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306B1 -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306B1
KR101341306B1 KR1020110140739A KR20110140739A KR101341306B1 KR 101341306 B1 KR101341306 B1 KR 101341306B1 KR 1020110140739 A KR1020110140739 A KR 1020110140739A KR 20110140739 A KR20110140739 A KR 20110140739A KR 101341306 B1 KR101341306 B1 KR 101341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eatment
ozone
nano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3081A (ko
Inventor
양병동
김인호
김상욱
박대서
임홍식
오진호
한상학
연재호
권윤구
나형일
조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140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13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3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nan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키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본처리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처리부와 카본처리부가 음식물 폐수를 분담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과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of Food}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이나 식당, 호텔 및 식품제조공정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 공정, 탈수 공정 등을 거침에 따라 사료, 퇴비 등으로 제조됨으로써 자원화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폐수가 발생한다.
이러한 음식물 폐수는 음식물 쓰레기처리장, 폐수처리장 등에서 직접 또는 위탁 방식으로 하천 방류됨으로써 처리되었다. 그러나, 최근 음식물 폐수에 대한 하천 방류를 전면적으로 금지하도록 해양환경관리법이 개정됨에 따라, 음식물 폐수를 적법하게 하천 방류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소정 공정을 거쳐 처리된 음식물 폐수를 최종적으로 RO(Reverse Osmosis)시스템을 통해 고도처리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개정된 해양환경관리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부합하는 수질 상태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RO시스템은 필터를 이용하여 음식물 폐수로부터 최종적으로 오염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RO시스템 하나로 음식물 폐수에 대한 고도처리를 수행함에 따라, RO시스템의 필터가 막히는 파울링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RO시스템에 대한 세정 주기 및 RO시스템의 필터에 대한 교체주기가 짧기 때문에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음식물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RO시스템에 대한 세정, 필터 교체 등의 유지보수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는 작업을 중지시켜야 하는데, 유지보수 작업이 요구되는 주기가 짧기 때문에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 발생이 증가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음식물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 작업이 요구되는 주기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 발생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키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부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켜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존처리부와 카본처리부가 음식물 폐수를 분담하여 단계적으로 처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함에 따라 유지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비용과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오존처리부와 카본처리부에 대한 유지보수 주기를 늘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오존처리부와 카본처리부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처리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카본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처리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음식물 쓰레기를 자원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적법하게 하천 방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키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오존처리부(100), 및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카본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오존처리부(100)가 오존을 이용하여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이 용이하게 분해, 산화될 수 있는 상태로 처리하면,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를 거친 처리수가 활성탄에 흡착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를 통해 음식물 폐수를 단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io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BOD'라 함), 화학적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이하 'COD'라 함), 색도, 부유물(Suspended Solie, 이하 'SS'라 함), 총질소(Total Nitrogen, 이하 'T-N'이라 함), 총인(Total Phosphrus, 이하 'T-P'라 함) 수치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를 통해 음식물 폐수를 단계적으로 고도처리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가 음식물 폐수에 대한 고도처리공정을 분담하여 수행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각 공정의 폐수 처리 부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운영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가 음식물 폐수에 대한 고도처리공정을 분담하여 수행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할 때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에 대한 유지보수 주기를 늘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와 상기 카본처리부(200)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존처리부(100) 및 카본처리부(20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오존은 강한 산화력과 살균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오존은 음식물 폐수에 접촉됨에 따라 강한 살균력으로 음식물 폐수로부터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쳐 상기 카본처리부(200)로 공급되는 처리수로부터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상기 카본처리부(200)에 미생물이 공급됨에 따라 활성탄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음식물 폐수가 오염물이 용이하게 분해, 산화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해 주로 BOD, COD, 색도 등의 수치가 개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해 부수적으로 SS, T-N, T-P, 탁도 수치가 개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오존공급부(110) 및 상기 오존처리공정이 이루어지는 오존접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공급부(110)는 상기 오존접촉부(120)에 연결된다. 상기 오존공급부(110)는 배관(미도시)을 통해 상기 오존접촉부(120)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된다. 