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784B1 -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784B1
KR101342784B1 KR1020120104268A KR20120104268A KR101342784B1 KR 101342784 B1 KR101342784 B1 KR 101342784B1 KR 1020120104268 A KR1020120104268 A KR 1020120104268A KR 20120104268 A KR20120104268 A KR 20120104268A KR 101342784 B1 KR101342784 B1 KR 10134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ereoscopic image
stereoscopic
input im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효환
Original Assignee
배효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환 filed Critical 배효환
Priority to KR102012010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24Colou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입체 영상 출력 장치가 제공된다. 입체 영상 출력 장치는, 입력 영상을 제공받는 수신부, 및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제1 입체(stereoscopic)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Device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3-dimensions; 3D) 또는 입체 영상(stereoscopic image)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져 가고 있다. 평면적인 2차원 컨텐츠에 비해 사실감과 입체감 등의 전달에 유리한 3차원 컨텐츠에 대한 제작이 활성화되면서, 이를 시청하기 위한 3차원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관련 기술도 발달하고 있다. 이러한 3차원 콘텐츠 및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술의 발달로 향후 가정에서는 쉽고 편안하게 3차원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입체 영상은 양안의 시차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비교적 장시간 입체 영상을 시청하게 되면, 안구에 피로가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안구의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입체 영상 시청 시 안구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입체 영상 시청 시 안구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입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출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는, 입력 영상을 제공받는 수신부, 및 수신부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제1 입체(stereoscopic) 영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는, 입력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제1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변환부로부터 제공받은 제1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방법은, 입력 영상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입체(stereoscopic) 영상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입체 영상의 색상을 조절하거나 변환된 입체 영상에 미리 정한 소리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하나의 소자(elements)가 다른 소자와 "접속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소자가 다른 소자와 "직접 접속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0)는 수신부(110), 및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입력 영상(II)을 제공받고, 이를 표시부(120)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수신부(110)에 제공되는 입력 영상(II)은 영상 컨텐츠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컨텐츠란 화상 또는 이미지가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인코딩 등을 통해 컨텐츠로 제작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수신부(110)에 제공되는 입력 영상(II)은 영상 컨텐츠가 아닌 사물 자체의 화상 또는 이미지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수신부(110)에 제공되는 입력 영상(II)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수신부(110)는 입력 영상(II)을 제공받고, 이를 표시부(120)에 제공하는 과정에서 입력 영상(II)에 대해 소정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수신부(110)는 이러한 입력 영상(II)의 포맷 등을 변환하여 이를 표시부(120)에 제공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수신부(110)는 입력 영상(II)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이를 표시부(12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수신부(110)는 표시부(120)가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소정의 전처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0)에 수신부(110)가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필요에 따라 수신부(11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영상(II)은 수신부(110)를 거치지 않고 직접 표시부(120)에 제공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받은 입력 영상(II)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입체(stereoscopic) 영상(SI)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표시부(120)에 제공되는 입력 영상(II)의 종류 등은 제한되지 않으나, 표시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입체(stereoscopic) 영상(SI)이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SI)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120)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SI)은 도시된 것과 같이,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을 포함한다. 그리고, 표시부(120)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SI)은 도시된 것과 같이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도 3의 좌안 영상(LI)에 삼각형이 표시되어 있다),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된다(도 2 및 도 3에서 우안 영상(RI)은 암흑처리 되어 있다).
비록 도 2 및 도 3에는 좌안 영상(LI)에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 우안 영상(RI)에 입력 영상(II)이 암영 처리되어 표시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얼마든지 반대로 변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120)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SI)은 우안 영상(RI)에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 좌안 영상(LI)에 입력 영상(II)이 암영 처리되어 표시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0)가 이와 같은 구성의 입체 영상(SI)을 출력할 경우, 이러한 입체 영상(SI)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안구의 피로감이 저감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인 입체 영상(예를 들어, 본 발명의 입체 영상(SI)과 달리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에 모두 입력 영상(II)이 표시되는 입체 영상)을 시청함에 따라 안구가 느끼는 피로감은 수정체의 초점과 안구의 방향이 실제 사물을 볼 때와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입체 영상을 시청할 때 수정체의 초점은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에 맞추어지나, 안구의 방향이 스크린 뒤 편에 맞춰지기 때문에 안구 피로감이 가중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SI)에서는,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 중 어느 하나가 도시된 것과 같이 암영 처리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SI)을 시청할 경우, 이를 보는 사람의 수정체 초점과 안구의 방향이 같아질 수 있기 때문에, 안구의 피로감이 저감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SI)을 시청할 시, 안구 장애의 하나인 사시(strabismus)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할 수 있다. 입체 영상을 장시간 동안 시청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구의 안정 피로(3D Asthenopia)와 사시는 유사한 원인(수정체의 초점과 안구의 방향이 실제 사물을 볼 때와 달라지는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SI)은 안구의 안정 피로(3D Asthenopia) 뿐만 아니라, 사시(strabismus)에 대해서도 효과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입체 영상(SI)을 출력하는 표시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과 같은 평판 표시부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0)도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0)는, 가정용 TV, 빔 프로젝터, 스마트 폰 및 PDP 플레이어와 같은 휴대용 표시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역시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입체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1)는 수신부(111)와, 표시부(121)를 포함한다.
