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165B1 -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165B1
KR101344165B1 KR1020087019478A KR20087019478A KR101344165B1 KR 101344165 B1 KR101344165 B1 KR 101344165B1 KR 1020087019478 A KR1020087019478 A KR 1020087019478A KR 20087019478 A KR20087019478 A KR 20087019478A KR 101344165 B1 KR101344165 B1 KR 101344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amplitude
signals
signal
communication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175A (ko
Inventor
라치드 엠. 알라메
루이스 제이. 반나타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106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86Provision of wave shaping within the dri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버스 인터페이스 및 대응 방법이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도록 제공되고, 적어도 두 개의 모드들은 다른 동작 통신 신호 레벨들을 갖는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을 변환하도록 채용된다.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전달된 통신 신호들은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로부터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로 변환된 다음,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이 하나 이상의 관련 통신 경로들을 통해 전송되어 수신된 이후,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로 다시 변환된다.
버스 인터페이스, 통신 신호, 통신 버스, 진폭 조정 회로, 통신 프로토콜

Description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 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A BUS INTERFACE AND METHOD FOR CONVEYING MULTI-LEVEL COMMUNICATION SIGNALS BETWEEN A COMMUNICATION BUS AND A DEVICE COUPLED TO A COMMUNICATION B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버스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통신 모드들을 갖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은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다.
여러 가지 동작 조건에서 사용을 위해 다른 제조자들의 부품들 사이에서 편리한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표준 통신 프로토콜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개, 통신 프로토콜의 적어도 일 부분들의 특성은 의도한 동작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예상한 어려움을 해결하고 및/또는 의도한 동작 조건들과 공통으로 관련된 임의의 이익의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이러한 동작 조건의 일례는 이동 통신 환경과 관련된 조건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장치의 부분들을 형성하는 여러 요소들 사이의 장치내(intradevice) 통신을 수반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임의의 특징들은 장점을 갖고 및/또는 설명될 수 있는 임의의 유익한 특징들 및/또는 예상한 어려움 또는 조건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동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공통적인 구성은 두 부분의 하우징 구성을 갖는 장치를 포함하는데, 두 하우징 부분들은 하우징 부분들이 서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적어도 일 예에서, 두 하우징 부분은 힌지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어서 두 개의 하우징 부분들이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선회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예에서, 두 부분의 하우징 부분들은 슬라이더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하나에 결합될 수 있어서 두 하우징 부분들이 다른 하나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대개, 각 하우징 부분은 하나 이상의 액티브 요소들을 포함하는데, 이 액티브 요소들은 다른 하우징 부분의 요소들에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및/또는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 부분들 모두에서 요소들에 결합될 필요가 있는 배터리 등의 전원은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으며, 두 하우징 부분들 사이의 분리를 연결하는 일부 형태의 접속을 통해 다른 부분에서 요소들에 결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동일 또는 다른 예들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주 프로세싱 요소는 두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다른 하우징 부분의 요소와 접속이 바람직한 예들을 포함하는 두 하우징 부분들 중 하나에 위치한 요소들과 통신할 필요가 있다.
힌지를 통해 함께 결합된 베이스 또는 하부 및 플립 또는 상부를 포함하는 플립형 또는 캄쉘(clam shell) 형 전화에 있어서, 전원 및 하나 이상의 주 처리 요소들과 같은 부품들은 대개 두 부분의 하우징의 베이스 또는 하부에 위치한다. 귀 덮개 스피커 부분,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와 같은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두 부분 하우징의 플립 또는 상부에 위치하며, 때로 베이스 또는 하부 하우징 부분에서 요소들과 통신하거나 및/또는 이 요소들과 결합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플립 부분들을 포함하는 두 하우징 부분들 각각에 위치한 부품들과 관련된 새롭고 확장된 성능으로 유저는 캄셀형 전화의 베이스 부분과 플립 부분 사이에서 전달되는 정보 량의 계속적인 증가를 경험하기 쉽다.
