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631B1 -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 Google Patents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41631B1 KR101341631B1 KR1020120038834A KR20120038834A KR101341631B1 KR 101341631 B1 KR101341631 B1 KR 101341631B1 KR 1020120038834 A KR1020120038834 A KR 1020120038834A KR 20120038834 A KR20120038834 A KR 20120038834A KR 101341631 B1 KR101341631 B1 KR 1013416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pipe
- tank
- supply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24D17/0078—Recirculation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0—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domestic water tan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정, 건물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밀폐된 저장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02)의 내부 설정온도와 압력 및 고온감지를 위한 측정센서(104)가 전면외측으로 구비되며, 상부 일면에 저장공간의 압력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밸브(106)가 구비된 급탕탱크(100)와; 상기 급탕탱크(100) 상부면에 관결합되고, 온수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도록 체크밸브가 배관 상에 결합되며,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배관(200)과; 상기 급탕공급배관(200)과 연결되고,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으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남은 온수가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도록 상기 급탕탱크(100) 측면 상부 일면으로 관 결합하는 급탕회수배관(300)과; 상기 급탕탱크(100)로부터 물을 가열하도록 공급받는 공급순환배관(410)이 하측에 결합되고,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순환배관(420)이 결합된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순환배관(410)에 관결합되어 온수가 상기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및 각 세대로 이송 순환되도록 관내 압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된 급탕순환펌프(500)와; 상기 보일러(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순환배관(420)과 관결합되고,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하부로 관 연장되며, 관 연장된 저장공간 하측으로 다수의 분기관(610)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610)을 통해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온수분배수단(600)과; 상기 급탕탱크(100) 내부에 상하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급탕회수배관(300)과 관결합되어 회수되는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상하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102)에 저장된 중상부층의 온수로부터 열원을 전달받아 예열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급탕순환펌프(500)와 관결합되어 예열된 온수가 급탕순환펌프(500)에 의해 상기 공급순환배관(410)를 거쳐 보일러(400)로 순환되도록 마련된 열회수예열관(7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in a hot water tank system for supplying hot water to households and building generations, a sealed storage space (102) is formed to receive hot water therein, and the storage space (102) of A hot water supply tank (100) having a measuring sensor (104) for detecting internal set temperature an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and having a safety valve (106) for controlling a pressure rise of a storage spac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hot water supply tank 100 coupled to a top surface, a check valve coupled to a pipe to control a hot water supply cutoff, and a hot water supply pipe 200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househol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supply pipe 200, the hot water supplied to each generation from the hot water supply supply pipe 200 and pip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side so that the remaining hot water is recovered to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Hot water recovery pipe (300); A supply circulation pipe 410 that is supplied to heat the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1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discharge circulation pipe 420 for heating the supplied water to discharge hot wate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Coupled to the boiler 400; It is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the pipe is coupled to the supply circulation pipe 410 is provided to generate pressure in the pipe so that hot water is circulated to the boiler 400 and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and each generation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The hot water heated from the boiler 4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irculation pipe 420 to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pipe extends to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pipe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0 are formed below the extended storage space so that ho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through the branch pipes 610; The hot water tank 100 is bent and zigzag formed in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100, and one end of the hot water recover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hot water collecting pipe 300 is transferr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while the hot water tank ( It is provided to receive the heat source from the hot water of the upper upper lay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02 of the 100, preheated by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by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It relates to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heat recovery preheating pipe 700 provided to be circulated to the boiler 400 via the supply circulation pipe (410).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회수가 뛰어나고, 설치공간의 제약이 적어 공간활용도가 높으며, 부품의 간소화를 통한 공사비 절감과 유지관리가 간편하고, 부품 간소화에 따른 전력소비량 감소와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more specifically, excellent heat recovery, less installation space constraints, high space utilization, construction cost reduction and maintenance by simplifying parts,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parts simplif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that can reduce energy and save energy.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에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탕탱크(1)와, 급탕탱크(1)로부터 보일러(2)로 순환되는 물을 가열하여 급탕탱크(1)로 보내고 받는 급탕순환배관(3)과 순환펌프(4)가 급탕탱크 및 보일러와 결합된다. 그리고, 가정이나 건물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펌프(5)와 급탕공급배관(6)이 마련되고, 가정이나 건물에 공급된 급탕을 다시 급탕탱크로 회수하는 급탕회수배관(7)으로 구성된다.
