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772B1 -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 Google Patents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772B1
KR101341772B1 KR1020120057184A KR20120057184A KR101341772B1 KR 101341772 B1 KR101341772 B1 KR 101341772B1 KR 1020120057184 A KR1020120057184 A KR 1020120057184A KR 20120057184 A KR20120057184 A KR 20120057184A KR 101341772 B1 KR101341772 B1 KR 101341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value
residual
amount
lasi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998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12005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77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2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position or the direction of light beams, i.e. defl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10Computer-aided planning, simulation or modelling of surgical operations
    • A61B2034/101Computer-aided simulation of surgical ope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61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adapted for treatment at a particular location
    • A61F2009/00872Corn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8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using laser
    • A61F2009/00878Plan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aser Surgery Device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시나 원시 또는 난시를 교정하는 각막 교정 술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별로 각막의 절삭량, 잔여량 및 안압의 변화 등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a)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메인 시트에 수술 전 환자의 기본 데이터를 입력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b) 제어장치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기본 데이터로부터 아마리스(Amaris) 레이저기기와 알레그레토(Allegretto) 레이저기기에 따른 노모그램 디옵터(Nomogram Diopter)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LASIK)과 라섹(LASEK) 별 각막 절삭량(Ablation)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잔여 각막량(RST, Residual Stromal Thickness)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수술 후 예상되는 안압변화 값((IOP, Intra Ocular Pressur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에서 산출된 값을 해당 레이저기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술 대상 환자의 필수 입력 항목인 양안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 난시(Cyl) 값, 중심 각막 두께(Pachy), 수평 각막 곡률 값(Hori K), 수직 각막 곡률 값(Ver K) 및 수술 전 안압(PreIOP)의 입력으로 실제 레이저기기 별로 입력하여야 하는 값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환자에 대한 라식이나 라섹 수술에 따른 예측과 수술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과 더불어 정확하고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Method for Calculating Smart Integrated Prediction Management Value for Orthokeratology}
본 발명은 각막 교정술에 사용되는 통합 예상 관리 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시나 원시 또는 난시를 교정하는 각막 교정 술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별로 각막의 절삭량, 잔여량 및 안압의 변화 등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식수술(LASIK, laser in-situ keratomileusis, 각막 절삭 성형술)이나 라섹수술(LASEK, laser assisted sub-epithelial keratomileusis, 레이저 각막상피 절삭 성형술)은 각막의 실질부를 레이저(LASER)로 절삭하여 근시나 원시 그리고 난시 등을 교정하는 시력교정 수술이다. 이러한 시력교정 수술에 사용되는 레이저기기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대별하여 아마리스 레이저(Amaris LASER)와 알레그레토 레이저(Allegretto LASER)로 나누어진다.
종래에 시력교정을 위한 각막 교정술에서, 수술 전 환자의 각종 상태 값, 즉 좌측 및 우측 눈의 근시나 원시정도와 난시정도, 각막의 두께 그리고 안압 등을 검사한 후에 레이저기기에 따라 라식이나 라섹 별로 절편의 두께, 각막의 절삭량, 잔여 각막량, 수술 후의 안압 등을 일일이 계산하거나 도표를 참조하여 산출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산출하는 과정에서 계산의 오류나 도표로부터 오인식 등으로 레이저기기에 입력되는 값이 잘못되는 경우에 수술 후의 결과에 큰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6805호(2006.01.19. 공개, 시력 교정을 위한 치료 계획에 관한 방법, 시스템 및 알고리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9969호(2005.09.09. 