통신의 증가는 하나 이상의 증가된 수의 통신 라인 및/또는 소정의 기존재하는 또는 감소된 수의 통신라인 각각에서 통신되는 데이터 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원될 수 있는데, 이 모두는 힌지 또는 슬라이더 메카니즘 등의 결합 요소를 통해 신호가 라우트될 필요에 의해 어렵게 된다. 그러나 향상된 데이터 흐름을 지원하기 위한 위의 두 가지의 지적된 가능한 해결책 중 어느 하나에 결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통신 경로들 수의 증가는 일반적으로 큰 수의 통신 접속을 지원하기 위해 두 개의 하우징 사이에서 전달될 필요가 있는 신호들을 전달하는데 필요한 부분들의 량을 증가시킨다. 반면, 현재 또는 감소된 수의 통신 접속에서 통신되는 데이터 량의 증가는 때로 높은 데이터 전송속도를 갖는 데이터 신호들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체들에 의해 라우트되는 전기 신호의 경우에 전자기 노이즈 및 간섭량의 대응적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두 부분의 하우징의 이동가능한 결합을 지원하는 결합 요소를 통해 신호들이 라우트되는 경우에, 전자기 노이즈 및 간섭에서의 어떠한 증가에 대한 고려는 적절한 전자기 차폐의 제공과 관련된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신 표준 즉,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표준에서는, 접속 수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직렬화된 통신을 통합함으로써 일부 현안을 줄이기 위한 시도를 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교적 고 주파수 통신 신호의 사용과 관련된 전자기 노이즈 및 간섭 량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도록 차동 시그널링(differential signaling)의 사용을 통합한다. 한편, 차동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아직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일부 예들에서 노이즈의 일부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른 문제는 배터리 등의 내장 타입 전원을 통합하는 이동 장치에서 보다 문제가 될 수 있는 전력 소모에 관련될 수 있다. MIPI와 관련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모드를 지원하는 저 진폭 차동 신호가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에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한편, 논리 레벨이 변화하는 예에서 전력 소모를 크게 제한하는 종래의 저 전력 CMOS 회로를 통합하는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 모드는 차동 시그널링을 지원하는 신호 레벨들과 비교할 때, 통상의 CMOS 회로에서 데이터 상태들을 지원하는 신호 진폭(즉, 전압 레벨들)이 비교적 큰 경우에도, 저속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전송 모드 동안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데 유사하게 도움을 준다.
본 발명자들은 차동 시그널링의 사용의 경우에도 계속하여 존재하게 되는 전자기 노이즈 및 간섭이 데이터 신호를 전기적으로 전달하는 것과 반대로 데이터 신호를 광학적으로 전달함으로써 대부분 방지될 수 있는 것을 인식하였다. 그러나 이 예에서, 낮은 데이터 전송속도 모드와 관련된 높은 진폭 신호는 CMOS 회로를 갖 는 경우인 논리 레벨 상태에서의 천이의 예들로 주로 제한되는 경우와는 반대로, 광 시그널링과 관련된 전력 소모가 주로 특정 신호 진폭에서 신호 진폭과 전송 지속시간의 함수 일 때, CMOS 회로와 관련된 같은 전력 절감 이익을 얻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해 일부 통신 모드들과 관련된 비교적 높은 진폭 신호들의 선택적 변환이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본 발명은 통신 프로토콜에서 통신 신호들을 변환하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통신 프로토콜은 복수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은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다. 통신 신호들은 다수의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변환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통신 버스에 결합된 진폭 조정 회로 및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한다. 진폭 조정 회로는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통신 버스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또한 송신기를 구비하고, 송신기는 진폭 조정 회로에 결합된다. 송신기는 진폭 조정 회로로부터 수신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전송하고, 진폭 조정 회로는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버스 인터페이스는 또한 수신기를 가지며, 수신기는 송신기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신기는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또한 수신기에 결합된 진폭 복원 회로를 갖는다. 진폭 복원 회로는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기초로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대응하게 복원하는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며, 진폭 조정된 검출된 진폭 조정 통신 신호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버스 인터페이스는 제1 방향에 반대인 제2 방향에서 통신을 위한 대응하는 추가의 제2 버스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반 이중 통신을 지원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전 이중 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은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다. 전 이중 버스 인터페이스는 한 쌍의 단신회선(simplex) 버스 인터페이스들을 갖는다. 단신회선의 버스 인터페이스들 각각은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는 진폭 조정 회로를 갖는다. 진폭 조정 회로는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수신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한다.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는 또한 진폭 조정 회로에 결합된 송신기를 갖는다. 송신기는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진폭 조정 회로로부터 수신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전송한다.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은 또한 송신기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송신기에 의해 전송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기 회로를 갖는다.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은 또한 수신기 회로에 결합된 진폭 복원 회로를 포함하고,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복원하는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한다. 진폭 복원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한 쌍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 중 제1 인터페이스의 진폭 조정된 회로의 입력은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통신 버스에 결합되고, 진폭 복원 회로의 출력은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장치에 결합된다. 한 쌍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 중 제2 인터페이스의 진폭 조정 회로의 입력은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장치에 결합되고, 진폭 복원 회로의 출력은 통신 버스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신호들을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은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다. 이어서 통신 신호들의 모드가 검출된다. 이어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은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선택적으로 조정된다. 통신 신호들은 다수의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조정된다. 이어서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고,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도록 조정되는 통신 신호들이 전송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 방법은 또한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고,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전송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고,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검출 전송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이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복원되고, 복원된 진폭을 갖는 통신 신호들은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서 및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같은 복수의 요소들 사이에서 정보가 통신되는 일례의 통신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진폭이 선택적으로 조정되기 전후의 시간의 함수로서 신호 진폭을 나타내는 일례의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버스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의 지원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들을 통합하는 또 다른 버스 인터페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인터페이스의 보다 상세한 개략 회로도이다.
