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3341B1 -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3341B1
KR101343341B1 KR1020130120203A KR20130120203A KR101343341B1 KR 101343341 B1 KR101343341 B1 KR 101343341B1 KR 1020130120203 A KR1020130120203 A KR 1020130120203A KR 20130120203 A KR20130120203 A KR 20130120203A KR 101343341 B1 KR101343341 B1 KR 10134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al discharge
self
diagnosis
signal
pul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기
최윤종
어필선
Original Assignee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이디에스(주) filed Critical 한빛이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13012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3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4Circuits therefor, e.g. for generating test voltages, sens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 H02H1/0023Using arc detectors sensing non electrical parameters, e.g. by optical, pneumatic, thermal or sonic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92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ata processing means, e.g. expert systems, neural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과 연결되어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의 부분 방전을 감시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하는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 및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에서 발생한 전자기파에 대응한 자가 진단 정보를 원격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APPARATUS FOR DIAGNOSING A PARTIAL DISCHARGING EQUIPPED WITH A FUNCTION OF SELF-DIAGNOSIS}
본 발명은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력 설비의 부분 방전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분방전은 고체 절연물의 공극, 액체 절연물의 기체방울, 이종 절연물의 접촉계면, 금속표면의 첨점에서 일어나는 전극과 전극 사이를 교락하지 않는 불완전한 절연파괴이며 일종의 방전현상이다.
고전압에서 동작하는 전력기기들의 절연물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열화를 하게 되고, 이러한 열화에 의해 부분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물 상의 구조적 결함 또는 불순물에 의해 부분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부분 방전은 절연체를 추가로 열화시키는 악순환을 발생시키고, 종국에는 절연파괴와 고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부분 방전으로 인한 전력설비의 손상 및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변압기, GIS 시스템 등에 부분 방전 진단 장치가 설치된다.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실시간으로 부분 방전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 하고, 부분 방전 발생시에는 알람을 제공한다. 다만, 대부분의 부분 방전은 장시간에 걸친 전력설비의 열화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부분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설치 후에도 부분 방전 진단 장치가 부분 방전을 감지하지 않은 상태가 장시간 지속될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운영자는 주기적으로, 부분 방전이 실제 발생하지 않아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서 부분 방전이 측정되지 않는 것인지 이와 달리, 부분 방전이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또는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불량 또는 고장으로 인해 부분 방전이 측정되지 않는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부분 방전 감시 센서를 그 설치 위치로부터 분리하여 별도의 신호 발생 장치에 연결하고, 신호발생장치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 진단 센서 및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정상 유무를 검사하여야 한다. 그리고, 검사 후에는 부분 방전 감시 센서를 원 위치에 복귀시켜야 한다.
즉,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의 검사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운영자에게 매우 번거롭다.
또한, 부분 방전 감시 센서가 내장형인 경우,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수 밖에 없고, 활성 상태인 경우에서는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해체 및 재설치 작업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해체 없이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정상 동작 여부를 자가 진단할 수 있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과 연결되어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의 부분 방전을 감시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하는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 및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에서 발생한 전자기파에 대응한 자가 진단 정보를 원격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는,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및 상기 펄스를 증폭하여 임펄스 형태의 자가 진단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 진단 신호를 수신한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상기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한 UHF 대역의 전자기파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펄스 발생부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는, 기 설정된 부분 방전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펄스는 기 설정된 부분 방전 패턴과 대응되게 기 설정된 사이클 동안 임계치를 초과하는 피크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는, 상기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자가 진단 신호 생성 요청을 수신한 때에 자가 진단 신호를 상기 센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감시 장치는, 상기 자가 진단 정보 상의 신호 패턴과 기 설정된 기준 신호 패턴과 대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 그룹 및 상기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가 진단 신호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해체 없이 부분 방전 감시 센서의 정상 동작 여부를 자가 진단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펄스 발생부가 출력하는 펄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원격 감시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펄스 발생부가 출력하는 펄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원격 감시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S는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을 나타낸다.