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071B1 -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071B1
KR101344071B1 KR1020120001678A KR20120001678A KR101344071B1 KR 101344071 B1 KR101344071 B1 KR 101344071B1 KR 1020120001678 A KR1020120001678 A KR 1020120001678A KR 20120001678 A KR20120001678 A KR 20120001678A KR 101344071 B1 KR101344071 B1 KR 101344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ods
exchange
sales
message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9839A (ko
Inventor
유혜원
이유리
이상만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0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071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수의 회원 단말과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물품을 등록한 온라인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회원 단말로의 요청에 따라, 서버는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온라인 상점에 회원의 물품을 등록시켜주는 단계; (b) 상점을 개설한 회원 중 적어도 하나(이하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하여, 다른 회원(이하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이하 판매 물품)이 선택되어 서버에 물품교환이 요청되는 단계; (c) 서버는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를 전송하는 단계; (d)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하여,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이하 교환 물품)이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되어 서버에 물품교환 흥정이 요청되는 단계; (e) 서버는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물품교환 흥정의 안내를 전송하는 단계; (f) 서버는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 간의 물품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여, 회원 당사자 모두에게 상점을 개설하게 하고 회원 간의 물품교환 대상을 상점 내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물품교환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여 물품교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n on-line barter trading service system based on the on-line market plac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 회원들은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상점에 등록하여,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판매 회원은 자신의 물품에 대해 교환을 원하는 구매 회원의 상점에 들러,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교환할 물품을 선택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원 간의 물품교환을 위한 흥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그 메시지를 기록하여 보관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상에서의 전자상거래가 늘어남에 따라 거래의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실질적으로 거래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온라인 상에서 결재가 발생하는 온라인 거래이다. 이에 반해, 인터넷 상에서 실질적으로 결재가 이루어지진 않지만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거래인, 물물교환이나 직거래의 유형도 있다.
지금까지의 물물교환은 처적화된 시스템이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고, 포털 사이트의 까페, 블로그, 개인 웹사이트 등에서 이루어졌다. 즉, 주로 웹사이트의 웹 게시판을 이용하여 거래되고 있다. 이 경우, 물건을 판매하고자 하는 개인은 자신이 팔고자하는 물품의 내용을 웹 게시판에 올리면, 이를 본 구매자들은 교환할 자신의 물품에 대한 내용을 게시판 글의 댓글로 달아 흥정한다.
상기와 같은 웹 게시판을 이용한 물물교환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판매자와 구매자는 물물교환 대상인 서로의 물건에 대한 정보를 얻기 불편하다는 점이다. 구매자는 판매자의 게시글을 보고 확인할 수 있지만, 판매자는 구매자의 물건을 보기 위해 구매자의 게시물을 찾거나, 검색을 통해 해당 상품 정보를 얻어야만 한다.
두 번째로, 판매자와 구매자는 흥정 및 구매 결정을 위한 또 다른 매체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판매자와 구매자는 가격, 장소, 날짜, 시간 등 기타 거래를 위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휴대폰의 문자 서비스나, 전화통화, 이메일 등을 이용해야 한다.