상기 오존공급부(110)는 오존을 생성하고, 생성한 오존을 상기 오존접촉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존접촉부(120)는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키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오존접촉부(120)는 저장된 음식물 폐수에 상기 오존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오존을 접촉시킴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존접촉부(120)는 음식물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오존접촉조(121, 도 3에 도시됨) 및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에 상기 오존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오존을 공급하기 위한 오존배출기구(122,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접촉조(121)는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소정의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소정의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폐수처리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부(1)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처리공정, 화학적 처리공정, 막처리공정 등의 폐수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오존접촉조(121)는 상기 폐수처리부(1)로부터 처리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상기 오존배출기구(122)는 일측이 상기 오존접촉조(121)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오존공급부(110)에 연결된다. 상기 오존공급부(110)가 상기 오존배출기구(122)에 오존을 공급함에 따라, 상기 오존배출기구(122)는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는 오존에 접촉됨으로써, 오존처리공정이 수행된다. 상기 오존배출기구(122)는 상기 오존접촉조(121) 하부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존배출기구(122)는 상기 오존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오존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개의 배출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상기 오존접촉조(121)로부터 오존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오존조정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조정조(130)는 배관(140, 도 3에 도시됨)을 통해 상기 오존처리부(100)로부터 오존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배관(140)은 일측이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존조정조(130)에 연결된다.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에 오존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는 오존에 의해 분해, 산화된 오염물이 음식물 폐수의 수면에 거품 형태로 생성되면서 폐수인 농축수로 생성된다. 상기 배관(140)은 상기 음식물 폐수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 중에서 농축수를 제외한 처리수를 상기 오존조정조(1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배관(140)에는 처리수를 이송하기 위한 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존조정조(130)는 오존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카본처리부(20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존조정조(13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에 공급하는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상기 오존접촉조(120)로부터 오존을 배출하기 위한 오존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배출부(150)는 상기 오존접촉조(120)에 연결된다. 상기 오존배출부(15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상기 오존접촉조(120) 내부에 잔존하는 기체 상태의 오존을 상기 오존접촉조(120)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오존배출부(150)는 상기 오존접촉조(120)로부터 배출한 오존을 열분해를 이용하여 파괴시킨 후에 대기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은 활성탄에 흡착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해 주로 SS, T-N, 탁도 등의 수치가 개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해 부수적으로 BOD, COD, T-P, 수치가 개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음식물 폐수가 갖는 고유의 냄새를 완화시키는 탈취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분담하여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1카본필터부(210) 및 제2카본필터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들을 포함한다. 처리수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활성탄들에 흡착됨에 따라,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는 복수개의 제1카본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본필터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는 상기 제1카본필터들을 통해 처리수를 반복하여 처리함으로써, 카본처리공정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활성탄들을 포함한다. 처리수는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이 활성탄들에 흡착됨에 따라, 오염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복수개의 제2카본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카본필터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상기 제2카본필터들을 통해 처리수를 연속하여 처리함으로써, 카본처리공정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공급하기 위한 분기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오존처리부(100)로부터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오존조정조(130, 도 3에 도시됨)가 상기 분기유닛(230)에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오존조정조(130)는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분기유닛(23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상기 분기유닛(230)에 대해 서로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가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분담하여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카본처리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카본처리공정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에 연결된 제1센서(240) 및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연결된 제2센서(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40)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의 입구측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의 출구측에 대한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1센서(240)는 측정한 압력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의 활성탄들에 대한 세정이 필요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40)는 측정한 압력들에 대한 비교값을 상기 분기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240)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50)는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의 입구측과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의 출구측에 대한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2센서(250)는 측정한 압력들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의 활성탄들에 대한 세정이 필요한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50)는 측정한 압력들에 대한 비교값을 상기 분기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센서(250)는 압력센서일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센서(240)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비교값들을 수신한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센서(240)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비교값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센서(240)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수신된 비교값들에 따라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센서(240)로부터 수신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의 활성탄들에 대해 세정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의 활성탄들에 대해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의 전부를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에 대한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를 