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1113B1 -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1113B1
KR101341113B1 KR1020120061752A KR20120061752A KR101341113B1 KR 101341113 B1 KR101341113 B1 KR 101341113B1 KR 1020120061752 A KR1020120061752 A KR 1020120061752A KR 20120061752 A KR20120061752 A KR 20120061752A KR 101341113 B1 KR101341113 B1 KR 101341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vas
image
dual screen
support pan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1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2650A (ko
Inventor
이영하
Original Assignee
이영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하 filed Critical 이영하
Publication of KR20130112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1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1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18Boards or sheets with surfaces prepared for painting or drawing pictures; Stretching frames for canvas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 일측면에 결합되며,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접철선이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폭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접철선을 경계로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분할ㆍ교차하여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람자의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시점변화가 생겨, 이미지가 중첩되면서 다르게 보임에 따라,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변화되도록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Double Picture Canvas Having Divided Imag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시장에 서 관람자가 동선을 따라 이동할 때에,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함에 따라, 서로 다른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시점이 이동하면서, 서로 다른 두가지의 이미지가 전환되면서 각각 감상할 수 있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油畵, oil painting)라 함은 기름으로 갠 물감을 사용하여 그리는 서양화의 한 기법으로서, 면이나 마 따위의 천 위에 칠을 한 것을 액자틀에 결합시킨 것을 일컫는다.
최근 들어, 회화에 있어서 표본 모형 또는 표본 이미지의 동질성을 유지한 채, 유기적 형태와 드로잉을 결합시켜 강조하려는 실험이 다양하게 시도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최근의 실험적인 시도에 근거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람자의 동선의 방향을 따라 해당 회화 등을 바라볼 때의 시점을 고려한 캔버스에 있어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구조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하나의 캔버스에서 다양한 시점의 변화가 생기도록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 일측면에 결합되며,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접철선이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폭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접철선을 경계로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분할ㆍ교차하여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폭부재는, 접철선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면이 설정된 경사각을 이루되, 다수 쌍이 연속하는 더블유(W)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은 30°~ 9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면이 형성하는 접철선으로부터 지지패널까지의 높이는 2 mm ~ 20 mm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은, 화폭부재를 일정한 폭의 등간격으로 접는 단계(S100); 접힌 화폭부재의 단면이 연속하며, 더블유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단계( S200); 더블유 형상으로 배열된 화폭부재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300); 접철선을 기준하여, 화폭부재의 다수개의 일측 경사면에 설정된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400); 및 접철선을 기준하여, 화폭부재의 다수개의 타측 경사면에 설정된 또 다른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정된 각도를 이루는 다수쌍의 면으로써 단면을 더블유(W) 형상으로 구성하여, 해당 회화 등을 바라볼 때 관람자의 동선의 방향을 따라, 다양한 시점의 변화가 생기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개의 이미지를 분할하여 배치시킴으로써, 관람자가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하게 되면, 하나의 이미지에서 다른 이미지로 변화되도록 함으로써, 평면의 확장성과 이미지의 가상성, 이미지 상충에 의한 상실과 서사적 사건의 발생이라는 '회화에 있어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분할 교차하여 배치된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에 있어서, 도 1에서 "A" 부분을 전개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우측에 서서 바라본 것으로서, 관람자에게 나타나는 하나의 이미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좌측에 서서 바라본 것으로서, 관람자에게 나타나는 또 다른 나머지 하나의 이미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가 전시된 것을 촬영한 사진이미지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지지패널(110)의 일측면에 화폭부재(120)를 결합시킨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의 상기 화폭부재(1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접철선(摺綴線,130)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지지패널(110)의 일측면에 화폭부재(120)를 결합시키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면(121,122)이 설정된 각도(α°)를 이루며, 더블유(W) 형상으로 연속하는 다수쌍의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즉, 분할된 제 1면(121a,121b,121c ...)과 분할된 제 2면(122a,122b,122c...)이 일정하게 설정된 각도를 이루며 구성되는데, 연속하여 더블유(W) 형상으로 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패널(110)의 일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상기 접철선(130)을 경계로 하여 분할된 서로 다른 두개의 이미지가 교차되어 화폭부재(120)에 표시됨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통상의 액자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진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즉 통상의 액자틀에 상기 지지패널(110)의 테두리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패널(110)의 일측면에 화폭부재(120)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철선(130)은, 한쌍의 면(121,122)이 특정의 경사각을 이룸으로써 생성되는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 단위의 한쌍의 면이 (121a,122a), (121b,122b), (121c,122c) .... 와 같이, 연속하여 접혀지되 단면이 더블유(W)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나타나는 경계선이다.