Generally, in order to use hot water in a home or building, as shown in FIG. 1, the
이러한, 종래의 급탕탱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보일러(2)와 급탕탱크(1)가 결합되고, 가정이나 건물로 온수를 공급하도록 급탕탱크(1)와 가정, 건물로 공급 순환되도록 결합된 것인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은 가정이나 건물의 입주자가 온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각각의 거주지로 온수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공급하고자 개시되고 있다.
Such a hot water supply tank system, as described above, the
즉, 이와 같은 급탕탱크(1)는 보일러(2)로 물을 공급하여 가열하고, 가열된 물을 다시 급탕탱크(1)로 저장하고 순환하기 위한 순환펌프(4)가 구비된다. 또한, 각 거주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펌프(5)가 구비되어 순환펌프와 급탕공급펌프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구동된다.
That is, such a hot
이와 같은 종래의 급탕탱크 시스템은 복수의 펌프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제약이 따르고, 이로 인한 부지선정 및 설계상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더욱이, 복수의 펌프를 구비하고, 각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가 하나는 가열을 위한 배관라인과 나머지 하나는 공급을 위한 배관라인을 구성함에 따라 라인구성이 복잡하여 설치시공이 까다롭다.
This conventional hot water tank system is subject to the constraints of the place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pumps, which causes site selection and design difficulties. In addition, it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umps, the hot water circulated by each pump is one of the piping line for heating and the other one constitutes the piping line for supplying the complicated line configuration is difficult to install construction.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급탕탱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세대 거주지로 온수가 공급되는 온수가 다시 급탕탱크 내로 회수되는 배관라인상에서 열손실이 크고, 열손실이 큰 회수되는 온수가 급탕탱크 내로 유입되면 급탕탱크 내의 요구되는 설정온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급탕탱크 에서 보일러로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며, 보일러로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 보일러가 계속해서 가동되어야 함에 따라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계속적이 보일러의 가동으로 인해 고장, 손상 등의 발생이 빈번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hot water tank system has a large heat loss on the piping line where hot water supplied to the household dwelling is recovered into the hot water tank again, and the hot water recovered with large heat loss is introduced into the hot water tank. There is a problem that falls below the required set temperature in the hot water tank. Due to this problem,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circulated from the hot water tank to the boiler drops, causing the energy to be wasted as the boiler must be continuously oper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circulated to the boiler to the required temperature. Due to the frequent operation of the failure, damage,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increases.
더욱이,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된 급탕탱크 내부는 온도범위 (50°~80°)의 상중하로 온도층을 이루고 있고, 사실상 급탕탱크 내부의 수용된 온수의 사용은 사실상 환탕온도 (20°~40°)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체 온수의 절반밖에는 사용하지 않아 나머지 사용되지 않는 온수의 열손실이 크기 때문에 보일러 가동시간과 연동되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Moreover, the inside of the hot water tank supplied with heated hot water from the boiler forms a temperature layer above and below the temperature range (50 ° to 80 °), and in fact, the use of the received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is effectively a hot water temperature (20 ° to 40 °). Since only half of the total hot water is used, the heat loss of the remaining unused hot water is large, which causes energy waste in conjunction with the boiler operation time.
또한, 순환펌프와 급탕공급펌프가 각각 구비됨에 따른 장비의 효율적 운용이 어려워 높은 전력소모량으로 인한 에너지낭비 및 계속적 가동에 따른 다수의 장비의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hot water supply pump are each provided with difficulty in efficient operation of the equip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maintenance costs of a plurality of equipments due to energy consumption and continuous operation due to high power consumption ar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급탕탱크 시스템의 구성간소화를 통해 설치장소의 제약을 줄이고, 구성간소화로 인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가 간편한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reduce the constraints of the installation place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system, to provide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easy to install and maintenance due to the simplified configuration The purpose is to.