공개, 파라메트릭 모델에 기초한 절제 수술 시스템들 및 그 방법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각막 교정술에서 가장 안전을 요하는 기본이 되는 잔여 각막량과 더불어 레이저 시술 때 절삭되는 각막량 및 안압의 변화 등을 레이저 종류별로 미리 예측하고 수술 계획을 세우는 데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메인 시트에 수술 전 환자의 기본 데이터를 입력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b) 제어장치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기본 데이터로부터 아마리스(Amaris) 레이저기기와 알레그레토(Allegretto) 레이저기기에 따른 노모그램 디옵터(Nomogram Diopter)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LASIK)과 라섹(LASEK) 별 각막 절삭량(Ablation)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잔여 각막량(RST, Residual Stromal Thickness)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수술 후 예상되는 안압변화 값((IOP, Intra Ocular Pressur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에서 산출된 값을 해당 레이저기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계(a)에서, 기본 데이터는 환자 양안의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 난시 값, 중심 각막두께, 각막의 수직 및 수평 곡률 값, 그리고 수술 전 안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최대 안전 각막 절삭량, 절편 두께 및 잔여 각막 두께를 포함하는 안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값이 추가적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리스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아마리스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 시트와 아마리스 각막 절삭량 시트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알레그레토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알레그레토 참조(Ref.) 시트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리스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각막 절삭량 값, 잔여 각막량 값 및 예상 안압 값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산출된 값으로부터 레이저기기 별로 메인 시트에 표시되는 것으로, 광학부(Optical Zone) 별 레이저 절삭량, 라섹 잔여 각막량, 라식 잔여 각막량 및 수술 후 광학부 별 예상 안압 변화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부 별 레이저 절삭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삭 최대 값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절삭 최대 값보다 클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라식 잔여 각막량에서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편 두께 펨토(Femto) 항목이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고, 펨토 항목은 라식 잔여 각막량(RST)=중심각막두께(Pachy) - (잔여 각막량 + 절편두께)의 모든 레이저기기의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 양을 계산하며, 라식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라식 잔여 각막량에서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편 두께 블레이드(Blade) 항목이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고, 블레이드 항목은 라식 잔여 각막량(RST)=중심각막두께(Pachy) - (잔여 각막량 + 절편두께)의 클래식(Classical) 블레이드 라식 시스템 양을 계산하며, 라식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학부로 아마리스 레이저기기는 5.5~6.5mm 까지 기재되도록 하고, 알레그레토 레이저기기는 5.5~8.0mm 까지 기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술 후 예상 안압 변화 값은 IOP(실제 값) = IOP(측정 값) + (540-CCT)/71 + (43 - K-value)/2.7 + 0.75 mmHg (여기서, CCT(Central corneal Thickness)는 중심각막두께이고, K-value는 각막 곡률 값이다) 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막 교정술에서 레이저기기의 종류에 따라 라식이나 라섹으로 광학부 별 레이저 절삭량, 잔여 각막량 및 수술 후의 예상되는 안압변화 값 등을 수작업으로 직접 산출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동으로 산출함으로써, 각막 교정을 위한 시술에서 수술 계획을 세우기 위한 빠르고 정확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각막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메인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아마리스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알레그레토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아마리스 중간 산출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알레그레토 중간 산출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아마리스 근시 및 원시 도수에 따른 위치 값을 나타낸 시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아마리스 각막 절삭량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을 위한 알레그레토 참조 시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방법을 그 실시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서, 각막(10)은 상피(11)와 내피(14) 사이에 실질부(13)로 이루어져 있고, 상피(11)와 실질부(13) 사이에 보우만막(12)이 형성되어 있다. 각막 교정술은 각막(10)의 상피 및 보우만막(12)을 포함하는 각막 앞부분을 분리하여 절편을 만들어 젖힌 후, 수술 전 검사를 통해 정해 놓은 목표만큼 각막(10)의 실질부(13)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각막(10)을 절삭한 다음 다시 각막절편을 덮어줌으로써 각막의 굴절 교정이 완료된다. 통상 라식 수술과 라섹 수술은 각막절편을 만드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을 뿐, 레이저를 사용한 각막표면의 절삭은 동일한 기기 및 방식으로 시행된다. 광학부(Optical Zone)은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범위로, 아마리스 레이저는 대략 5.5~6.5mm까지 기재하고, 알레그레토 레이저는 대략 5.5~8.0mm까지 기재한다.
