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120B1 - 가상 원격 제어기 - Google Patents

가상 원격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120B1
KR101344120B1 KR1020090050867A KR20090050867A KR101344120B1 KR 101344120 B1 KR101344120 B1 KR 101344120B1 KR 1020090050867 A KR1020090050867 A KR 1020090050867A KR 20090050867 A KR20090050867 A KR 20090050867A KR 101344120 B1 KR101344120 B1 KR 101344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vision
graphic
graphical
icon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7827A (ko
Inventor
두엣 디. 팜
용 장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2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종종 다수의 엔터테인먼트 장치들, 이를테면, 텔레비전, VCR,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케이블-TV 박스, 및 그들 각각이 장치와 관련된 원격 제어기를 갖는 그 외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종종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기들이 쏟아져 나와 혼란스럽게 된다. 여기에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제어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어 기능 아이콘은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중첩으로 큰 폰트, 고-강도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원격 제어기를 갖는 시스템 내에는 각 장치에 매핑될 수 있는 다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존재한다. 그때, 사용자는 제어될 장치에 대한 아이콘 세트를 선택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고, 제어 기능 코드는 제어될 장치의 적외선 수신기로 보내진다. 이러한 가상 원격 제어기는 텔레비전 내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유지되고, 전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내의 각각의 비-텔레비전 장치를 매핑하도록 확장될 수 있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의 비주얼 아이콘으로부터 모두 제어된다. 다른 실시예들은 이 요약서에 설명된 특징들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으므로, 이 요약서는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엔터테인먼트 장치, 원격 제어, 제어 기능 아이콘, 그래픽 아이콘 세트, 비-텔레비전 장치,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Description

가상 원격 제어기{VIRTUAL REMOTE CONTROLLER}
<판권 및 상표 고시>
본 특허 문서의 명세서의 일부는 판권(copyright)이 보호되어야 하는 제재(material)를 포함한다. 특허 상표청 특허 파일 혹은 기록에 등장하면, 판권 소유자는 특허 문서 혹은 특허 명세서의 복제물(facsimile reproduction)에 이의가 없지만, 만약 그렇지 않으면 판권을 소유한다. 상표는 그들 각각의 소유자의 재산(property)이다.
삭제
엔터테인먼트 콘텐츠의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가정에서 사용되는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장치는 사실상 밀폐된 영역(enclosed area) 내에 있는 장치 사용자의 위치와 무관하게 장치가 제어되도록 하는 원격 제어 장치(remote control device)를 갖추고 있다. 원격 제어 장치는 통상적으로 장치 내의 원격 제어기로부터 IFR 수신기로 전송되는 적외선 (IFR) 주파수 명령 신호를 이용한다. 장치에 의해 포착된 명령 신호는 시스템의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들(functions)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종종, 적당히 복잡한 장치들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사용자도, 서로 다른 장치에 각각 대응되고 모두가 설비의 동일한 시청각 시스템 그룹 내에서 작동하는, 다수의 원격 제어기를 축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많은 형태의 실시예가 가능하지만, 그러한 실시예들로 이루어진 본 명세서는 해당 원리들의 일례로서 간주될 것이고, 도시되고 설명되는 특정 실시예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님을 이해하면서, 도면에 도시되고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의 여러 뷰(views)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된, "하나(a 또는 an)"라는 용어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된, "복수(plurality)"라는 용어는 둘 또는 둘 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된, "또 다른(another)"이라는 용어는 최소 두 번째 이상인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된, "포함하는(including)" 및/또는 "갖는(having)"이라는 용어는 구성된다(comprising)(즉, 오픈 언어(open language))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사용된,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는 접속된다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반드시 직접적이거나 반드시 기계적일 필요는 없다.