이때, 인접하는 접철선(130)이 이루는 간격은, 다수개 단위의 한쌍의 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높이에 따라 변하게 된다.
도 2는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분할 교차하여 배치된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에 있어서, 도 1에서 "A" 부분을 전개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에 있어서, 화폭부재(120)에는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즉, 도 2에서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와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가 교차하여 배치되도록 표시됨을 알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 일부분이 도면부호121a로써 배치되고, 상기 121a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 일부분이 도면부호 122a로써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122a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오바마 미국 대통령 이미지의 연속하는 또 다른 일부분이 도면부호 121b로써 배치되고, 상기 121b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마릴린 몬로 이미지의 연속하는 또 다른 일부분이 도면부호 122b로써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122b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오바마 미국 대통령 이미지의 연속하는 또 다른 일부분이 도면부호 121c로써 배치되고, 상기 121c에 이웃하여 나란하게 마릴린 몬로 이미지의 연속하는 또 다른 일부분이 도면부호 122c로써 배치된다.
따라서, 연속하는 이미지인 121a, 121b, 121c...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즉,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연속하는 이미지인 122a,122b, 122c...는 전체적으로 하나의 이미지(즉,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를 구성한다.
도 4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우측에 서서 바라본 것으로서, 관람자에게 나타나는 하나의 이미지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좌측에서서 바라본 것으로서, 관람자에게 나타나는 또 다른 나머지 하나의 이미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관람자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바라보면, '마릴린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보게 된다.
이는, 분할된 제 2면(122a,122b,122c ...)에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분할되어 연속하여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시점이 이동하면서, 특정 구간에서는 서로 다른 두가지의 이미지중에서 특정의 하나의 이미지(여기서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즉, 관람자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하는 경우, 초기에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만 보이게 된다.
그리고,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관람자가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는, 관람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로부터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점점 더 전환된다.
또한,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의 정면 앞을 지나는 때에는, 관람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폭부재(120)에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즉,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와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가 중첩된 상태를 보게 된다.
반면,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의 정면 앞을 지나서 점점 더 좌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관람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로 점진적으로 전환되는데, 일정시점에서는 관람자에게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만이 보이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관람자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바라보면,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보게 된다.
이는, 분할된 제 1면(121a,121b,121c ...)에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가 분할되어 연속하여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공간의 변화에 따른 시점이 이동하면서, 특정 구간에서는 서로 다른 두가지의 이미지중에서 특정의 나머지 하나의 이미지(여기서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를 볼 수 있다.
즉, 관람자가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관람하는 경우, 초기에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만 보이게 되고,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에 이르기까지는, 관람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전체적인 이미지'로부터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면서, 점점 더 전환된다.
또한,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의 정면 앞을 지나는 때에는, 관람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폭부재(120)에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즉,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이미지와 마릴린 몬로의 이미지)가 중첩된 상태를 보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중앙부의 정면 앞을 지나서 점점 더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관람자에게 보이는 이미지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로 점진적으로 전환되는데, 일정시점에서는 관람자에게는 '마릴린 몬로의 전체적인 이미지'만이 보이게 된다.
특히, 본 출원인은, 상기 한쌍의 면인 (121a,122a),(121b,122b), (121c,122c) ... 등이 마주하는 경사각(α°)이 60°를 이루고, 상기 한쌍의 면인(121a,122a),(121b,122b),(121c,122c) ... 등이 형성하는 각각의 꼭지점으로부터 지지패널(110)까지의 높이는 5mm로 구성하고, 상기 화폭부재(120)에 각각의 이미지를 표시하여 이를 전시하였으며, 이때 화폭부재(120)를 바라보는 관람자에게는 서로 다른 두개의 이미지가 도 2,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관찰되었다.
여기서, 상기의 경사각α°와 꼭지점으로부터 지지패널(110)까지의 높이에 있어서, 각각 가감(+-)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한쌍의 면인 (121a,122a),(121b,122b),(121c,122c) ... 등 이 마주하는 경사각 α= 30°~ 90°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한쌍의 면인 (121a,122a),(121b,122b),(121c,122c) ... 등이 형성하는 각각의 꼭지점으로부터 지지패널(110)까지의 높이는 대략 2 mm ~ 20 mm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각각의 전시 목적 및 전시 환경에 따라서 선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은, 화폭부재를 일정한 폭의 등간격으로 접는 단계(S100); 접힌 화폭부재의 단면이 연속하며, 더블유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단계( S200); 더블유 형상으로 배열된 화폭부재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300); 접철선을 기준하여, 다수개의 일측 경사면에 설정된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400); 및 접철선을 기준하여, 다수개의 타측 경사면에 설정된 또 다른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상기 단계(S400, S500)를 좀더 살펴보면, 우선 더블유 형상으로 배열된 화폭부재에 대하여, 다수개의 일측 경사면에는 설정된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릴린몬로"의 이미지에 해당함.)를 유화용 붓으로 그려넣는다.