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S)은 GIS 시스템(Gas Insulated Switchgear System)과 같은 전력기기 절연 시스템일 수 있다.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S) 상에는 부분 방전 신호 검출을 위한 부분 방전 감시 센서가 적어도 2 이상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영역 상에는 적어도 1 개 이상의 부분 방전 진단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영역 상에 부분 방전 감시 센서가 3 개씩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제 1 영역 상에 설치된 부분 방전 감시 센서(111, 112, 113)를 제 1 센서 그룹(110)이라 통칭하고, 제 2 영역 상에 설치된 부분 방전 감시 센서(121, 122, 123)를 제 2 센서 그룹(120)이라 통칭한다. 부분 방전 감시 센서 각각은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S) 상의 변화를 감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S)은 GIS 시스템에서 SF6 절연가스로 절연된 공간이고,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UHF 안테나 센서일 수 있다.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부분 방전시 발생하는 UHF 대역의 전자기파를 수신할 수 있다. GIS 내부에서 이상 결함으로 인한 부분 방전 발생시, 전자파 형태의 신호가 발생하여 GIS 내부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부분 방전 신호의 방전 주파수는 모든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에 측정이 용이한 UHF 대역을 측정 대역으로 갖는 UHF 안테나 센서를 사용하여 부분 방전을 측정할 수 있다.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설치 위치에 따라 내장형과 외장형으로 구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그 설치 위치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자가 진단 기능은 부분 장전 감시 센서가 내장형인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탁월할 수 있다.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송신과 수신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UHF 대역의 전자기파를 수신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UHF 대역의 전자기파를 출력할 수 있다.
제 1 센서 그룹(110)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로 전송될 수 있다. 제 2 센서 그룹(120)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b)로 전송될 수 있다.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와 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b)는 각각 별개의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서 그룹은 2 개이고, 각각의 센서 그룹에 매칭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는 제 1 센서 그룹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한 후 처리된 신호를 원격 감시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는 주파수 변환부(210), A/D 컨버터(220),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 통신부(240),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250),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부(210)는 수신된 부분 방전 신호 또는 자가 진단 신호를 주파수 하향 변환할 수 있다. 부분 방전 감시 센서로부터 수신된 부분 방전 신호 또는 자기 진단 신호는 UHF 대역의 고주파 신호로 A/D 컨버터(220)에의 적용이 어렵기 때문에 A/D 컨버터(220)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로 하향 변환하게 되며, 이때 주파수 변환부(210)에 의해, 부분 방전 신호 또는 자가 진단 신호는 수십 KHz 단위의 저주파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부(210)는 부분 방전 감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 중 측정 대상 외 대역 신호를 대역 통과 필터의 필터링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때, 대역 통과 필터를 거친 신호는 피크 검출 및 유지 회로를 거쳐 원래 신호의 피크값 만이 추이 유지될 수 있고, 이 신호는 A/D 컨버터(220)로 전달되어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완료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는 A/D 컨버터(22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통신모듈(240)을 통하여 원격감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신호 처리부(230)는 일정한 샘플링 간격마다 피크유지리셋 신호를 A/D 컨버터(220)에 인가하여 유지되어 있는 피크 신호를 리셋할 수 있다.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250)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가 원격 감시 장치(300)로부터 자가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자가 진단 신호를 제 1 센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로 출력할 수 있다.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250)는 펄스 발생부(251) 및 신호 변형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펄스 발생부(251)는 자가 진단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대응하여 펄스를 신호 변형부(252)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펄스는 수십 내지 수백 ns의 아주 짧은 시간의 펄스일 수 있다. 여기서, 펄스 출력 레벨은 0 내지 5V일 수 있다. 펄스 발생부(251)가 출력하는 펄스는 TTL 신호일 수 있다. 또는, 임의의 패턴을 가지는 구형파일 수 있다. 임의의 패턴 상에서 구형파는 다양한 출력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임의의 패턴은 기 설정된 부분방전 신호 패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이 펄스의 형태 및 그 펄스의 크기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부분 방전 감지 센서의 단순한 감도를 체크하는 경우, 단일 TTL 펄스가 사용될 수 있고, 부분 방전 감지 센서의 부분 방전 신호 패턴에 대한 응답 특성을 체크하는 경우, 부분 방전 패턴에 대응한 펄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임의의 부분 방전 패턴을 가지는 구형파 펄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는 임의의 부분 방전 패턴을 가지는 구형파 펄스의 일례이고, 도 4b는 신호 변형부가 그 구형파 펄스를 변형하여 출력하는 부분 방전 패턴에 대응한 자가 진단 신호일 수 있다. 자가 진단 신호는 부분 방전 신호와 유사하게 기 설정된 사이클 동안 임계치를 초과하는 피크를 가질 수 있다.