통해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카본처리공정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수신된 비교값이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의 활성탄들에 대해 세정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의 활성탄들에 대해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의 전부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대한 세정공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를 통해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카본처리공정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기유닛(230)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비교값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분기유닛(230)은 상기 제1센서(240)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수신된 비교값들이 설정된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각각 최대 처리량이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 전부에 상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기유닛(230)이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공급하는 경우,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는 각각 최대 처리량의 절반에 상응하는 처리수에 대해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대한 세정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역세유닛(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각각에 연결된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가 처리수를 통과시키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역세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각각이 갖는 활성탄들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상기 분기유닛(230)으로부터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중에서 세정이 필요한 것에 대한 세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수신된 세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중에서 세정이 필요한 것에 역세수를 공급함으로써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에 대한 세정공정이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됨으로써, 유지관리의 용이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역세수를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유닛(260)은 상기 제1센서(240)와 상기 제2센서(250)로부터 비교값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비교값들에 따라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역세수를 공급함으로써 세정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카본처리부(200)를 거쳐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법적 기준에 맞게 하천 방류가 가능한 상태로 처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방류 또는 필요개소에 따라 재이용 될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 폐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가 하천 방류가 가능한 상태로 처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나노처리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음식물 폐수로부터 상기 오존처리공정과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통해 제거되지 못한 BOD, COD, T-N, T-P, SS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를 거쳐 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방류수조(500)로 공급된다. 상기 방류수조(500)는 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하천 방류할 때까지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에는 상기 오존처리공정과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가 공급된다. 상기 오존처리부(100)는 오존을 이용하여 음식물 폐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소독시킴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상기 나노처리부(300)가 갖는 멤브레인이 오염되거나 멤브레인이 막히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단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나노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필터부들은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단계적으로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제1나노필터부(310), 제2나노필터부(320) 및 제3나노필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는 제1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로 이동한다.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1나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는 상기 제1나노필터들이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분담하여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1나노처리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1나노처리공정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가 3개의 제1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는 2개, 4개 이상의 제1나노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멤브레인은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통해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1통과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제2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로 이동한다.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상기 제2나노필터들이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가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분담하여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제2나노처리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2나노처리공정에 대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가 상기 제1나노필터들을 거치면서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가 갖는 제1나노필터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가 2개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는 상기 제1나노필터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이면 2개, 3개 이상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2멤브레인은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을 통해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2통과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통과공은 상기 제1통과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는 제3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제3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는 방류수조(500)로 이동한다.