이 문서 전체에 걸쳐 언급된, "하나의 실시예(one embodiment)", "임의의 실시예(certain embodiments)", "일 실시예(an embodiment)" 또는 그와 유사한 용어 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양한 위치에서 그러한 어구가 출현하지만, 그들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별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한 없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된 "또는(or)"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인 것으로 해석되거나 임의의 하나 혹은 임의의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따라서, "A, B 또는 C"는 "A; B; C; A와 B; A와 C; B와 C; A, B 및 C : 중 어느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에 대한 예외는 요소(elecments), 기능(functions), 단계(steps), 또는 작동(acts)의 조합이 어떤 식으로든 선천적으로 상호 배타적일 때에만 야기될 것이다.
오디오 및 비디오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적당히 복잡한 축적의 경우에도, 사용자에게는, 각각이 특정 장치에 전용인 다수의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될 것이라고 인식되었다. 현재 사용 중인 장치를 제어하는 그룹 중에서 원격 제어를 시도할 때, 특히, 원격 제어가 없어지거나 잘못 놓인 경우, 임의의 장애들이 나타날 수 있다. 단일 소스 내에 이러한 제어기 모두를 축적하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익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issues)를 다루는 임의의 실시예가 후술하는 명세서에 제시된다.
다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장애 및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임의의 장치가 없어질 수도 있다는 것 때문만은 아니다(The use of multiple remote control devices can cause frustration and difficulty not simply because a certain device may be missing.). 종종, 완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감상(viewing)을 목적으로 비디오 콘텐츠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 빛의 강도가 낮은(low light intensity) 룸에 위치한다. 빛의 강도가 낮으면, 원격 제어기에 위치하는 작은 키 위에 새겨진 그래픽들을 식별하기 어렵게 되는데, 특히, 원격 제어가 작은 풋프린트를 갖는 경우, 그것은 엔터테인먼트 룸에서의 제어기 사용을 어렵게 만든다. 이는, 일반(nominal) 빛의 강도에서조차 키 그래픽을 분별하기에 충분히 민감하지 못한 시력을 갖는 나이 든 사용자들에게는 부가적인 단점이다. 시장에는 사용자가 단일 장치에 일군의 원격 제어기의 기능 모두를 모을 수 있는 장치들이 존재하지만, 이 장치는 사용하기에 더 복잡함은 물론, 빛의 강도가 낮은 경우 및 사용자들의 시력이 나쁜 경우와 연관되는 모든 문제점들을 갖는다. 많은 "범용 원격 제어(universal remote control)" 장치들은, 하나의 물리적 장치 내에서 폭넓게 서로 다른 제어기들을 위한 제어 기능 모두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 상에 훨씬 많은 수의 제어 기능 키를 갖는다. 따라서, 범용 원격 제어 장치는 규모가 큰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의 매체용 원격 제어 장치의 수를 줄인다는 면에서는 도움이 되지만, 범용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대체될 수 있는 장치 수가 명백히 한정되고 빛의 강도가 낮은 환경에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의 문제를 개선하지 못한다.
이하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가상 원격 제어기(Virtual Remote Controller)는, 다수의 원격 제어 장치를 제어 신호용 단일 소스로 대체하고, 서로 다른 명령 그래픽을 갖는 서로 다른 제어 키 세트를 관리하고, 홈 시어터 혹은 밀폐된 공간 내에 있는 그 외의 가시 영역(viewing area)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가시 영역에서 빛의 강도가 낮은 경우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문제를 다루는 것에 대해 제시한다.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은, 종종, 텔레비전, VCR,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케이블-TV 박스, 및 그 장치와 연관된 원격 제어기를 각각 갖는 그 외의 장치들과 같은 다수의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포함한다. 그 결과,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기들이 쏟아져 나와 종종 혼란스러워진다.