신호 변형부(252)는 펄스 발생부(251)가 발생한 펄스를 임펄스 형태의 파형으로 변형함과 동시에 증폭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약 30 V의 임펄스 형태의 파형이 생성될 수 있다. 0 내지 5V의 신호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서 인근 센서에서 감지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신호 변형부(252)는 인근 센서가 감지할 수 있는 레벨로 펄스를 증폭시킬 수 있다. 신호 변형부(252)는 광대역 트랜스(Wideband Transformer)를 포함하여 위와 같은 증폭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신호 변형부(252)가 출력하는 임펄스 파형을 “자가 진단 신호”라 칭한다. 자가 진단 신호를 수신한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한 부분 방전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는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기파를 센서 그룹(예를 들어, 제 2 센서 그룹)을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신호를 앞서 본 바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원격 진단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원격 진단 장치(300)로 전송되는 정보를 “자가 진단 정보”라 지칭한다. 위와 달리,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250)는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의 명령이 아닌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서의 조작에 대응하여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고 기 저장된 자가 진단 스케쥴에 따라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기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부분 방전 진단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b)는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할 수 있다.
원격감시장치(300)는 부분 방전 진단부(310)와 자가 진단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방전 진단부(310)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200a, 200b)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사용하여 해당 감시 구역에서의 부분 방전 발생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부분 방전 진단부(310)의 진단 알고리즘을 본 발명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진단 알고리즘이 부분 방전 진단부(310)에 탑재될 수 있다.
자가 진단부(320)는 특정 부분 방전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제 1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자가 진단 신호 발생을 요청하고, 그 자가 진단 신호 대응하여 자가 진단 신호 발생 요청을 수신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로부터 수집된 자가 진단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그 부분 방전 진단 장치(예를 들어, 제 2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매칭된 센서 그룹(예를 들어, 제 2 센서 그룹)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자가 진단부(320)는 기 저장된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한 기준 패턴과 자가 진단 정보를 통해 파악되는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한 신호의 패턴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저장된 기준 패턴은 기 설정된 부분 방전 패턴일 수 있다. 판단 결과는 외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비정상 동작으로 판단되는 경우 외부에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자가 진단부(320)는 복수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각각에 자가 진단 신호 발생 요청을 하고, 그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여 부분 방전 진단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사용하여 복수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각각 및 그에 매칭된 부분 방전 감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복수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 각각 및 그에 매칭된 부분 방전 감시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 진단을 위해, 자가 진단부(320)는 기 설정된 자가 진단 스케쥴에 따라 복수의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자가 진단 신호 발생 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S: 부분 방전 진단 대상 공간
110: 제 1 센서 그룹
120: 제 2 센서 그룹
111, 112, 113, 121, 122, 123: 부분 방전 감시 센서
200a, 200b: 부분 방전 진단 장치
210: 주파수 변환부
220: A/D 컨버터
23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40: 통신부
250: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
251: 펄스 발생부
252: 신호 변형부
260: 제어부
300: 원격 감시 장치
310: 부분 방전 진단부
320: 자가 진단부

Claims (5)

  1.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그룹과 연결되어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의 부분 방전을 감시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에 있어서,
    기 설정된 자가 진단 신호를 발생하는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 및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분 방전 진단 대상 영역 상에서 발생한 전자기파에 대응한 자가 진단 정보를 원격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는,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 발생부; 및
