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912B1 -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912B1
KR101339912B1 KR1020120149353A KR20120149353A KR101339912B1 KR 101339912 B1 KR101339912 B1 KR 101339912B1 KR 1020120149353 A KR1020120149353 A KR 1020120149353A KR 20120149353 A KR20120149353 A KR 20120149353A KR 101339912 B1 KR101339912 B1 KR 101339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inding device
wire
guide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천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최경희
이수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희, 이수천 filed Critical 최경희
Priority to KR102012014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B66D1/38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by means of guides movable relative to drum or bar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요 구성요소가 많은 복잡하고 구조를 탈피하여 구조가 간소화되고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권취장치를 제공함은 물론, 편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관로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측에 벽체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원(2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보빈축(31)이 상기 구동축과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보빈축 외면에 형성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게 한 보빈(3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스크류축(41)이 상기 보빈축과 연결부재(3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축 외면에 스크류홈(42)이 형성된 양방향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홈과 체결되어 상기 양방향 스크류에 대해 무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55)가 구비된 와이어홀더(50)와, 상기 각 벽체 내에서 상기 양방향 스크류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홀더의 일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56)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와이어홀더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에 관한다.

Description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WINDING DEVICE USING THE BOTH SCREW, AND PHOTOGRAPHING SYSTEM FOR DETECTING PIPE ROUTE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도 와이어가 보빈(bobbin)의 권선구간에 순차적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되고, 또한 스텝핑 모터를 적용하여 관로 촬영시 편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선, 호스, 실, 견인줄 등 선형으로 된 각종 와이어는 그 구조적 특성상 가늘고 길이가 긴 형태이므로 통상적으로 원통형이나 다각형의 보빈(bobbin)에 감아서 보관하고, 필요시 보빈으로부터 와이어를 인출하여 사용하며, 이때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꼬이거나 엉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빈의 권선구간에 와이어가 왕복 이동하면서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3-0005742호(공개일 2003. 1. 23.)에서는 선재를 보빈에 일정한 폭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자동으로 권취할 수 있고 보빈의 양사이드에서 순서대로 정확하게 선재의 정렬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권취대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선재를 권취하는 보빈; 상기 보빈을 권취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이동체가 좌우로 왕복운동하도록 정역모터, 리드스크류, 가이드봉을 구비하는 트래버스; 상기 이동체에 설치되어 선재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가이드롤러; 상기 보빈의 회전속도 및 선재의 선속도를 각각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회전속도와 선속도의 비례편차를 검출하여 보빈의 양사이드에서 정역모터의 구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권취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권취장치는, 보빈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비롯해 이동체를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정역모터 등 각기 기능이 다른 2개의 모터가 요구될 뿐 아니라, 정역모터의 구동방향 전환을 위해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요구되는 등, 많은 구성요소가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고가이고, 조립시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로 하여 생산비가 높으며, 센서 등의 민감한 부품 사용에 따라 오작동 우려가 높으며, 또한 유지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가지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필요 구성요소가 많은 복잡하고 구조를 탈피하여 구조가 간소화되고 조립이 용이하며 제조비용이 저렴한 권취장치를 제공하고, 또한 이러한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촬영시 조작과 제어가 용이한 관로 촬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양측에 벽체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원(2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보빈축(31)이 상기 구동축과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보빈축 외면에 형성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게 한 보빈(3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스크류축(41)이 상기 보빈축과 연결부재(3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축 외면에 스크류홈(42)이 형성된 양방향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홈과 체결되어 상기 양방향 스크류에 대해 무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55)가 구비된 와이어홀더(50)와, 상기 각 벽체 내에서 상기 양방향 스크류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홀더의 일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56)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와이어홀더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스크류홈은, 왼나사홈과 오른나사홈이 각각 동시에 교차 형성되고 각 나사홈의 양측 단부는 서로 연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권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와이어홀더는, 상기 스크류홈에 일부분이 내입된 복수 개의 볼(51)과, 상기 양방향 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홀(52)이 형성된 내측부싱(53)과, 내면이 상기 내측부싱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원통형으로 된 외측부싱(54)과, 내면이 상기 외측부싱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내측부싱의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싱, 외측부싱, 몸체의 양측 면에 각각 고정판(58)이 설치되며 상기 각 고정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고정되게 할 수 있다.