세 번째로, 판매자는 언제 응답될지 모르는 댓글을 기다려야 하고, 댓글로 거래를 하면 거래 내용이 모두 공개되며 댓글 내용이 실시간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시판으로 상품을 게시하면 여러 개의 상품을 한꺼번에 관리할 수 없다. 특히, 단순 게시판으로는 거래를 진행하기 위한 명확한 규정이나 방법이 없기 때문에, 실제 물품을 거래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전문적인 물물교환을 위한 기술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가상 상점을 이용하여 물물교환을 하는 기술의 일례가 [한국공개특허 제2002-0005304호(2002.01.17.공개),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 상점의 운용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가상의 공간에서 개인 상점을 개설하고 이 곳에서 개인이 팔고자 하는 물품의 정보를 등록하고 타인의 물건과 물물교환도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주로 가상 상점을 운영하는 기술로서, 물물교환을할 수 있다고만 하고 그 구체적인 기술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전문적인 물품에 관한 물물교환에 관한 기술로서, 게임의 아이템의 교환에 관한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8-0018582호(2008.02.28.공개), "아이템 물물교환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2)과, 의약품의 교환에 관한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04-0042415호(2004.05.20.공개), "인터넷을 통한 교품 시스템 및 방법"](이하 선행기술 3)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게임의 아이템에 관한 물물교환으로서, 원하는 아이템을 검색하여 교환 신청을 하면 상대방의 연락처로 물물 교환신청을 하고, 물물교환이 이루어진 아이템들을 평균하여 아이템의 시세를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 3은 다수의 회원 시스템으로부터 차별되는 등급이 매겨진 재고 데이터를 입력받고, 등급과 재고 데이터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물물교환이 가능한 재고를 판단하여 물물교환이 가능한 교품을 해당 회원 시스템에 송신하는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 2와 3은 주로 유사한 물건들에 대한 물물교환을 위하여, 서로 교환가능한 물품에 대한 수동 검색이나 자동 검색 등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또한, 물물교환에 가장 큰 이슈가 되는 가격산정에 관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2002-0029203호(2002.04.18.공개), "인터넷을 이용한 물물교환 방법"](이하 선행기술 4)에 제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들에 의해 물물교환할 물품들을 어느 정도 쉽게 찾을 수 있다하더라도, 결국, 물물교환의 최종 단계에는 각 거래 당사자 간의 흥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상품 거래와는 달리, 물물교환에서 서로가 원하는 물품의 책정 가격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물교환을 위한 물품 정보의 교환과 더불어, 흥정을 위한 메시지를 쉽게 교환할 수 있는 기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05304호(2002.01.17.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18582호(2008.02.28.공개)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42415호(2004.05.20.공개)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029203호(2002.04.1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회원들은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상점에 등록하여,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 회원은 자신의 물품에 대해 교환을 원하는 구매 회원의 상점에서,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교환할 물품을 선택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원 간의 물품교환을 위한 흥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그 메시지를 기록하여 보관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수의 회원 단말과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물품을 등록한 온라인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기 회원 단말로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는 상기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점에 상기 회원의 물품을 등록시켜주는 단계; (b) 상점을 개설한 회원 중 적어도 하나(이하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하여, 다른 회원(이하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이하 판매 물품)이 선택되어 상기 서버에 물품교환이 요청되는 단계; (c)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상기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하여,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이하 교환 물품)이 상기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되어 상기 서버에 물품교환 흥정이 요청되는 단계; (e)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상기 물품교환 흥정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f) 상기 서버는 상기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 간의 물품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이하 흥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해, 상기 구매 회원의 상점에서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이 가능한 물품(이하 교환가능 물품)이 선택되면, 상기 (d)단계에서, 상기 교환 물품은 상기 교환가능 물품 중에서만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물품에 대한 물품교환이 요청되면, 상기 판매물품에 대한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 사이의 거래정보 페이지가 생성되고,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상기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에게만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댓글 형태로 흥정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게시판(이하 흥정 게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흥정 게시판에 게재된 흥정 메시지는 기록되어, 흥정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판매 회원 또는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해 열람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을 요청한 구매 회원이 적어도 2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 회원 각각과 서로 독립하여 흥정 메시지를 중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흥정이 완료되면, 다른 구매 회원(흥정을 완료한 구매 회원 이외의 구매 회원)과의 흥정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흥정이 완료되어 상기 판매 물품의 재고량이 없는 경우, 다른 구매 회원과의 흥정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회원의 이동단말로도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회원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물품을 등록한 온라인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회원 단말로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점에 상기 회원의 물품을 등록시켜주는 상점 개설부; 상점을 개설한 회원 중 적어도 하나(이하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로부터, 다른 회원(이하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이하 판매 물품)에 대한 선택과 함께 요청되는 물품교환 요청을 수신하는 교환요청 수신부; 상기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이하 교환 물품)과 함께 요청되는 물품교환 흥정 요청을 수신하되, 상기 교환 물품은 상기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되는 흥정요청 수신부; 상기 판매 회원 또는 상기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상기 물품교환 요청 또는 물품교환 흥정 요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상기 판매 및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 간의 물물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교환흥정 중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회원 당사자 모두에게 상점을 개설하게 하고 회원 간의 물품교환 대상을 상점 내 모든 물품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물품교환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여 물품교환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지도 기반 온라인 마켓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물품교환을 위한 흥정 메시지를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중계하고 기록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의견을 교환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거래에 문제가 발생하면 흥정기록을 통해 누구의 잘못인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상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 회원의 물품간의 물품교환 요청 관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물교환 요청시 거래정보 페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물교환 흥정시 거래정보 페이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시스템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다수의 회원 단말(10), 물품교환 서비스 서버(30)(이하 물품교환 서버 또는 서버), 네트워크(20)로 구성된다. 또한, 상점 정보, 물품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동통신 단말(11) 및 이동통신망(21) 등도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회원 단말(10)은 회원이 이용하는 통상의 컴퓨팅 단말기이다. 회원 단말(10)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넷북, PDA, 스마트폰 등이 있다. 회원 단말(10)은 인터넷 등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서버(3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회원은 회원 단말(10)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자신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온라인 상점에 물품을 등록하여 다른 회원의 물품과 교환하는 흥정을 한다. 즉, 회원은 회원 단말(10)을 통해 물품교환을 위한 작업들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회원이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설명은 상기 회원 단말(110)을 통해 수행하는 작업임을 의미한다. 또, 도면부호 10을 단말 이외에 회원에게도 붙이기로 한다.