또한, 본 발명은 급탕순환배관과 급탕회수배관을 단일화시키고, 회수되는 온수를 급탕탱크로부터 열손실에 대한 보상으로 열회수하여 보일러로 공급하며, 급탕탱크 내부의 상중하의 온도의 층을 이루지 않고 고르게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보일러 사용시간을 줄이며, 하나의 펌프로 순환펌프와 급탕공급펌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줄여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nifies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hot water recovery pipe, and recovers the hot water recovered from the hot water tank to compensate for the heat loss and supplies it to the boiler, and the temperature is evenly formed without forming a layer of upper and lower temperatures inside the hot water tank.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capable of reducing energy consumption by reducing the boiler consumption time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by serving as a circulation pump and a hot water supply pump with one pump.
나아가, 본 발명은 세대 거주지로부터 다시 회수되는 열손실된 온수를 사용되지 않는 급탕탱크 내부 온수의 열원을 통해 온수 예열이 가능하여 보일러 가동시간을 줄임에 따라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capable of preheating hot water through the heat source of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not using the heat lost hot water recovered from the house of the household, thereby reducing the boiler operating time. There is a purpos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은 가정, 건물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는 급탕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온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밀폐된 저장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02)의 내부 설정온도와 압력 및 고온감지를 위한 측정센서(104)가 전면외측으로 구비되며, 상부 일면에 저장공간의 압력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밸브(106)가 구비된 급탕탱크(100)와; 상기 급탕탱크(100) 상부면에 관결합되고, 온수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도록 체크밸브가 배관 상에 결합되며,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배관(200)과; 상기 급탕공급배관(200)과 연결되고,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으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남은 온수가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도록 상기 급탕탱크(100) 측면 상부 일면으로 관 결합하는 급탕회수배관(300)과; 상기 급탕탱크(100)로부터 물을 가열하도록 공급받는 공급순환배관(410)이 하측에 결합되고,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순환배관(420)이 결합된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순환배관(410)에 관결합되어 온수가 상기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및 각 세대로 이송 순환되도록 관내 압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된 급탕순환펌프(500)와; 상기 보일러(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순환배관(420)과 관결합되고,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하부로 관 연장되며, 관 연장된 저장공간 하측으로 다수의 분기관(610)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610)을 통해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온수분배수단(600)과; 상기 급탕탱크(100) 내부에 상하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급탕회수배관(300)과 관결합되어 회수되는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상하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102)에 저장된 중상부층의 온수로부터 열원을 전달받아 예열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급탕순환펌프(500)와 관결합되어 예열된 온수가 급탕순환펌프(500)에 의해 상기 공급순환배관(410)를 거쳐 보일러(400)로 순환되도록 마련된 열회수예열관(7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n the hot water tank system for supplying hot water to the home, building generation, the sealed
여기서,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의 상기 분기관(610)은 상기 급탕탱크(100)의 바닥 형상에 따라 원형배열, 방사상 배열, 사각배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본 발명은 급탕탱크 시스템의 구성간소화를 통해 설치장소의 제약을 줄이고, 구성간소화로 인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고, 급탕순환배관과 급탕회수배관을 단일화시키고, 회수되는 온수를 급탕탱크로부터 열손실에 대한 보상으로 열회수하여 보일러로 공급하며, 급탕탱크 내부의 상중하의 온도의 층을 이루지 않고 고르게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보일러 사용시간을 줄이며, 하나의 펌프로 순환펌프와 급탕공급펌프 역할을 수행하도록 함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세대 거주지로부터 다시 회수되는 열손실된 온수를 사용되지 않는 급탕탱크 내부 온수의 열원을 통해 온수 예열이 가능하여 보일러 가동시간을 줄임에 따라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installation site constraints by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system, easy installation cost and easy maintenance due to simplified configuration, unifying the hot water circulation pipe and hot water recovery pipe, and hot water recovered Heat recovery to compensate for the heat loss from the supply to the boiler, an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evenly without forming a layer of the upper and lower temperature inside the hot water tank to reduce the boiler operating time, it serves as a circulation pump and hot water supply pump with one pump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eheat the hot water through the heat source of the hot water inside the hot water tank, which does not use the heat lost hot water recovered from the household of the household, thereby saving energy by reducing the boiler operation time. This has a possible effect.
도 1은 종래 온수탱크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의 계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의 온수분배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1 is a system diagram of a conventional hot water tank system.