권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각 벽체의 내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통과한 와이어를 안내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가이드빔(7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로 촬영 시스템은, 상기 권취장치(100)와, 상기 권취장치의 와이어(W) 단부에 장착된 카메라(C) 및 상기 권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권취장치의 구동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201)와, 상기 카메라의 촬상 또는 상기 조작부의 제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2)와, 상기 표시부를 레코팅(recording)하는 기록부(20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로 촬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구동원은 스템핑 모터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권취장치의 구동원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선조작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방향 스크류를 적용함으로써 단일의 모터를 통해 보빈축과 스크류축을 동시에 구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정역회전 시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구조가 매우 간소화되어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구동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고장 발생률이 현저히 감소되며, 그에 따라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제품의 신뢰도가 대폭 향상되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구조의 간소화로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고, 와이어의 종류에 제한 없이 어떠한 종류의 와이어라도 권취할 수 있게 되어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더욱이 본 발명의 권취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촬영을 수행할 때 스텝핑모터를 적용하고, 이를 임의 또는 자동으로 조작하고, 촬영 상태 및 영상을 표시하는 등의 제어장치를 통해 1인이 독자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 향상은 물론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 요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 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사항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 요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취장치는 크게 베이스부재(10), 구동원(20), 보빈(30), 양방향스크류(40), 와이어홀더(50) 및 슬라이드빔(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0)는 양측 단부에 수직한 벽체(11)가 형성되어 권취장치의 기본 틀을 형성하기 위한 일종의 프레임으로, 재질은 강한 금속재로 제조하되, 그 구조를 경량화하는 것이 좋다.
상기 구동원(20)은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회전 구동하는 모터 등의 각종 구동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원(20)에는 구동축(21)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축(21)은 베어링과 같은 회전 가능한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11)에 축설된다.
상기 보빈(30)은 외부 둘레면에 와이어(W)를 권취하기 위해 원통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빈(30)의 중심축에는 보빈축(31)이 구비되고, 상기 보빈축(31)은 베어링과 같은 회전 가능한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11)에 축설된다.
상기 양방향스크류(40)는 외면에 양방향의 스크류홈(42)이 가공된 것으로, 양방향스크류의 중심축에는 스크류축(41)이 구비되고, 상기 스크류축(41)은 베어링과 같은 회전 가능한 수단을 매개로 하여 상기 벽체(11)에 축설된다.
이때 상기 구동축(21)과 보빈축(31)은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보빈축(31)과 스크류축(41)은 또 다른 연결부재(32)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며, 상기 각 연결부재(22)(32)는 예를 들어 벨트, 체인 등과 같은 각동 구동 연결수단을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홀더(50)는 내부 중심공에 상기 양방향스크류(40)가 관통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홈(42)과 체결되어 상기 양방향 스크류에 대해 무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며, 일측에 상기 와이어(W)를 안내하기 위해 링 또는 고리 형태의 제1가이드(55)가 구비된 것으로, 상기 와이어홀더(50)의 구체적 구조 및 양방향스크류(40)와의 결합 관계는 후술한다.
여기서 양방향스크류(4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스크류는 왼나사산 또는 오른나사산이 형성되고, 이 스크류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나사산에 나합된 소정의 이동체가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이 경우 정역회전 모터 혹은 일방향 모터의 구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레칫 또는 기어 구조 등 복잡한 구조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개선한 상기 스크류홈(42)은, 하나의 원형봉에 왼나사홈과 오른나사홈을 동시에 가공하되, 왼나사홈과 오른나사홈을 교차 형성되게 가공하고 상기 왼나사홈 및 오른나사홈의 양측 단부를 서로 연통하게 가공한 것이며, 이와 같은 구조의 스크류홈(42)에 나합된 이동체, 즉 상기 와이어홀더(50)는 양방향스크류(40)가 어느 일 방향으로 회전시 스크류홈(42)을 타고 왕복 이동하게 된다. 즉 양방향스크류(40)가 방향전환을 하지 않고 어느 한 방향으로 무한 회전하면 와이어홀더(50) 역시 양방향스크류(40)의 스크류홈(42)을 따라 무한 왕복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드빔(60)은 양측 단부가 상기 각 벽체(11)에 고정되어 상기 각 벽체(11) 내에서 상기 양방향스크류(40)와 평행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와이어홀더(50)가 양방향스크류(40)에 대해 왕복 이동할 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왕복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와이어홀더(50)의 일측에는 홈 형태의 제2가이드(56)가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56) 내에는 상기 슬라이드빔(60)이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된다.
한편, 도 1과 같이 상기 각 벽체(11) 내에는 도시한 것과 같이 최 외곽 부부분에 가이드빔(70)이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빔(70)은 최 외곽에서 상기 제1가이드(55)를 통과한 와이어(W)가 꼬이거나 엉키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홀더(50)는, 크게 볼(51), 내측부싱(53), 외측부싱(54), 몸체(57)로 이루어진다.
상기 볼(51)은 구슬과 같이 구형으로 되고 복수 개가 상기 양방향스크류(40)의 외면에 일정 배치되는 것으로, 각 볼(51)이 일부분이 상기 스크류홈(42)에 내입되는 구조이다.