회원(10)은 서버(30)의 회원으로 가입 등록하면, 서버(30)는 회원(10)에게 자신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할 수 있게 한다. 회원(10)은 자신의 온라인 상점에 판매할 물품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회원(10)은 다른 회원이 개설한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특히, 물품의 거래는 판매 또는 구매 외에도 물물교환 방식으로 거래될 수도 있다.
즉, 회원은 서버(30)가 제공하는 가상 마켓에서 전문적인 물품 판매 상점을 운영하는 판매 회원으로 활동할 수도 있고, 구매 회원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 즉, 판매자 및 소비자 모두로 활동할 수 있다.
회원의 이동통신 단말(또는 이동단말)(11)은 휴대폰, 스마트폰 등 이동통신망(11)을 이용하는 단말을 말한다. 거래와 관련된 안내 메시지 등을 회원의 이동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안내 메시지는 이동단말의 문자 메시지(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 등)를 통해 전송된다.
물품교환 서버(30)는 통상의 서버로서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물물교환(또는 물품 교환)을 할 수 있는 마켓 플레이스를 제공한다. 이때, 물품교환 서버(3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원에게 물품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한다. 특히, 서버(3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한다.
물품교환 서버(30)는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하여 등록시키고, 등록된 회원에게 온라인 상점을 개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온라인 상점은 웹페이지 상에서 운영되는 각 회원만의 상점으로서, 판매할 물품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웹페이지이다. 즉, 회원(10)은 온라인 상점에 물품을 등록하되, 물품의 명칭, 제품명, 규격, 상태, 크기, 가격, 이미지, 동영상 등 물품의 정보를 함께 올릴 수 있다. 서버(30)는 회원(10)이 이러한 물품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툴(tool) 등을 제공한다.
또한, 물품교환 서버(30)는 회원(10)들에게 물품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각 회원의 상점에 등록된 물품들 중 원하는 물품을 쉽게 찾기 위한 검색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서버(30)는 물품의 상품명, 가격, 종류 등에 따라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물품교환 서버(30)는 회원들 사이에 서로 등록한 물품들에 대한 물품 교환을 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회원(10)(이하 구매 회원)이 다른 회원(10)(이하 판매 회원)의 물품에 대하여 물품 교환을 신청하면, 판매 회원에게 그 신청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판매 회원의 이동단말(11)에게 그 안내 메시지를 문자 메시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판매 회원의 상점에서 물품 교환의 요청이 들어온 물품(이하 판매 물품)에 대하여,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다수의 구매 회원의 물품 교환 요청을 모두 보여주고, 구매 회원의 상점으로 바로 연결하여, 판매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 물품을 상기 구매 회원의 상점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서로 교환된 판매 물품과 교환 물품이 연결되면,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 사이에 흥정이 이루어지는데, 서버(30)는 상기 흥정을 위한 메시지를 온라인 상에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흥정 메시지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 설명을 하기 전에, 물품 교환을 위한 용어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과 같이, 처음 특정 물품에 대하여 물품 교환을 신청하는 회원을 "구매 회원"이라 하고, 상기 특정 물품을 등록한 회원을 "판매 회원"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특정 물품을 "판매 물품"이라 하고, 상기 판매 물품과 서로 교환되는 구매 회원의 물품을 "교환 물품"이라 부르기로 한다.