도 7은 적어도 한 쌍의 검출된 모드들 각각을 위해 선택적으로 구성된 주파수의 함수로서 수신 증폭기 이득의 일례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버스와 이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장치 사이의 신호들을 전달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함에 있어서 개별 신호 레벨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통신 신호들을 공급하기 위한 도 8에 도시된 흐름도와 관련된 선택적 추가 특징들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여러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되는데, 이하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하며, 본 발명의 개시는 본 발명의 예시로 해석되고 예시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예시의 통신 구조(10)의 블록도로서, 정보가 프로세서(12)와 하나 이상의 주변 장치들과 같은 복수의 요소들 사이에서 통신됨을 도시한다. 특히, 프로세서(12) 및 여러 가능한 접속 구성이 도시되는데, 다수의 통신 접속을 강조하며, 적어도 일부의 접속 구성은 MIPI 통신 프로토콜의 사용에 적합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3 세트의 통신 포트들을 도시한다. 제1 세트의 포트(14)는 통신 버스(16)에 결합된다. 제2 세트의 포트(18)는 주변 장치(20)에 더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제3 세트의 포트(22)가 버스(포트) 인터페이스(26)를 통해 주변장치(24)에 결합된다. 순서적으로 통신 버스(16)는 버스 인터페이스(34)를 통해 주변 장치(28), 및/또는 주변 장치(30 및 32)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적어도 일부의 예들에서, 도시된 통신 접속은 두 개의 하우징 부분 사이에서 및/또는 힌지 접속을 통해 연장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실시예들 각각에서, 통신 접속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인터페이스에 대응할 수 있는 버스 및/또는 포트 인터페이스(26, 34)를 통해 부분적으로 용이하게 되는데, 이하 기술한다.
버스 인터페이스(26)의 경우에, 인터페이스(26)는 힌지를 통해 갭을 연결하고, 프로세서(12)와 주변장치(24) 사이에서 더 직접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특정 예들은 본 발명이 일반적으로 버스 인터페이스를 참조하지만, 통신 접속이 통신 버스(14)를 통한 통신 접속과는 반대로 한 세트의 포트(22)와 더 직접 관련된 예들에서 본 발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버스 인터페이스에 대한 참조는 또한 한 포트에 더 직접으로 결합된 인터페이스와 추가적으로 관련되는 것을 의도한다.
버스 인터페이스(34)의 경우에, 인터페이스(34)는 통신 버스(16)를 통한 통신 접속을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버스(16)를 통한 모든 주변 통신 접속들이 버스 인터페이스(34)에 의해 지원될 필요는 없으며, 버스 인터페이스(34)는 하나 이상의 주변장치들과 통신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의 사용은 힌지를 횡단하지만 선택적인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접속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힌지를 횡단하는 통신 접속은 반드시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행해질 필요가 없으며, 소정 상황에서는 발명의 배경기술 부분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힌지를 횡단하는 통신 접속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기술한 것과 같은 버스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내는 것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통신 포트들의 세트들 각각은 한 쌍의 통신 경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 지만,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다른 통신 경로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수의 통신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나 둘 이상의 통신 경로의 사용이 차동 시그널링 및 이중 단일 종단 신호 경로에 대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접속들 각각과 관련하여 일치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파 모드는 예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기술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MIPI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환경과 일치하고 이 환경과 용이하게 관련된다.
주변장치들은 여러 타입의 기능 요소들, 디스플레이, 카메라, 메모리 회로, 및/또는 통신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통신 접속의 일단은 프로세서(12)에서 시작하거나 종료하지만, 통신 접속은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둘 이상의 요소들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환언하면, 대응하는 통신 접속은 예를 들어 두 개의 주변타입 장치들 사이에서 더 직접적으로 구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인터페이스(4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버스 인터페이스(40)는 통신 프로토콜을 위한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모드 검출기 회로(44)를 갖는 진폭 조정 회로(42)를 포함하고, 통신 프로토콜은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며, 다수의 모드들 중 적어도 한 쌍은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MIPI 통신 프로토콜은 대응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일치하고, MIPI 프로토콜은 비교적 큰 신호 진폭을 갖는 저속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적어도 제1 모드를 포함하는데, 저속 통신 모드와 관련된 한 쌍의 통신 경로를 크게 이중 단일 종단 통신 경로라고 하고, 차동 시그널링 의 타입은 비교적 큰 신호 진폭과 일치하게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저속 통신 모드는 동작의 제1 모드 및/또는 다른 모드와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는 제어 신호의 통신과 대부분 관련되는데, 데이터 신호는 또한 저속 통신 모드에서 동작하는 동안 통신될 수 있다.
