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631B1 -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631B1
KR101342631B1 KR1020130108116A KR20130108116A KR101342631B1 KR 101342631 B1 KR101342631 B1 KR 101342631B1 KR 1020130108116 A KR1020130108116 A KR 1020130108116A KR 20130108116 A KR20130108116 A KR 20130108116A KR 101342631 B1 KR101342631 B1 KR 10134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air
vibrator
photographed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영
김장석
Original Assignee
삼아항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항업(주) filed Critical 삼아항업(주)
Priority to KR1020130108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6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02Picture ta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mmetry or photographic surveying, e.g. controlling overlapping of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기준점과 조정점을 통해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편집 및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가 발전기능이 있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고,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과 같은 수지(水池)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영상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IMAGE PROCESSING SYSTEM WITH HIGH QUALITY OF AIRCRAFT PHOTOGRAPHING IMAGE}
본 발명은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기준점과 조정점을 통해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편집 및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자가 발전기능이 있어 전원공급이 원활하고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과 같은 수지(水池)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영상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한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영상도화이미지는 항공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다.
즉, 다수의 촬영이미지 레이어(이하 '촬영이미지')를 동일한 축척으로 맞춰 연결하고, 이렇게 완성된 일체의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영상도화이미지를 도화 및 편집해서 하나의 수치지도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도화 방식은 그 대상이 도심지역이냐 도심 외 지역이냐에 구분없이 적용되며, 건물이 조밀하게 밀집된 도심지역의 경우엔 해당 도심지역을 촬영한 촬영이미지의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차이가 전부이다.
그런데, 도화 대상 중에는 육지뿐만 아니라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과 같은 수지(水池)를 포함하는 지역이 있다.
물론, 작업자는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촬영이미지를 이웃하는 다른 촬영이미지와 연결해서 일체의 촬영이미지를 완성하고, 이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상기 촬영이미지에 상응하는 영상도화이미지를 완성한다.
하지만, 상기 수지는 육지와는 달리 기준이 될만한 수상물이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웃하는 촬영이미지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기준 없이 임의로 연결했다.
물론, 축척이 작은 경우엔 대상 촬영이미지에 다리 또는 섬 등과 같은 수상물이 촬영되어 있어 이를 기준으로 연결할 수 있지만, 축적이 큰 경우엔 대상 촬영이미지에 수상물이 촬영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연결 기준이 없어 전술한 바와 같은 임의 연결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수지에 해당하는 좌표의 신뢰도를 저해하고, 촬영이미지를 임의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수지상에 존재할 수 있는 물체가 무시돼 삭제될 수도 있으므로,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을 포함한 촬영이미지의 정밀도가 저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106567호(2012.01.10.)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는 자가 발전 기능이 구현되어 있지 않아 사용수명이 짧고 강, 호수 등에 설치하였을 때 사용상 불편함이 따랐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106567호(2012.01.10.)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자가 발전 기능을 갖추고 있어 사용상 편의성과 사용수명이 증대되며,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과 같은 수지(水池)를 포함하는 지역에 대한 영상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항공카메라(20)의 지상촬영으로 형성되되 기준점표시등(30) 및 조정점표시등(100)이 조사하는 레이저광에 의해 각각 형성된 기준점(SP1, SP2) 및 조정점(RP)을 포함하는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11)와, 다수의 상기 촬영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해 편집하되 이웃하는 지역에 대한 촬영이미지의 경계가 수지(水池; R)인 경우 수지(R) 내 동일한 조정점(RP)을 기준으로 해당 촬영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하는 이미지편집모듈(13)과, 이미지편집모듈(13)에서 편집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를 진행해서 기준점(SP1, SP2)을 포함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하는 영상도화모듈(14)과, 상기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12)와, 기준점(SP1, SP2)을 기준으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GPS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15)과, 상기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출력하고 촬영이미지의 편집과 도화이미지의 GPS 좌표정보 합성을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입출력모듈(16)을 포함하는 도화장치(10), 운항중인 항공기에 탑재된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는 기준점표시등(30), 상면 개구되고 측면에는 내외를 개구하는 개구홈(111a)이 형성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며 내부 바닥은 중심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수지(R)의 수중 바닥에 설치되는 함체(111)와, 함체(111)에 여닫이 방식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상면을 