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2190B1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2190B1
KR101342190B1 KR1020110073177A KR20110073177A KR101342190B1 KR 101342190 B1 KR101342190 B1 KR 101342190B1 KR 1020110073177 A KR1020110073177 A KR 1020110073177A KR 20110073177 A KR20110073177 A KR 20110073177A KR 101342190 B1 KR101342190 B1 KR 101342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ibration wave
user
controlling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754A (ko
Inventor
박세현
홍인성
박상욱
신태환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20056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진동파 검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검출된 진동파와 상기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함에 있어서,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편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터치 화면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는 사용자와 컴퓨터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수단과 시스템이 사용자가 조작한 것에 대한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여러 종류 가운데 스마트폰, 태블릿 PC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는 입력 수단으로서의 인터페이스에는 일반적으로 명령 줄 인터페이스(Command Line Interface), 터치 인터페이스(Touch Interface)가 있다.
명령 줄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컴퓨터 자판 등을 이용하여 명령 문자열을 입력하는 방식이며, 터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터치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터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컴퓨터간 의사소통을 위한 가장 단순하고 직접적인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대체하여, 대부분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인터페이스의 유용성, 접근성 등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의 불편한 점은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즉, 터치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간단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도 터치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필요로 하며, 사용자는 필요한 기능이 있는 메뉴를 찾아가기 위해 터치 스크린상에 순차적인 터치 입력을 실행해 주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의 자주 사용하는 기능의 실행을 위해서도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효율면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한다.
특히,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위해 이동 단말기를 주머니에서 꺼내야 하며, 현재 터치 인터페이스는 대부분 정전용량 방식으로서, 추운 겨울철에도 사용자는 장갑을 벗고 필요한 기능을 찾아서 실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편함은 기존의 명령 줄 인터페이스에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진동파 검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검출된 진동파와 상기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와 상응하는 진동파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진동파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진동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파 검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진동파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 의해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를 조작함에 있어서,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의 불편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터치 화면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파 검출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가 이동 단말기(102)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102)에 장착되어, 사용자로부터 터치에 의한 진동파를 입력 받아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인 터치스크린(104)과 함께 이동 단말기(102)의 전면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후면에 장착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2)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 PDA 등의 소형 전자제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는 진동모드 설정/해제나 터치스크린(104)의 터치 잠금 설정/해제 등 이동 단말기(102)의 기본적인 기능과 관련된 제어일 수 있으며, 뮤직 플레이어의 실행/종료와 같이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일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터치는 이동 단말기(102)에 장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진동매질을 진동시키기 위한 터치를 의미한다. 즉, 기존의 정전용량 방식이나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104)상에 수행되는 터치와는 달리, 물리적인 타격을 수반하는 터치를 의미한다.
이때,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는 사용자의 터치 상태, 즉 터치의 연속 횟수나 터치의 강도 또는 터치 도구에 따라 서로 다른 진폭과 파장을 갖게 되며, 서로 다른 진폭과 파장은 사용자의 터치가 신호 전달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기존의 터치 인터페이스와 달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를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신호로 사용한다.
이는 종래의 인터페이스에 비해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진동파 검출부(210), 저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정보 수집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별로 그 기능을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진동파 검출부(21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이동 단말기(102)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진동파의 검출을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파 검출부(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진동부재(302)와 진동부재(302)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센서(304)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부재(302)는 이동 단말기(102)의 일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진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진동부재(302)는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진동판으로서, 박막 형상의 다이어프램(diaphragm)일 수 있다.
그리고, 진동센서(304)는 진동부재(302)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진동센서(304)는 진동부재(302)의 진동에 의해 발생한 전류의 변화량 또는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전류의 변화량은 코일 내에서 진동하는 진동부재(302)에 설치된 자석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으며, 전압의 변화량은 진동부재(302)의 진동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102)에 장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는 경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이처럼, 물리적인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조는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구조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지 않도록 하며, 물리적인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본 발명의 진동센서(304)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진동센서(304)가 전압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진동부재(302)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파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 진동파에는 A/D 변환부(미도시)와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진동센서(304)에 의해 변환된 전기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서, A/D 변환부(미도시)의 샘플링 및 양자화 과정에 의해 비로소 컴퓨터에 의해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생성된 잡음이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샘플링 과정은 연속된 다수의 신호 중에서 필요한 대상만을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양자화 과정은 입력된 신호를 유한한 개수 즉, 0과 1의 값으로 근사화하는 것을 말한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저장부(220)는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제어부(250)의 진동파 분석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50)가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를 분석함에 있어서, 저장부(220)는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파와 상응하는 진동파일 수 있다.
이는 진동파가 이동 단말기(102)의 통상적인 사용 과정에 있어서도 발생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를 입력 신호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터치에 의한 진동파나 외부적 요인에 의한 진동파로부터 이동 단말기(102)의 오작동 우려가 제거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가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2)의 기본적인 기능과 관련된 제어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이동 단말기(102)의 기본적인 기능이나,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에 대해 소정의 진동파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진동파에 의해 이동 단말기(102)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소정의 진동파는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와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102)의 오작동 우려를 제거하기 위해,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는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되어, 제어부(250)의 진동파 분석을 위한 데이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파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A/D 변환부(미도시) 및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240)는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즐겨찾기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자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목록을 의미한다.
즉, 정보 수집부(240)는 자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기능이 소정의 진동파로 설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음악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순으로 사용자에 의해 많이 실행된 경우, 정보 수집부(240)는 상기 프로그램이 순차로 리스트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즐겨찾기 목록을 참조하여, 진동파 패턴을 설정할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즐겨찾기 목록과 함께 '진동파 패턴을 설정할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해주세요'라는 문구를 제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진동파 검출부(210)에 의해 검출된 진동파와 저장부(220)에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제어부(250)에 의한 진동파 분석은 검출된 진동파가 A/D 변환부(미도시)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디지털 신호상에 존재하는 잡음이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해 제거된 후에 수행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가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진동파와 동일한 패턴을 갖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제어신호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어부(250)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파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 진동파가 입력된 경우,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가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가 미리 설정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의 기능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는 스마트폰의 터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제어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단계(S402)에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D 변환부(미도시) 및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의 진동파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가리킨다.
계속하여, 단계(S404)에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가 터치 잠금 해제 기능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파의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유효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에, 제어부(250)는 스마트폰의 터치 잠금 기능이 해제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406).
한편, 도 5는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우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의 기능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진동파가 설정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는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특정 애플리케이션은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정보 수집부(240)에 의해 생성된 즐겨찾기 목록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502)에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진동파에 관한 정보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A/D 변환부(미도시) 및 잡음 제거부(미도시)에 의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후의 진동파에 관한 디지털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진동파의 패턴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에 관한 디지털 신호가 저장부(2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디지털 신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유효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에, 제어부(250)는 이동 단말기(102)에서 음악이 재생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S506).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이동 단말기(102)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과정을 간소화함으로써, 기존의 인터페이스에 비해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으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해 터치 화면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2) 제어 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2)의 기본적인 기능과 관련된 제어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가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제어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610)에서는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보다 상세하게, 단계(S610)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620)에서는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한다.
이러한 즐겨찾기 목록은 사용자에게 자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주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자가 소정의 진동파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630)에서는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다.
이때, 소정의 진동파는 이동 단말기 제어의 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일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즐겨찾기 목록 중 음악 재생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해 소정의 진동파인 2회의 연속 터치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S640)에서는 상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610 내지 S620)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중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특정된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단계(S650)에서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발생된 이동 단말기(102)에서의 진동파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된 진동파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변환 과정에서 생성된 잡음이 제거된 후, 단계(S660)에서 이용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S660)에서는 검출된 진동파와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이동 단말기(102)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즉, 단계(S660)에서는 잡음이 제거된 디지털 신호가 이동 단말기(102)에 설치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유효한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한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이동 단말기(102)에서 발생된 진동파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2) 제어 방법은 이동 단말기(102)를 제어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다 간단하고 신속한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2) 제어 방법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관한 구성이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이에,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102 : 이동 단말기
104 : 터치스크린 210 : 진동파 검출부
220 : 저장부 230 : 사용자 입력부
240 : 정보 수집부 250: 제어부
302 : 진동부재 304 : 진동센서