MIPI 통신 프로토콜은 또한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은 신호 진폭을 가지며, 한 쌍의 통신 경로를 통해 통상적으로 전달된 차동 신호로서 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고속 통신 모드에 대응하는 제2 모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설명은 주로 한 쌍의 통신 모드에 중점을 두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시그널링 레벨들과 유사하게 관련될 수 있는 큰 수의 개별 통신 모드들을 수반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모드들의 수와 무관하게, 모드 검출기 회로(44)는 다른 모드들 사이를 구별할 수 있어서 진폭 조정 회로가 대응 신호 진폭들을 조정하여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 모드의 신호들은 진폭 조정된 신호를 사용하는 회로에 조정된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송신기(46)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조정 전후의 다수의 모드들과 일치하는 통신 신호들의 예를 도 3a 및 3b에 도시한다. 특히, 도 3a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 신호들에 중점을 둔 예시 그래프(50)이고, 도 3b는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 모드 신호들에 중점을 둔 예시 그래프(52)이다. 신호(54)는 진폭 조정 이전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통신 모드와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고, 신호(56)는 고속 통신 모드와 관련된 신호에 대응한다. 신호(58)는 진폭 조정 후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 른 저속 통신 모드와 관련된 신호에 대응하고, 신호(60)는 고속 통신 모드와 관련된 신호에 대응한다.
적어도 일부 예들에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은 다수 모드에서 통신 신호들의 진폭들이 조정되어 이 진폭들이 실질적으로 같거나 및/또는 실질적으로 공통의 진폭을 갖게 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예시한 신호들은 반드시 치수대로 도시되지 않으며, 각기 다른 또한 호환성 있는 레벨들을 갖는 각각의 다수의 모드 신호들과 일치하는 진폭 조정 타입의 예로서 작용하는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저속 통신 모드의 진폭은 조정 이전에 고속 통신 모드 신호 진폭의 대략 3배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주파수들은 유사하게 10MHz 이하의 근사 주파수를 갖는 통신 신호들을 포함하는 저속 통신 모드를 갖는 적어도 일 실시에에 따라 변화하며, 반면 고속 통신 모드는 50MHz와 750MHz 사이의 근사 주파수를 갖는 통신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 모드의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 신호들 사이의 신호 조절(conditioning)은 전기 신호로부터 광신호로의 변환 및 대응하는 광신호의 전달에 사용되는데 반하여, 높은 진폭 신호들은 전체 전력 사용에 보다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는 전제 전력 사용이 신호들이 전기적으로 전달됐을 경우 발생하는 것과 같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다. 그럼에도 임의의 환경에서, 대응하는 조절은 전기 통신 및/또는 유익한 효과를 갖는 다른 타입의 통신에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비 광학 통신 시스템에 전달이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버스 인터페이스(70)의 블록도이다. 몇 가지 관점에서, 버스 인터페이스(70)는 도 2에 도시한 버스 인터페이스의 확장으로서 볼 수 있다.
특히, 버스 인터페이스(70)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 신호들을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 모드 신호들로 변환하는 이외에, 송신기(46)에 의해 전송되고, 하나 이상의 광 경로 등의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74)에 의해 전달되는 전송 또는 전달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72)를 제공하고, 하나 이상의 광 경로는 자유 공간 또는 광섬유 케이블, 도파관 및/또는 렌즈 등의 광 전도체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의도한 방향으로 광을 전파하는 임의 광 방사 매체 또는 물질을 통해 전파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한 쌍의 신호 경로는 하나 이상의 다수의 모드들과 관련된 가능한 차동 시그널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특정 통신 접속과 관련된다.
이어서 수신된 신호가 수신기(72)에 결합된 진폭 복원 회로(76)에 전달된다. 진폭 복원 회로(76)는 수신되는 신호들의 전류 모드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 검출기 회로(78)를 포함하고, 이어서 상기 신호들은 진폭 조정 회로(42)에 의해 조정된 진폭 정보를 적합하게 복원하는데 사용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진폭 복원 회로(76)는 다수의 모드 신호들과 관련된 개별 신호 레벨들을 효과적으로 복원한다.