그리고 나서, 다수개의 타측 경사면에는 설정된 또 다른 하나의 이미지(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바마 미국대통령"의 이미지에 해당함.)를 유화용 붓으로 그려넣는다.
여기서, 상기의 단계 S400과 S500은 순서가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즉, 다수개의 일측 경사면에 설정된 하나의 이미지("오바마 미국대통령"의
이미지에 해당함.)를 유화용 붓으로 먼저 그려넣고, 이어서 나머지 다수개의 타측 경사면에는 설정된 또 다른 하나의 이미지("마릴린몬로"의 이미지에 해당함.)를 유화용 붓으로 그려넣을 수도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아이티(IT)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와 칼라 프린터,및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서 대량으로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를 하나 이상 다수개 동일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유화용 붓으로 수작업으로써 그려넣는 상기의 유화기법과는 달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제조방법은, 우선 컴퓨터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이미지를 각각 위에서 아래로 상하 방향으로 분할(cutting)하여 저장(save)한다.
그리고, 분할하여 저장된 서로 다른 두개의 각각의 단위 이미지를 교차(오바마 -> 마릴린 몬로 -> 오바마 -> 마릴린 몬로)하여 붙여서 표시하고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교차하여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컬러 프린터로써 화폭부재(120)에 프린팅한다.
이어서, 교차하는 상기 이미지의 경계선을 기준하여, 상기 프린팅된 화폭부재(120)를 연속하는 더블유(W) 형상으로 접고, 지지패널(110) 일측 표면에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가 완성된다.
따라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제조방법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우선 디스플레이 화면상에서 서로 다른 두개의 이미지를 각각 위에서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저장하는 단계(S100); 분할하여 저장된 서로 다른 두개의 각각의 단위 이미지를 교차하여 붙여서 표시하고 저장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저장된 이미지를 프린터로써 화폭부재에 출력하는 단계(S300); 교차하여 표시된 각 이미지의 경계선을 따라 상기 화폭부재를 등간격으로 접는 단계(S400); 접힌 상기 화폭부재의 단면이 연속하는 더블유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500); 및 연속하는 더블유 형상으로 배열된 상기 화폭부재를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들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 본 발명의 이중화면 구조 캔버스에 따르면, 관람자의 동선이 고려된 것으로서 각도에 따라 화면에 시점 변화가 생김으로써, 평면의 확장성과 이미지의 가상성, 이미지 상충에 의한 상실과 서사적 사건의 발생이라는 '회화에 있어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이중구조 캔버스는 공공의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이중구조 캔버스에 있어서, 다수개 단위의 한쌍의 면인(121a,122a),(121b,122b),(121c,122c) .... 에 대하여, 각각 일방향의 지형에 따른 표시와 타방향의 지형에 따른 표시를 하나의 캔버스에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쌍의 면(121,122)에 대하여 분할된 제 1면(121a,121b,121c...)에는 '<- 경복궁'이라는 안내문구와 경복궁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분할된 제 2면(122a,122b,122c ...)에는 '창경궁 ->'이라는 안내문구와 창경궁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표시된 이중구조 캔버스 방식의 안내표지판에 따르면, 보행자는 좌측방향이 경복궁 방향이며, 우측방향이 창경궁 방향임을 시각적으로 분명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양한 작품들이 각각 여러개의 전시실에 분류되어 그룹을 이루면서 전시되는 경우, 한쌍의 면(121,122)에 대하여 분할된 제 1면(121a,121b,121c ...)에는 '<- 제1 전시실(모네 전시관)'이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모네의 대표작품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하고, 분할된 제 2면(122a,122b,122c...)에는 '제2 전시실(밀레 전시관)->'이라는 안내문구와 함께 밀레의 대표작품을 나타내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다수의 관람자의 이동에 편의성을 줄 수 있도록 전시장의 배치기획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중화면구조 캔버스가 전시된 것을 촬영한 사진이미지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된 이중화면구조 캔버스는 통상의 액자틀에 지지패널의 테두리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화폭부재를 결합시켜 구성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지지패널 120 : 화폭부재
130 : 접철선 121,122 : 한쌍의 면
121a,121b,121c : 분할된 제 1면
122a,122b,122c : 분할된 제 2면

Claims (5)

  1. 지지패널; 및
    상기 지지패널 일측면에 결합되며,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다수개의 접철선이 등간격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화폭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개의 접철선을 경계로 분할된 두개의 서로 다른 이미지가 번갈아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폭부재는,