여기에서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제어 기능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어 기능 아이콘들은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중첩으로 큰 폰트, 고-강도 아이콘(hi-intensity icons)으로 표시된다. 원격 제어기를 갖는 시스템 내의 각 장치에는, 매핑될 수 있는 다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들이 존재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제어될 장치를 위한 아이콘 세트를 선택하고,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제어될 장치의 적외선 수신기로 제어 기능 코드가 보내진다. 이러한 가상 원격 제어기는 텔레비전 내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보유되고, 전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에서 각각의 비-텔레비전(non-television) 장치를 매핑하도록 확장될 수 있어, 그들 모두는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의 비주얼 아이콘으로부터 제어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상 원격 제어기 동작 기능을 사용하여 비-텔레비전 장치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그래픽 키 세트가 크고, 콘트라스트가 높은 컬러를 사용하여, 시력이 나쁜 나이 든 사용자도 쉽게 보도록 하고,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일반적으로 표시되는 임의의 화면도 모든 사용자가 쉽게 보도록 한다. 또한, 스크린상의 그래픽 제어 키는 콘트라스트가 높은 컬러이므로, 빛의 강도가 낮은 가시 룸에서도 그들을 쉽게 볼 수 있게 된다.
목적 및 이점과 함께, 구성 및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 취해진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욱 잘 해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일련의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중 하나에 대한 통상적인 제어 기능 세트를 나타내는 그래픽 프리미티브 세트(a set of graphics primitives)가 도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러한 그래픽 프리미티브 형상은 선택되면 주어진 제어 명령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100) 그래픽 프리미티브가 선택되면, 즉, 텔레비전 모니터상에 제어 그래픽이 보일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토글형(toggle fashion)으로 전원을 턴온 혹은 턴오프하도록 제어 신호의 방출을 야기할 것이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이용가능한 프리미티브 세트는 재생(Play, 104), 일시 정지(Pause, 108), 정지(Stop, 112), 앞으로 감기(Forward, 116), 챕터 앞으로 감기(Chapter Forward, 120), 뒤로 감기(Backward, 124), 챕터 뒤로 감기(Chapter Backward, 128), 앞으로 빨리 감기(Fast Forward, 132), 뒤로 빨리 감기(Fast Backward, 136), 및 열기/닫기/꺼내기(Open/Close/Eject), 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 그래픽 프리미티브는 텔레비전 모니터 내의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서 정의되고 사용자에 의한 요청시 표시된다. 가상 원격 제어기 프로세스에 의해 제어되도록 설정되는 각 장치는 개개의 메모리 영역 및 텔레비전 모니터상의 메뉴로부터 특정한 장치가 선택될 때 등장할 개개의 제어 그래픽 세트를 갖는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다중 VRC 명령 그래픽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임의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VRC1(200)은 사용자가 추후 사용을 위한 그래픽 키들을 정의할 수 있는 제1의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용 라벨이다. 사용자가 텔레비전 원격 제어 상의 VRC 모드를 선택하면, 텔레비전 스크린상에는 일련의 VCR 라벨이 붙은 그래픽 키들이 표시될 것이다. 사용자는 즉시 사용하기 위해 스크린상의 임의의 VRC 라벨을 선택할 수도 있고, 또는 입력될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정의하기 위해 새로운 VRC 라벨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도면에는, VRC 라벨이 붙은 2개의 대표적인 그래픽 키 세트로서, VRC1(200) 및 VRC2(208)가 제시된다. 사용자는 주어진 비-텔레비전 장치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VRC1(200)을 선택하고, 그 다음 텔레비전 리모콘으로부터 습득 모드(learning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텔레비전 내에 있는 VRC 제어기 모듈은 습득 모드를 입력하고 습득을 위한 그래픽 키 세트(204)를 활성화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그래픽 키 세트(204)를 사용하여 제어하기를 원하는 특정한 엔터테인먼트 장치용 원격 제어기를 지정하고 그것을 텔레비전으로 겨냥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그 제어기를 텔레비전으로 겨냥하면서 엔터테인먼트 장치 원격 제어 상에서 동일 라벨이 붙은 키 각각을 누른다. VRC 소프트웨어 모듈은 각 제어 키에 대한 IFR 코드를 차례로 포착하고, 그 코드를, VRC1(200)를 위해 보존된 비-휘발성 메모리 내의 그래픽 제어 키에 부착한다.
