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45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458B1
KR101341458B1 KR1020060119724A KR20060119724A KR101341458B1 KR 101341458 B1 KR101341458 B1 KR 101341458B1 KR 1020060119724 A KR1020060119724 A KR 1020060119724A KR 20060119724 A KR20060119724 A KR 20060119724A KR 101341458 B1 KR101341458 B1 KR 101341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9307A (ko
Inventor
김문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9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4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49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9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과 동기화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주기로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한 수신 동작이 활성화되므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동기화, 활성화 주기,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실시예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예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특히 블루투스(bluetooth)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단말들로부터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활성화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외부 단말들은, 각각의 일정한 주기로 상기 검색 신호를 송신하는데 반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검색 신호가 없는 상황에서도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활성화 상태 유지에 따른 불필요한 전류 소모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에 따라 신호 수신 동작을 주기적으로 활성화하여, 활성화 상태 유지에 따른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과 동기화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 단말과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외부 단말과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의 활성 화 주기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하여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수신 모듈(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디스플레이(15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 모듈(110)은,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단말과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동작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제어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이동통신 단말기로 입출력되는 모든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필요한 모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15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고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송수신 모듈(11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을 단말에 적용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로서, 블루투스 모듈(112)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모듈(112)뿐만 아니라 적외선 통신 규격(infrared data association; 이하 'IrDA')을 적용하기 위한 적외선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를 적용하기 위한 통신 모듈, 광대역 밴드(ultra-wideband)를 이용하기 위한 통신 모듈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이 적용 가능한 모든 통신 모듈을 의미한다.
또한,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외부 단말과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110)의 활성화 주기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단말은,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외부 단말은, 블루투스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상기 외부 단말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른 단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신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블루투스 시스템은, 2.4Ghz 대역을 사용하여 10m 거리의 두 개의 블루투스 장치가 서로 720kbps의 속도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와 동일한 주기로 또는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의 정 수배에 해당하는 주기로 상기 송수신 모듈(110)의 활성화 주기를 설정한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 모듈(110)은,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로 동작한다.
왜냐하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신호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있으므로, 상기 송수신 모듈(110)을 상기 시간 간격에 맞추어 활성화하는 것이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신호의 전송 주기가 30초라면, 상기 송수신 모듈(110)은, 30초 간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신호의 전송 주기가 30초라면, 상기 송수신 모듈(110)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전송 주기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주기, 예를 들어 60초, 90초, 120초...등의 간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신호 송수신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200)을 이용하여, 외부의 복수의 단말들(210, 220, 230)과 신호를 송수신한다고 가정한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특히 블루투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210)과 신호를 송수신하다고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310). 여기에서, 상기 신호는, 상기 단말(210)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른 단말을 검색하기 위한 신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S210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 여 상기 단말(210)과 동기화한다(S32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210)과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단말(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한다(S33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에 일치하는 신호 수신 동작의 활성화 주기를 설정한다(S340).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에 따라 상기 단말로(210)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전송 주기가 30초인 경우에, 상기 활성화 주기를 3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210)은, 30초 간격으로 검색 리스트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에 대한 변경 신호가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S360). 여기에서, 상기 변경 신호는, 상기 활성화 주기에 대한 변경 명령 및 변경 정도를 지시한다. 상기 변경 정도는,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에 대한 정수배의 크기를 의미한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변경 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활성화 주기에 따라 상기 단말(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37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 주기에 따라 신호 수신 동작을 주기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으므로, 활성화 상태 유지에 따른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므로, 현재 단말의 전원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가, 주기적으로 소정의 검색 신호를 전송하는 외부 단말과 동기화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검색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소정의 주기로 활성화하는 단계; 및
    수신되는 상기 검색 신호를 바탕으로 검색 리스트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주기에 대한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경 신호가 지시하는 변경 정도에 따라 상기 소정의 주기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 정도는 상기 활성화된 소정의 주기의 정수배의 크기이고,
    상기 검색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외부 단말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른 단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단계는,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가 1분인 경우에, 상기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1분 간격으로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4. 삭제
  5. 외부 단말과 소정의 검색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 모듈; 및
    상기 외부 단말과 동기화됨에 따라,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검색 신호의 전송 주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전송 주기를 이용하여 상기 송수신 모듈의 활성화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검색 신호를 바탕으로 검색 리스트를 갱신하고,
    상기 활성화 주기에 대한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변경 신호가 지시하는 변경 정도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설정된 활성화 주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변경 정도는 상기 활성화 주기의 정수배의 크기이고,
    상기 검색 신호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외부 단말이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른 단말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삭제
KR1020060119724A 2006-11-30 2006-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1341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24A KR101341458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24A KR101341458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07A KR20080049307A (ko) 2008-06-04
KR101341458B1 true KR101341458B1 (ko) 2014-01-14

Family

ID=3980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24A KR101341458B1 (ko) 2006-11-30 2006-11-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45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115B2 (ja) 1986-10-30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装置
JP2002064501A (ja) * 2000-08-15 2002-02-28 Sony Corp 無線伝送制御方法、無線伝送制御装置および無線伝送装置
WO2003017519A1 (en) 2001-08-15 2003-0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luetooth and cdma modes of operation
JP2005130436A (ja) 2003-09-30 2005-05-1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局、通信装置、通信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16115B2 (ja) 1986-10-30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装置
JP2002064501A (ja) * 2000-08-15 2002-02-28 Sony Corp 無線伝送制御方法、無線伝送制御装置および無線伝送装置
WO2003017519A1 (en) 2001-08-15 2003-0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bluetooth and cdma modes of operation
JP2005130436A (ja) 2003-09-30 2005-05-1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基地局、端末局、通信装置、通信管理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9307A (ko) 200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25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network technique using isochronous transmission
KR20140066751A (ko)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사이의 무선 데이터 통신
CN102415011A (zh) 利用设备冲击的无线网络连接控制方法以及应用程序控制方法及其设备
CN101119133A (zh) 基于2.4GHz跳频技术的一对多快速同步方法
US20170280412A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wearable device therefor
CN108924806A (zh) 一种采用ble技术的家庭物联网数据通信方法及系统
CN110089160A (zh) 网状网络中的跳频扩频通信
CN105530016A (zh) 信号处理方法及装置
WO2014057624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ロケータシステム
JP5930787B2 (ja) 機器識別装置及びリモコンシステム
JP5128353B2 (ja) 無線ノードシステム、無線ノードおよび無線ノード同期方法
KR10129469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 장치, 근거리 무선 통신 접속 장치를 발견하기 위한 휴대형 단말기, 및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3414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기
WO2012030163A2 (ko) 개인화 통신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용한 신용카드 위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EP2722832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854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wireless energy in energy transmission system
KR101019584B1 (ko)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무선통신장치
JP6251665B2 (ja) 調整方法、調整装置及び調整プログラム
JP2009141898A (ja) 双方向無線システム
JP5838374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8131467A (ja) 通信装置
JP6549952B2 (ja) ダイバーシチ送信装置
JP2018038023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
KR102342348B1 (ko) 원거리 위치 추정을 수행하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0793928B1 (ko) 도약 통신 방식 무전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