도 2에서, 레이저기기(30)에 각막(10)의 실질부(13)를 절삭하는 양을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장치(20)로 수술 전 환자의 양안, 즉 우안과 좌안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를 입력하면, 제어장치(21)는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설정 저장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각막 절삭량, 잔여 각막량 및 수술 후 예상 안압변화 등을 산출한 후에 표시장치(22)에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의사는 산출된 값을 레이저기기(30)에 입력하여 라식이나 라섹에 해당하는 시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입력장치(20), 제어장치(21) 및 표시장치(22)는 컴퓨터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지만, 컴퓨터 시스템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휴대가 용이한 산출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레이저기기(30)는 통상의 아마리스 레이저 또는 알레그레토 레이저 등과 같은 다양한 기종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한 시스템은 라식이나 라섹에서 안전을 중요시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잔여 각막량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라식이나 라섹 수술을 진행할 때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잔여 각막량, 그리고 레이저 시술 때에 절삭되는 각막의 양을 레이저기기 별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환자의 수술을 결정하고 수술 계획을 세우는데 보다 더 정확하고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으로부터 각막 교정술의 통합적인 예상 관리 값을 자동으로 산출하는 방법을 도 3의 흐름도와 도 4 내지 도 11의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의 흐름도는 아마리스 레이저와 알레그레토 레이저의 경우는 동일하지만, 아마리스 레이저와 알레그레토 레이저는 각각의 데이터 시트로부터 결과 값이 정해진다.
먼저, 도 4에서, 표시장치(22)에 표시된 메인 시트에 입력장치(20)로 수술 전 환자로부터 검사한 각종의 기본 데이터(PreOp Data)를 입력한다(S11). 기본 데이터는 수술 전 환자의 우안(Rt)과 좌안(Lt)에 관한 모든 항목, 즉 대략 6가지씩 양안 모두12개의 변수를 입력한다. 도 4의 상단에는 우안과 좌안을 포함하여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 입력한다. 그리고 수술 전 난시(Cyl) 값을 입력하고, 중심 각막 두께(Pachy), 수평 각막 곡률 값(Hori K), 수직 각막 곡률 값(Ver K) 및 수술 전 안압(PreIOP)을 각각 입력한다. 여기에 환자의 이름, 나이 및 성별 등의 선택적인 정보도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시술하는 의사가 원하는 가이드라인(Safe Base Line) 값을 입력한다. 가이드라인 값은 라섹 수술시 남기고자 하는 각막 잔여량(LASEK target Thickness), 펨토(Femto) 레이저 라식 수술시 만들어지는 절편의 두께(Flat 두께 Femto), 블레이드(Blade) 레이저 라식 수술시 만들어지는 절편의 두께(Flat 두께 Blade), 모든 수술에서 진행되는 레이저 절삭량의 최대 한계치(abl max), 라섹 수술시 만들어지는 절편의 두께(라섹 epi 량), 그리고 라식 수술에서 남기고자 하는 잔여 각막량(RST, Residual Stromal Thickness)(이 수치 이상 남기는 것을 권고)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마리스 레이저와 알레그레토 레이저를 기준으로 설명되지만, 다양한 레이저기기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메인 시트에서 Ablation은 레이저빔을 조사함으로써 절삭되는 양을 나타내는 것이고, 마이크로미터(um)는 두께의 단위를 나타내며, Diopter(D)는 안경도수와 같은 굴절률의 단위이고, mmHg는 압력의 단위이다. 그리고 수술 전 환자 데이터에 따라 각 레이저기기에 입력하는 기준치는 달리 책정되어 있는데 이는 의사들의 경험상 만들어진 가이드라인이다. 예를 들어, 환자의 데이터가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가 -3.50D이고 난시(Cyl) 값이 -2.50D이라면, 실제 레이저기기에 입력할 값으로 아마리스 레이저는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가 -3.75D이고 난시(Cyl) 값이 -2.50D이고, 알레그레토 레이저는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가 -3.50D이고 난시(Cyl) 값이 -2.25D가 되는데 이때, 입력하는 값을 노모그램 디옵터(Nomogram Diopter)라 한다.