적어도 몇몇 예에서, 모드 검출기 회로(78)는 진폭 조정중 영향을 받지 않는 신호 특성을 기반으로 적합한 모드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위의 특성의 한 예로 주파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신호 특성과 관련된 또 다른 분석에 의해 또한 모드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걸쳐 상대 전력 레벨을 구하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가 포함되는데, 때로 높은 주파수 신호는 인접 데이터 값들과 관련된 데이터 값 천이의 속도를 제한할 수 있는 임의 데이터 시퀀스의 결과로서 저 주파수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른 예들에서, 모드 검출기 회로(78)는 유사하게 전달되는 임의의 데이터와 관련하여 제어 정보로서 전달될 수 있는 명시적 모드 선택 명령 또는 상태 지시기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IPI 프로토콜 규격과 관련하여 저속 통신 모드와 일반적으로 관련된 제어 정보는 고속 데이터 전달의 시작 및 종료에서 발생하고, 한 쌍의 신호 경로 각각에서 공통 논리 레벨의 존재로 검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한 쌍의 신호 경로 각각에서의 공통 논리 레벨은 고속 데이터 모드와 불일치하는데, 이 고속 데이터 모드는 MIPI 표준과 관련하여 특성이 다르므로 저속 데이터 전달과 관련된 적절하게 정의된 공통 논리 레벨 상태가 임의의 고속 차동 데이터와 구별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진폭 조정 회로(42) 및/또는 진폭 조정 회로(42)와 관련된 모드 검출기 회로(44)는 명시적 모드 선택 명령 또는 상태 지시기의 소스이거나 아니면 이 명령 또는 상태 지시기로부터 유사한 이익을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통신의 지원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합하는 또 다른 버스 인터페이스(80)의 블록도이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진폭 조정된 회로(42)의 입력과 관련된 한 쌍의 버 스 인터페이스(70)의 제1 인터페이스의 입력들은 진폭 복원 회로(76)의 출력과 관련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70)의 제2 인터페이스의 출력과 결합된다. 유사하게, 진폭 조정된 회로(42)의 입력과 관련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70)의 제2 인터페이스의 입력들은 진폭 복원 회로(76)의 출력과 관련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70)의 제1 인터페이스의 출력과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한 쌍의 버스 인터페이스(70)에 의해 신호들이 각 방향에서의 통신을 위해 조정되어 양방향 통신을 지원한다. 각 방향에서 전달된 통신들은 시간적으로 동시성이 있으며, 반 이중 통신의 형태가 지원된다. MIPI 프로토콜의 적어도 하나의 형태는 반 이중 통신을 포함한다.
그러나 적어도 몇몇 예들에서, 동시 양방향성 또는 전 이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각각의 송신기 수신기 쌍은 대향 방향에서 통신되는 신호들과 관련된 각각의 신호 성분들이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는 방식으로 통신할 수도 있다. 예들에서, 송신기 및 수신기가 광학적으로 신호들을 전달하는 경우, 각 송신기 수신기 쌍은 컬러 다이버시티 형태를 이용할 수 있는데, 다른 스펙트럼 특성에 의해 대응 신호들이 다르게 전달 및 검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방향성 통신의 두 방향들이 동일 쌍의 신호 경로들의 쌍을 공유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버스 인터페이스의 보다 상세한 개략 회로도(100)이다. 도 5에 도시된 버스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도 6에 도시된 버스 인터페이스는 대향 방향에서 신호들의 통신을 지원하는 두 세트의 대부분 동일한 회로를 갖는다. 따라서 한 방향만을 여기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순방 향 회로와 관련된 기술을 역방향 회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유사하게, 각 방향과 관련된 회로는 실질적으로 한 쌍의 경로들과 관련된 유사한 회로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버스 인터페이스(80)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도 6에 도시된 버스 인터페이스(100)는 진폭 조정 회로(42) 및 대응 모드 검출기 회로(44)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적어도 한 쌍의 모드들과 관련된 개별 신호 레벨들을 포함하는 다수 모드 신호들을 수신하도록 되어있다. 다수 모드 신호들은 신호 경로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각각의 버퍼(102)를 통해 수신된다. 버퍼(102)는 진폭 조정 회로(42)와 관련된 신호 조정을 신호 버스(16)의 나머지에 있는 신호들에 대한 의도치 않은 영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모드 검출 회로(44)에 의해 수행된 모드 검출과 진폭 조정 회로(42)에 의해 수행된 진폭 조정은 한 쌍의 각각의 다이오드(103)에 의해 유사하게 수행된다. 다이오드는 소정 결과의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에 대응하는 턴온 전압 임계값을 갖도록 선택되는데, 위의 신호 레벨은 도시한 실시예에서, 비교적 고속, 저 진폭 차동 신호의 비조정된 신호 진폭에 대응한다. 기본적으로 다이오드는 선택된 턴온 전압 임계값 이상의 진폭을 갖는 신호가 검출될 때, 전도한다. 동시에, 다이오드(103)는 전압 임계값을 초과하는 임의의 전압을 잘라내는 전압 제한기로서 동작하여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 모드의 신호들을 결과적으로 생성한다.