수신부(111)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는바 중복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1)는 앞서 설명한 표시부(도 1의 120)과 달리,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에 입력 영상(II)이 모두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SI2)을 더 출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21)는, 앞서 설명한 입체 영상(도 2 및 도 3의 SI)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 입체 영상(SI1)과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에 입력 영상(II)이 모두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SI2)을 도시된 것과 같이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입체 영상(SI1)과 제2 입체 영상(SI2)은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번갈아 교대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21)가 출력하는 제1 입체 영상(SI1)의 출력 시간(T3)과 표시부(121)가 출력하는 제2 입체 영상(SI2)의 출력 시간(T4)은 그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부(121)가 출력하는 제2 입체 영상(SI2)의 출력 시간(T4)은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부(121)가 출력하는 제1 입체 영상(SI1)의 출력 시간(T3) 보다 길 수 있다.
제1 입체 영상(SI1)과 제2 입체 영상(SI2)의 구성을 이와 같이 할 경우, 시청자는 제2 입체 영상(SI2)을 시청하면서 느낀 안구의 피로감을 제1 입체 영상(SI1)을 시청하면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제2 입체 영상(SI2)이 축구 경기 영상이고, 제1 입체 영상(SI1)이 광고 영상일 경우, 시청자는 약 45분 동안 생동감 있게 제2 입체 영상(SI2)을 시청한 후, 5분 내지 10분 가량의 광고로 구성된 제1 입체 영상(SI1)을 시청하면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원리를 이용해 안구의 피로감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사항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2)는, 수신부(112)와, 표시부(122)와, 변환부(132)를 포함한다.
수신부(112)와 표시부(122)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변환부(132)는 선택된 모드(MODE)에 따라,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입력 영상(II)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제1 입체 영상(도 5의 SI1)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에 입력 영상이 모두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해, 변환부(132)는 수신부(112)로부터 제공된 입력 영상(II)이 어떠한 영상이든 상관 없이(즉, 입력 영상(II)이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 형태이거나 제1 입체 영상(도 5의 SI1) 형태이거나 입체 영상이 아닌 영상 컨텐츠이거나 상관없이), 선택된 모드(MODE)에 따라 입력 영상(II)을 제1 입체 영상(도 5의 SI1)과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변환부(132)의 동작을 결정하는 이러한 모드 선택 신호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등을 통해 변환부(132)에 모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표시부(12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부(122)로부터 출력되는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를 시청하다가, 안구에 피로감이 생긴다고 판단되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미도시) 등에 구비된 영상 변환 버튼 등을 눌러 표시부(12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이 제1 입체 영상(도 5의 SI1)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변환부(132)의 동작을 결정하는 이러한 모드 선택 신호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된 모드 선택부(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드 선택부(미도시)는 입력된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주기 또는 원하는 시점에 변환부(132)에 서로 다른 모드 선택신호를 제공함으로써, 표시부(12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의 형태를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과 제1 입체 영상(도 5의 SI1) 중 어느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변환부(132)는, 입력 영상(II)을 앞서 설명한 제1 입체 영상(SI1)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입력 영상(II)에 대해 미리 정한 비디오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한 비디오 처리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입력 영상(II)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미리 정한 비디오 처리는 입력 영상(II)의 색상을 안구의 피로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녹색 계열의 색상으로 조절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변환부(132)는, 입력 영상(II)을 앞서 설명한 제1 입체 영상(SI1)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미리 정한 오디오 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한 오디오 처리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변환되는 제1 입체 영상(SI1)에 미리 정한 소리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한 소리로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켜 사용자가 제1 입체 영상(SI1)을 주의 깊게 시청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의 안구 피로 저감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사항들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할 수 있는바, 여기서는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의 개념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3)는, 수신부(113)와, 표시부(123)와, 셔터부(140)를 포함한다.