입력장치(20)로 메인 시트에 기본 데이터(PreOp Data)가 입력되면, 제어장치(21)는 아마리스 레이저와 알레그레토 레이저, 그리고 라식 수술과 라섹 수술에 관한 값들이 각각 자동 산출된다. 즉 제어장치(21)는 도수에 따른 입력 수치로부터 산출되는 노모그램 디옵터 값의 산출(S12), 광학부(Optical Zone) 별 레이저 절삭량(너무 많은 양이 절삭되는 부분은 적색으로 처리) 산출(S13), 라섹 잔여 각막량(잔여 각막량이 목표치보다 낮은 경우 적색으로 처리) 및 라식 잔여 각막량(잔여 각막량이 목표치보다 낮은 경우 적색으로 처리) 산출(S14), 그리고 수술 후 안압관리를 위한 참조 기준치로 광학부 별 예상 안압변화 값 산출(S15) 등의 항목이 각각 산출된다. 상기 라식 잔여 각막량은 모드 레이저 시스템에서 산출되는 경우와 클래식 블레이드 시스템에서 산출되는 경우가 모두 자동 산출된다. 이렇게 산출된 데이터는 제어장치(21)에 의하여 표시장치(22)의 메인 시트에 각각 표시된다(S16).
다음으로, 아마리스 레이저에 대한 산출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표시장치(22)에 표시된 메인 시트에 환자의 수술 전 양안에 관한 기본 데이터를 입력장치(20)로 각각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장치(21)는 아마리스 레이저의 노모그램 디옵터를 산출한 후에 메인 시트에 표시한다. 이때, 도 5에서, 중산 산출은 아마리스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로부터 계산된다. 여기서 노모그램 값, 즉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와 난시(Cyl) 값은 무조건 더할 수 있도록 하고 시작 값과 끝 값에 보정 값이 구해지도록 한다. 보정 값은 'Yes'로 표시된 값들을 추출하여 최종 산출된 값으로 정해진 후에 메인 시트에 표시된다.
또한, 제어장치(21)는 입력된 기본 데이터로서 중간 산출은 도 9의 아마리스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와 난시(Cyl) 값에 관한 위치 값 시트와 도 10의 아마리스 각막 절삭량(Ablation) 시트를 참조하여 도 7과 같이 아마리스 중간 산출 시트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에서, 제어장치(21)는 각 시트를 참조하여 각막 절삭량 값, 잔여 각막량 및 예상 IOP를 각각 산출한 후에 메인 시트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메인 시트에 표시되는 값은 아마리스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에서 산출된 노모그램 데이터를 참조하여 불러오고, 아마리스 중간산출 시트에서 각막 절삭량 값과 잔여 각막량 및 예상 IOP를 참조하여 불러온다. 또한, 아마리스 중간산출 시트의 각막 절삭량 값이 바로 아마리스 레이저에서 광학부 별 레이저 절삭량이고,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abl max.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abl max.보다 클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아마리스 중간산출 시트의 잔여 각막량 값이 바로 라섹 잔여 각막량(Pachy-Ablation)이고,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LASEK Target Thickness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LASEK Target Thickness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아마리스 중간산출 시트의 예상 IOP의 산출이 바로 수술 후에 광학부 별 예상 안압변화 값이다. 수술 후 예상 안압 변화 값은 IOP(실제 값) = IOP(측정 값) + (540-CCT)/71 + (43 - K-value)/2.7 + 0.75 mmHg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CCT(Central corneal Thickness)는 중심각막두께이고, K-value는 각막 곡률 값이다.