2 is a system diagram of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t water distribution means of the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의 계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의 온수분배수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Figure 2 is a system diagram of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hot water distribution means of the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온수탱크 시스템은 가정, 건물 등의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성간소화를 통해 설치장소의 제약을 줄이고, 구성간소화로 인한 설치비용과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회수되는 온수의 예열 및 저장된 온수의 고른 온도층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보일러 가동시간을 줄이고, 구성간소화로 인한 장비의 전력소모량을 줄임에 따라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탕탱크(100), 급탕공급배관(200), 급탕회수배관(300), 보일러(400), 급탕순환펌프(500), 온수분배수단(600), 열회수예열관(700)으로 구성된다.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reduce the constraints of the installation place through the simplified configuration to supply hot water to households, buildings, etc., easy installation cost and maintenance due to simplified configuration, preheating the hot water recovered And by forming an even temperature layer of the stored hot water, to reduce the boiler operating time, it is possible to save energy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quipment due to the simplified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 hot
상기 급탕탱크(100)는 후술되는 보일러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저장되어 가정, 건물의 세대에서 온수가 필요로 할 때 즉시 온수가 세대로 공급되도록 마련된 것으로, 온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밀폐된 저장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02)의 내부 설정온도와 압력 및 고온감지를 위한 측정센서(104)가 전면 외측으로 구비되며, 상부 일면에 저장공간의 압력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밸브(106)가 구비된다.
The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급탕탱크(100)에 저장된 온수를 각 세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탕탱크(100) 상부면에 관결합되고, 온수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도록 체크밸브가 배관 상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의 세대의 주방, 욕실, 화장실 등 온수가 필요로 하는 부분으로 관연결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hot
상기 급탕회수배관(300)은 세대의 주방, 욕실, 화장실 등으로 공급된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급탕공급배관(200)과 연결되고,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으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남은 온수가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도록 상기 급탕탱크(100) 측면 상부 일면으로 관 결합된다.
The hot
상기 보일러(400)는 물을 가열하여 세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온수를 생산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상기 급탕탱크와 인접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보일러(400)는 상기 급탕탱크(100)로부터 물을 가열하도록 공급받는 공급순환배관(410)이 하측에 결합되고,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순환배관(420)이 결합된다.
The
상기 급탕순환펌프(500)는 세대로 공급되는 온수와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온수 및 보일러로 공급되는 온수, 세대로부터 회수되는 온수의 관내 흐름이 발생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순환배관(410)에 관결합되어 온수가 상기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및 각 세대로 이송 순환되도록 관내 압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급탕순환펌프(500)는 종래 온수를 세대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와 보일러의 가열된 온수를 급탕탱크와 주고 받아 순환하도록 하는 펌프가 각각 개별구비된 것을 하나의 상기 급탕순환펌프(500)를 통해 작동되는 것으로, 종래 세대로 공급되는 배관라인과 보일러로 순환되는 배관라인을 본 발명에서는 하나로 연속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가능하다.
The hot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은 종래 급탕탱크에서는 단순히 보일러를 통해 온수가 순환되도록 함에 따라 급탕탱크 내부의 상중하 위치에 따른 온도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보일러(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순환배관(420)과 관결합되고,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하부로 관 연장되며, 관 연장된 저장공간 하측으로 다수의 분기관(610)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610)을 통해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을 통해 급탕탱크 하부에 보일러로부터 가열된 온수가 분기관을 통해 배출됨에 따라 급탕탱크 내부의 자연대류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급탕탱크 내부의 상중하 온도편차가 현저히 줄어 온도층 형성에 따른 연손실을 줄 일수 있는 것이다.