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는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와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3나노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나노필터들은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단계적으로 제3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에 대한 유지보수 비용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를 고도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를 유지보수함에 따라 작업 시간에 대한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줄임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가 상기 제2나노필터들을 거치면서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는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가 갖는 제2나노필터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제3나노필터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는 1개의 제3나노필터가 상기 제2나노필터들에 직렬로 연결되고, 3개의 나노필터들이 서로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3멤브레인은 상기 제3나노처리공정을 통해 제거하고자 하는 오염물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제3통과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과공은 상기 제2통과공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로부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기 위한 나노조정조(340, 도 6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배관을 통해 상기 카본처리부(200)로부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와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저장된 처리수를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저장된 처리수의 유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에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나노조정조(340)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가 갖는 제1나노필터들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에서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로 이송하기 위한 제1이송유닛(350,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유닛(350)은 일측이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에 연결된다. 상기 제1이송유닛(350)은 상기 제1나노필터들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나노필터들로부터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1이송유닛(350)은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가 갖는 제2나노필터들에 나누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나노처리부(300)는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에서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로 이송하기 위한 제2이송유닛(360,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이송유닛(360)은 일측이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에 연결된다. 상기 제2이송유닛(360)은 상기 제2나노필터들 각각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나노필터들로부터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이송유닛(360)은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가 갖는 제3나노필터에 공급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와 상기 나노처리부(30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 선택공급유닛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선택공급유닛은 상기 카본처리부(200)를 거쳐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가 하천 방류 가능한 상태로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선택공급유닛은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한 검사값이 기설정된 방류기준값에 적합하면, 하천 방류 가능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방류수조(5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선택공급유닛은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한 검사값이 기설정된 방류기준값에 부적합하면, 하천 방류 가능한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상기 나노처리부(300)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농축수를 재순환시키기 위한 재순환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농축수는 상기 오존처리공정, 상기 카본처리공정 및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생성되는 폐수이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농축수를 재순환시킴으로써, 농축수에 대해 재처리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소정의 폐수처리공정을 수행하는 폐수처리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부(1)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처리공정, 화학적 처리공정, 막처리공정 등의 폐수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로 이동시킴으로써, 농축수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공정, 화학적 처리공정, 막처리공정 등이 재처리되도록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부(1)에 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폐수처리부(1)는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음식물 폐수에 대해 유기물, 무기물을 제거 및 미생물의 증식을 활성화하고 슬러지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부(1)는 화학적 처리공정을 통해 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로부터 슬러지를 제거하고, pH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오존처리부(100), 상기 카본처리부(200) 및 상기 나노처리부(300)에 가해지는 시스템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부(1)는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1생물학적 처리부(2),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1화학적 처리부(3),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2생물학적 처리부(4),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2화학적 처리부(5),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3생물학적 처리부(6) 및 막처리공정을 수행하는 막처리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는 음식물 폐수가 갖는 고형물, BOD, COD, T-N 등의 수치를 제1화학적 처리공정에 적합한 농도로 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는 폭기를 통하여 음식물 폐수에 대해 유기성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고, 호기성 미생물 활성화를 통하여 음식물 폐수를 분해함으로써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는 음식물 폐수 내에 함유된 암모니아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음식물 폐수로부터 질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는 유량 조절을 통해 후공정에서 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는 복수개의 제1폭기조를 통해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폭기조들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로부터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로부터 고형물 슬러지를 분리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BOD, COD, SS, T-N, T-P 등의 수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응집력과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데칸타 반응탱크, 데칸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는 염화철(FeCl2), A폴리머, C폴리머, 가성소다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로부터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가 갖는 고형물, BOD, COD, T-N 등의 수치를 제2화학적 처리공정에 적합한 농도로 되도록 처리한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폭기를 통하여 음식물 폐수에 대해 유기성 단백질 분해를 촉진하고, 호기성 미생물 활성화를 통하여 음식물 폐수를 분해함으로써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음식물 폐수 내에 함유된 암모니아 가스를 지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서, 음식물 폐수로부터 질소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유량 조절을 통해 후공정에서 미생물이 용이하게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는 제2폭기조를 