개폐하고 자석(112a)을 갖춘 한 쌍의 덮개(112, 112')와, 고무줄(113a)을 매개로 덮개(112,112')에 고정되어서 덮개(112, 112')의 여닫힘을 따라 함체(111) 내에서 승하강하고 레그(122)에 걸려 이동하는 고리(113)와, 덮개(112, 112')와 마주하는 함체(111)의 일면에 설치되어서 덮개(112, 112')가 회동하도록 탄발지지하는 탄발체(114)와, 함체(11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자화체(115)를 갖춘 한 쌍의 베이스(110); 상면에 안착홈(121a)을 형성하고 수중 잠입을 위한 밀도를 갖는 재질의 플레이트(121)와, 자석(112a)에 자화가능한 재질을 이루며 플레이트(121) 저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함체(111)의 내부의 솟아오른 상기 바닥에 상응하도록 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함체(111)에 삽탈되는 한 쌍의 레그(122)와, 자화체(115)에 상응하도록 레그(122)에 부착되는 자성체(123)와, 안착홈(12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입설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124)과, 베이스(110)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125)를 갖추되, 바이브레이터(125)는 레그(122)에 내설되는 진동자(125a)와, 플레이트(121)에 내설되는 전원(125b)과, 진동자(125a)와 전원(125b)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전선과 연결되고 압력을 받아 이동한 레그(122)와 플레이트(121)가 서로 접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서 레그(122)가 압력을 받아 플레이트(121)와 서로 접하면 진동자(125a)와 전원(125b)이 서로 통전하도록 하는 단자(a, b, c,d)로 된 서포터(120); 배터리를 방수해 탑재하면서 수중 잠입을 위한 밀도를 갖는 재질로 되고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잠입해 안착홈(121a)에 안착되는 본체(131)와, 본체(131)에 입설되는 축대(133)와, 운항중인 항공기에 탑재된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축대(133) 상단에 설치되는 발광체(132)와, 상기 배터리와 발광체(132) 간의 통전을 제어하는 스위치(134)를 갖추되, 스위치(134)는 중공(S)을 갖는 케이스(134a)와, 최저점에 홀(134c)이 형성된 곡면을 이루며 케이스(134a) 바닥에 형성되는 곡면체(134b)와, 상기 배터리와 발광체(132)로부터 인출된 전선과 연결되어 홀(134c)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134d)와, 곡면체(134b)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홀(134c)에 인입시 한 쌍의 전극체(134d)를 통전시키는 구형상의 도체구(134e)로 된 램프(130); 유선형태의 단면형상을 이루고 축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선관(140);을 포함하는 조정점표시등(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31)의 하단 4측면에 돌출되게 고정된 고정브라켓(RP); 상기 고정브라켓(RP)에 수직하고 고정되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대(FP); 상기 고정대(FP)의 길이 일부에 설치되는 발전기(200); 상기 발전기(200)를 감싸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제1,2지지축(320,330)을 갖는 회동대(300); 상기 회동대(300)의 제1,2지지축(320,330) 사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10)에 고정된 회전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400)는 유선형상을 갖고 좌우 비대칭형이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준점과 조정점을 통해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편집 및 제작하는 과정에서 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이미지를 기초로 제작된 수치지도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가 발전 기능을 갖춤으로써 사용수명을 늘리고, 강, 호수 등에 설치 사용하기 편리한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이 촬영이미지 레이어를 연결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을 통해 연결된 촬영이미지를 보인 이미지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점표시등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다른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와 유선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램프에 구성된 스위치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설치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에서 축대의 구조를 개선한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06567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06567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06567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본체의 일부에 자가 발전기능을 구현한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06567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시스템은 항공카메라(20)가 촬영해 수집한 촬영이미지의 원본 또는 편집본을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11)와,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12)와, 상기 촬영이미지를 수정하고 서로 연결해 편집하는 이미지편집모듈(13)과, 상기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진행해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는 영상도화모듈(14)과, 상기 도화이미지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합성해서 서로 연결된 도화이미지를 정밀하게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좌표합성모듈(15)과, 작업자가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출력하고 이들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입출력모듈(16)로 구성된 도화장치(10)를 포함한다.
이와 더불어, 합성시스템은 항공카메라(20)가 지상 촬영시 촬영이미지에 기준이 표시되도록 빛을 발하는 기준점표시등(30)과 조정점표시등(100)을 더 포함하되, 조정점표시등(100)은 수지(水池; R)에 설치되어서, 강, 호수 또는 저수지 등에서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이 촬영이미지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촬영이미지DB(11)와 도화이미지DB(12)는 데이터 형식의 이미지파일을 저장 및 관리하는 통상적인 데이터베이스로서, 상기 이미지파일을 저장, 삭제, 갱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장치이다.
이미지편집모듈(13)은 촬영이미지DB(11)에서 검색되고 입출력모듈(16)을 통해 출력되는 촬영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세부 이미지를 조정 변경한다. 즉, 이미지편집모듈(13)은 통상적인 디지털이미지인 촬영이미지를 편집하는 애플리케이션 장치로서, 작업자는 입출력모듈(16)의 조작을 통해 이미지편집모듈(13)을 실행 및 운전하고, 이를 통해 해당 촬영이미지를 원하는 형태로 최종 편집할 수 있다.