Claims (10)

  1.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진동파 검출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검출된 진동파와 상기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진동파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된 진동파와 상응하는 진동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는 적어도 2회 이상의 연속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하는 정보 수집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진동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잡음 제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파 검출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일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진동할 수 있는 진동부재; 및
    상기 진동부재의 진동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진동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8.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진동파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진동파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어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 받은 소정의 진동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리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 의해 저장된 진동파에 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에 의해 실행된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즐겨찾기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진동파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즐겨찾기 목록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와 대응되는 소정의 진동파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10073177A 2010-11-25 2011-07-2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KR101342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263 2010-11-25
KR20100118263 2010-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54A KR20120056754A (ko) 2012-06-04
KR101342190B1 true KR101342190B1 (ko) 2013-12-16

Family

ID=46608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177A KR101342190B1 (ko) 2010-11-25 2011-07-22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1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754A (ko) 2012-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444B1 (ko)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 기기의 음성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장치
KR102009423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미리 설정된 동작 모드의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022318B1 (ko) 음성 인식을 사용하여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JP6023780B2 (ja) 端末上で音声制御オペレーション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6748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touch sensing
US9627007B2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6419152B2 (ja) タッチ感知のための最適化された適応的閾値処理
US20140244273A1 (en) Voice-controlled communication connections
US20130201131A1 (en) Method of operating multi-touch panel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EP3241213A2 (en) Discovering capabilities of third-party voice-enabled resources
CN103257821A (zh) 图像显示设备中改变字幕属性的装置和方法
US20130249816A1 (en) Touch control device and touch control method using same providing environment compensation signal
CN106775555B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虚拟现实设备的输入控制方法
KR20120002737A (ko) 마이크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324409A (zh) 在电子装置中提供快捷服务的设备和方法
KR102186815B1 (ko) 컨텐츠 스크랩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CN104091601A (zh) 音乐品质检测方法和装置
KR102396736B1 (ko) 컴퓨팅 디바이스에 대한 장치의 결합
KR10134219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
CN105718174B (zh) 一种界面的切换方法及切换系统
CN110691016B (zh) 一种基于音频设备实现的交互方法及音频设备
CN110321020B (zh) 一种压电传感器信号噪声去除方法及装置
CN103853442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2159323A1 (zh) 用电容屏手写笔模拟左右键输入的方法、电容屏手写笔及终端
CN113470649A (zh) 语音交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