회원은 모두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 모두가 될 수 있다. 즉, 회원이 다른 회원의 물품에 대하여 물품 교환 신청을 하면 구매 회원이 되는 것이고, 다른 회원으로부터 물품 교환 신청을 받으면 판매 회원이 되는 것이다. 즉, 서버(30)는 회원 상호간에 물품 교환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베이스(30)는 상점 정보를 저장하는 상점정보DB(41),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상점정보DB(41), 물품 교환의 흥정 메시지 등 거래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거래정보DB(43)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데이터베이스(40)의 구성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이며,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에 의하여 다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은, (a) 서버(30)는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온라인 상점에 회원의 물품을 등록시켜주는 단계(S10); (b) 구매 회원이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을 선택하여 물품교환을 요청하는 단계(S20); (c) 서버(30)는 판매 회원에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30); (d) 판매 회원은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또는 교환 물품)을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하여 물품교환 흥정을 요청하는 단계(S40); (e) 서버(30)는 구매 회원에 물품교환 흥정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50); (f) 서버(30)는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 간의 물품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또는 흥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는 단계(S60)로 구분된다.
추가적으로, (g) 흥정이 완료되어 재고량이 없으면 다른 구매 회원의 흥정을 종료하는 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회원(10)은 회원 단말(10)을 통해 서버(30)에 가입하여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개설된 상점에 물품을 등록한다(S10).
서버(30)에 가입한 회원(10)에게는 온라인 상점을 개설할 권한을 부여되고, 각 회원(10)은 개설된 온라인 상점에 자신의 판매 물품들을 게재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개인의 온라인 상점은 서버(30)의 웹사이트의 미니 홈페이지와 같은 형태로 만들어진다. 그리고 회원(10)은 온라인 상에서 상점에 자신의 판매 물품을 게재(또는 등록)할 수 있다.
회원(10)은 연락처, 거주지역(또는 거래 가능 지역), 연락가능한 시간 등 기본적인 회원 정보, 및, 상점의 이름, 상점의 업종, 상점 개설일 등 상점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회원(10)은 판매 물품을 게재하면서 판매 물품에 대한 물품 정보 및 거래 정보를 함께 올린다. 물품 정보로서, 제품명, 규격, 상태, 크기, 가격, 이미지, 동영상 등의 정보들을 게재한다. 거래 정보로서, 거래 가능 지역, 거래 가능 시간, 연락처, 주소 등을 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품 및 거래 정보 등은 서버(30)에 의해 제공되는 등록 화면(또는 웹페이지)에서 또는 상기 등록 화면의 지시에 따라 등록시킨다. 한편, 공통된 정보, 예를 들어, 거래 가능 지역, 연락처, 주소 등에 관한 정보는 사전에 미리 등록해놓으면, 각 물품 정보를 열람할 때 자동으로 열람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판매 물품은 동일 제품을 다수 개를 함께 올릴 수 있다. 이때, 재고수량(또는 재고량)의 수를 제품의 개수로 정한다. 1개의 제품만 있는 경우, 재고량은 1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구매 회원이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을 선택하여 물품교환을 요청한다(S20). 이때, 물품교환을 요청하기 위하여 선택된 물품을 판매 물품이라 한다.
구매 회원은 타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들 중에서 자신이 구하고자 하는 물품을 검색하여 선택한다. 이때, 구매 회원은 특정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방문하여 그 상점의 물품을 선택할 수도 있고, 서버(30)에서 제공하는 검색 기능을 이용하여 물품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검색 기능 중 "거래 가능 지역"에 대한 검색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구매 회원의 회원 정보로부터 거래 가능 지역 정보를 가져와서, 해당 지역에서 거래가 가능한 물품들만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구매 회원은 자신의 상점에서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 가능한 물품(이하 교환가능 물품)을 정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구매 회원의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 어느 것과도 교환이 가능하다. 즉, 구매 회원의 물품 모두가 교환가능 물품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구매 회원은 자신의 상점의 물품 중에서 교환가능 물품을 한정시킬 수 있다. 즉, 구매 회원은 자신의 상점 내 물품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교환가능 물품으로 한정한다.