영상도화모듈(14)은 입출력모듈(16)에서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는 장치로서, 상기 도화이미지는 온라인 이미지 형태로 도화할 수도 있고 오프라인 이미지 형태로 도화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온라인 이미지란 파일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해당 도화이미지가 완성되면 도화이미지DB(12)에 파일형태로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오프라인 이미지란 지면에 이미지를 직접 도시해서 서면으로 완성하는 것으로서, 해당 도화이미지가 완성되면 도화이미지DB(12)에 파일형태로 저장될 수는 없으나 지면으로 별도 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도화모듈(14)에서 완성하는 도화이미지는 온라인 이미지로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완성한 도화이미지는 파일형태로 완성되어 도화이미지DB(12)에 저장 관리될 수 있을 것이다.
좌표합성모듈(15)은 완성된 도화이미지에 좌표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도화이미지의 오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해서,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도화이미지의 정확도를 높인다. 일반적으로 도화이미지에 좌표정보를 적용하는 방법은 도화이미지에 표시된 기준점(SP1, SP2)을 기준으로 GPS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좌표정보를 합성한 결과 특정 지점의 좌표정보가 실제 좌표정보와 다르게 합성될 경우엔 도화이미지가 잘못 완성된 것으로 간주하고 해당 부분을 수정한다.
기준점표시등(30)은 지상의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서 운항중인 항공기에 탑재된 항공카메라(20)가 지상을 촬영할 때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빛을 조사해서 상기 빛이 촬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항공카메라(20)가 상기 빛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기준점표시등(30)은 항공카메라(20)를 정확히 조준해 빛을 조사하되, 가급적 항공카메라(20)를 탑재한 항공기가 기준점표시등(30)의 직상방을 통과할 때 해당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로, 기준점표시등(30)에서 조사되는 빛은 직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레이저광인 것이 바람직하고, 항공기의 거리와 안전성 등을 감안해 고출력이면서도 그 세기는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조정점표시등(100)은 기준점표시등(30)과 더불어 특정 지점에 설치되되, 조정점표시등(100)은 수지(水池; R)에 설치된다. 조정점표시등(100)은 수지(R)를 경계로 한 이웃하는 촬영이미지 간의 연결시 그 연결이 정확한지 여부와 촬영이미지 가장자리에 대한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아울러 도화이미지가 완성된 후 좌표정보를 적용할 경우 도화이미지가 정확히 도화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기준으로 활용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지(R)를 경계로 서로 이웃하는 촬영이미지(P1, P2)는 각각 기준점표시등(30)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촬영함으로써 기준점(SP1, SP2)을 확보한다. 작업자는 입출력모듈(16)을 조작해 이미지편집모듈(13)을 실행시키고, 이미지편집모듈(13)은 촬영이미지의 편집을 위해서 해당 촬영이미지(P1, P2)를 촬영이미지DB(11)로부터 검색해 출력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입출력모듈(16)을 통해 출력되는 촬영이미지(P1, P2)의 비율, 축척, 해상도 등이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여기서, 해당 촬영이미지(P1, P2)에는 조정점표시등(100)에서 조사된 빛이 함께 촬영되고, 이를 조정점(RP)으로 해서 이웃하는 촬영이미지(P1, P2)를 연결할 수 있다. 결국, 특정한 수상물이 없기 때문에 무작위로 연결함으로써 수치지도에서 아무런 지리적 의미와 신뢰가 없던 강, 호수 및 저수지 등이, 조정점(RP)을 기준으로 연결되면서 수치지도에서도 위치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수치지도의 강, 호수 및 저수지 내에 표시된 작은 수상물의 위치도 그 의미와 신뢰도가 생기는 효과가 있다.
한편, 수지(R)를 경계로 한 이웃하는 촬영이미지(P1, P2)의 연결 시 인접 지역에 상기 연결의 기준이 될 구조물이 있을 경우, 촬영이미지(P1, P2)의 연결 기준은 상기 구조물이 조정점(RP) 보다 우선할 수 있다. 즉, 촬영이미지(P1, P2)를 연결할 때 조정점(RP)이 있더라도 상기 구조물이 있다면 상기 구조물을 우선적으로 맞춰 연결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항공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이미지(P1, P2)는 광학적인 자연현상에 의해 가장자리로 갈수록 실사보다 길이가 길게 촬영된다. 따라서, 왼쪽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조정점 이미지(IP1)는 실제 조정점(RP) 보다 오른쪽에 위치되고, 오른쪽 촬영이미지에 촬영된 조정점 이미지(IP2)는 실제 조정점(RP) 보다 왼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이미지(P1, P2) 각각의 조정점 이미지(IP1, IP2)를 포함한 주변 이미지를 이동시켜서 조정점 이미지(IP1, IP2)가 위치한 지점의 중심으로 조정점(RP)이 표현되도록 보정한다. 결국, 다수의 촬영이미지(P1, P2)가 연결돼 편집된 촬영이미지 내 수지(R) 지역의 위치정보도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해당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된 도화이미지 및 수치지도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점표시등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전술한 효과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정점표시등(100)은 수지(R)에 설치되는데, 수지(R)는 강, 호수 또는 저수지이므로, 수중일 수밖에 없다. 특히, 강과 같이 일정한 유력이 있는 수지(R)의 경우엔 조정점표시등(100)이 지속적인 유력을 받아 빛의 조준이 곤란하고, 물과의 지속적인 접촉으로 표면에 산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심지어 발광을 위한 램프에 고장을 발생시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정점표시등(100)은 항공촬영시에만 현장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되, 그 설치지점에 조정점표시등(100)을 정확히 설치 및 해체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설치된 상태에서는 물의 유력이 빛 조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한 조정점표시등(100)은 수지(R)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에 탈부착되는 서포터(120)와, 서포터(120)에 삽탈되는 램프(130) 및 램프(130)가 받는 유력을 최소화하는 유선관(140)으로 구성된다.