이 기술의 당업자라면 본 실시예는 검출을 감쇠와 결합하지만, 이와 달리 두 개의 기능이 본 발명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개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사전설정 전압 임계값을 갖는 비교기는 모드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결과의 신호가 신호를 소정 량만큼 선택적으로 감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 감쇠는 가변 이득 증폭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모드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각각의 추가의 소정 임계값을 갖는 추가의 비교기들이 사용되거나 및/또는 다른 소정의 턴온 전압 임계값을 갖는 다른 다이오드들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진폭 조정된 신호는 순서적으로 듀얼 증폭기(104)와 대응 저항(106) 형태의 구동 회로에 공급되고, 구동 회로는 두 신호 경로를 지원하고, 구동 신호를 발광 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 등의 대응 광 방사기(108)에 공급한다. 선택된 저항값들은 일반적으로 듀얼 증폭기(104)의 각각의 이득을 정의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광 방사기(108)에 의해 생성된 광신호는 광 트랜지스터 등의 대응 쌍의 광 검출기(110)에 의해 검출되는데, 결과 신호는 다른 듀얼 증폭기(112)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된다. 듀얼 증폭기(112)의 이득은 각 모드들 각각과 관련된 신호의 진폭을 복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한 쌍의 트랜지스터(114)가 듀얼 증폭기(112)의 이득을 정의하는 회로의 부분에 추가 저항(116)의 삽입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추가 저항의 선택적 삽입에 관한 결정은 신호 특성을 모니터하는 모드 검출기 회로(78)에 의해 제어되는데 상기 특성은 특정 모드에 고유하고, 모드 결정 회로는 진폭 조정과 관련된 변형에 의해 영향을 받 지 않으며, 및/또는 모드들 사이를 구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진폭 복원 회로(76)의 모드 검출기 회로(78)는 전력 스펙트럼 밀도 검출기를 이용하고, 이 전력 스펙트럼 밀도 검출기는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서 검출된 에너지에 대응하는 출력을 생성한다. 모니터되는 특정 주파수 대역들은 이득(118)을 갖는 고역 필터에 의해 결정된다. 이어서 인벨로프 검출기(120)가 신호의 가변성을 평활하게 하고 결과 신호의 대응 인벨로프를 추적하는데 사용된다. 결과의 검출된 인벨로프는 이어서 비교기(122)를 통해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되고, 이 비교기의 소정의 비교 임계값은 모드들 중 특정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들을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검출기 회로(78)는 높은 주파수들과 관련된 전력 스펙트럼 밀도를 갖는 신호를 검출한다.
도 7은 듀얼 증폭기가 적어도 한 쌍의 검출 모드들 각각에 대해 선택적으로 구성되었을 때 주파수의 함수로서 수신기의 부분을 형성하는 듀얼 증폭기의 증폭기 이득의 예시 그래프(130)를 도시한다. 저항값들과 검출 임계값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비교적 고속, 저 진폭 신호 및 비교적 저속 고 진폭 신호를 포함하는, MIPI 규격에 따른 프로토콜의 적어도 일 실시와 관련한 예상 모드와 일치하는 적어도 한 쌍의 모드를 지원하는 선택적 가변 이득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실시예는 신호 경로와 관련하여 듀얼 증폭기(112)의 이득을 제어함으로써 진폭을 선택적으로 복원하고, 진폭 이득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병렬 및/또는 다른 경로들을 통해 복원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로는 특정 모드와 관 련된 대응 이득 량을 가지며, 각각의 경로는 검출되는 특정 모드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신호들을 전달하는 방법(200)의 흐름도이다. 이 방법(200)은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202)를 포함하며, 위의 프로토콜은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고,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은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다. 이어서 통신 모드가 검출된다(204). 이어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이 통신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선택적으로 조정되고(206), 조정된 통신 신호들은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다. 이어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통신 신호들이 방사된다.