The hot water distribution means 600 is provid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a temperature layer accor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inside the hot water tank as the hot water is simply circulated through the boiler in the conventional hot water tank, and heated from the
여기서,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의 상기 분기관(6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급탕탱크(100)의 바닥 형상에 따라 원형배열, 방사상 배열, 사각배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급탕탱크의 바닥측이 원형일 경우에는 분기관을 원형으로 배열하여 바닥 면적 전체에 고르게 온수가 배출되어 고른 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원형의 바닥측 어느 방향에서도 동일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Here, the
상기 열회수예열관(700)은 세대로부터 회수되는 온수가 회수과정에서 열손실이 발생되고, 열손실된 온수를 바로 보일러로 투입하게 되면 보일러에서는 설정온도까지 회수된 온수의 온도를 상승하기 위해 가동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급탕탱크 내부의 고온의 온수를 지그재그로 지나면서 급탕탱크 내부의 고온의 온수로부터 열원을 회수하여 보일러 투입시 설정온도까지 회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가동시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급탕탱크(100) 내부에 상하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급탕회수배관(300)과 관결합되어 회수되는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상하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102)에 저장된 중상부층의 온수로부터 열원을 전달받아 예열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타단이 상기 급탕순환펌프(500)와 관결합되어 예열된 온수가 급탕순환펌프(500)에 의해 상기 공급순환배관(410)를 거쳐 보일러(400)로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The heat
즉, 세대 거주지로 공급되어 다시 회수되는 온수의 열손실이 크기 때문에 회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1도 이상이라도 상승시킬 수 있다면 보일러에서 회수되는 온수를 다시 재가열하여 설정온도로 상승시키는 가동시간이 줄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것이다.
That is, since the heat loss of the hot water supplied to the household and recovered again is large, if the temperature of the recovered hot water can be increased by more than 1 degree, the operating time of reheating the hot water recovered from the boiler to the set temperature is reduced. Savings are possibl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한 본 발명의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탕공급배관(200), 급탕회수배관(300), 공급순환배관(410), 배출순환배관(420)이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됨에 따라 급탕순환펌프(500) 하나로, 각 세대로의 온수공급, 회수, 보일러로 온수공급, 배출이 가능하여 급탕탱크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이 간소화되고, 이에 따라 설치면적이 현저히 줄어 장소의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소의 제약을 줄이기 위해 하나의 급탕순환펌프(500)를 급탕탱크(100) 저부에 위치시켜 설치면적을 줄임으로써, 설치면적에 따른 제약을 해소하였고, 바이패스 배관 등도 필요치 않아 더욱 간소화된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펌프로 하나의 배관라인 형태를 취함에 따라 유지 보수가 간편하고, 구성간소화에 따른 전력소모량이 줄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다.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ure 2, hot wat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은 우선 보일러(400)에서 물이 가열되어 고온의 온수를 공급순환배관(410)을 통해 상기 급탕탱크(100)로 이송하여 공급한다. 이렇게 고온의 온수는 급탕탱크(100)로 유입시,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을 통해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102) 하부로 유입되도록 안내되고, 온수분배수단(600)의 분기관(610)을 통해 저장공간(102) 내로 고온의 온수가 유입된다.
In such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first heated in the
이후, 고온의 온수는 대류현상에 따라 저장공간(102)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어 저장공간(102) 내의 온수가 고른 온도분포(50℃~80℃)를 가진다. 이렇게 급탕탱크 내에 저장된 온수는 급탕공급배관(200)을 따라 세대로 공급되고 급탕회수배관(300)을 따라 다시 급탕탱크(100) 내부로 순환된다. 이때, 급탕공급배관(200)과 급탕회수배관(300)에서 순환되는 환탕온도는 20℃~40℃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급탕회수배관(300)을 통해 다시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는 온수는 열손실이 커 약 20℃를 전후로 회수된다.