그리고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에서 안전 가이드라인의 Flap 두께 펨토 항목을 추가하여 라식 잔여 각막량인 RST(Residual Stormal Thickness = Pachy - (Ablation + Flap))의 모든 레이저 시스템(Femtosecond LASER) 양을 산출한다.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RST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RST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에서 안전 가이드라인의 Flap 두께 블레이드 항목을 추가하여 라식 잔여 각막량인 RST(Residual Stormal Thickness = Pachy - (Ablation + Flap))의 클래식 블레이드 LASIK 시스템 양을 산출한다.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RST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RST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한편, 알레그레토 레이저에 대한 산출과정을 설명한다. 표시장치(22)에 표시된 메인 시트에 환자의 수술 전 양안에 관한 기본 데이터를 입력장치(20)로 각각 입력한다. 그러면 제어장치(21)는 알레그레토 레이저의 노모그램 디옵터를 산출한 후에 메인 시트에 표시한다(S12). 이때, 도 6에서, 중산 산출은 알레그레토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로부터 계산된다. 여기서 노모그램 값, 즉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와 난시(Cyl) 값은 무조건 더할 수 있도록 하고 시작 값과 끝 값에 보정 값이 구해지도록 한다. 보정 값은 'Yes'로 표시된 값들을 추출하여 최종 산출된 값으로 정해진 후에 메인 시트에 표시된다. 또한, 난시가 있는 경우에는 마지막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에 0.25를 더할 수 있도록 하여 최종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21)는 입력된 기본 데이터로서 중간 산출은 도 11의 알레그레토 참조(Ref.) 시트를 참조하여 도 8과 같이 알레그레토 중간 산출 시트와 같이 계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8에서, 제어장치(21)는 각 시트를 참조하여 각막 절삭량 값, 잔여 각막량 및 예상 IOP를 각각 산출한 후에 메인 시트에 각각 표시되도록 한다.
메인 시트에 표시되는 값은 알레그레토 노모그램 및 산출 시트에서 산출된 노모그램 데이터를 참조하여 불러오고, 알레그레토 중간산출 시트에서 각막 절삭량 값과 잔여 각막량 및 예상 IOP를 참조하여 불러온다. 또한, 알레그레토 중간산출 시트의 각막 절삭량 값이 바로 알레그레토 레이저에서 광학부 별 레이저 절삭량이고,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abl max.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abl max.보다 클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알레그레토 중간산출 시트의 잔여 각막량 값이 바로 라섹 잔여 각막량(Pachy-Ablation)이고,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LASEK Target Thickness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LASEK Target Thickness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알레그레토 중간산출 시트의 예상 IOP의 산출이 바로 수술 후에 광학부 별 예상 안압변화 값이다. 수술 후 예상 안압 변화 값은 IOP(실제 값) = IOP(측정 값) + (540-CCT)/71 + (43 - K-value)/2.7 + 0.75 mmHg로부터 산출된다. 상기 CCT(Central corneal Thickness)는 중심각막두께이고, K-value는 각막 곡률 값이다.
그리고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에서 안전 가이드라인의 Flap 두께 펨토 항목을 추가하여 라식 잔여 각막량인 RST(Residual Stormal Thickness = Pachy - (Ablation + Flap))의 모든 레이저 시스템(Femtosecond LASER) 양을 산출한다.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RST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RST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에서 안전 가이드라인의 Flap 두께 블레이드 항목을 추가하여 라식 잔여 각막량인 RST(Residual Stormal Thickness = Pachy - (Ablation + Flap))의 클래식 블레이드 LASIK 시스템 양을 산출한다. 이 절삭량은 안전 가이드라인의 RST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조건부 서식을 걸어 RST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설정한다.