모든 제어 키가 텔레비전에 의해 포착되면, 사용자는 장치 명칭의 팝-업 스크린으로부터 VRC1(200)에 대한 라벨을 수정하도록 지시받는다. 사용자는 텔레비전상의 VRC1(200) 그래픽 키 세트로부터 제어될 수 있는 장치 명칭을 선택할 수 있고, 그 장치 명칭으로 라벨이 변경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사용자는, 일견하는 것에 의해 어떤 VRC 그래픽 키 세트에 의해 어떤 장치가 제어되는지를 정의할 수 있을 것이고, 그들의 페이지를 넘기는(page through) 것에 의해 원하는 장치를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사용자가 가상 원격 제어기 동작 기능을 사용하여 제어하기 위해 비-텔레비전 장치를 선택한 경우에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나타날 그래픽 제어 키의 예시적인 뷰(view)를 제시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키 세트는 크고, 콘트라스트가 높은 컬러이므로, 나이 든 사용자가 그들을 쉽게 보게 하고, 텔레비전 스크린상에 현재 표시될 수 있는 임의의 화면에 대해 모든 사용자가 그들을 쉽게 보도록 한다. 또한, 스크린상의 그래픽 제어 키는 콘트라스트가 높은 컬러이므로, 빛의 강도가 낮은 가시 룸에서 그들을 쉽게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한 VRC 동작 기능의 선택 결과,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서 특정의 비-텔레비전 장치를 위한 그래픽 키 세트가 제시된다. 이 그래픽 키 세트는, 임의의 실시예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고, 사용자를 위한 효용을 최대화하고,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정렬할 필요가 있는 기능들의 수를 최소화 하는 키들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운용 패턴(operational pattern)은 본 명세서 및 VRC 그래픽 키 세트의 사용에 걸쳐 일관된다.
이제, 도 4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VRC 습득 모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이 모드를 개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물리적 리모콘(physical remote)에 가상 원격 제어 기능(Virtual Remote Controller function)이 장착된 텔레비전 원격 제어기를 이용할 것이다(400). 사용자가 VRC 기능을 선택하면, VRC 소프트웨어 모듈은, 그들 자신의 라벨(도 2 참조)을 각각 갖는 일련의 그래픽 기능 키 세트를 텔레비전 스크린에 표시한다. 사용자는 하향 삼각형 "▼"을 눌러 후속(next) VRC 라벨이 연속해서 하이라이트되게 한다. 또한, 원하는 그래픽 키 세트가 이미 지나가서 사용자가 원하는 VRC 라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라벨 세트를 지나 되돌아 가야 할 필요가 있다면, 사용자는 상향 삼각형 "▲" 키를 누를 수도 있다(404). 미사용 VRC 키 세트 라벨이 선택되면, VRC 소프트웨어 모듈은 습득 모드로 진입할 것이다(420).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습득 모드로의 진입(416)은, VRC 그래픽 키 세트 내에 있는 그래픽 키를, 비-텔레비전 원격 제어 장치상의 물리적 기능 키로 매핑하는 능력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 다음, 이렇게 매핑한 기능은 선택된 VRC 그래픽 키 세트에 할당되어 텔레비전 내에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계속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VRC 그래픽 키 세트에 의해 습득된(learned) 기능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비-텔레비전 장치의 물리적 원격 제어기를 더 이상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습득 모드에 있을 때, 사용자는 텔레비전 원격 제어를 텔레비전 쪽으로 겨누고, 우향 삼각형 키 "▶" 및 좌향 삼각형 키 "◀"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비-텔레비전 장치의 원격 제어의 기능 코드로 매핑하기 원하는, 선택된 그래픽 키 세트 내에 있는 그래픽 키가 하이라이트 되도록 한다(424). 