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492B1 -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492B1
KR101340492B1 KR1020120101301A KR20120101301A KR101340492B1 KR 101340492 B1 KR101340492 B1 KR 101340492B1 KR 1020120101301 A KR1020120101301 A KR 1020120101301A KR 20120101301 A KR20120101301 A KR 20120101301A KR 101340492 B1 KR101340492 B1 KR 101340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fuel cell
energy
generation unit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종훈
유지행
윤형철
김종남
우영민
장진영
우상국
한인섭
김선동
김세영
서두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101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에너지 발전부, (b) 재생형 연료전지(SORFC), (c) 암모니아 저장부, (d) 재생형 연료전지의 물 공급부, (e) 재생형 연료전지의 질소 공급부, 및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물과 질소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고, 이 때 생산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암모니아 합성 및 그의 이용을 위한 각각의 셀을 일체로 통합하여 암모니아를 가역적으로 사용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AMMONIA BASED REVERSIBLE FUEL CELL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풍력과 태양에너지 등의 신재생 에너지에 의해 생산된 과잉의 전기 에너지를 암모니아 형태의 화학적 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했다가, 전력의 공급이부족 할 경우, 상기 저장된 암모니아 형태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공급할 수 있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원유의 값이 폭발적으로 상승하면서 원유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태양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풍력, 조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은 일조량, 풍량 등의 변화에 따라 발전량이 달라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한 전력수급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이차전지와 같은 고용량 에너지 저장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의 경우, 저장 용량이 충분하지 못하고 충전속도가 느려 대용량의 전기를 저장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대규모의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이차전지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저장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신재생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저장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수전해를 통한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를 제조하여 저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미국 특허공개 US2003/0205641호는 항공기에 사용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태양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재생형 연료전지(Solid Oxide Regenerative Fuel Cell)를 이용하여 수소연료로 저장했다가, 필요시 저장된 수소연료를 사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신재생에너지의 저장과 사용에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전기분해에 의해 수소를 제조하고 저장하는 재생형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고압용기(350-700기압)나 별도의 수소저장재(예: 수소합금)가 필요하고, 가스 가압장치도 필요하므로 많은 설비비가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밀도(5.6 MJ/L at 700기압)도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미국특허공개 US2003/020564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압용기, 가압장치, 수소저장재 등 별도의 고가설비가 불필요하고 에너지 저장효율이 우수하여 매우 경제적이며, 에너지의 저장 및 사용이 편리한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에너지 발전부,
(b) 재생형 연료전지(SORFC),
(c) 암모니아 저장부,
(d) 재생형 연료전지의 물 공급부,
(e) 재생형 연료전지의 질소 공급부, 및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물과 질소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고, 이 때 생산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a) 에너지 발전부가 신재생에너지 발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부가 태양광, 풍력, 조력 및 지열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b) 재생형 연료전지가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스텍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스텍이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물, 질소, 암모니아 및 공기 중의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가 (a)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저장하게 하고,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재생형 연료전지(SORFC)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물 및 질소를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산된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제 1 단계와
(d) 상기 저장된 암모니아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는 가역적으로 조절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에너지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은 고압용기, 가압장치, 수소저장재 등 별도의 고가설비가 불필요하고 에너지 저장효율이 우수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에너지의 저장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활용도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 포함되는 스텍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서 일어나는 산소이온 전도 반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서 일어나는 수소이온 전도 반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은 암모니아 합성 및 그의 이용을 위한 각각의 셀을 일체로 통합하여 암모니아를 가역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암모니아는 액체연료 형태로 저장이 가능하므로, 수소보다 저장 및 이송이 용이(8.5 기압: 액체)하고 에너지 밀도(11.5 MJ/liter, 액화 암모니아)도 높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암모니아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은 태양광, 풍력, 조력, 지력 등을 이용한 발전 분야에서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외부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전기에너지의 공급량이 일정하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을 이용하면, 신재생에너지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수요보다 많을 때, 이를 저장이 용이한 암모니아 형태의 화학적 에너지로 저장하고, 생산된 전력이 수요보다 부족할 때는 미리 저장한 암모니아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 전력 계통으로 다시 공급해 주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는 (a) 에너지 발전부, (b) 재생형 연료전지((Solid Oxide Regenerative Fuel Cell), (c) 암모니아 저장부, (d) 재생형 연료전지의 물 공급부, (e) 재생형 연료전지의 질소 공급부, 및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은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물과 질소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c) 상기 생성된 암모니아를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고, 이 때 생산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a) 에너지 발전부는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특히 신재생에너지 발전부일 경우 본 발명의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부는 태양 에너지, 풍력, 조력 및 지열 등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경우는,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전기의 발전량이 수시로 바뀌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은 시스템이 특히 필요하다.