표시장치(22)를 통해 표시된 메인 시트는 도표의 셀 사이의 이동은 입력장치(20)의 화살표 키로 이동이 가능하고, 모든 수치는 양수로 이동이 가능하여 '-' 기호의 입력은 불필요하며, 메인 시트 및 데이터 시트의 원하는 기준 값은 수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은 수술 대상 환자의 필수 입력 항목인 양안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Sph), 난시(Cyl) 값, 중심 각막 두께(Pachy), 수평 각막 곡률 값(Hori K), 수직 각막 곡률 값(Ver K) 및 수술 전 안압(PreIOP)의 입력으로 실제 레이저기기 별로 입력하여야 하는 값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든 환자에 대한 라식이나 라섹 수술에 따른 예측과 수술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과 더불어 정확하고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각막 11: 상피 12: 보우만막 13: 실질부 14: 내피 20: 입력장치 21: 제어장치 22: 표시장치 30: 레이저기기

Claims (13)

  1. (a)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된 메인 시트에 수술 전 환자의 기본 데이터를 입력장치로 입력하는 단계;
    (b) 제어장치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기본 데이터로부터 아마리스(Amaris) 레이저기기와 알레그레토(Allegretto) 레이저기기에 따른 노모그램 디옵터(Nomogram Diopter)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LASIK)과 라섹(LASEK) 별 각막 절삭량(Ablation)을 산출하는 단계;
    (d)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잔여 각막량(RST, Residual Stromal Thickness)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장치는 해당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를 참조하여 라식과 라섹 별 수술 후 예상되는 안압변화 값((IOP, Intra Ocular Pressure)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에서 산출된 값을 해당 레이저기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기본 데이터는 환자 양안의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 난시 값, 중심 각막두께, 각막의 수직 및 수평 곡률 값, 그리고 수술 전 안압을 포함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최대 안전 각막 절삭량, 절편 두께 및 잔여 각막 두께를 포함하는 안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값이 추가적으로 입력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리스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아마리스 수술 전 근시 및 원시 도수 시트와 아마리스 각막 절삭량 시트를 참조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레그레토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알레그레토 참조(Ref.) 시트를 참조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리스 레이저기기의 중간 산출을 위한 데이터 시트로 각막 절삭량 값, 잔여 각막량 값 및 예상 안압 값을 참조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산출된 값으로부터 레이저기기 별로 메인 시트에 표시되는 것으로, 광학부(Optical Zone) 별 레이저 절삭량, 라섹 잔여 각막량, 라식 잔여 각막량 및 수술 후 광학부 별 예상 안압 변화 값을 포함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 별 레이저 절삭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삭 최대 값의 참조치를 기준으로 절삭 최대 값보다 클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섹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식 잔여 각막량에서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편 두께 펨토(Femto) 항목이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고, 펨토 항목은 라식 잔여 각막량(RST)=중심각막두께(Pachy) - (잔여 각막량 + 절편두께)의 모든 레이저기기의 펨토초 레이저(Femtosecond LASER) 양을 계산하며, 라식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라식 잔여 각막량에서 가이드라인 값으로 절편 두께 블레이드(Blade) 항목이 추가로 표시되도록 하고, 블레이드 항목은 라식 잔여 각막량(RST)=중심각막두께(Pachy) - (잔여 각막량 + 절편두께)의 클래식(Classical) 블레이드 라식 시스템 양을 계산하며, 라식 잔여 각막량은 가이드라인 값으로 잔여 각막량 참조치를 기준으로 잔여 각막량보다 작을 경우에 도표의 해당 셀에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해당 수치에 줄이 그어지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로 아마리스 레이저기기는 5.5~6.5mm 까지 기재되도록 하고, 알레그레토 레이저기기는 5.5~8.0mm 까지 기재되도록 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후 예상 안압 변화 값은
    IOP(실제 값) = IOP(측정 값) + (540-CCT)/71 + (43 - K-value)/2.7 + 0.75 mmHg (여기서, CCT(Central corneal Thickness)는 중심각막두께이고, K-value는 각막 곡률 값이다) 로부터 산출되는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KR1020120057184A 2012-05-30 2012-05-30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KR101341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84A KR101341772B1 (ko) 2012-05-30 2012-05-30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7184A KR101341772B1 (ko) 2012-05-30 2012-05-30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98A KR20130133998A (ko) 2013-12-10
KR101341772B1 true KR101341772B1 (ko) 2013-12-13

Family

ID=49981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184A KR101341772B1 (ko) 2012-05-30 2012-05-30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733B1 (ko) * 2014-09-05 2016-03-09 김성일 각막 임플란트의 최적화된 가이딩 지수 제공방법
