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810B1 -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810B1
KR101339810B1 KR1020070054614A KR20070054614A KR101339810B1 KR 101339810 B1 KR101339810 B1 KR 101339810B1 KR 1020070054614 A KR1020070054614 A KR 1020070054614A KR 20070054614 A KR20070054614 A KR 20070054614A KR 101339810 B1 KR101339810 B1 KR 101339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fuse
electromagnetic coil
coil body
holder
lead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4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6769A (ko
Inventor
오성택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4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81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6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6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74Switches in which only the opening movement or only the closing movement of a contact is effected by heating or cooling
    • H01H37/76Contact member actuated by melting of fusible material, actuated due to burning of combustible material or due to explosion of explos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이 인출되고 온도퓨즈(50)가 고정되는 홀더(200)가 전자코일체(30)에 설치되고, 상기 홀더(200)의 외측면에는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의 리드선(32)(51)을 연결시키는 니퍼형 터미널(300)(400)이 구성되어, 상기 니퍼형 터미널(300)(400)에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의 리드선(32)(51)을 간편하게 설치하여 통전시킴으로써 장착성 및 통전성이 우수하고,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의 패키지가 단순화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전자클러치, 필드코일, 전자코일, 온도퓨즈, 니퍼형 터미널, 플랫형 터미널

Description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field coil assembly for electromagnetic clutch}
도 1은 종래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온도퓨즈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니퍼형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니퍼형 터미널과 리드선간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5a는 결합 전 상태이고, 도 5b는 결합 후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니퍼형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플랫형 터미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필드코일 어셈블리 10 : 필드코어
11 : 수용홈 20 : 보빈
21 : 접속돌부 30 : 전자코일체
31 : 인입선 32 : 리드선
40 : 커버 41 : 수용돌부
42 : 지지돌부 50 : 온도퓨즈
51 : 리드선 60 : 스플라이스
70 : 수납부 71 : 측벽
72 : 블럭 73 : 홈
80 : 인서팅 터미널 100 : 필드코일 어셈블리
110 : 사출물 200 : 홀더
210 : 장착돌부 220 : 수용돌부
230,240 : 결합돌부 250 : 인출공
300,400 : 니퍼형 터미널 310,410 : 베이스
320,420 : 접속핀 330,430 : 슬롯
340,440 : 덮개 341,441 : 관통공
500 : 플랫형 터미널 510 : 접속핀
520 : 슬롯
본 발명은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코일체의 리드선과 온도퓨즈의 리드선을 홀더에 설치된 터미널에 견고하게 접속시켜 통전시킴으로써 전자코일체와 온도퓨즈의 통전성이 우수하게 유지되고, 작업성이 우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전원 공급시 권선된 코일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그에 따른 자기력으로 풀리의 디스크와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를 연결함으로써, 전자클러치가 엔진에 의해 회전하는 풀리의 구동력을 압축기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전달되게 하는 전기장치로서, 권선된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압축기에 대한 동력을 단속하여 공조장치의 냉방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는, 압축기의 클러치가 과열될 때 코일을 쇼트시키는 온도퓨즈를 포함한다.
그리고, 온도퓨즈는 비정상적인 요인에 의해 압축기가 로크(Lock)되었을 경우, 압축기 로크전에 발생되는 클러치 슬립 열에 의하여 쇼트되어 전자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압축기 로크에 따른 부하가 엔진에 걸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압축기 구동벨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온도퓨즈는 압축기가 로크되면, 풀리의 디스크가 구동축의 허브 디스크에 대하여 슬립됨으로써 이 슬립부분에서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슬립부분의 온도 이상상승에 의하여 쇼트되도록 풀리의 디스크에 근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코일이 링형으로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30)와, 일면이 개방된 환형의 합성수지재로서 상기 전자코일체(30)를 수용하여 전자코일체(30)의 형상을 유지하는 보빈(20)과, 일면이 개방되어 그 개방면을 통해 내부의 수용홈(11)으로 상기 보빈(20)을 수용하여 그 보빈(20)과 보빈(20)내의 전자코일체(3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필드코어(10)와, 상기 필드코어(10)의 개방면을 밀폐하는 원형의 커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필드코일 어셈블리(2)에는, 압축기의 클러치가 과열될 때 전자코일체(30)를 단선시키는 온도퓨즈(50)가 더 부가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온도퓨즈(50)는, 온도퓨즈(50)의 두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일측으로부터 커버(40)의 외측으로 인출된 두 리드선(32)이 한 쌍의 스플라이스(60)에 의해 서로 접속되고, 상기 스플라이스(60)는 커버(40)에 성형된 지지돌부(4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온도퓨즈(50)는 커버(40)에 성형된 수용돌부(4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온도퓨즈(50)의 접속방법에 있어 전술한 종래의 스플라이스(60) 접속방법보다 더 진일보된 온도퓨즈(50)의 접속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37978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온도퓨즈(50)의 접속방법은, 인서팅 터미널(80)을 이용하여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를 접속시킨 것으로서, 전술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드코어(10)의 반대편인 커버(40) 외측면의 수용돌부(41) 양편에는 온도퓨즈(50)의 두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두 리드선(32)을 끼울 수 있도록 된 수납부(70)가 형성된다.