한편, 판매 회원이 물품교환 요청에 응답(또는 흥정 요청)하기 전에, 2 이상의 구매 회원이 동시에 동일한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 요청을 할 수 있다. 구매 회원으로부터 물품교환 요청을 받으면, 판매 회원이 바로 그 요청에 응하지 않고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응답하기 때문에, 그 사이에 다른 구매 회원으로부터도 물품교환 요청을 받을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원 C가 회원 A(또는 상점 A)의 물품 A1을 선택하여 물품교환 요청을 한 후, 회원 D도 회원 A의 물품 A1에 대하여 물품교환 요청을 한다. 이때, 회원 C는 판매 물품 A1에 대한 교환가능 물품으로 C1과 C2로 한정한 반면, 회원 D는 자신의 판매 물품 전부에 대하여 교환가능 물품으로 정하였다.
한편, 흥정이 시작되기 전에, 구매 회원의 동일한 물품으로 서로 다른 판매 물품에 대한 교환가능 물품으로 정할 수 있다. 도 4의 예에서, 회원 C는 자신의 물품 C2를 2개의 판매 물품인, 물품 A1과 물품 B1에 대하여 동시에 교환가능 물품으로 정하였다. 또, 회원 D의 모든 물품은 상점 A의 물품 A1과 상점 B의 물품 B2 모두에 교환가능 물품으로 정하였다.
또한, 도 4의 예에서, 회원 A는 교환가능 물품 A2로 상점 C의 물품 C3에 물품교환을 요청하고, 회원 C는 교환가능 물품 C1, C2로 상점 A의 물품 A1에 물품교환 요청을 하고 있다. 이 경우, 회원 A와 회원 B는 서로 간에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으로 동시에 역할을 한다. 즉, 회원 A는 물품 A1에 대하여 판매 회원이나, 물품 C에 대하여 구매 회원이고, 회원 C는 그 반대의 회원 역할을 갖는다.
한편, 도 4의 예에서, 회원 B는 상점 D에 등록된 물품에 대하여 물물교환 요청을 할 수 없다. 이미 상점 D의 모든 물품이 상점 B의 물품 B2의 교환가능 물품이기 때문이다. 회원 B는 상점 D의 물품을 원하면 그 물품과 자신의 물품 B2와의 흥정을 요청하면 되기 때문이다. 즉, 판매 회원의 판매 물품이 구매 회원의 물품의 교환가능 물품으로 이미 선택된 경우,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물품교환 요청을 할 수 없다.
다음으로, 서버(30)는 판매 회원에게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S30). 특히,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회원의 이동단말(11)로도 전송된다.
판매 회원의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 요청이 되면, 그 요청된 사항에 대하여 판매 회원의 메일, 또는,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판매 회원은 그 안내 메시지를 수신하고 바로 자신의 상점에 접속하여 들어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판매 회원은 그 안내 메시지를 받고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후, 자신의 상점에 들어올 수 있는 시간에 상점을 방문할 것이다.
따라서 이 사이에 동일한 물품에 대하여 다른 회원으로부터 물품교환 요청이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물품교환이 요청이 있을 때마다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고, 첫 물품교환이 요청이 있을 때만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고 그 이후는 안내 메시지를 발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또는 회원)가 사전에 정해놓은 선택에 의해 처리된다.
또한, 일정한 시간(미리 정해진 시간) 이내에 판매 회원이 상점에 방문하지 않으면, 물품교환 신청을 한 구매 회원의 수와 함께 재차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판매 회원은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또는 교환 물품)을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하여 물품교환 흥정을 요청한다(S40).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매 회원의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 요청이 있으면, 서버(30)는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물품교환 흥정 요청을 할 수 있는 화면(또는 웹페이지, 이하 거래정보 페이지)을 생성한다.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거래의 당사자인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만 볼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의 좌측에는 판매 물품이, 우측에는 교환할 상품이 놓여진다. 우측에는 아직 교환상품이 선택되지 않았으므로 선택되지 않은 상태(예를 들어 물음표 표시)가 표시된다. 또, 우측에는 구매 회원의 회원 정보나 상점 정보 등이 표시되고 교환상품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하 교환상품 버튼)이 표시된다.