    접철선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면이 설정된 경사각을 이루되, 다수 쌍이 연속하는 더블유(W) 형상의 단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은 30°~ 90°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면이 형성하는 접철선으로부터 지지패널까지의 높이는 2 mm ~ 20 mm 의 범위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5. 화폭부재를 일정한 폭의 등간격으로 접는 단계(S100);
    접힌 화폭부재의 단면이 연속하며, 더블유 형상이 되도록 배열하는 단계(S200);
    더블유 형상으로 배열된 화폭부재가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지지패널의 일측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300);
    접철선을 기준하여, 화폭부재의 다수개의 일측 경사면에 설정된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400); 및
    접철선을 기준하여, 화폭부재의 다수개의 타측 경사면에 설정된 또 다른 이미지를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KR1020120061752A 2012-04-04 2012-06-08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KR101341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5145 2012-04-04
KR1020120035145 2012-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50A KR20130112650A (ko) 2013-10-14
KR101341113B1 true KR101341113B1 (ko) 2013-12-11

Family

ID=4963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1752A KR101341113B1 (ko) 2012-04-04 2012-06-08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1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160B1 (ko) * 2015-07-20 2016-12-19 원혜리 다양한 분위기 연출 구조를 가지는 캔버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072A (ja) 2006-03-01 2007-09-13 Kenji Kodama 切り絵本体及び装飾表示体
JP2008074079A (ja) 2006-09-21 2008-04-03 Yariichi Suzuki スケッ構図描写用具
JP2011136516A (ja) 2009-12-28 2011-07-14 Tomoko Takahashi 粒体を使用した絵画の製作方法及び粒体を使用した絵画
KR20120007851A (ko) * 2010-07-15 2012-01-25 이승오 종이 단면을 이용한 입체형상의 표현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0072A (ja) 2006-03-01 2007-09-13 Kenji Kodama 切り絵本体及び装飾表示体
JP2008074079A (ja) 2006-09-21 2008-04-03 Yariichi Suzuki スケッ構図描写用具
JP2011136516A (ja) 2009-12-28 2011-07-14 Tomoko Takahashi 粒体を使用した絵画の製作方法及び粒体を使用した絵画
KR20120007851A (ko) * 2010-07-15 2012-01-25 이승오 종이 단면을 이용한 입체형상의 표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650A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0022B2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
CN102692805B (zh) 基于多层液晶的投影式三维显示装置和方法
JP4499771B2 (ja) 二重画面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I548079B (zh) 透明顯示器及透明顯示面板
JP4714115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US8711478B2 (en) Stereoscopic display
US10670871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apparatus
KR20120099459A (ko) 다중-스크린 이미지 디스플레이
JP4714116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および立体映像表示方法
US10545352B2 (en)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KR101574917B1 (ko) 3d 디스플레이 방법
CN104280798A (zh) 棱镜片构件和具有该棱镜片构件的多屏显示设备
JP2011053647A (ja) 立体画像表示装置
CN104459856B (zh) 一种光栅图形膜、立体光栅和裸眼3d显示装置
WO2016123998A1 (zh) 像素阵列、显示装置以及显示方法
KR102486439B1 (ko) Rgbg 픽셀 구조를 가지는 광 필드 3차원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광 필드 3차원 표시 장치
CN105182553A (zh) 一种显示装置
CN107111180B (zh) 用于无眼镜3d显示器的棱镜片和具有棱镜片的显示装置
US20170154555A1 (en) Multi-view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341113B1 (ko) 이중화면구조 캔버스 및 이중화면구조 캔버스의 제조방법
US20130147852A1 (en)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JP2014238492A (ja) 展示装置および映像展示方法
CN103021295A (zh) 高清自由立体显示器
WO2011082992A3 (de) Vorrichtung zur räumlichen darstellung mehrerer ansich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CN103714566B (zh) 裸眼三维图片、动画、跳动图片制作方法及图片合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