상기 양 수납부(70)는 서로 마주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이 커버(40)에서 돌출된 측벽(71)으로 둘러 쌓이고, 상기 수납부(70)내에는 돌출된 다수의 블럭(72)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블럭(72) 사이는 이격된 홈(73)으로 형성되고, 이 홈(73)에는 상기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이 각각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70)에는 이 수납부(70)에 끼워진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과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을 수납부(70)에 고정시키면서 전기적으로 통전시키기 위한 인서팅 터미널(80)이 수납부(70)의 홈(73)에 끼워져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2)는 도 2에서와 같이, 전자코일체(30)의 두 리드선(32)과 온도퓨즈(50)의 두 리드 선(51)이 끼워진 수납부(70)의 홈(73)에 인서팅 터미널(80)을 끼워 고정시키는데, 이때 수납부(70)의 홈(73)에 인서팅 터미널(80)을 삽입하여 끼울 때 리드선(32)(51)이 터미널(80)의 단부에 눌려 변형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리드선(32)(51)이 단락되어 온도퓨즈(50)가 정상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온도퓨즈(50)를 전술한 이외의 방법 즉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과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을 직접 납땜하여 연결할 수도 있으나, 이는 납땜 온도의 설정에 어려움이 있어 작업공정상의 매우 큰 불편함이 있었다. 즉, 납땜 온도가 높으면 리드선(32)(51)이 타버리기 때문에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의 접속이 끊어지게 되고, 납땜 온도가 낮으면 냉땜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자코일체에 설치되는 홀더에 단순화된 구조로서 전자코일체와 온도퓨즈의 리드선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통전시키는 터미널을 구성함으로써 리드선의 장착성 및 통전성, 작업성이 우수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전자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와, 상기 전자코일체 를 지지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과 전자코일체를 수용하는 필드코어 및 온도퓨즈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체의 일면에 홀더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의 일면에는 상기 온도퓨즈의 리드선과 전자코일체의 리드선이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한 접속핀을 갖는 접속터미널이 구성된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터미널은, 상기 홀더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로 전자코일체와 온도퓨즈의 리드선이 각각 압입되어 통전되는 접속핀과;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어 접속핀측으로 회전되면서 접속핀 사이에 압입된 리드선을 지지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상기 접속핀과 마주하거나 또는 수직한 위치의 베이스에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접속핀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관통공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접속터미널은, 그 일단부에 서로 이격된 접속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속핀 사이로 전자코일체와 온도퓨즈의 리드선이 각각 압입되어 통전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30)와, 상기 전자코일체(30)를 수용하여 지지하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을 수용하여 보빈(20)과 전자코일체(30)를 보호하는 필드코어(10)와, 상기 필드코어(10)내에 사출되어 보빈(20)과 필드코어(10) 사이의 공간을 매꾸면서 보빈(20)과 전자코일체(30)를 필드코어(10)내에 고정시키는 에폭시 사출물(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필드코어(10)내에 구비되는 전자코일체(30)의 외측면에는 이에 대응한 원호형의 판으로 형성된 절연체인 홀더(200)가 설치된다.