통해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로부터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로부터 고형물 슬러지를 분리 및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음식물 폐수에 대한 BOD, COD, T-N, T-P 등의 수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의 pH를 조절함으로써, 응집력과 미생물이 활성화되는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가압부상 반응탱크, 가압부상 반응조 및 슬러지 저장탱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는 염화철(FeCl2), A폴리머, C폴리머, 가성소다 등의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로부터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무산소조와 폭기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는 혐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음식물 폐수에 함유된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배출시키는 탈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조는 처리수를 일정 시간 체류시킴으로써, 탈질 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폭기조는 산소공급을 통하여 암모니아성 질소를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로 변환하고, 암모니아 가스를 대기로 방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폭기조는 호기성 미생물을 활성화하여 음식물 폐수에 용존된 유기물, 고형물을 분해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BOD, COD, T-N 수치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가 상기 무산소조와 상기 폭기조를 교대로 통과하여 처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제1무산소조, 제3폭기조, 제2무산소조 및 제4폭기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는 미생물 활성화 및 폭기를 통해 음식물 폐수가 갖는 고농도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정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막처리부(7)는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로부터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공급받는다. 상기 막처리부(7)는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막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막처리부(7)는 음식물 폐수에 대해 BOD, COD, SS, T-N, T-P 등의 수치가 개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막처리부(7)는 분리막 생물반응조(Membrane Bioreactor, 이하 'MBR'이라 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BR은 펌프(미도시)가 발생시킨 흡입력에 의해 음식물 폐수가 막을 통과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막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막처리부(7)는 MBR이 갖는 막에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MBR이 갖는 막이 오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MBR에 의한 막처리공정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막처리부(7)는 상기 BMR이 침지된 폭기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재순환부(40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 상기 카본처리부(200) 및 상기 나노처리부(300) 각각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이동시킴으로써, 농축수에 대해 생물학적 처리공정, 화학적 처리공정, 막처리공정 등이 재처리되도록 재순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음식물 폐수는 음식물 쓰레기의 특성상 상당히 높은 농도의 염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RO시스템 단독으로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므로, 염분이 하천 방류를 금지시키는 항목이 아님에도 RO시스템에 의해 염분이 걸러짐에 따라 상당히 높은 농도의 염분이 포함된 농축수가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는 염분에 취약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높은 농도의 염분이 포함된 농축수를 재순환시킬 수 없으므로, 농축수를 처리하기 위해 추가 공정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 상기 카본처리부(200) 및 나노처리부(300)가 음식물 폐수를 단계적으로 고도처리하므로, 상기 오존처리부(100), 상기 카본처리부(200) 및 상기 나노처리부(300)가 RO시스템과 같이 음식물 폐수로부터 염분을 제거할 수 있을 정도로 구현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 상기 카본처리부(200) 및 상기 나노처리부(300)를 통과하지 못한 농축수에 함유된 염분의 양을 줄임으로써, 농축수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켜 재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00)는 농축수를 처리하기 위해 추가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오존재순환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오존처리공정에 의해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가 상기 폐수처리부(1)에 의해 재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농축수는 산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됨으로써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에서 산소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호기성 미생물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슬러지발생량, 약품사용량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상기 오존처리부(100)에서 생성된 농축수가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상기 오존접촉조(121, 도 3에 도시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에 오존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의 수면에 거품 형태로 생성되는 농축수를 상기 오존접촉조(121)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오존재순환부(410)는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저장된 폐수의 수면 부근에 위치되게 상기 오존접촉조(12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카본재순환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카본처리공정에 의해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가 상기 폐수처리부(1)에 의해 재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농축수는 산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됨으로써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에서 산소의 함량을 증가시키고, 호기성 미생물 활성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슬러지발생량, 약품사용량 등을 감소시킴으로써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역세유닛(2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역세유닛(260)에 의해 상기 제1카본필터부(2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220) 각각이 갖는 활성탄들로부터 제거된 오염물과 역세수로 이루어진 농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제1카본필터부(410)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420)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카본처리부(200)에서 생성된 농축수가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가 갖는 복수개의 제1폭기조들 중에서 상기 오존재순환부(410)에 연결된 제1폭기조에 비해 후단에 위치한 제1폭기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에서 생성된 농축수가 상기 오존재순환부(410)에서 생성된 농축수에 비해 개선된 상태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농축수가 개선된 상태에 비해 과다하게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화학적 처리공정으로 반복하여 재처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나노재순환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에서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카본처리공정에 의해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가 상기 폐수처리부(1)에 의해 재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폐수에 