베이스(110)는 한 쌍이 수중 바닥에 설치된다. 조정점표시등(100)이 설치되는 위치의 좌표정보는 정해져 있으므로, 베이스(110)의 설치 위치는 상기 좌표정보에 정확히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다른 동작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의 모습을 도시한 정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베이스(110)는 상면 개구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는 함체(111)와, 개구된 상기 상면을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하는 한 쌍의 덮개(112, 112')와, 덮개(112, 112')의 여닫힘을 따라 함체(111) 내에서 승하강하도록 고무줄(113a)을 매개로 연결된 고리(113)와, 덮개(112, 112')가 접하는 함체(111)에 설치되어서 덮개(112, 112')가 회동하도록 탄발시키는 탄발체(114)와, 함체(111) 내 바닥에 설치되는 자화체(115)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수중 바닥에 설치되고, 상면 개구된 함체(111)를 포함하므로, 수중 토사가 함체(111)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사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개구된 상면을 나란히 덮는 한 쌍의 덮개(112, 112')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덮개(112, 112')는 서로 대향하게 여닫히는 방식으로 동작하면서 상기 상면을 개폐한다.
계속해서, 함체(111)의 측면에는 내외를 개구하는 개구홈(111a)이 형성되고, 함체(111) 내 바닥은 중심이 솟아오른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바닥에 퇴적된 이물질이 개구홈(111a)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서포터(120)가 베이스(110)와 결합하기 전 베이스(110)의 함체(111) 내에 퇴적된 각종 토사(이물질)는 개구홈(111a)을 통해 배출돼 제거되고, 이를 통해 서포터(120)는 베이스(110)와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다.
덮개(112, 112')는 한 쌍이 함체(111) 상면에 여닫이 방식으로 힌지 고정되어서 상기 상면을 개폐하는 것으로서, 서포터(120)와 결합하지 않을 경우엔 함체(111) 내부로 토사가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상면을 덮어 폐구하고, 서포터(120)와 결합할 경우엔 상기 상면을 개구한다. 한편, 덮개(112, 112')에는 자석(112a)이 보강 구비된다. 자석(112a)은 함체(111)로 삽입되는 서포터(120)의 레그(122)에 반응하는 것으로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122)가 함체(111)에 삽입되면 자석(112a)에 의해 한 쌍의 덮개(112, 112')가 레그(122)에 밀착되고, 레그(122)가 함체(111)와 분리되면 덮개(112, 112')는 자석(112a)이 발하는 자력의 여운에 의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111) 상면을 덮는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결국에는 함체(111) 상면을 폐구한다.
참고로, 레그(122)는 자석(112a)에 상응하기 위해 철과 갖는 자화 가능한 재질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덮개(112, 112')는 레그(122)의 이동을 안내해서 레그(122)가 함체(111)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수중 바닥에 설치되고, 서포터(120)는 촬영이 있을 때만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수중에 있는 베이스(110)에 서포터(120)를 설치하는 작업을 수상에서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함체(111)와 레그(122)의 결합이 수상에서는 정확히 가시될 수 없으므로, 해당 작업을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도 5(c)와 같이 양측으로 벌어진 한 쌍의 덮개(112, 112')가 안내판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작업자는 수상에서도 함체(111)와 레그(122)의 결합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고리(113)는 고무줄(113a)을 매개로 덮개(112, 112')에 연결되어서, 덮개(112, 112')의 회동을 따라 함체(111)내에서 승하강하도록 된 것으로서, 함체(111)에 삽입된 레그(122)에 걸려 고무줄(113a)에 장력을 발생시킨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122)는 함체(111)에 삽입되면서 레그(122)를 걸어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으로 고무줄(113a)에 발생하는 장력이 덮개(112, 112')에 전달되면서 덮개(112,112')가 레그(122)에 밀착되도록 한다. 물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덮개(112, 112')가 레그(122)에 일단 밀착되면, 덮개(112, 112')에 구성된 자석(12a)은 덮개(112, 112')와 레그(122) 간의 밀착이 고수되도록 해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122)가 함체(111)로부터 분리되면 덮개(112, 112')가 함체(111)의 개구된 상면을 원활히 폐구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고리(113)와 덮개(112, 112')를 연결하는 매개인 고무줄(113a)은 탄성재질로 되어서, 고리(113)로부터 받는 장력이 덮개(112, 112')의 훼손 없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탄발체(114)는 덮개(112, 112')와 마주하는 함체(111)의 일면에 설치되어서 덮개(112, 112')를 탄발지지하는 것으로서, 덮개(112, 112')가 가하는 압력을 이용해 덮개(112, 112')를 다시 밀어올려 함체(111) 상면을 개구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베이스(110)에 서포터(120)를 설치하기 위해 수상에서
서포터(120)를 잠입시켜 레그(122)의 삽입위치를 찾는다. 이때, 레그(122)의 삽입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덮개
(112, 112')에 의해 폐구된 함체(111) 상면과 맞닿게 되고, 작업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122)를 이용해 덮개(112, 112')에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레그(122)를 들어올리면 탄발체(114)는 강한 탄발력으로 덮개(112, 112')를 밀어 올리고, 덮개(112, 112')는 탄발체(114)의 상기 탄발력에 의해 회동하면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111) 상면을 개구한다. 작업자는 이렇게 개구된 덮개(112, 112')를 가이드로 해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그(122)를 함체(111)로 삽입한다.