    상기 펄스를 증폭하여 임펄스 형태의 자가 진단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변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가 진단 신호를 수신한 부분 방전 감시 센서는 상기 자가 진단 신호에 대응한 UHF 대역의 전자기파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발생부에 의해 출력되는 펄스는,
    기 설정된 부분 방전 패턴을 가지는 것-상기 펄스는 기 설정된 부분 방전 패턴과 대응되게 기 설정된 사이클 동안 임계치를 초과하는 피크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진단 신호 발생부는,
    상기 원격 감시 장치로부터 자가 진단 신호 생성 요청을 수신한 때에 자가 진단 신호를 상기 센서 그룹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방전 감시 센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감시 장치는,
    상기 자가 진단 정보 상의 신호 패턴과 기 설정된 기준 신호 패턴과 대비하는 것에 의해, 상기 센서 그룹 및 상기 부분 방전 진단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20130120203A 2013-10-08 2013-10-08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134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203A KR101343341B1 (ko) 2013-10-08 2013-10-08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0203A KR101343341B1 (ko) 2013-10-08 2013-10-08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3341B1 true KR101343341B1 (ko) 2013-12-20

Family

ID=4998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0203A KR101343341B1 (ko) 2013-10-08 2013-10-08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33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46B1 (ko) * 2014-02-10 2015-01-14 (주) 대원계전산업 수배전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5200B1 (ko) * 2015-06-11 2015-12-21 정재기 자가 진단 및 알고리즘 진단이 가능한 부분방전 진단장치
KR20210042592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 자동 초음파 진단장치
CN114114123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局部放电检测传感器的校验装置及方法
KR102521212B1 (ko) * 2022-10-20 2023-04-17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지중 온라인 부분방전 진단 및 시험 시스템의 시험용 부분방전 신호 발생장치와 그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832B1 (ko) * 2011-07-22 2011-10-10 김영일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이상 검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832B1 (ko) * 2011-07-22 2011-10-10 김영일 자기진단 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의 이상 검출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46B1 (ko) * 2014-02-10 2015-01-14 (주) 대원계전산업 수배전반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75200B1 (ko) * 2015-06-11 2015-12-21 정재기 자가 진단 및 알고리즘 진단이 가능한 부분방전 진단장치
KR20210042592A (ko) * 2019-10-10 2021-04-20 한국전력공사 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 자동 초음파 진단장치
KR102247150B1 (ko) * 2019-10-10 2021-05-04 한국전력공사 드론을 활용한 전력설비 자동 초음파 진단장치
CN114114123A (zh) * 2021-11-29 2022-03-01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局部放电检测传感器的校验装置及方法
KR102521212B1 (ko) * 2022-10-20 2023-04-17 도우디지텍 주식회사 지중 온라인 부분방전 진단 및 시험 시스템의 시험용 부분방전 신호 발생장치와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341B1 (ko) 자가 진단 기능이 구비된 부분 방전 진단 장치
KR101846195B1 (ko) 모터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58046A (ja) 電力機器の異常診断装置
JP5791796B2 (ja) 保護継電装置の動作試験システム
US10317452B2 (en) Testing device, testing method, and program for power system protection control system
KR102192609B1 (ko) 순시유도전압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모니터링 감시기능이 탑재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385318B1 (ko) 부분 방전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76328A (ko) 주파수/위상 스펙트럼을 이용한 전력기기용 원격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402887B1 (ko) 시간 및 주파수 영역이 연계된 분석 기능을 가지는 gis 부분방전 감시 시스템 및 방법, 그를 위한 로컬 장치
KR101548288B1 (ko) 반사파 계측을 이용한 배선 진단 시스템
JP2007232495A (ja) 部分放電遠隔監視装置
US10520539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in high-voltag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CN103777124A (zh) 基于振动测试的gis现场耐压试验的击穿故障定位方法
KR100954665B1 (ko) 전력기기의 위험도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9268A (ko) 초음파를 이용한 변압기 감시 장치
US20080068027A1 (en) Power line surge arrestor monitoring system
KR101575200B1 (ko) 자가 진단 및 알고리즘 진단이 가능한 부분방전 진단장치
JP2012193975A (ja) 電気機器絶縁診断装置
CN111108400B (zh) 用于识别在电运行机构中的部分放电的方法和装置
KR20190076760A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춘 송배전 케이블 접속부의 부분방전 검사 장치
CN112014695A (zh) 一种gis设备故障快速定位系统及方法
KR101641269B1 (ko) Emf 센서와 음향 센서를 이용한 부분방전 진단 시스템
KR101248232B1 (ko) 병렬 부대설비의 이상 진단 방법 및 시스템
JPH09103007A (ja) ガス絶縁開閉機器の監視装置
KR20170060626A (ko) 개폐장치 원격진단 장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