상기 홀더(200)는, 전자코일체(30)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만곡되고 그 만곡된 양 변의 외주연에 전자코일체(30)에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된 장착돌부(210)가 하향 돌출되어 형성되고, 만곡된 일측 변에는 전자코일체(30)의 두 리드선(32)을 홀더(200) 상부의 양편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2개의 인출공(250)이 천공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200)의 외측면에는 온도퓨즈(5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수용돌부(22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돌부(220)의 양편에는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을 통전되게 하는 접속터미널(300)(400)(500)이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는 결합돌부(230)(240)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돌부(220)는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된 두 개의 수직한 판이 평행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30)(240)는 접속터미널(300)(400)(500)(이하, "니퍼형 터미 널(300)(400)과 플랫형 터미널(500)"로 구분하여 설명한다)의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니퍼형 터미널(300)(400)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부(230)가 니퍼형 터미널(300)(400)의 좌우 또는 전후의 양단부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구속하는 형태로서, 서로 마주하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홀더(200)의 상면과 이격되고, 그 이격높이는 니퍼형 터미널(300)(400)의 베이스(3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랫형 터미널(500)의 경우에는 상기 결합돌부(240)가 플랫형 터미널(500)을 삽입하여 구속하는 형태로서, 상기 결합돌부(240)의 중앙부는 리드선(32)(51)이 관통할 수 있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니퍼형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에에 따른 니퍼형 터미널(300)은 덮개(340)를 갖는 전도체로서 홀더(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니퍼형 터미널(300)은, 베이스(310)와, 접속핀(320), 덮개(3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31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200)의 양 결합돌부(230)와 홀더(200)의 상면 사이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접속핀(320)은, 상기 온도퓨즈(50)와 근접한 베이스(310)의 일단부에 온도퓨즈(50)와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나열된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상 기 접속핀(320) 사이는 온도퓨즈(50)와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51)이 각각 삽입되는 슬롯(330)으로 형성된다.
상기 접속핀(32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핀이 일렬로 나열되게 형성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슬롯(33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홀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330)에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이 각각 삽입되어 접속된다.
이때, 상기 슬롯(330)은 도 5a의 원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드선(32)(51)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되,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복에 감싸져 있는 리드선(32)(51)의 심선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슬롯(330)에 강제로 압입되는 리드선(32)(51)은, 압입 시 접속핀(320)과의 마찰로 인해 피복이 벗겨지면서 내부의 심선이 접속핀(320)과 접촉됨으로써 상기 리드선(32)(51)이 접속핀(320) 사이의 슬롯(330)에 압입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리드선(32)(51)과 접속핀(320)이 통전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340)는, 접속핀(320)과 대향되도록 접속핀(320) 반대편의 베이스(310) 타단부에 베이스(3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어 가릴 수 있는 크기와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접속핀(32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관통공(341)이 천공된다.
즉, 상기와 같이 형성된 덮개(340)는, 접속핀(320)측으로 회전되어 덮개(340)의 관통공(341)에 접속핀(320)이 관통되면서 덮개(340)가 접속핀(320) 사이의 슬롯(330)에 압입된 각각의 리드선(32)(51)을 눌러 지지함으로써 상기 리드 선(32)(51)은 이의 이탈이 방지되는 견고한 결합력과 그에 따른 통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는, 먼저 니퍼형 터미널(300)의 베이스(310)를 홀더(200)의 상면과 결합돌부(230) 사이로 삽입시켜 니퍼형 터미널(300)을 고정시킨 후, 홀더(200) 양측편의 장착돌부(210)를 통해 보빈(20)에 수용되어 있는 전자코일체(30)의 일면에 홀더(200)를 안착시켜 설치한다.
이후, 홀더(200)의 양 수용돌부(220) 사이로 온도퓨즈(50)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면서 온도퓨즈(50)의 양 리드선(51)을 도 5a와 같이 양 니퍼형 터미널(300)의 슬롯(330)에 각각 강제로 압입하여 접속시키고, 전자코일체(30)의 두 리드선(32) 역시도 홀더(200)의 인출공(250)으로 인출시킨 상태에서 양 니퍼형 터미널(300)의 나머지 슬롯(330)에 각각 강제로 압입하여 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슬롯(330)에 압입되는 각 리드선(32)(51)은 슬롯(330)의 작은 폭에 의해 그 외측면의 피복이 벗겨지면서 내부의 심선이 접속핀(320)에 접속되어 통전된 상태가 된다(도 5a 참조).