그 다음, 사용자는 비-텔레비전 장치의 물리적 원격 제어를 텔레비전 세트 쪽으로 겨누고, 습득될 기능 키를 누른다(428). 제어 코드가 물리적 장치의 원격 제어기에 의해 방출되고 텔레비전 세트 내에 있는 VRC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포착된다. 이제, 이 코드는 텔레비전 스크린 위에 표시된, 선택된 VRC 라벨 아래의 VRC 그래픽 기능 키로 매핑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위에 표시된 VRC 라벨로부터 제어하기 원하는, 비-텔레비전 장치의 모든 기능들에 대해 이 프로세스를 반복한다(432).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원하는 기능 모두가 선택된 VRC 라벨 내에 있는 그래픽 키에 매핑되었다면, 사용자는 텔레비전에 표시된 VRC 라벨의 라벨을 변경할 수도 있다(436).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라벨 명칭이 선택될 수 있는 용어 리스트(a list of terms)가 제시된다(440). 이 용어 리스트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현재의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 이를 테면, 예로서, DVD, VCR, RECEIVER, CABLE BOX, AMPLIFIER, 및 그 외에 덜 대중적인(less-common)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의 명칭 대부분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물리적 원격 제어 상의 하향 삼각형 "▼" 및 상향 삼각형 "▲" 기능들을 다시 한 번 이용하여 라벨 명칭 리스트들을 이동한다. 사용자는 라벨 명칭이 하이라이트 되는 동안 "엔터(Enter)" 키를 눌러 원하는 라벨 명칭을 선택할 수 있다. 이 행위(action)는, VRC 소프트웨어 모듈이 지금 막 습득한 장치에 대해 일반 라벨(generic label)을 선택된 라벨 명칭으로 대체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원격 제어기 상의 "리턴" 기능 키 또는 "메뉴" 기능 키 중 어느 하나를 눌러 VRC를 종료한다(444). 이는 사용자가 그 특정한 키를 누른 시점에 습득 모드를 종료할 것이고, 종료시 임의의 변화를 자동적으로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도면은 하나 이상의 VRC 그래픽 키 세트가 텔레비전에 의해 습득된 이후의 VRC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단순히 텔레비전 원격 제어를 사용하여, 정의되고 라벨이 붙은(defined and labeled) 그래픽 키 세트의 VRC 리스트를 호출한다(500). 사용자는 하향 삼각형 "▼"을 눌러 후속(next) VRC 라벨이 연속해서 하이라이트 되도록 한다. 또한, 원하는 그래픽 키 세트가 이미 지나가서 사용자가 원하는 VRC 라벨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라벨 세트를 지나 되돌아 가야 할 필요가 있다면, 사용자는 상향 삼각형 "▲" 키를 누를 수도 있다(504). 원하는 비-텔레비전 장치에 대한 원하는 VRC 라벨이 붙은 그래픽 키 세트가 하이라이트 되었다면, 사용자는 좌향 삼각형 "◀" 및 우향 삼각형 "▶" 키를 사용하여 원하는 기능이 하이라이트 될 때까지 그래픽 기능 키의 리스트를 탐색한다(navigate)(508). 그 다음, 사용자는 단순히 엔터 키를 눌러 기능을 동작시키고, 그 제어를 위한 적절한 IFR 코드를 선택된 장치로 보내고, 선택된 장치가 원하는 행위를 수행하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명령 기능이 실행되기 원한다면 사용자는 이 단계들을 반복할 수도 있다(51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텔레비전은 선택된 IFR 코드를 선택된 장치의 적외선 센서로 전달하기 위해 광섬유를 사용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텔레비전은 텔레비전 앞에 위치한 외부 반사기로 폭이 좁은 IFR 빔을 방출한다. 작은 반구(hemisphere) 형상인, 이 반사기는 IFR 신호를 엔터테인먼트 센터 내에 있는 모든 장치로 반사하여, 선택된 장치가 명령 코드를 수신하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텔레비전 원격 제어기 상의 "리턴" 기능 키 또는 "메뉴" 기능 키 중 하나를 누름으로써 VRC를 종료할 수 있다(516). 사용자가 그 특정한 키를 누른 시점에 운용 명령 모드(operational command mode)가 종료할 것이고, 텔레비전 디스플레이로부터 명령 그래픽 키 세트를 소거(clearing)할 것이다.