교환상품 버튼을 누르면 구매회원의 교환가능 상품들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또는 웹페이지)로 이동한다. 이때, 구매회원의 상점으로 바로 이동할 수도 있고, 별도의 선택 창이 나타날 수도 있다. 그 선택 창에서 교환가능 물품의 상세정보를 볼 수 있는 버튼(선택버튼 또는 링크 버튼 등)을 누르면 구매회원의 상점으로 이동하여, 상점에 게재된 물품의 상세정보를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교환가능 물품이 한정되면, 교환가능 물품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 창에서 교환가능 물품만 보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이상의 구매회원이 동시에 동일한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 요청을 하는 경우, 각 구매 회원마다 거래정보 페이지가 생성된다. 또한, 동일한 구매 회원이라도 판매 물품이 다른 경우도 거래정보 페이지는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매회원 "홈 베이커리"는 판매 물품 "초밥"과 "태블리PC"에 대해 각각 거래정보 페이지가 생성되어 있고, 동일한 판매물품인 "태블리PC"에 대하여 서로 다른 구매회원인 "홈 베이커리"와 "이수영"과 거래정보 페이지가 생성되고 있다. 판매 회원은 도 5의 진행중인 거래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그 거래정보 페이지로 이동함으로써 상대방의 물품을 선택하거나, 흥정 또는 거래를 진행할 수 있다.
판매 회원이 구매 회원의 상점에 등록된 물품(또는 교환가능 물품) 중에서 하나(이하 교환물품)를 선택하면, 판매물품과 교환물품에 대한 흥정단계에 들어선다.
이때, 판매물품과 교환물품의 거래 상태는 "흥정 거래가 진행중(이하 흥정중)"이라는 상태로 전환된다. 거래중인 물품(또는 판매물품 및 교환물품)은 "흥정중"의 상태로 표시된다. "흥정중" 이전 단계는 "대기중" 상태로 표시된다.
앞서 본 바와 같이, 하나의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을 요청한 구매 회원이 적어도 2 이상인 경우, 각 구매 회원별로 거래정보 페이지가 생성되어, 각 회원별로 서로 독립적으로 교환물품을 선택하여 흥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래정보 페이지는 물품교환 요청에서부터 물품교환의 흥정이 성공하거나 취소될 때까지, 거래를 위한 웹페이지(또는 화면)이다. 거래정보 페이지에는 거래 당사자가 상호 선택한 물품(또는 판매 물품 및 구매 물품) 정보(상품명, 물품 이미지 등), 거래진행 단계(또는 상태), 흥정의견 내역(흥정 게시판 등), 회원 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도 6b의 아래 화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거래정보 페이지는 댓글 형태로 흥정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게시판을 포함한다. 흥정 게시판은 종래의 게시판과 같이, 게시된 글을 리스트 형태로 올려 볼 수 있게 한 페이지다. 각 게시글은 작성자, 내용, 작성일 등이 표시된다. 그러나 일반 게시판은 게시글의 제목만 보여지는 반면, 흥정 게시판은 게시글이 모두 보이게 표시된다. 즉, 게시글이 댓글 형태로 표시된다. 이를 이하에서 "흥정 게시판"이라 부르기로 한다.
또한, 거래진행 상태에는, "대기중", "흥정중", "거래중", "판매자/구매자 거래약속", "거래약속", "거래취소" 등의 진행 상태가 표시한다. "대기중" 상태는 구매회원이 판매물품을 선택하여 물물교환을 요청하여, 판매 회원이 구매회원의 교환물품을 선택하기 전까지의 상태이며, "흥정중"은 교환물품이 선택되어 흥정이 진행중인 상태를 말한다. "거래약속"은 판매 회원 또는 구매 회원, 또는 양자가 거래를 약속한 상태를 말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구매 회원에 물품교환 흥정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특히, 상기 안내 메시지는 상기 구매 회원의 이동단말(11)로도 전송된다.
구매 회원의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 흥정이 요청되면, 그 요청된 사항에 대하여 구매 회원의 메일, 또는, 휴대폰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해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다음으로, 서버(30)는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 간의 물품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또는 물품교환 흥정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한다(S60). 이때, 물품교환 흥정 메시지는 기록되어, 후에 상기 판매 회원 또는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게 한다.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품교환 흥정 메시지는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의 흥정 게시판에서 댓글 형태로 표시된다. 즉, 판매 회원과 구매 회원은 흥정의견을 댓글의 형태로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각 흥정 게시판에는 작성자의 이름(또는 닉네임, 아이디), 작성일 등이 기재된다.
이때, 댓글 형태의 흥정의견(또는 물품교환 흥정 메시지)은 그대로 기록된다. 따라서 흥정 이후 또는 거래종료 후에도 판매 회원 또는 구매 회원은 상기 물품교환 흥정 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의 흥정 게시판 그대로 보관된다. 또,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거래 당사자인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만 볼 수 있으므로, 흥정의견 또한 이들에게만 열람된다.