한편, 상기와 같이 온도퓨즈(50)와 전자코일체(30)를 통전시킨 상태에서 베이스(310)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된 덮개(340)를 접속핀(320)측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도 5b에서와 같이 접속핀(320)이 덮개(340)의 관통공(341)으로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슬롯(330)에 압입된 리드선(32)(51)이 덮개(340)에 눌려 지지됨으로 써 리드선(32)(51)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보빈(20)을 필드코어(10)에 삽입한 후 필드코어(10)내에 에폭시 수지를 사출하여 몰딩함으로써 전자코일체(30) 및 보빈(20)을 필드코어(10) 내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전자코일체(30)와 필드코어(10) 사이를 절연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몰딩 시는, 온도퓨즈(50)를 완전히 매몰시키지 않고 그 일측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몰딩하여, 온도퓨즈(50)의 온도감지기능의 정확도를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니퍼형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이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니퍼형 터미널(400) 역시도 덮개(440)를 갖는 전도체로서 홀더(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니퍼형 터미널(400)의 덮개(440)는 다수개로 나열된 양 접속핀(420)과 수직한 위치로 형성되고, 전술한 니퍼형 터미널(300)의 덮개(340)는 접속핀(320)과 대향되는 평행한 위치로 형성된다.
상기 니퍼형 터미널(400)의 접속핀(420)은, 온도퓨즈(50)와 수직한 베이스(410)의 양단부에 서로 이격되어 나열된 3개의 핀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접속핀(420) 사이는 온도퓨즈(50)와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51)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슬롯(430)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접속핀(420)은 베이스(410)의 양편에 각각 형성되고, 이에 따른 슬롯(430)도 베이스(410)의 양편에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롯(430)에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이 더 견고하게 결합되어 통전된다.
그리고, 상기 슬롯(430)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리드선(32)(51)의 직경 즉 더 바람직하게는 피복에 감싸져 있는 리드선(32)(51)의 심선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덮개(440)는, 접속핀(420)과 수직한 위치인 베이스(410)의 일측 단부에 베이스(4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어 가릴 수 있는 크기와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접속핀(42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2개의 관통공(441)이 천공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니퍼형 터미널(400)은, 그 양단부에서 리드선(32)(51)을 고정하기 때문에, 전술한 니퍼형 터미널(300)보다 더 견고한 결합력으로서 리드선(32)(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견고한 통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의 결합과정 역시도 전술한 실시예와 대부분이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니퍼형 터미널(400)이 설치된 홀더(200)를 보빈(20)에 권선되어 있는 전자코일체(30)의 일면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후, 도 6에서와 같이 홀더(200)의 양 니퍼형 터미널(400)의 슬롯(430)에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을 각각 압입하여 병렬 접속시켜 통전시킨다.
이때, 리드선(32)(51)은 니퍼형 터미널(40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슬롯(430)에 2중으로 고정되어 접속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력으로서 리드선(32)(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견고한 통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베이스(410)에서 연장 형성된 덮개(440)를 접속핀(420)측으로 완전히 회전시키면, 도 9b에서와 같이 접속핀(420)이 덮개(440) 양편의 관통공(441)으로 각각 삽입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슬롯(430)에 압입된 리드선(32)(51)이 덮개(440)에 눌려 지지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리드선(32)(51)을 통전시키는 니퍼형 터미널(400)은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결합력으로 인한 견고한 통전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홀더와 플랫형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역시도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이나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 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에에 따른 플랫형 터미널(500)은, 덮개가 없는 전도체이다.