KR101581834B1 (ko) * 2015-03-24 2015-12-31 박기성 각막의 형태불량 및 곡률 오차를 통합 교정하는 통합각막절삭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037A (ko) * 2002-06-27 2005-05-19 테크노비전 게엠베하 게젤샤프트 퓌어 디 엔트빅클룽 메디치니셔 테히놀로기엔 제어된 구면 수차를 갖는 바이코닉 절제
KR20050089969A (ko) * 2002-12-16 2005-09-09 더 오하이오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파라메트릭 모델에 기초한 절제 수술 시스템들 및 그방법들
KR20060006805A (ko) * 2003-04-11 2006-01-19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시력 교정을 위한 치료 계획에 관한 방법, 시스템 및알고리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7037A (ko) * 2002-06-27 2005-05-19 테크노비전 게엠베하 게젤샤프트 퓌어 디 엔트빅클룽 메디치니셔 테히놀로기엔 제어된 구면 수차를 갖는 바이코닉 절제
KR20050089969A (ko) * 2002-12-16 2005-09-09 더 오하이오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파라메트릭 모델에 기초한 절제 수술 시스템들 및 그방법들
KR20060006805A (ko) * 2003-04-11 2006-01-19 보오슈 앤드 롬 인코포레이팃드 시력 교정을 위한 치료 계획에 관한 방법, 시스템 및알고리즘
JP2006522671A (ja) * 2003-04-11 2006-10-05 ボシュ・アンド・ロ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視力を補正するための治療計画に関連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アルゴリズ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998A (ko) 201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50223B1 (en) Nomogram computation and appl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fractive laser surgery
Spadea et al. Corneal ectasia after myopic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a long-term study
EP1613253B1 (en) Method and system related to treatment planning for vision correction
US200803126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limbal relaxing incisions
Kanellopoulos Comparison of corneal biomechanics after myopic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compared to LASIK: an ex vivo study
US202304048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nomogram-based refractive laser surgery
Canovas et al. Effect of the equivalent refractive index on intraocular lens power prediction with ray tracing after myopic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Ong et al. Corneal ectasia risk and percentage tissue altered in myopic patients presenting for refractive surgery
Kobashi et al. Comparison of astigmatic correction after femtosecond lenticule extraction and small-incision lenticule extraction for myopic astigmatism
Hwang et al. Refractive changes after 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a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Romero-Diaz-de-Leon et al. Intraoperative flap complications in LASIK surgery performed by ophthalmology residents
KR101341772B1 (ko) 각막 교정술용 통합 예상 관리 값 자동 산출방법
Wortz et al. Outcomes of femtosecond laser arcuate incisions in the treatment of low corneal astigmatism
US20180125582A1 (en) Corneal surgery risk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Nderitu et al. Updated cataract surgery complexity stratification score for trainee ophthalmic surgeons
Liyanage et 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myopic wavefront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nomogram development
Montanino et al. Modeling the biomechanics of las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Lin et al. Custom-contoured ablation patter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ecentered laser ablations
TW201737866A (zh) 在有瓣片與剝離所用圖形資訊同時顯示下執行眼睛手術的系統
Cowan et al. Introducing a new surgical technology: controversies in femtosecond laser-assisted cataract surgery and impact on resident surgical training
Bowers et al. Outcomes of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in a refractive surgery fellowship program
Chuckpaiwong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orneal endothelial failure after phacoemulsification in patients with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a 13-year retrospective cohort
Satta et al. Public procurement of innovative medical technology: femtosecond and excimer laser platform for ophthalmic surgery
KR101612246B1 (ko) 개인별 특성 기반의 각막 임플란트용 인덱스 제공시스템
das Neves et al. Functional Profile of a Customized Wound Parameter in Femtosecond Laser-Assisted Corneal Incision for Cataract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