Thereafter, the hot water of high temperature is 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이때, 열손실이 발생된 회수되는 온수는 급탕회수배관(300)을 통해 급탕탱크(100)로 회수시 상기 급탕회수배관(300)과 열회수예열관(700)이 관열결되어 회수되는 온수가 열회수예열관(700)을 지나게 된다. 여기서, 열손실된 회수되는 온수는 열회수예열관(700)의 지그재그로 절곡된 부분을 지나면서 저장공간(102) 내부에 위치된 열회수예열관(700)이 급탕탱크(100) 내부의 약 80℃ 가량의 고온의 온수로부터 열교환되면서 회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At this time, the hot water recovered is the heat recovery is recovered to the
다음으로, 열회수예열관(700)을 통해 회수되는 온수가 급탕순환펌프(500)를 통해 배출순환배관(420)을 거쳐 보일러(400)로 다시 공급됨에 따라 보일러(400)에서 급탕탱크(100)로 공급하는 고온의 온수를 생산하기 위한 설정온도까지의 가열시간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고온의 온수를 생산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Next, the hot water recovered through the hea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s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100 : 급탕탱크 102 : 저장공간
104 : 측정센서 106 : 안전밸브
200 : 급탕공급배관 300 : 급탕회수배관
400 : 보일러 410 : 공급순환배관
420 : 배출순환배관 500 : 급탕순환펌프
600 : 온수분배수단 610 : 분기관
700 : 열회수예열관100: hot water tank 102: storage space
104: measuring sensor 106: safety valve
200: hot water supply pipe 300: hot water recovery pipe
400: boiler 410: supply circulation piping
420: discharge circulation pipe 500: hot water circulation pump
600: hot water distribution means 610: branch pipe
700: heat recovery preheating pipe
Claims (2)
온수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밀폐된 저장공간(102)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102)의 내부 설정온도와 압력 및 고온감지를 위한 측정센서(104)가 전면외측으로 구비되며, 상부 일면에 저장공간의 압력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안전밸브(106)가 구비된 급탕탱크(100)와;
상기 급탕탱크(100) 상부면에 관결합되고, 온수의 공급차단을 제어하도록 체크밸브가 배관 상에 결합되며, 세대로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탕공급배관(200)과;
상기 급탕공급배관(200)과 연결되고, 상기 급탕공급배관(200)으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어 사용하고 남은 온수가 급탕탱크(100)로 회수되도록 상기 급탕탱크(100) 측면 상부 일면으로 관 결합하는 급탕회수배관(300)과;
상기 급탕탱크(100)로부터 물을 가열하도록 공급받는 공급순환배관(410)이 하측에 결합되고,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하는 배출순환배관(420)이 결합된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순환배관(410)에 관결합되어 온수가 상기 보일러(400)와 상기 급탕탱크(100) 및 각 세대로 이송 순환되도록 관내 압력을 발생하도록 마련된 급탕순환펌프(500)와;
상기 보일러(400)로부터 가열된 온수를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내부에 유입되도록 상기 배출순환배관(420)과 관결합되고,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하부로 관 연장되며, 관 연장된 저장공간 하측으로 다수의 분기관(610)이 형성되어 상기 분기관(610)을 통해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 하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된 온수분배수단(600)과;
상기 급탕탱크(100) 내부에 상하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급탕회수배관(300)과 관결합되어 회수되는 온수가 상기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 상하 지그재그로 이송되면서 급탕탱크(100)의 저장공간(102)에 저장된 중상부층의 온수로부터 열원을 전달받아 예열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급탕순환펌프(500)와 관결합되어 예열된 온수가 급탕순환펌프(500)에 의해 상기 공급순환배관(410)를 거쳐 보일러(400)로 순환되도록 마련된 열회수예열관(7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
In a hot water tank system for supplying hot water to households and building generations,
A sealed storage space 102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hot water therein, and a measuring sensor 104 for sensing the internal set temperature,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of the storage space 102 is provided outside the front and stored on one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Hot water tank 100 is provided with a safety valve 106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rise of the space;
A hot water supply tank 100 coupled to a top surface, a check valve coupled to a pipe to control a hot water supply cutoff, and a hot water supply pipe 200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household;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supply supply pipe 200, the hot water supplied to each generation from the hot water supply supply pipe 200 and pip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side so that the remaining hot water is recovered to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Hot water recovery pipe (300);
A supply circulation pipe 410 that is supplied to heat the water from the hot water tank 100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and discharge circulation pipe 420 for heating the supplied water to discharge hot water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Coupled to the boiler 400;
It is provided to the outside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the pipe is coupled to the supply circulation pipe 410 is provided to generate pressure in the pipe so that hot water is circulated to the boiler 400 and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and each generation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The hot water heated from the boiler 400 is coupled to the discharge circulation pipe 420 to be introduced in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pipe extends to the lower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the pipe A plurality of branch pipes 610 are formed below the extended storage space so that ho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y tank 100 through the branch pipes 610;
The hot water tank is bent and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zig-zag inside the hot water tank 100, and the hot water recovered by being coupled to the hot water collecting pipe 300 is transferred to the upper and lower zigzag storage space of the hot water tank 100 while supplying the hot water tank ( It is provided to receive the heat source from the hot water of the upper upper layer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02 of the 100, preheated by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by the hot water circulation pump 500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heat recovery preheating pipe 700 is provided to be circulated to the boiler 400 via the supply circulation pipe (410).