따라서, 이 문서는 텔레비전 메모리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정의하고, 아이콘들이 함께 표시되고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라벨 하에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그룹화함으로써,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그래픽 아이콘 세트 각각은, 비-텔레비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특정의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코드로 매핑되고,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에 상기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 각각을 링크한다.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시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 그룹을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고, 텔레비전 스크린상에서 상기 그래픽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텔레비전과 연관된 적외선 전송 장치를 통해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 코드를 전송한다.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의 전송은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가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요청시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은 고-강도, 고-콘트라스트 컬러로 표시되고, 단일 라벨 하의 아이콘의 그룹화는 아이콘의 그룹화를 단일의 비-텔레비전 장치와 연관시킨다. 텔레비전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마다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이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링크는 전송된 적외선 기능 코드를 포착하고, 포착된 코드를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과 연관시키고, 갱신된 연관성을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전에 정의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선택되어, 사전 정의와는 다른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 세트에 링크될 수 있다. 그래픽 아이콘 세트에 대한 그래픽 라벨 식별자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매핑되는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명칭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도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이 기술되는데, 이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텔레비전 내에 있는 프로세서, 텔레비전 장치 내에 있고, 표시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대한 제어 기능 및 그 라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포함한다. 포착 기능은 상기 메모리 내에의 저장을 위해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를 포착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링크 기능은 상기 메모리 내에 있는 포착된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에 선택된 그래픽 표시 아이콘을 링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선택 기능은 사용자가 적어도 한 세트의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고, 또한 그래픽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IFR 전송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아이콘과 연관된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시스템은 전송된 IFR 제어 코드가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로 하여금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게 구성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그래픽 표시 아이콘은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고-강도, 고-콘트라스트 컬러로 표시된다. 미리 정의된 메모리 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각각의 그래픽 표시 아이콘 세트마다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이다. 사전에 정의된 그래픽 표시 아이콘 세트는 사전 정의와 다른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 세트로 다시 매핑될 수 있고, 그래픽 아이콘 세트에 대한 그래픽 라벨 식별자는 비-텔레비전 장치의 사전-정의된 명칭 메뉴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개요는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과 관련하여 더욱 잘 이해될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혹은 의미를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전술한 설명으로 미루어 보아 다양한 개조, 수정, 변경 및 변화가 있을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일군의 제어 그래픽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원격 제어기(Virtual Remote Controller) 제어 그래픽들의 레이아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모니터 스크린상에 있는 VRC 제어 그래픽들의 프레젠테이션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VRC 습득 모드(learning mode)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따른 VRC 동작 모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4 : 그래픽 키 세트

Claims (22)

  1.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non-television entertainment devices)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텔레비전 메모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
    그래픽 아이콘들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라벨 하에 각각의 상기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그룹화하는 단계;
    비-텔레비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특정의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코드들에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들 각각을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에 링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요청 시,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텔레비전 스크린상에서 상기 그래픽 아이콘 세트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텔레비전과 연관된 적외선 전송 장치를 통해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의 전송은, 상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로 하여금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 시 표시된 상기 그래픽 아이콘은 고-강도(high-intensity), 고-콘트라스트 컬러로 표시되는,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일 라벨 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의 그룹화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단일의 비-텔레비전 장치와 연관시키는 것인,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마다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인,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하는 단계는 전송된 적외선 기능 코드를 포착하고, 포착된 상기 코드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과 연관시키고, 갱신된 연관성을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의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선택되어, 사전 정의(previous definition)와는 다른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 세트에 링크될 수 있는,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그래픽 아이콘 세트에 대한 그래픽 라벨 식별자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매핑되는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명칭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 있는,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법.