상기 플랫형 터미널(500)은 수직한 판형상으로서, 그 하단부는 홀더(200)에 수직하게 돌출 형성된 중공의 결합돌부(24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결합돌부(24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단부에는 서로 이격된 3개의 접속핀(510)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핀(510) 사이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온도퓨즈(50)와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51)이 각각 삽입되는 2개 홈의 슬롯(520)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롯(520)은 리드선(32)(51)의 직경 즉 피복에 감싸져 있는 리드선(32)(51)의 심선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롯(520)에 압입되는 리드선(32)(51)은 압입과정에서 자연적으로 피복이 벗겨져 접속핀(510)과 통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터미널(500)은,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달리 덮개가 없으므로 인해 리드선(32)(51)을 결합하는 과정이 도 11에서와 같이, 슬롯(520)에 압입하는 과정만으로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고, 터미널(500)의 구조가 단순화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에 따르면, 홀더에 고정되는 터미널에 전자코일체와 온도퓨즈의 리드선을 직접 접속시켜 통전시킴으로써 리드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결합력과 그에 따라 통전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통전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홀더와 터미널에 의해 필드코일 어셈블리의 패키지가 단순화되고, 리드선의 조립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조립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전자코일이 권선되어 형성된 전자코일체(30)와, 상기 전자코일체(30)를 지지하는 보빈(20)과, 상기 보빈(20)과 전자코일체(30)를 수용하는 필드코어(10) 및 온도퓨즈(50)를 포함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상기 전자코일체(30)의 일면에 홀더(200)가 설치되고, 상기 홀더(200)의 일면에는 상기 온도퓨즈(50)의 리드선(51)과 전자코일체(30)의 리드선(32)이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한 접속핀(320)(420)(510)을 갖는 접속터미널(300)(400)(500)이 구성되며,
    상기 접속터미널(300)(400)은, 상기 홀더(200)에 설치되는 베이스(310)(410)와;
    상기 베이스(310)(410)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그 사이로 전자코일체(30)와 온도퓨즈(50)의 리드선(32)(51)이 각각 압입되어 통전되는 접속핀(320)(420)과;
    상기 베이스(310)(410)에 형성되어 접속핀(320)(420)측으로 회전되면서 접속핀(320)(420) 사이에 압입된 리드선(32)(51)을 지지하는 덮개(340)(4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덮개(340)(440)는, 상기 접속핀(320)(420)과 마주하거나 또는 수직한 위치의 베이스(310)(410)에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접속핀(320)(42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관통공(341)(441)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70054614A 2007-06-04 2007-06-04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339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14A KR101339810B1 (ko) 2007-06-04 2007-06-04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4614A KR101339810B1 (ko) 2007-06-04 2007-06-04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769A KR20080106769A (ko) 2008-12-09
KR101339810B1 true KR101339810B1 (ko) 2013-12-10

Family

ID=4036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4614A KR101339810B1 (ko) 2007-06-04 2007-06-04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51A (ko) * 2018-08-20 2020-02-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9276A (ko) * 1999-12-30 2001-07-06 신영주 전자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20010063074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3074A (ko) * 1999-12-21 2001-07-09 신영주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20010059276A (ko) * 1999-12-30 2001-07-06 신영주 전자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1251A (ko) * 2018-08-20 2020-02-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2538447B1 (ko) * 2018-08-20 2023-06-0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자 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6769A (ko)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3203B2 (ja) 電気機械用のステ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84065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상기 장치의 조립 방법
US6300698B1 (en) Hermetic compress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therefor
US20060262442A1 (en) Stator for an electric motor
JP5600034B2 (ja) 電磁連結装置
KR102324900B1 (ko) 전기 기기, 그리고 전기 기기 제조 방법
US20070286753A1 (en) Electric motor
US11502575B2 (en) Motor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20090026870A1 (en) Fusing structure of motor
JP4041401B2 (ja) 多数の接点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およびこのコネクタを支持する回転電気機器
KR101141964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US5984069A (en) Electromagnetic clutch
KR101339811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KR101339810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코일 어셈블리
US6501207B2 (en) Rotor for a vehicular A. C. generator
JP2009536512A (ja) 回転電気機器の回転子の製造方法ならびに回転電気機器の回転子
KR200382537Y1 (ko) 보빈어셈블리및이것을이용한전자석클러치
KR100314913B1 (ko)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100318615B1 (ko) 온도응답성소자를구비한전동기
JP5781239B2 (ja) 回転電機の回転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0354B1 (ko) 전자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KR100314912B1 (ko) 전자 클러치의 필드 코일 조립체
CN216564710U (zh) 用于电机的母排单元
JPH0297253A (ja) 温度保護スイツチ付電動機
US20220224209A1 (en) Electric motor with injection moulded s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