한편,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이 각자의 회원단말(10)을 통해 동시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의 흥정 게시판은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의 회원단말에 동시에 표시되며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즉, 판매 회원이 흥정의견의 댓글을 달면 그 댓글이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모두 동시에 표시된다.
이때, 흥정 게시판은, 각종 액티브엑스(Active X), 플래쉬(Flash), 플렉스(Flex) 등의 플러그인(plug-in)을 사용하지 않고 아작스(Ajax),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순수 HTML 등을 이용하여, 채팅과 동일한 기능의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흥정의견 댓글(또는 흥정 메시지)이 실시간으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판매 물품에 대하여 물품교환을 요청한 구매 회원이 적어도 2 이상인 경우, 상기 구매 회원 각각과 서로 독립하여 흥정 메시지를 중계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래정보 페이지는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되어 진행되므로, 판매 회원은 하나의 판매물품에 대하여, 동시에 여러 명의 구매 회원과 흥정을 진행할 수 있다.
만약 물품교환 흥정이 성공하면, 상기 판매 물품 및 구매 물품 사이의 거래는 완료된다. 일례로서, 도 6b과 같은 거래정보 페이지에서,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은 거래약속 버튼을 눌러 거래를 승인한다.
거래진행상태에 대하여, 판매 회원이 먼저 거래를 약속하면 "판매자 거래약속"이 되고, 구매 회원이 먼저 거래를 약속하면 "구매자 거래약속"이 된다. 양 당사자가 모두 거래약속 버튼을 눌러 물품교환을 실제로 거래하겠다고 확정하게 되면, 거래진행상태는 "거래약속"으로 변경되며, 양 당사자(또는 양측 회원)의 물품 재고(또는 재고량)가 자동으로 감소한다. 이로 인해, 재고가 모두 소진되면(재고량이 0이 되면), 해당 물품과 관련된 거래도 함께 자동으로 종료된다.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이 상호간 의견을 주고 받으며 결정했던 거래장소 및 약속시간에 맞추어, 실제 오프라인 상에서 만나 물품을 교환한다. 또는 택배 등으로 물품을 교환할 수도 있고, 온라인 상에서의 교환할 수 있는 것 등은 온라인 상에서 교환된다.
앞서 단계에서, 특히, 거래가 종료되기 이전의 모든 단계에서, 판매 회원 및 구매 회원은 거래를 취소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거래정보 페이지 등에는 거래취소 버튼이 배치되고, 회원은 이 버튼을 누름으로써 거래를 취소한다. 물품교환이 취소되면 거래진행상태는 "거래취소"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흥정 또는 거래가 완료되면, 다른 구매 회원(흥정을 완료한 구매 회원 이외의 구매 회원)과의 흥정을 종료시킨다(S70). 특히, 상기 판매 물품에 대한 흥정이 완료되어 상기 판매 물품의 재고량이 없는 경우, 다른 구매 회원과의 흥정을 종료시킨다. 즉, 재고량이 2개 이상인 경우, 하나의 흥정이 종료되더라도, 판매물품이 남아 있기 때문에, 다른 흥정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30)의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30)은 상점 개설부(31), 교환요청 수신부(32), 흥정요청 수신부(33), 메시지 전송부(34), 및 교환흥정 중계부(35)를 포함한다.
상점 개설부(31)는 상기 회원 단말로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원의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상기 온라인 상점에 상기 회원의 물품을 등록시켜준다.
교환요청 수신부(32)는 상점을 개설한 회원 중 적어도 하나(이하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로부터, 다른 회원(이하 판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서 등록된 물품(이하 판매 물품)에 대한 선택과 함께 요청되는 물품교환 요청을 수신한다.
흥정요청 수신부(33)는 상기 판매 회원의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할 물품(이하 교환 물품)과 함께 요청되는 물품교환 흥정 요청을 수신한다. 이때, 상기 교환 물품은 상기 구매 회원의 온라인 상점에 등록된 물품 중에서 선택된다.
메시지 전송부(34)는 상기 판매 회원 또는 상기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에 상기 물품교환 요청 또는 물품교환 흥정 요청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다.
교환흥정 중계부(35)는 상기 판매 및 구매 회원의 회원 단말 간의 물물교환 흥정을 위한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중계한다.
상기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생략된 부분은 앞서 설명된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각 회원들은 온라인 상점을 개설하고 판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상점에 등록하여,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적용이 가능하다.