  9. 텔레비전으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텔레비전 내에 있는 프로세서;
    상기 텔레비전 장치 내에 있고,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 영역;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에 대한 제어 기능 및 그 라벨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하기 위해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를 포착하는 포착 기능;
    상기 메모리 내에 있는, 포착된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에,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을 링크하는 링크 기능;
    사용자가 적어도 한 세트의 표시된 그래픽 아이콘을 선택하고, 또한 상기 그래픽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선택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그래픽 아이콘과 연관된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 IFR 제어 코드를 전송하는 IFR 전송 장치
    를 포함하고,
    전송된 상기 IFR 제어 코드는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아이콘은 상기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고-강도, 고-콘트라스트 컬러로 표시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영역은 비-휘발성 메모리인,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영역은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마다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인,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의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는 사전 정의와는 다른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 세트로 다시 매핑될 수 있는,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그래픽 아이콘 세트에 대한 그래픽 라벨 식별자는 비-텔레비전 장치의 사전-정의된 명칭 메뉴로부터 선택되는, 시스템.
  15. 텔레비전 프로세서로부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텔레비전 메모리 내에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정의하는 단계;
    그래픽 아이콘들이 함께 표시되고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라벨 하에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그룹화하는 단계;
    비-텔레비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특정의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들을 나타내는 기능 코드들에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매핑하는 단계;
    상기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들 각각을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에 링크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의 요청 시,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텔레비전 스크린상에서 상기 그래픽 아이콘 세트 중 하나가 선택될 때, 상기 텔레비전과 연관된 적외선 전송 장치를 통해 비-텔레비전 장치 기능 코드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의 전송은, 상기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로 하여금 선택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 시 표시된 상기 그래픽 아이콘은 고-강도, 고-콘트라스트 컬러로 표시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단일 라벨 하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의 그룹화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를 단일의 비-텔레비전 장치와 연관시키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비전 메모리는 각각의 그래픽 아이콘 세트마다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하는 단계는 전송된 적외선 기능 코드를 포착하고, 상기 포착된 코드를 상기 선택된 그래픽 아이콘과 연관시키고, 갱신된 연관성을 텔레비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수행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1. 제15항에 있어서, 사전에 정의된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선택되어, 사전 정의(previous definition)와는 다른 비-텔레비전 기능 코드 세트에 링크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2. 제15항에 있어서, 그래픽 아이콘 세트에 대한 그래픽 라벨 식별자는, 그래픽 아이콘 세트가 매핑되는 비-텔레비전 엔터테인먼트 장치의 명칭을 반영하도록 수정될 수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090050867A 2008-06-09 2009-06-09 가상 원격 제어기 KR101344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57,238 US20090307591A1 (en) 2008-06-09 2008-06-09 Virtual remote controller
US12/157,238 2008-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827A KR20090127827A (ko) 2009-12-14
KR101344120B1 true KR101344120B1 (ko) 2013-12-20

Family

ID=4140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867A KR101344120B1 (ko) 2008-06-09 2009-06-09 가상 원격 제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307591A1 (ko)
JP (1) JP5404213B2 (ko)
KR (1) KR101344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22615B2 (en) * 2011-12-16 2014-12-30 Logitech Europe S.A. Customizing input to a videoconference using a remote control device
USD726735S1 (en) 2012-03-30 2015-04-14 Sony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3243569A (ja) * 2012-05-22 2013-12-05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操作可能な電子機器