상기 내측부싱(53)은 상기 양방향스크류(40)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벽면에는 상기 볼(5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홀(52)이 형성되며, 상기 홀(52)은 상기 볼(51)이 설치되는 위치 및 갯수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외측부싱(54)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면이 상기 내측부싱(53)의 외면에 접하게 되어 상기 볼(51)이 홀(5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몸체(57)는 중심에 상기 외측부싱(55)이 삽입, 고정되도록 도넛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중심 내면이 상기 외측부싱(55)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되고 외면에는 상기 제1가이드(55) 및 제2가이드(5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57)가 제1가이드(55)의 와이어(W) 및 제2가이드(56)의 슬라이드빔(60)과 각각 마찰 구동하는 점으로 고려하여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하되, 마찰력이 최소화된 특성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미설명부호 '58'은 고정판으로서, 상기 고정판(58) 역시 도넛 형태의 판재이며, 상기 내측부싱(53), 외측부싱(54) 및 몸체(57)의 양측 면에 각각 접하도록 마련되고, 이후 상기 각 고정판(58)을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상호 고정하면, 내측부싱(53), 외측부싱(54) 및 몸체(57)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측부싱(53)의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53')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 볼트 혹은 나사 등의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고정판(58)과 플랜지(53') 및 외측부재(54)를 관통하도록 하여 고정판(58)과 함께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권취장치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 촬영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태의 권취장치(100)와, 상기 권취장치(100)의 와이어(W) 단부에 장착된 카메라(C) 및 상기 권취장치(100)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관로나 관정 내부로 상기 카메라(C)를 투입하여 관로 내부를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권취장치의 구동원(20)은 회전속도의 증속과 감속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적용하는 한편, 상기 권취장치의 가이드빔(70)을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고 엔코더(encoder)를 설치하여 와이어(W)가 풀려나간 길이(거리) 등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권취장치(100)의 구동원(20)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201)와, 상기 카메라(C)의 촬상 또는 상기 조작부(201)의 제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2)와, 상기 표시부(202) 화면을 레코팅(recording)하는 기록부(20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조작부(201), 표시부(202) 및 기록부(203)를 하나의 공간에 모듈화하여 휴대 가능한 가방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표시부(202)는 상기 카메라(C)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하거나 조작부(201)에서 조작한 동작 상태(예를 들어, 모터 회전 속도, 카메라의 이동 거리 등)를 표시한다.
상기 기록부(203)는 예를 들어 DVR(Digital Video Recorder)과 같은 영상 기록 장치이며, 상기 표시부(202)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압축하여 저장한다.
관로 촬영시 작업성과 편리성 증대를 위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권취장치(100)의 구동원(20)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선조작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조작부(210)는 일종의 리모컨으로서 상기 제어장치의 조작부(201) 기능을 무선으로 대체하여 원거리에서도 관로 촬영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베이스부재 11: 벽체
20: 구동원 21: 구동축 22: 연결부재
30: 보빈(bobbin) 31: 보빈축 32: 연결부재
40: 양방향스크류 41: 스크류축 42: 스크류홈
50: 와이어홀더 51: 볼(ball) 52: 홀(hole)
53: 내측부싱 53': 플랜지 54: 외측부싱
55: 제1가이드 56: 제2가이드 57: 몸체
58: 고정판 60: 슬라이드빔 70: 가이드빔
100: 권취장치
200: 제어장치 201: 조작부 202: 표시부
203: 기록부 210: 무선조작부
C: 카메라 W: 와이어

Claims (7)

  1. 양측에 벽체가 형성된 베이스부재(10)와,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구동축(21)을 회전시키는 구동원(2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보빈축(31)이 상기 구동축과 연결부재(2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보빈축 외면에 형성되어 와이어(W)가 권취되게 한 보빈(30)과,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스크류축(41)이 상기 보빈축과 연결부재(32)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축 외면에 스크류홈(42)이 형성된 양방향 스크류(40)와, 상기 스크류홈과 체결되어 상기 양방향 스크류에 대해 무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일측에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제1가이드(55)가 구비된 와이어홀더(50)와, 상기 각 벽체 내에서 상기 양방향 스크류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홀더의 일측에 형성된 제2가이드(56)와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홀더의 회전을 방지하는 동시에 와이어홀더의 왕복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빔(60)을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홀더는, 상기 스크류홈에 일부분이 내입된 복수 개의 볼(51)과, 상기 양방향 스크류의 외면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을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홀(52)이 형성된 내측부싱(53)과, 내면이 상기 내측부싱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볼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원통형으로 된 외측부싱(54)과, 내면이 상기 외측부싱의 외면에 접하여 고정되고 외면에 상기 제1가이드 및 제2가이드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5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홈은, 왼나사홈과 오른나사홈이 각각 동시에 교차 형성되고 각 나사홈의 양측 단부는 서로 연통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싱의 일측 단부에 외향 돌출된 플랜지(53')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싱, 외측부싱, 몸체의 양측 면에 각각 고정판(58)이 설치되며 상기 각 고정판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벽체의 내에는 상기 제1가이드를 통과한 와이어를 안내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가이드빔(7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6. 청구항 1 기재의 권취장치(100)와, 상기 권취장치의 와이어(W) 단부에 장착된 카메라(C) 및 상기 권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관로 촬영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권취장치의 구동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201)와, 상기 카메라의 촬상 또는 상기 조작부의 제어 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02)와, 상기 표시부 화면을 레코팅(recording)하는 기록부(2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촬영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권취장치의 구동원 동작을 무선으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무선조작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촬영 시스템.