수신부(113)와 표시부(123)에 관한 설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는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셔터부(140)는 좌안 셔터(141)와 우안 셔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에에서, 셔터부(14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안경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좌안 셔터(141)와 우안 셔터(142)는 각각 안경의 좌안 렌즈, 및 우안 렌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123)에서 입체 영상(SI)이 출력되는 동안, 셔터부(140)의 좌안 셔터(141)와 우안 셔터(142) 중 어느 하나는 온(on)되고, 나머지 하나는 오프(off)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23)에서 출력되는 입체 영상(SI)이 만약, 도 2에 도시된 입체 영상이라면, 이 영상이 출력되는 동안 셔터부(140)의 좌안 셔터(141)는 온(on)되고, 우안 셔터(142)는 오프(off)될 수 있다. 셔터부(140)의 동작이 이렇다면, 시청자는 좌안 셔터(141)를 통해 입체 영상(도 2의 SI)의 좌안 영상(도 2의 LI)은 시청할 수 있으나, 우안 셔터(142)는 오프(off)되어 아무 것도 볼 수 없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3)가 이러한 구성의 셔터부(140)를 포함할 경우, 시청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시야를 주기적으로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으므로 안구 피로 저감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비록 도 7에는 도 1에 도시된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1)와 유사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3)의 구성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입체 영상 출력 장치(103)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구성으로도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셔터부(140)에 도 2에 도시된 입체 영상(도 2의 SI)이 입력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서 셔터부(140)에는 도 5에 도시된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이 입력될 수도 있다. 즉, 셔터부(140)에는 도 5에 도시된 제2 입체 영상(도 5의 SI2, 좌안 영상(LI)과 우안 영상(RI)이 모두 암영 처리되지 않는 입체 영상)이 입력되나, 좌안 셔터(141)와 우안 셔터(142) 중 어느 하나가 온(on)되고 나머지 하나가 오프(off) 됨으로써 시청자는 도 2에 도시된 입체 영상(도 2의 SI)을 시청하는 효과를 누릴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101, 102, 103: 입체 영상 출력 장치
110, 111, 112, 113: 수신부
120, 121, 122, 123: 표시부
132: 변환부
140: 셔터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입력 영상을 제공받아, 이를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제1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제1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미리 정한 비디오 처리를 더 수행하고,
    상기 미리 정한 비디오 처리는 상기 입력 영상의 색상을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출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제1 입체 영상과, 상기 좌안 영상과 상기 우안 영상 모두에 상기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제2 입체 영상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입체 영상 출력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제1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미리 정한 오디오 처리를 더 수행하는 입체 영상 출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오디오 처리는 상기 제1 입체 영상에 미리 정한 소리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출력 장치.
  11. 입력 영상을 제공받고,
    상기 제공받은 입력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입력 영상이 표시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에는 상기 입력 영상이 암영(暗映)처리되어 표시되는 입체(stereoscopic) 영상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입체 영상의 색상을 조절하거나 상기 변환된 입체 영상에 미리 정한 소리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입체 영상 출력 방법.
KR1020120104268A 2012-09-20 2012-09-20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KR10134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68A KR101342784B1 (ko) 2012-09-20 2012-09-20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4268A KR101342784B1 (ko) 2012-09-20 2012-09-20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784B1 true KR101342784B1 (ko) 2013-12-19

Family

ID=4998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4268A KR101342784B1 (ko) 2012-09-20 2012-09-20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7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152B1 (ko) 2006-12-14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셔터 안경 및 액정셔터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152B1 (ko) 2006-12-14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셔터 안경 및 액정셔터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81640B (zh) 图像数据处理方法以及使用其的立体图像显示器
JP5745822B2 (ja) 再生モード切替方法、出力モード切替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US8994795B2 (en) Method for adjusting 3D image quality, 3D display apparatus, 3D glasses, and system for providing 3D image
US9538160B1 (en) Immersive stereoscopic video acquisition, encoding and virtual reality playback methods and apparatus
CN103329165B (zh) 放缩三维场景中的用户控制的虚拟对象的像素深度值
KR2011004457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영상표시방법
US20110248989A1 (en) 3d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setting display mode, and 3d display system
JP2011114868A (ja) Gui提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装置と3d映像提供システム
US20110304689A1 (en) Remote user control for stereoscopic display
WO2012071063A1 (en) Blanking inter-frame transitions of a 3d signal
KR101315612B1 (ko) 2차원-3차원 공존을 위한 편광 3차원 시스템의 2차원 품질 향상 장치, 방법 및 시스템
JP2011242773A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20140192174A1 (en) Display apparatus, shutter glasses, display method, and method for operating glasses apparatus
JP2013051618A (ja)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JP2012205132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CN103209335A (zh) 支持高屏幕刷新率的立体电影播放方法及系统
KR101342784B1 (ko)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KR101357373B1 (ko) 입체 영상 출력 장치, 및 그 출력 방법
US925347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KR101148636B1 (ko) 다중 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Shih et al. 24.4: Distinguished student paper: floating 3D image for high resolution portable device using integral photography theory
JP2014175813A (ja) 立体映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KR101978790B1 (ko) 멀티뷰 디스플레이 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1348072B1 (ko) 입체 영상 생성 시스템, 그 장치, 및 그 생성 방법
CN102710947A (zh) 视频信号处理装置和视频信号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