자화체(115)는 함체(111) 내 바닥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레그(122)에 구성된 자성체(123)에 상응해 베이스(110)와 서포터(12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수상의 작업자는 자화체(115)와 자성체(123) 간의 결합을 감지함으로써 베이스(110)에 서포터(120)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상에서 서포터(120)의 조작을 중지할 수 있다.
서포터(120)는 램프(130)를 수지(R)에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램프(130)가 안착되는 안착홈(121a)을 갖는 플레이트(121)와, 플레이트(121) 저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그(122)와, 레그(122)에 각각 구성되는 자성체(123)와, 안착홈(12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입설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124)과, 레그(122)에 설치되어서 일정한 진동을 베이스(110)에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125)로 구성된다.
플레이트(121)는 램프(130)를 수용하면서 안정적으로 감싸 고정할 수 있는 안착홈(121a)을 갖추고, 수중 잠입이 가능한 밀도가 큰 재질로 제작된다.
레그(122)는 베이스(110)의 함체(111)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형상을 이루면서 플레이트(121)와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은 함체(111) 내 돌출된 바닥에 상응하도록 오목한 형상을 이룬다.
자성체(123)는 베이스(110)에 구성된 자화체(115)에 자력을 가해 결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영구자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레일(124)은 램프(130)가 안착홈(121a)으로 정확히 안내될 수 있도록 안착홈(121a)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 개가 입설된다. 일반적으로 가이드레일(124)의 길이는 베이스(110)가 위치한 수심에 상응하도록 해서, 서포터(120)를 베이스(110)에 설치하면 수면에 가이드레일(124)의 상단이 노출되거나 최소한 작업자가 가이드레일(124)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가이드레일(124) 및 안착홈(121a)은 램프(130)의 외형을 감쌀 수 있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바이브레이터(125)는 도 10(본 발명에 따른 바이브레이터의 설치모습과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자(125a), 전원(125b) 및 진동자(125a)와 전원(125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a, b, c, d)로 구성된다. 또한, 레그(122)는 플레이트(121)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평상시에는 레그(122)의 자중에 의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a, b, c, d)가 서로 이격되도록 되고, 레그(122)가 베이스(110)에 삽입되면 서포터(120)의 자중에 의해 눌리면서 단자(a, b, c, d)가 서로 접하도록 된다.
진동자(125a)는 레그(122)에 내설되는 공지,공용의 통상적인 진동장치로서, 그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진동자(125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에 대한 레그(122)의 삽입지점을 찾는 과정에서 베이스(110)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10)는 진동자(125a)의 진동을 받아 함체(111) 내에 퇴적된 각종 토사를 개구홈(111a)을 통해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레그(122)가 함체(111)에 삽입된 이후에도 일정시간 동안 진동자(125a)는 진동하고, 이 진동은 함체(111)에 그대로 전달되면서 잔류하는 토사를 개구홈(111a)을 통해 배출시켜 베이스(110)와 서포터(120) 간의 긴밀한 결속을 이룰 수 있다.
전원(125b)은 진동자(125a)의 구동을 위해 전기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플레이트(121)에 내설되고, 진동자(125a)가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진동할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전기를 축전한다. 물론, 전원(125b)이 방전되면 재충전해야 하므로, 전원(125b)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자(a, b, c, d)는 진동자(125a)와 전원(125b)으로부터 인출된 전선에 각각 연결되고, 압력을 받아 이동한 레그(122)가 플레이트(121)와 밀착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서, 레그(122)가 압력을 받으면 단자(a, b, c, d)가 서로 접촉하면서 진동자(125a)와 전원(125b)이 서로 통전하도록 한다.