상기 온수분배수단(600)의 상기 분기관(610)은 상기 급탕탱크(100)의 바닥 형상에 따라 원형배열, 방사상 배열, 사각배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 급탕탱크 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branch pipe 610 of the hot water distribution means 600 is a heat recovery hot water tank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ny one of a circular arrangement, a radial arrangement, a squar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bottom shape of the hot water tank 100.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8834A KR101341631B1 (en) | 2012-04-13 | 2012-04-13 |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38834A KR101341631B1 (en) | 2012-04-13 | 2012-04-13 |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6127A KR20130116127A (en) | 2013-10-23 |
KR101341631B1 true KR101341631B1 (en) | 2013-12-12 |
Family
ID=4963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38834A KR101341631B1 (en) | 2012-04-13 | 2012-04-13 |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41631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84098A (en) * | 2014-04-18 | 2014-06-25 | 吉首大学 | Waste heat recovery air source water hea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61677B (en) * | 2014-07-04 | 2016-06-08 | 浙江大学台州研究院 | Carry the storage-type electric water heater of hot water circulation function |
CN112254348A (en) * | 2019-07-22 | 2021-01-22 |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 Zero-cold-water supply system, combination valve, control method of water supply system and water heat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9065A (en) | 2003-07-31 | 2005-02-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servoir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09192156A (en) | 2008-02-15 | 2009-08-27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09204274A (en) | 2008-02-29 | 2009-09-10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12026646A (en) | 2010-07-23 | 2012-02-09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
2012
- 2012-04-13 KR KR1020120038834A patent/KR101341631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49065A (en) | 2003-07-31 | 2005-02-24 | Mitsubishi Electric Corp | Reservoir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09192156A (en) | 2008-02-15 | 2009-08-27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09204274A (en) | 2008-02-29 | 2009-09-10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Hot water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JP2012026646A (en) | 2010-07-23 | 2012-02-09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Storage type hot water supply system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884098A (en) * | 2014-04-18 | 2014-06-25 | 吉首大学 | Waste heat recovery air source water heater |
CN103884098B (en) * | 2014-04-18 | 2016-06-01 | 吉首大学 | Waste heat recovery air source water he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6127A (en) | 2013-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175864B2 (en) | Energy-saving central heating and hot water supply system | |
CN102705980B (en) | Device with heating and water-heating device multi-machine parallel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 |
CN201246924Y (en) | Air source heat pump and middle and high temperature water source heat pump combining heating apparatus | |
KR101229934B1 (en) | The boiler and the solar heat axial line the connection one heating which will beg and warm water system | |
RU2508509C1 (en) | Heating unit for production of hot water for domestic needs | |
KR101700534B1 (en) | Heating and hot water device of the central type | |
KR101341631B1 (en) | Heat recovery hot water storage tank system | |
CN204460730U (en) | A kind of hot water liner device and multifunction electric heater | |
CN203980393U (en) | Floor steam heating system | |
CN202853103U (en) | Device with heating water heater multimachine parallel system | |
KR101156109B1 (en) | electric boiler | |
CN201575519U (en) | Natural circulation-type dual purpose machine of household heat pump | |
CN201368525Y (en) | Heat storage device with common heat source for domestic hot water and heating water | |
CN104061618A (en) | Solar energy hot water storage bed box | |
KR100767759B1 (en) | Heating system using solar heat | |
JP5809853B2 (en) | Hot water facilities for apartments | |
KR20170052731A (en) | Heating and hot water device of the central type | |
CN203757848U (en) | Concentrated hot water supply system for high-rise building | |
CN205119511U (en) | Heat storage tank and have its combination heating device | |
KR101866025B1 (en) | Heating and hot water device of the central type | |
CN102679432A (en) | Floor heating system using air source hybrid power | |
CN203857529U (en) | Hot water supply system with linkage of solar energy unit and wall-mounted heater | |
CN204128033U (en) | Segmentation water circulation heating device and Space heating system | |
CN209857173U (en) | Geothermal heating and electric heating combined device for green building | |
KR20120053347A (en) | Heating/warm water system which uses a solar hea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