KR1020120149353A 2012-12-20 2012-12-20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KR101339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53A KR101339912B1 (ko) 2012-12-20 2012-12-20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353A KR101339912B1 (ko) 2012-12-20 2012-12-20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9912B1 true KR101339912B1 (ko) 2013-12-10

Family

ID=4998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53A KR101339912B1 (ko) 2012-12-20 2012-12-20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9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989A (zh) * 2015-07-09 2015-11-1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四研究所 折线槽排缆装置
CN108178081A (zh) * 2018-01-23 2018-06-19 盘锦中舜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强制滚筒排绳装置
CN109969948A (zh) * 2019-03-28 2019-07-05 沈阳建筑大学 一种塔机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102205477B1 (ko) * 2019-08-02 2021-0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 장입 장탈 장치 및 방법
KR20230054001A (ko) 2021-10-15 2023-04-24 이인현 호스 권취기의 가이드 스크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01A (ja) * 2000-05-31 2001-12-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介護リフトのベルト支持構造
JP2008540285A (ja) * 2005-05-04 2008-11-20 シェイドウィンド 25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ウインチ
JP2010006516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装置
KR101027398B1 (ko) * 2008-02-18 2011-04-11 임선우 선박용 소형 윈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401A (ja) * 2000-05-31 2001-12-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介護リフトのベルト支持構造
JP2008540285A (ja) * 2005-05-04 2008-11-20 シェイドウィンド 25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ウインチ
KR101027398B1 (ko) * 2008-02-18 2011-04-11 임선우 선박용 소형 윈치 장치
JP2010006516A (ja) * 2008-06-25 2010-01-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昇降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5989A (zh) * 2015-07-09 2015-11-11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四研究所 折线槽排缆装置
CN108178081A (zh) * 2018-01-23 2018-06-19 盘锦中舜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强制滚筒排绳装置
CN108178081B (zh) * 2018-01-23 2024-02-27 盘锦中舜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强制滚筒排绳装置
CN109969948A (zh) * 2019-03-28 2019-07-05 沈阳建筑大学 一种塔机自动控制系统及方法
CN109969948B (zh) * 2019-03-28 2023-06-30 沈阳建筑大学 一种塔机自动控制系统及方法
KR102205477B1 (ko) * 2019-08-02 2021-0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유도 비행체 장입 장탈 장치 및 방법
KR20230054001A (ko) 2021-10-15 2023-04-24 이인현 호스 권취기의 가이드 스크류
KR102596803B1 (ko) * 2021-10-15 2023-10-31 이인현 호스 권취기의 가이드 스크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9912B1 (ko) 양방향스크류를 이용한 권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촬영 시스템
KR101555893B1 (ko) 전력 코드의 인출 및 인입
CA2788559A1 (en) Windlass system and method
CN106986277A (zh) 一种具有自动排绳及测力功能的柔索驱动装置及方法
CN201990289U (zh) 一种复合非织造布材料卷绕机
JP2015152172A (ja) 開口部、特に機械開口部用カバー装置
CN109160433A (zh) 一种恒张力绞车及线缆收放装置
US10149606B2 (en) Optical unit and endoscope
KR20150093411A (ko) 와이어 감속기
KR101195976B1 (ko) 무대설비용 와이어 권취장치
JP2009263683A5 (ko)
KR20070015033A (ko) 부착된 연결 수단의 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장치
US3959644A (en) Apparatus for adjustably positioning an air-cooled device
US10974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powered vertical axis hose reel
KR20130019654A (ko) 윈치 장치용 센서 패키지
KR101345817B1 (ko) 와이어유도장치
JP2005324327A (ja) 遠隔移動ロボット
CN216202251U (zh) 旋转升降机构、装置及查验设备
CN204778066U (zh) 电动晾衣机的卷线装置
CN210111475U (zh) 一种绕线装置和迪尼玛绳绕线系统
CN212174095U (zh) 双绳卷绕装置
CN205000154U (zh) 一种电动晾衣架的卷线装置
CN210312903U (zh) 一种绕线装置及绕线车
CN216190091U (zh) 卷线装置和机器人系统
KR101511121B1 (ko) 콤팩트형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