상기 (b) 재생형 연료전지는,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스텍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
상기 스텍은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물, 질소, 암모니아 및 공기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 가스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켓은 스텍과 스텍을 구분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 포함되는 스텍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텍 단위는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상기 전해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물, 질소, 암모니아 및 공기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 가스켓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산소이온 전도(oxygen ion conductor)에 의한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산소이온 전도에 의해 암모니아를 합성하여 저장하고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반응은 하기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암모니아 합성: 산소이온전도
Cathode: 3H2O+ N2+6e-→ 3 O2 -+2NH3 ,
Anode: 3 O2 -→3/2O2+6e-,
저장된 암모니아 이용 전기 생산:
Cathode: 2NH3 → N2 + 3H2
Cathode: 3H2 + O2 - → 3H2O + 6e-
또한,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이온 전도에(hydrogen ion conductor) 에 의한 반응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소이온 전도에 의해 암모니아를 합성하여 저장하고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반응은 하기 반응식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암모니아 합성:
Anode: 3H2O→6H++3/2O2+6e-,
Cathode: N2+6H++6e-→2NH3
저장된 암모니아 이용 전기 생산:
Anode: 2NH3 → N2 + 3H2
Anode: H2 → 2H+ + 2e-
상기 산소이온 전도 및 수소이온 전도에 의해 반응은 이 분야에 잘 알려진 것과 동일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는 (a) 에너지 발전부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은 반응에 의해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본 발명의 (b) 재생형 연료전지에 포함되는 전극은 한 전극에서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같은 재료가 제 1전극 및 제 2전극이 될 수 있다. 연료전지 작동온도에서 산화 및 환원 분위기에서도 안정적인 재료가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극으로는 Pt, Ag, Au, Pd 등의 귀금속 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산화물 전극으로는 환원분위기에서 안정적인 페롭스카이트 (perovskite) 물질인 SrTiO3, LaCrO3, LaFeO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암모니아 합성 및 이용의 특성에 따라 도핑하거나 복합체로 사용하여 전극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로는 이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산소이온전도 고체전해질로는 doped-ZrO2, doped-CeO2, LaSrGaMgO3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소이온전도 고체전해질로는 doped-SrCeO3, doped-BaCeO3, doped-BaZrO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 암모니아 저장/공급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화학적으로 생산된 암모니아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 이를 다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공급하는 저장부 및 공급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저장 및 공급의 기능이 가능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암모니아 저장/공급부가 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인 가압 또는 냉각을 통한 암모니아 액화 저장 및 감압 또는 가열을 통한 암모니아 방출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는 고체 흡수제를 이용한 암모니아 저장 및 가열을 통한 암모니아 방출 (US 7,964,163 B2), 알코올을 이용한 암모니아 흡수 저장 및 가압 또는 가열을 통한 암모니아 방출 (US 2003/0189188 A1)이 있다.
상기 (d) 재생형 연료전지의 물 공급부는 재생형 연료전지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 공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 재생형 연료전지의 질소 공급부는 재생형 연료전지에서 일어나는 반응에 필요한 질소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질소 공급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는 (a)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저장하게 하고,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는 전기의 생산, 운반, 소비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하여 공급자와 소비자가 서로 상호작용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인 지능형 전력망을 의미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a)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재생형 연료전지(SORFC)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물 및 질소를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산된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제 1 단계와
(d) 상기 저장된 암모니아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는 가역적으로 조절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에너지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술한 시스템에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앞선 기재를 참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스마트그리드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스마트그리드는 상기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저장하게 하고, 또는 상기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상기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조절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상기 에너지 발전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태양광, 풍력, 조력 및 지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을 포함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어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0)

  1. (a) 에너지 발전부,
    (b) 재생형 연료전지(SORFC),
    (c) 암모니아 저장/공급부,
    (d) 재생형 연료전지의 물 공급부,
    (e) 재생형 연료전지의 질소 공급부, 및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물과 질소를 사용하여 전기화학적으로 암모니아를 생산하고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하는 과정, 또는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고, 이 때 생산되는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에너지 발전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재생에너지 발전부는 태양광, 풍력, 조력 및 지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재생형 연료전지는,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스텍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텍은 제1 전극 또는 제2 전극에 물, 질소, 암모니아 및 공기 중 하나 이상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구비된 가스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 스마트그리드 제어부는 (a)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저장하게 하고, 또는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c)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b)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a)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7. (a) 에너지 발전부로부터 재생형 연료전지(SORFC)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물 및 질소를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단계; 및
    (c) 상기 생산된 암모니아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제 1 단계와
    (d) 상기 저장된 암모니아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소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단계는 가역적으로 조절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에너지 생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는 스마트그리드에 의해 조절되며, 상기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함으로써 암모니아를 생산하여 저장하게 하고, 또는 상기 에너지 발전부의 발전량이 수요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상기 암모니아 저장부에 저장된 암모니아를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에 공급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상기 에너지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와 함께 소비자에게 공급하도록 조절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적 에너지 생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발전부는 신재생에너지 발전부로, 태양광, 풍력, 조력 및 지열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발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적 에너지 생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형 연료전지는, 산소 이온 또는 수소 이온을 전도할 수 있는 고체전해질 및 상기 전해질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스텍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적 에너지 생산 방법.