USD745051S1 (en) * 2013-05-29 2015-12-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33744S1 (en) 2013-10-21 2015-07-0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3443S1 (en) 2013-10-22 2015-11-17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753S1 (en) * 2014-01-03 2016-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1838S1 (en) * 2014-08-28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9419S1 (en) 2014-09-01 2017-06-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0273S1 (en) * 2015-01-02 2016-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5118S1 (en) 2015-04-13 2016-08-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3510S1 (en) 2015-06-05 2016-12-0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80010688A (ko) * 2016-07-22 2018-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USD823329S1 (en) 2016-07-29 201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transi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5141S1 (en) 2016-10-27 2018-04-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15137S1 (en) 2016-10-27 2018-04-1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24947S1 (en) * 2017-03-10 2018-08-07 Taglix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deo player
US10447537B2 (en) 2017-07-11 2019-10-15 Roku, Inc. Automatic determination of display device functionality
USD893512S1 (en) 2018-09-10 2020-08-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52595S1 (en) * 2021-05-18 2022-05-24 Peng Lan Wireless eye mas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4596A1 (en) * 2001-06-18 2002-12-19 Srivastava Gopal K. Control of multiple AV-devices by a single master controller using infrared transmitted commands and bus transmitted commands
US20040227857A1 (en) 2003-05-13 2004-11-18 Orion Electric Company Ltd.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ic apparatus control method
JP2008079144A (ja) * 2006-09-22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27050A1 (de) * 1988-08-10 1990-02-15 Thomson Brandt Gmbh Fernsehempfaenger
DE69425198T2 (de) * 1993-08-13 2001-03-15 Toshiba Kawasaki Kk Zweiwegkabelfernsehsystem
CN1117462C (zh) * 1997-06-25 2003-08-0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家庭网络自动树生成的装置和方法
US6496122B2 (en) * 1998-06-26 2002-12-17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mage display and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two distinct images
US6930730B2 (en) * 2001-05-03 2005-08-16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US7690017B2 (en) * 2001-05-03 2010-03-30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JP4578260B2 (ja) * 2005-02-09 2010-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7907222B2 (en) * 2005-09-08 2011-03-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setup of a universal remote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4596A1 (en) * 2001-06-18 2002-12-19 Srivastava Gopal K. Control of multiple AV-devices by a single master controller using infrared transmitted commands and bus transmitted commands
US20040227857A1 (en) 2003-05-13 2004-11-18 Orion Electric Company Ltd.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ic apparatus control method
JP2008079144A (ja) * 2006-09-22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04213B2 (ja) 2014-01-29
KR20090127827A (ko) 2009-12-14
US20090307591A1 (en) 2009-12-10
JP2010004542A (ja)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120B1 (ko) 가상 원격 제어기
CN102842216B (zh) 用于电子设备的遥控系统
US5598523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ed menu activation using a matching distinctive arrangement of keypad actuators
CN100447720C (zh) 信息处理装置及控制操作画面的方法
US8269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dia data in a presentation system
US20130128127A1 (en) Remote control method, remote controller, remote control response method and set-top box
KR100759139B1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2011001884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bedding a display in a bezel
CN112073767B (zh) 一种显示设备
CA2401726A1 (en) Browser based command and control home network
US20160014446A1 (en) Touch-scre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 method thereof
US964578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501150A1 (en) Remote operation system, remote operation device, and remote operation method
JP2007535696A5 (ko)
US20040008229A1 (en) Reconfigurable user interface
US2010018598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JPH10187337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方法
CN101521774A (zh) 投影系统、投影机以及遥控器
CN100536541C (zh) 透明度可调节的电视功能界面显示方法
US9734707B2 (en) Features for use with a multi-sided controlling device
WO2024066538A1 (zh) 显示设备和显示设备控制方法
JP2791411B2 (ja) 監視装置
JP3215057B2 (ja) 監視装置
CN1120617C (zh) 电视画面的交互式放大方法
JP3326810B2 (ja) テレビジ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