대한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거친 농축수는 염분의 양이 현격하게 줄어든 상태이므로, 상기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됨에 따라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에 염분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 및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 및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 각각을 통과하지 못한 오염물 및 이를 세정하기 위한 역세수로 이루어진 농축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상기 나노처리부(300)에서 생성된 농축수가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는 상기 오존재순환부(410)와 상기 카본재순환부(420)에 연결된 제1폭기조들에 비해 후단에 위치한 제2폭기조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나노재순환부(430)에서 생성된 농축수가 상기 오존재순환부(410)와 상기 카본재순환부(420)에서 생성된 농축수에 비해 개선된 상태가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는 농축수가 개선된 상태에 비해 과다하게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화학적 처리공정으로 반복하여 재처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정비용을 줄일 수 있고, 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1)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음식물 폐수에 대해 오전처리공정을 수행한다(S10). 이러한 공정(S10)은 상기 오존처리부(100)가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켜 음식물 폐수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한다(S20). 이러한 공정(S20)은 상기 카본처리부(200)가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공정(S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S30)은 상기 나노처리부(300)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공정(S30)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한다(S31). 이러한 공정(S31)은 상기 제1나노필터부(310)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제1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한다(S32). 이러한 공정(S32)은 상기 제2나노필터부(320)가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제2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제3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한다(S33). 이러한 공정(S33)은 상기 제3나노필터부(330)가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제3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3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음식물 폐수에 대한 폐수처리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폐수처리부(1)가 음식물 폐수에 대한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화학적 처리공정을 교대로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폐수처리공정을 수행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음식물 폐수에 대해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가 음식물 폐수로부터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1화학적 처리부(3)가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가 상기 제1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2화학적 처리부(5)가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화학물질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부(6)가 상기 제2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에 대해 상기 막처리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막처리부(7)가 상기 제3생물학적 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막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막처리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은 상기 고도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공정이 재수행되도록 재순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재순환부(400)가 상기 고도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로 재순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재순환부(400)는 상기 고도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폐수처리부(1)에서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은,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오존재순환부(410)가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카본재순환부(420)가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본재순환부(420)는 상기 제1생물학적 처리부(2)가 갖는 제1폭기조들 중에서 상기 오존재순환부(410)가 재순환시키는 제1폭기조에 비해 후공정에 속하는 폭기조로 농축수를 재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은,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재순환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상기 나노재순환부(430)가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거쳐 생성된 농축수를 상기 상기 제2생물학적 처리부(4)로 이동하도록 재순환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100 : 오존처리부 200 : 카본처리부
300 : 나노처리부 110 : 오존공급부 120 : 오존접촉부
121 : 오존접촉조 122 : 오존배출기구 130 : 오존조정조
140 : 배관 150 : 오존배출부 210 : 제1카본필터부
220 : 제2카본필터부 230 : 분기유닛 240 : 제1센서 250 : 제2센서
260 : 역세유닛 310 : 제1나노필터부 320 : 제2나노필터부
330 : 제3나노필터부 340 : 나노조정조 350 : 제1이송유닛
360 : 제2이송유닛 400 : 재순환부 410 : 오존재순환부
420 : 카본재순환부 430 : 나노재순환부 500 : 방류수조

Claims (14)

  1.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키는 오존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오존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부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활성탄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카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본처리부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1카본필터부와 제2카본필터부, 상기 제1카본필터부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가 병렬로 연결되는 분기유닛, 상기 제1카본필터부의 입구측과 출구측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1센서, 상기 제2카본필터부의 입구측과 출구측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제2센서, 및 상기 제1센서와 상기 제2센서가 각각 측정한 압력에 따라 상기 제1카본필터부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역세수를 공급하여 세정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역세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분기유닛은 상기 역세유닛에 의해 세정공정이 수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카본필터부와 상기 제2카본필터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상기 오존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는
    음식물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오존접촉조;
    상기 오존접촉조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가 오존에 접촉하도록 상기 오존접촉조에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공급부;
    상기 오존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를 저장하는 오존조정조; 및