KR1020120101301A 2012-09-13 2012-09-13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34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01A KR101340492B1 (ko) 2012-09-13 2012-09-13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01A KR101340492B1 (ko) 2012-09-13 2012-09-13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0492B1 true KR101340492B1 (ko) 2013-12-11

Family

ID=49988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301A KR101340492B1 (ko) 2012-09-13 2012-09-13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9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196B1 (ko) 2020-05-15 2021-05-20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기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
KR20220042015A (ko) 2020-09-25 2022-04-04 한국기계연구원 연속운전이 가능한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42014A (ko) 2020-09-25 2022-04-04 한국기계연구원 암모니아 기반 양방향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51043A (ko) 2020-10-15 2022-04-26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된 수소를 이용하여 부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양방향수전해 시스템
KR20220051044A (ko) 2020-10-15 2022-04-26 한국기계연구원 스팀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한 양방향수전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03A (ja) * 1992-06-16 1994-01-14 Shinnenshiyou Syst Kenkyusho:Kk 燃料電池反応を利用したアンモニア合成装置
JP2004035383A (ja) 2002-06-28 2004-02-05 Masaya Nagai 水素固定再生法
JP2010282755A (ja) 2009-06-02 2010-12-16 Hitachi Zosen Corp アンモニアを燃料に用いる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10219773A1 (en) 2008-11-16 2011-09-15 Gerrish Steven R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hydrogen from cellulosic and/or grain feedstocks for use as a vehicle fuel, use in the production of anhydrous ammonia, and to generate electric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03A (ja) * 1992-06-16 1994-01-14 Shinnenshiyou Syst Kenkyusho:Kk 燃料電池反応を利用したアンモニア合成装置
JP2004035383A (ja) 2002-06-28 2004-02-05 Masaya Nagai 水素固定再生法
US20110219773A1 (en) 2008-11-16 2011-09-15 Gerrish Steven R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hydrogen from cellulosic and/or grain feedstocks for use as a vehicle fuel, use in the production of anhydrous ammonia, and to generate electricity
JP2010282755A (ja) 2009-06-02 2010-12-16 Hitachi Zosen Corp アンモニアを燃料に用いる燃料電池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196B1 (ko) 2020-05-15 2021-05-20 (주)원익머트리얼즈 암모니아 기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시스템
KR20220042015A (ko) 2020-09-25 2022-04-04 한국기계연구원 연속운전이 가능한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42014A (ko) 2020-09-25 2022-04-04 한국기계연구원 암모니아 기반 양방향 연료전지 시스템
KR20220051043A (ko) 2020-10-15 2022-04-26 한국기계연구원 연료전지로부터 생성된 수소를 이용하여 부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양방향수전해 시스템
KR20220051044A (ko) 2020-10-15 2022-04-26 한국기계연구원 스팀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전을 위한 양방향수전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ott Introduction to electrolysis, electrolysers and hydrogen production
Smolinka et al. Hydrogen production from renewable energies—electrolyzer technologies
Sebbahi et al. Assessment of the three most developed water electrolysis technologies: alkaline water electrolysis, proton exchange membrane and solid-oxide electrolysis
Ni et al. Ammonia‐fed solid oxide fuel cells for power generation—a review
Stambouli Fuel cells: The expectations for an environmental-friendly and sustainable source of energy
Badwal et al. Emerging electrochemical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technologies
Stempien et al. Solid Oxide Electrolyzer Cell Modeling: A Review.
Orhan et al. Investigation of an integrated hydrogen production system based on nuclear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Comparative evaluation of hydrogen production options with a regenerative fuel cell system
KR101340492B1 (ko) 암모니아 기반의 가역 연료전지 시스템 및 방법
Ayers et al. Efficient generation of high energy density fuel from water
Breeze Fuel cells
Kempler et al. Research priorities for seasonal energy storage using electrolyzers and fuel cells
Sung et al. A novel micro protective layer applied on a simplified PEM water electrolyser
Abdin et al. A review of renewable hydrogen hybrid energy systems towards a sustainable energy value chain
Steinberger-Wilckens et al. Innovations in fuel cell technologies
Contreras et al. Molten carbonate fuel cells: a technological perspective and review
Andrijanovitš et al. New method for stabiliza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using energy storage technology.
Ali et al. Fuel Cells-A signpost to future
Badgett et al. Water Electrolyzers and Fuel Cells Supply Chain: Supply Chain Deep Dive Assessment
Gupta et al. Solid oxide fuel cell: A review
KR100968224B1 (ko) 주거용 신재생에너지-재생연료전지 복합시스템
Wei et al. Evaluation on the efficiency of a solar powered solid oxide electrolysis cell plant for carbon dioxide reduction
McEvo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of electrochemistry
Felseghi et al. Hydrogen fuel cell technologies for sustainable stationary applications
He et al. Electrochemical hydrogen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