도 9는 다수의 모드를 지원함에 있어서, 개별 신호 레벨들을 포함하는 장치에 통신 신호들을 지원하기 위한 도 8에 도시된 흐름도(20)와 관련된 동작 추가 특징들의 흐름도(212)이다. 추가의 특징은 선택적으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전송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214)를 포함한다. 이어서 검출 전송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은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복원되고(216), 복원된 신호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은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를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 및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이 기술의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 변경, 변화, 대체 및 등가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통신 프로토콜에서 통신 신호들을 변환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로서 - 상기 통신 프로토콜은 복수의 통신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모드 중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이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고, 상기 통신 신호들은 다수의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변환됨 -,
    통신 버스에 결합되고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며,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통신 버스로부터 수신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진폭 조정 회로, 및
    상기 진폭 조정 회로에 결합되고,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진폭 조정 회로로부터 수신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방사하는(emitting) 송신기
    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송신기가 방사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복원하는 진폭 복원 회로 - 상기 진폭 복원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는 광 방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는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방사기 및 광 검출기는 광 전도체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버스 인터페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복원 회로의 모드 검출기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주파수 검출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조정 회로의 모드 검출기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신호 진폭을 갖는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진폭 검출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은, 미리 결정된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와 미리 결정된 진폭보다 더 작은 진폭을 갖는 차동 신호들로서 발신되는(originate) 통신 신호들을 갖는 제1 모드, 및 상기 미리 결정된 속도보다 더 낮은 속도와 상기 미리 결정된 진폭보다 더 큰 진폭을 갖는 이중의(dual) 단일 종단 신호들로서 발신되는 통신 신호들을 갖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은 공통 쌍의 신호 경로들을 통해 통신된 신호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조정 회로의 모드 검출기 회로는, 상기 공통 쌍의 신호 경로들 각각에 존재하는 신호를 모니터하고, 상기 공통 쌍의 신호 경로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공통 논리 레벨을 검출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은 공유 쌍의 신호 경로들을 통해 통신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진폭 복원 회로의 모드 검출기 회로는, 상기 공유 쌍의 신호 경로들 각각에 존재하는 신호를 모니터하고, 상기 공유 쌍의 신호 경로들 각각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공통 논리 레벨을 검출하는 비교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복원 회로는, 미리 결정된 이득보다 더 작은 이득과 미리 결정된 대역폭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상태와 상기 미리 결정된 이득보다 더 큰 이득과 상기 미리 결정된 대역폭보다 더 좁은 대역폭을 갖는 상태 사이를 스위칭할 수 있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폭 조정 회로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통신 신호의 예상 진폭에 대응하는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전압을 제한하는 전압 제한기를 포함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모드들 각각에서 통신 신호들은 비 동시적으로(non-concurrently) 통신되는 버스 인터페이스.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는 제1 방향에서 단신회선(simplex)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에서의 통신을 위해 대응하는 추가의 제2 버스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반 이중(half duplex)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하는 제2 방향에서의 통신을 위해 대응하는 추가의 제2 버스 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전 이중(full duplex) 통신을 지원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장치의 일부로서 통합되는 버스 인터페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함께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두 부분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는 버스 인터페이스.
  19. 복수의 통신 모드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이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통신 신호들을 전달하는 전 이중 버스 인터페이스(full duplex bus interface)로서,
    한 쌍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
    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는,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며,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수신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진폭 조정 회로;
    상기 진폭 조정 회로에 결합되어,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상기 진폭 조정 회로로부터 수신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방사하는 송신기;
    상기 송신기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송신기가 방사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수신기; 및
    상기 수신기에 결합되고 모드 검출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검출된 진폭 조정 된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상기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복원하는 진폭 복원 회로 - 상기 진폭 복원 검출된 진폭 조정된 통신 신호는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 중 제1 인터페이스의 진폭 조정 회로의 입력은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통신 버스에 결합되고, 상기 진폭 복원 회로의 출력은 상기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단신회선 버스 인터페이스들 중 제2 인터페이스의 진폭 조정 회로의 입력은 상기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장치에 결합되고, 상기 진폭 복원 회로의 출력은 상기 통신 버스에 결합되는
    전 이중 버스 인터페이스.
  20.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서 신호들을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통신 모드들을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 각각이 개별 동작 신호 레벨을 갖는 통신 프로토콜에서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들의 모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다수의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과,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통신 신호들 사이에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선택적으로 조정하는 단계; 및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중 모드들을 지원하는 통신 신호들을 방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전달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방사된 통신 신호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신호들의 검출 모드를 기초로, 호환성 있는 신호 레벨들을 갖는 다수의 모드들을 지원하는 검출, 방사된 통신 신호들의 진폭을 복원하는 단계 - 상기 복원된 진폭을 갖는 통신 신호들은 개별 신호 레벨들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통신 모드들을 지원하는 신호들을 포함함 -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달 방법.
