가 내장된 신발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1792Y1 (ko) * 2005-01-22 2005-04-14 나종관 신발 건조장치
KR101056902B1 (ko) * 2010-12-24 2011-08-16 영남강철 주식회사 일체형 열풍 공급부가 내장된 신발 건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35284A (zh) * 2016-06-20 2016-09-14 湖南海裕信息科技有限公司 温度可控家用烘鞋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727B1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KR100899948B1 (ko) 살균 탈취기가 구비된 붙박이 수납장
CN207574278U (zh) 全自动宠物烘干箱
KR101321527B1 (ko) 열교환기를 활용한 건조기
KR20120092800A (ko) 신발 살균 건조기 그 외 환기 장치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KR20110023450A (ko) 농산물 건조장치
KR20170032087A (ko) 복사열 세탁물 건조기
KR200465911Y1 (ko) 건조 기능을 갖는 신발장
JP6279811B2 (ja) 衣類を乾燥及び除菌するための衣類ケア装置
KR101344497B1 (ko) 신발 건조기
KR20140055701A (ko) 슈즈케어시스템이 구비된 케비넷
KR100758647B1 (ko) 신발 살균건조장치 및 방법
CN211533300U (zh) 一种智能家居立体鞋柜
KR101056902B1 (ko) 일체형 열풍 공급부가 내장된 신발 건조기
KR100625104B1 (ko) 신발 건조기
CN106510528A (zh) 毛巾干燥机
KR20000071978A (ko) 신발 건조기
KR20120105103A (ko) 의류 건조기
KR200418256Y1 (ko) 차량용 매트 건조 및 살균기
CN214903023U (zh) 宠物烘干机
CN212557631U (zh) 一种杀菌鞋盒
CN215303966U (zh) 一种消毒烘干鞋柜
KR200415135Y1 (ko) 발 보온 및 살균 건조기능을 갖는 신발 건조장치
KR102642464B1 (ko) 전기 식기 소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