램프(130)는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빛은 일반적으로 레이저광이 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램프와 유선관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램프에 구성된 스위치의 동작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램프(130)는 레이저광과 같은 빛을 항공카메라(20)를 조준해 조사하는 것으로서, 수중에 배치되므로 방수 처리되고 수중 잠입을 위해 충분한 밀도를 갖도록 제작된다.
이를 위한 램프(130)는 배터리 등을 탑재하는 본체(131)와,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발광체(132)와, 발광체(132)를 상단에 배치하고 본체(131)에 입설되는 축대(133)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의 ON, OFF를 제어하는 스위치(134)를 포함한다.
본체(131)는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해 방수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본체(131)는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이에 상응해서 안착홈(121a)은 4각의 홈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레일(124)은 본체(131)의 4 모서리와 맞물리도록 4개가 입설된다.
축대(133)는 본체(131) 상면에 입설되며, 상기 배터리의 인출전선이 발광체(132)로 배선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여기서 축대(133) 상단에 배치되는 발광체(132)는 수면에 노출되어야 하므로, 축대(133)의 길이는 베이스(110)가 위치한 수심보다 길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발광체(132)는 레이저광과 같이 직진성이 우수한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상방으로 빛을 조준하도록 된다.
스위치(134)는 상기 배터리의 공급전기가 발광체(132)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구조를 이룬다.
스위치(134)는 중공(S)을 갖는 케이스(134a)와, 중공(S)의 바닥에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최저점에는 홀(134c)이 형성된 곡면체(134b)와, 홀(134c)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134d)와, 곡면체(134b)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전도성 재질을 이루면서 홀(134c)에 인입시 한 쌍의 전극체(134d)를 통전시키는 구 형상의 도체구(134e)로 구성되어서, 도체구(134e)가 홀(134c)에 인입돼 전극체(134d)를 연결하면 직류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발광체(132)로 정상 공급되고, 도체구(134e)가 홀(134c)로부터 이탈하면 전극체(134d)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면서 발광체(132)에 대한 직류 배터리로부터의 전류 공급이 차단된다.
이는 조정점표시등(100)이 유력에 의해 중심을 잃고 기울어질 경우 도체구(134e)가 이를 감지해 발광체(132)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항공카메라(20)는 기준점표시등(30) 또는 조정점표시등(100)이 직상방으로 정확히 조사하는 빛을 촬영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기준점표시등(30) 또는 조정점표시등(100)이 외력에 의해 빛을 직상방으로 조사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항공카메라(20)가 이를 촬영해 촬영이미지에 이를 담는다면 정밀한 촬영이미지 편집에 곤란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의 영향이 빈번할 수 있는 조정점표시등(100)의 경우 유력을 받아 빛의 조준위치에 문제가 있을 경우 항공카메라(20)의 오촬영을 방지하기 위해 발광체(132)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134)는 전술한 구조를 이룬다.
참고로, 한 쌍의 전극체(134d)는 상기 배터리와 발광체(132)로부터 각각 인출된 전선과 연결되므로, 전극체(134d)가 서로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기는 발광체(132)에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전극체(134d)가 서로 이격되면 상기 배터리의 전기는 발광체(132)에 공급되지 못해 발광체(132)의 동작은 정지될 것이다.
유선관(140)은 유선형태의 단면형상을 이루면서 축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관 형상으로서, 강과 같이 유력이 발생하는 수지(R)에 설치된 조정점표시등(100)이 유력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선관(140)은 축대(133)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유선형태의 단면형상을 이루므로, 유력의 방향으로 뾰족한 부분이 향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조정점표시등(100)을 향해 유력이 발생하면 유선관(140)은 해당 방향을 향해 회전해 유력을 분산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축대(133)가 받는 저항을 최소화해서 발광체(132)의 조준이 흐트러짐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전제로 하고,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에서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24)을 타고 오르 내리는 본체(131)의 4측면에 물의 부력과 충격에 의해 일종이 수차 기능을 수행하면서 자가 발전이 가능한 발전수단이 구비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본체(131)의 하단 4측면에는 서로 동일한 구조의 자가발전유닛(UNIT)가 고정된다.
상기 자가발전유닛(UNIT)은 고정대(FP)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FP)는 본체(131)의 하단 4측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RP) 상에 고정되며, 하천 또는 해양에 수직하게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일종의 축(Shaft)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FP)의 길이 일부에는 발전기(200)가 설치된다.
상기 발전기(200)는 내부에 전자기유도코일(210)과 영구자석(220)이 구비된 통상적인 구조이고, 회전에 따라 전기를 생산하는 수단이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발전된 전기를 모을 수 있는 집전기 혹은 축전기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전기(200)의 외주면에는 회동대(300)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대(300)는 대략 'ㅑ'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발전기(200)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는 몸체(310)와, 상기 몸체(310)의 일측으로부터 상하로 간격을 두고 뻗어 있는 한 쌍의 제1,2지지축(320,33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2지지축(320,330)의 단부에는 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축고정되는 회전체(400)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회전체(400)는 유선형상을 갖고 좌우 비대칭형이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갖는다.