10 : 회원 단말 20 : 네트워크
30 :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31 : 상점 개설부
32 : 교환요청 수신부 33 : 흥정요청 수신부
34 : 메시지 전송부 35 : 교환흥정 중계부
40 : 데이터베이스 41 : 상점정보DB
42 : 물품정보DB 43 : 거래정보DB

Claims (10)

  1. 다수의 회원 단말과 서버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물품을 등록한 온라인 상점을 개설한 회원들 간에 등록된 물품을 서로 교환하는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서버는, 상기 물품의 정보와 함께 전송된 거래 가능 지역을 포함한 거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서버는, 구매 회원 단말로부터의 물품교환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 메시지를 판매 회원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고, 상기 물품교환 요청에 대응한 상기 판매 회원 단말로부터의 물품교환 흥정 요청에 따라 상기 물품교환 흥정 요청의 안내 메시지를 상기 구매 회원 단말로 실시간 전송하여, 상기 판매 회원 단말 및 상기 구매 회원 단말로 물품교환을 위한 메시지를 실시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2 이상의 구매 회원 단말이 동일한 판매 물품에 대한 상기 물품교환 요청이 있을 경우, 각 회원별 거래정보 페이지를 독립적으로 생성하며,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해당 판매 회원 단말과 구매 회원 단말에만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구매 회원 단말에 의해 상기 판매 물품과 교환할 수 있는 교환 물품으로 한정된 경우,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판매 회원 단말에 의해 상기 교환 물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판매 회원 단말과 구매 회원의 상점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서버는, 상기 거래 가능 지역에 근거하여 해당 지역에서 거래가 가능한 물품을 등록한 상기 온라인 상점을 연결시키고;

    상기 거래정보 페이지는 댓글 형태로 흥정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흥정 게시판이고,
    상기 흥정 메시지는 상기 흥정 게시판에 기록되어, 흥정이 완료된 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판매 회원 단말 또는 상기 구매 회원 단말에 의해 열람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판매 회원 단말 및 구매 회원 단말은 상기 물품교환 요청의 안내 메시지, 상기 물품교환 흥정 요청의 안내 메시지, 상기 물품교환을 위한 메시지 및 상기 흥정 메시지의 실시간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이동단말인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삭제
KR1020120001678A 2012-01-05 2012-01-05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44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78A KR101344071B1 (ko) 2012-01-05 2012-01-05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78A KR101344071B1 (ko) 2012-01-05 2012-01-05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39A KR20130089839A (ko) 2013-08-13
KR101344071B1 true KR101344071B1 (ko) 2013-12-24

Family

ID=4921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678A KR101344071B1 (ko) 2012-01-05 2012-01-05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924B1 (ko) * 2013-10-02 2021-02-04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근거리에서의 게임 아이템 교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3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0132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100659668B1 (ko) 가상 추천 게이트를 이용한 이-마켓 플레이스의 회원추천영업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327064A1 (en) Method for selling bundle discount products in the electronic commer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 medium which is recording a program of executing the method
US20110071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ndled selling of goods and services at a prepaid fixed price using the internet
US2012019775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pping in an electronic commerce environment
KR1016670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이용한 중고물품거래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AU2011286178A1 (en) Improved ordering and payment systems
JP2002099780A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商品販売または購入の方法
KR20000037147A (ko)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의 정보 거래 방법 및 정보 거래시스템
JP2007200258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サイトにおける共同購入とポイントシステムを組み合わせた商品の販売情報管理システム
US20200074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nd managing transactions of fractional ownership interests in assets
KR20090022083A (ko) 공동구매와 역경매 방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KR101344071B1 (ko) 온라인 상점을 통해 회원 간 온라인 물품교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atole A study of problems & prospects of internet retailing in India
KR101505033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060058802A (ko) 인스턴트 메신저를 이용한 버디간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505031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JP2006099484A (ja) Idリーダ、idリーダ用プログラム、及び商品売買システム
JP69124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505032B1 (ko) Url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관리서버 및 그 관리방법
KR20060031471A (ko) 블로그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JP2001312606A (ja) 電子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子取引方法
JP201911754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00012588A (ko) 다수 당사자의 경쟁을 통해 다수의 거래가 가능한 상거래장치 및 방법
JP2003076887A (ja) 中古品取引システム、中古品取引支援装置及び中古品取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