KR1020087019478A 2006-01-13 2008-08-08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 KR101344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32,575 2006-01-13
US11/332,575 US7671628B2 (en) 2006-01-13 2006-01-13 Bus interface and method for conveying multi-level communication signals between a communication bus and a device coupled to a communication bus
PCT/US2007/060431 WO2007084831A2 (en) 2006-01-13 2007-01-12 A bus interface and method for conveying multi-level communication signals between a communication bus and a device coupled to a communication b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175A KR20080106175A (ko) 2008-12-04
KR101344165B1 true KR101344165B1 (ko) 2013-12-20

Family

ID=3826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9478A KR101344165B1 (ko) 2006-01-13 2008-08-08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71628B2 (ko)
EP (1) EP1982457B1 (ko)
KR (1) KR101344165B1 (ko)
CN (1) CN101371487B (ko)
WO (1) WO20070848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7598B2 (en) 2006-12-06 2012-09-18 Motorola Mobility Llc Point to point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for conveying signals between multiple housings of a device
US8294482B2 (en) * 2008-03-14 2012-10-23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a peripheral interfacing with a processor according to a high-speed serial interface protocol
DE102009027471A1 (de) * 2009-07-06 2011-01-13 Robert Bosch Gmbh Signalübertragungsvorrichtung und Fahrzeugkomponente
JP2011142581A (ja) * 2010-01-08 2011-07-21 Fujitsu Optical Components Ltd 光通信方法、光通信システム、光信号受信装置及び光信号送信装置
TWI453716B (zh) * 2011-08-19 2014-09-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資料傳輸方法及其顯示驅動系統
US20140247720A1 (en) * 2013-03-01 2014-09-04 Nxp B.V. Signal path isolation for conductive circuit paths and multipurpose interfaces
KR102035986B1 (ko) * 2013-11-13 2019-10-24 삼성전자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와 상기 타이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US20150319108A1 (en) * 2014-05-02 2015-11-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e-driver for bidriectional unidrectional high speed signaling while permitting low speed bidirectional signaling
US9679854B2 (en) * 2015-02-10 2017-06-13 Intel Corporation Reconfigurable repeater system
US9584227B2 (en) 2015-07-17 2017-02-28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mode signal bridge for optical media
CN106776386B (zh) * 2016-12-30 2019-12-0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识别外部usb设备的方法及移动终端
US10649946B1 (en) * 2019-01-15 2020-05-12 Nxp Usa, Inc. Fast link turnaround using MIPI D-PHY
CN114268309B (zh) * 2022-02-28 2022-06-03 季华实验室 一种绝对值编码器接口电路及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243A (ja) 2003-10-24 2005-05-19 Fuji Xerox Co Ltd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canバス接続ノード、canバス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477A (en) 1987-05-15 1989-05-02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Bus interface unit
US5963638A (en) 1996-09-04 1999-10-05 Teltrend, Inc. Adjustable hybrid having improved biasing configuration
US5894425A (en) * 1997-02-28 1999-04-13 Quantum Corporation Wireless secondary interface for data storage device
US6154683A (en) 1997-06-06 2000-11-28 Rockwell Technologies, Llc Low voltage industrial control system providing intrinsically safe operation
US6122698A (en) 1998-04-16 2000-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bus having conducting lines driven at multiple adjustable current levels to transfer multiple-bit data on each conducting line
US6944691B1 (en) 2001-07-26 2005-09-13 Cypress Semiconductor Corp. Architecture that converts a half-duplex bus to a full-duplex bus while keeping the bandwidth of the bus constant
KR100555571B1 (ko) * 2004-09-0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송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0243A (ja) 2003-10-24 2005-05-19 Fuji Xerox Co Ltd 通信システム、制御装置、canバス接続ノード、canバス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175A (ko) 2008-12-04
EP1982457B1 (en) 2017-06-28
CN101371487B (zh) 2012-06-06
CN101371487A (zh) 2009-02-18
US20070165710A1 (en) 2007-07-19
WO2007084831A2 (en) 2007-07-26
US7671628B2 (en) 2010-03-02
EP1982457A2 (en) 2008-10-22
EP1982457A4 (en) 2014-01-01
WO2007084831A3 (en) 200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165B1 (ko) 통신 버스와 통신 버스에 결합된 장치 사이에 멀티레벨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버스 인터페이스 및 방법
KR101758968B1 (ko) 액티브 케이블용 회로
US11876562B2 (en) USB and thunderbolt optical signal transceiver
JP2008533822A (ja) 8.5gcdrバイパスを有するxfp送受信器
CN113094318A (zh) 一种适用于usb协议的有源光传输的电路结构
WO2023125371A1 (en) Dynamically-switchable optical cable
CN113193914A (zh) 一种适用于usb信号的发送单元、接收单元、有源传输装置及有源传输系统
US7986884B2 (en) Optical network test access point device
US20020063936A1 (en) Optical communication unit
CN113283464B (zh) 一种支持usb信号链路训练的usb插头及传输系统
US886879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abling USB communication over extension media
TWI412256B (zh) 訊號路徑切換電路、天線模組與無線光通訊系統
JP2016012827A (ja) 光送受信装置
US20230281151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active cable
JP2011155564A (ja) 光受信装置および光送受信装置
JP6394859B2 (ja) シリアル通信回路及びシリアル通信装置
US6971805B1 (en) Techniques for providing multiple communications pathways
US20020018466A1 (en) Communication parts comprising operating system and waiting system therein
US10707956B1 (en) Active fiber tap
JP2007243802A (ja) イコライザ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信号伝送システム
KR101830866B1 (ko) 마이크 단자를 이용한 전원 통신 장치
WO2007143621A2 (en) Optical network test access point device
KR20160123646A (ko) 동작속도 자율 설정 광 트랜시버 장치 및 동작속도 자율 설정 방법
JP2000112588A (ja) トライステートバス用光信号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