특히, 상기 회전체(400)는 그 회전축(410)을 중심으로 좌우 중량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게 하여 신속하면서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여 쉽고 빠른 회동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 중량이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조그마한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균형이 무너지면서 회동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발전 효율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체(400)가 회전되면 이의 영향을 받는 제1,2지지축(320,330)이 회전하려고 하고, 이에 따라 몸체(310)가 고정대(FP)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몸체(310)가 고정된 발전기(200)가 회전되면서 결국 발전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이를 통해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를 자가발전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이후, 생산된 전기는 집전하여 활용처로 배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아주 간단하고 소규모의 발전설비를 응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해양과 같은 곳에서는 상시 발전이 가능하므로 효율도 우수하다.
10; 도화장치 11; 촬영이미지DB 12; 도화이미지DB
13; 이미지편집모듈 14; 영상도화모듈 15; 좌표합성모듈
16; 입출력모듈 20; 항공카메라 30; 기준점표시등
100; 조정점표시등 110; 베이스 120; 서포터
130; 램프 140; 유선관

Claims (1)

  1. 항공카메라(20)의 지상촬영으로 형성되되 기준점표시등(30) 및 조정점표시등(100)이 조사하는 레이저광에 의해 각각 형성된 기준점(SP1, SP2) 및 조정점(RP)을 포함하는 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11)와, 다수의 상기 촬영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해 편집하되 이웃하는 지역에 대한 촬영이미지의 경계가 수지(水池; R)인 경우 수지(R) 내 동일한 조정점(RP)을 기준으로 해당 촬영이미지를 합성 및 연결하는 이미지편집모듈(13)과, 이미지편집모듈(13)에서 편집된 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를 진행해서 기준점(SP1, SP2)을 포함하는 도화이미지를 완성하는 영상도화모듈(14)과, 상기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도화이미지DB(12)와, 기준점(SP1, SP2)을 기준으로 상기 도화이미지에 GPS 좌표정보를 합성하는 좌표합성모듈(15)과, 상기 촬영이미지 및 도화이미지를 출력하고 촬영이미지의 편집과 도화이미지의 GPS 좌표정보 합성을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는 입출력모듈(16)을 포함하는 도화장치(10), 운항중인 항공기에 탑재된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도록 지상에 설치되는 기준점표시등(30), 상면 개구되고 측면에는 내외를 개구하는 개구홈(111a)이 형성된 박스(box) 형상을 이루며 내부 바닥은 중심이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수지(R)의 수중 바닥에 설치되는 함체(111)와, 함체(111)에 여닫이 방식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상면을 개폐하고 자석(112a)을 갖춘 한 쌍의 덮개(112, 112')와, 고무줄(113a)을 매개로 덮개(112,112')에 고정되어서 덮개(112, 112')의 여닫힘을 따라 함체(111) 내에서 승하강하고 레그(122)에 걸려 이동하는 고리(113)와, 덮개(112, 112')와 마주하는 함체(111)의 일면에 설치되어서 덮개(112, 112')가 회동하도록 탄발지지하는 탄발체(114)와, 함체(111)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자화체(115)를 갖춘 한 쌍의 베이스(110); 상면에 안착홈(121a)을 형성하고 수중 잠입을 위한 밀도를 갖는 재질의 플레이트(121)와, 자석(112a)에 자화가능한 재질을 이루며 플레이트(121) 저면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함체(111)의 내부의 솟아오른 상기 바닥에 상응하도록 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함체(111)에 삽탈되는 한 쌍의 레그(122)와, 자화체(115)에 상응하도록 레그(122)에 부착되는 자성체(123)와, 안착홈(121a)의 가장자리를 따라 입설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레일(124)과, 베이스(110)에 진동을 전달하는 바이브레이터(125)를 갖추되, 바이브레이터(125)는 레그(122)에 내설되는 진동자(125a)와, 플레이트(121)에 내설되는 전원(125b)과, 진동자(125a)와 전원(125b)으로부터 각각 인출된 전선과 연결되고 압력을 받아 이동한 레그(122)와 플레이트(121)가 서로 접하는 지점에 각각 설치되어서 레그(122)가 압력을 받아 플레이트(121)와 서로 접하면 진동자(125a)와 전원(125b)이 서로 통전하도록 하는 단자(a, b, c,d)로 된 서포터(120); 배터리를 방수해 탑재하면서 수중 잠입을 위한 밀도를 갖는 재질로 되고 가이드레일(124)을 따라 잠입해 안착홈(121a)에 안착되는 본체(131)와, 본체(131)에 입설되는 축대(133)와, 운항중인 항공기에 탑재된 항공카메라(20)를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축대(133) 상단에 설치되는 발광체(132)와, 상기 배터리와 발광체(132) 간의 통전을 제어하는 스위치(134)를 갖추되, 스위치(134)는 중공(S)을 갖는 케이스(134a)와, 최저점에 홀(134c)이 형성된 곡면을 이루며 케이스(134a) 바닥에 형성되는 곡면체(134b)와, 상기 배터리와 발광체(132)로부터 인출된 전선과 연결되어 홀(134c)에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전극체(134d)와, 곡면체(134b)에 이동가능하게 안착되고 홀(134c)에 인입시 한 쌍의 전극체(134d)를 통전시키는 구형상의 도체구(134e)로 된 램프(130); 유선형태의 단면형상을 이루고 