    상기 오존조정조에 상기 오존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상기 오존접촉조에 저장된 음식물 폐수의 수면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상기 오존접촉조에 연결된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멤브레인(Membrane)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나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처리부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단계적으로 나노처리공정이 수행되도록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나노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제1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1나노필터부, 및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이 완료된 처리수에 대해 제2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2나노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노필터부는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1나노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나노필터부는 상기 제1나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를 나누어 상기 제2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로 병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제1나노필터부가 갖는 제1나노필터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제2나노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로 공급될 음식물 폐수에 대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 및
    상기 오존처리공정을 거쳐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를 상기 오존처리부에서 상기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오존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처리부로 공급될 음식물 폐수에 대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 및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쳐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를 상기 카본처리부에서 상기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카본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나노처리부;
    상기 오존처리부로 공급될 음식물 폐수에 대해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 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생물학적 처리부; 및
    상기 나노처리공정을 거쳐 처리되지 못한 농축수를 상기 나노처리부에서 상기 생물학적 처리부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나노재순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처리공정을 거친 처리수로부터 멤브레인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나노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나노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존처리부는 상기 카본처리부의 활성탄과 상기 나노처리부의 멤브레인이 미생물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 폐수에 오존을 접촉시켜 음식물 폐수로부터 미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140739A 2011-12-23 2011-12-23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KR101341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39A KR101341306B1 (ko) 2011-12-23 2011-12-23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739A KR101341306B1 (ko) 2011-12-23 2011-12-23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81A KR20130073081A (ko) 2013-07-03
KR101341306B1 true KR101341306B1 (ko) 2013-12-12

Family

ID=48987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739A KR101341306B1 (ko) 2011-12-23 2011-12-23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3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19A (ko) * 2002-03-19 2003-09-26 최영규 오존에 의한 상수도 정수처리장치
KR100602151B1 (ko) * 2006-04-07 2006-07-19 (주)대성그린테크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JP2010099545A (ja) * 2008-10-21 2010-05-06 Kurita Water Ind Ltd 有機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110046589A (ko) * 2009-10-29 2011-05-06 김동윤 생물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및 정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519A (ko) * 2002-03-19 2003-09-26 최영규 오존에 의한 상수도 정수처리장치
KR100602151B1 (ko) * 2006-04-07 2006-07-19 (주)대성그린테크 바이오블럭 담체를 이용한 음식물 침출수 처리 시스템
JP2010099545A (ja) * 2008-10-21 2010-05-06 Kurita Water Ind Ltd 有機排水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110046589A (ko) * 2009-10-29 2011-05-06 김동윤 생물 활성탄과 입상 활성탄을 이용한 정수 시스템 및 정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81A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e et al. Application of integrated ozone biological aerated filters and membrane filtration in water reuse of textile effluents
US8910799B2 (en) Integrated membrane system for distributed water treatment
KR101360020B1 (ko) 막여과 공정의 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막여과 공정의 전처리 시스템
Leyva-Díaz et al. Kinetic study of the combined processes of a membrane bioreactor and a hybrid moving bed biofilm reactor-membrane bioreactor with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s a post-treatment stage for wastewater treatment
Nicolaidis et al. Closing the water cycle for industrial laundries: An operational performance and techno-economic evaluation of a full-scale membrane bioreactor system
Hoinkis et al. Wastewater recycling in laundries—from pilot to large-scale plant
KR101205197B1 (ko) 높은 회수율의 공업용수를 얻기 위한 재이용수 생산방법
KR100446041B1 (ko) 생물막법, 활성탄, 활성탄 필터 및 모래여과법과고급산화공법을 연계한 산업폐수 중수처리시스템
TWI657051B (zh) 活性碳可直接接觸薄膜而處理廢液流之系統及方法
KR101578977B1 (ko) 막 파울링 저감형 하수 고도 처리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0992827B1 (ko) 막분리를 이용한 폐수처리 시스템
KR20140114586A (ko) 고농도 오·폐수 처리용 처리조 및 이를 이용한 처리 시스템
JP5259311B2 (ja) 水処理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水処理システム
Lee et al. Integr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treatments for textile industry wastewater: a possible zero-discharge system
KR101360015B1 (ko) 하수 2차 처리수의 재이용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하수 2차 처리수의 재이용 시스템
Elsheikh et al. Approach in choosing suitable technology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KR101208683B1 (ko) 생활용수와 염수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KR101363142B1 (ko)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KR100853077B1 (ko) 침지형 ptfe 분리막 생물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고도처리방법
KR101341306B1 (ko) 음식물 폐수 처리장치 및 음식물 폐수 처리방법
Widiasa et al. Membrane-bas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shrimp farming
US20140076808A1 (en) Sanitary cold water treatment systems and methods
KR101054613B1 (ko) 생물처리공정과 막분리공정이 결합된 단일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재활용수 생산장치
KR20140130956A (ko) 수처리 시스템
JP7119568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