축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선관(140);을 포함하는 조정점표시등(1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31)의 하단 4측면에 돌출되게 고정된 고정브라켓(RP); 상기 고정브라켓(RP)에 수직하고 고정되어 회전축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대(FP); 상기 고정대(FP)의 길이 일부에 설치되는 발전기(200); 상기 발전기(200)를 감싸는 몸체(310), 상기 몸체(310)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고 상하로 서로 간격을 둔 한 쌍의 제1,2지지축(320,330)을 갖는 회동대(300); 상기 회동대(300)의 제1,2지지축(320,330) 사이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회전축(410)에 고정된 회전체(4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400)는 유선형상을 갖고 좌우 비대칭형이며, 중앙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KR1020130108116A 2013-09-09 2013-09-09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KR10134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16A KR101342631B1 (ko) 2013-09-09 2013-09-09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116A KR101342631B1 (ko) 2013-09-09 2013-09-09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631B1 true KR101342631B1 (ko) 2014-01-16

Family

ID=5014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116A KR101342631B1 (ko) 2013-09-09 2013-09-09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6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67B1 (ko) 2011-09-29 2012-01-19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236995B1 (ko) 2012-11-30 2013-02-26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항공촬영 이미지의 부분 확대 및 정밀 스캔에 의한 고정밀 합성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567B1 (ko) 2011-09-29 2012-01-19 한국종합설계 주식회사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KR101236995B1 (ko) 2012-11-30 2013-02-26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항공촬영 이미지의 부분 확대 및 정밀 스캔에 의한 고정밀 합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567B1 (ko) 도화이미지의 부분수정이 가능한 편집용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PL1486283T3 (pl) Sposób sterowania spawaniem konstrukcji trójwymiarowej poprzez generowanie dwuwymiarowego obrazu tej konstrukcji oraz dostosowywanie go w czasie rzeczywistym w trzecim wymiarze
KR101447240B1 (ko) 항공촬영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높인 영상처리시스템
KR101350927B1 (ko)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를 높인 영상처리시스템
KR101236995B1 (ko) 항공촬영 이미지의 부분 확대 및 정밀 스캔에 의한 고정밀 합성시스템
KR102024673B1 (ko) 수치정보의 오차확인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수치지도업데이트시스템
RU2009138092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лазерной маркировки объектов
KR101491827B1 (ko) 항공촬영영상 이미지의 정밀도를 높인 영상처리시스템
KR101342631B1 (ko) 항공촬영 이미지의 정밀도 향상을 위한 영상 처리시스템
US6938350B1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reference plane
KR101239937B1 (ko) 지도제작 목적에 따라 지면 촬영이미지의 파트별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0950970B1 (ko) 해저지형 변화에 따른 해양수로의 변형률 측량 및 수로지형정보 확인시스템
KR101226220B1 (ko) 지도제작 목적에 따라 지면 촬영이미지의 파트별 수정 및 편집이 가능한 영상처리 시스템
KR101372220B1 (ko) 촬영 영상물의 프레임별 수정을 기반으로 한 영상이미지의 편집 처리시스템
CN206489249U (zh) 一种高精度超薄柔性电路板ict测试设备
KR101113276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완성된 지형이미지의 영상도화를 위한 기준위치별 정밀 도화시스템
KR101633067B1 (ko)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용 수중 점검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구조물의 외벽 점검 방법
ATE483167T1 (de) Testhalterung mit deckplatte zur arretierung mittels magnetischer kraft
KR101097411B1 (ko) 다수 기준점의 위치 대비 좌표점 합성에 의한 영상도화이미지 편집시스템
KR101106566B1 (ko) 영상도화작업을 위한 촬영이미지 레이어 보정시스템
KR101097898B1 (ko) 항공촬영이미지 기반 지피에스 정밀 합성 편집이 가능한 영상도화시스템
US9427826B2 (en) Hand-guided marking system
KR101113277B1 (ko) 하천수의 수위변화에 따른 지형이미지 변화를 적용한 정밀 도화시스템
KR102559182B1 (ko) 방사선 검사 시스템
KR101099019B1 (ko) 도화이미지의 오차 대상 자동 검색형 영상도화 업그레이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