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783B1 -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 Google Patents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783B1
KR101339783B1 KR1020070080037A KR20070080037A KR101339783B1 KR 101339783 B1 KR101339783 B1 KR 101339783B1 KR 1020070080037 A KR1020070080037 A KR 1020070080037A KR 20070080037 A KR20070080037 A KR 20070080037A KR 101339783 B1 KR101339783 B1 KR 101339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virus
terminal
transmiss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594A (ko
Inventor
박덕현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783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04W12/128Anti-malware arrangements, e.g. protection against SMS fraud or mobile mal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전송시도되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 및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어 발생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원하지 않는 통신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바이러스, 메시지

Description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Method and Terminal for Preventing Virus using Message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어 발생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원하지 않는 통신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의 보급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이에 비례해 별도의 다른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휴대전화만으로도 짧은 문장의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인 단문 문자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이하 'SMS'라 칭함) 이용 인구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데, 이메일과 달리 발송 시점과 거의 동시에 내용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수단의 하나로 이미 확고한 자리를 굳힌 상태이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대화식으로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에서 청소년은 물론, 정보 이용에 문외한인 중장년층의 이용도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SMS 메시지 및 정지영상을 비롯한, 음악 및 음성 그리고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대편에게 송부하는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메시지를 포함한 메시지는 휴대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유선 전화 등의 모든 유무선 통신 기기에서 이용될 수 있게 되었으며, 메시지가 전송되는 네트워크 형태 또한 이동통신망 이외에도 인터넷, PC통신, 유선 전화망 등을 포함한 모든 유무선 네트워크가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메시지 내용 측면에서도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내용에서 벗어나, 일기예보, 뉴스, 주식정보 등의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신용카드 회사들이 카드 사고를 막기 위해 거래 승인 내용을 문자 메시지를 통해 전송하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보안성이 생명인 전자결제 및 전자상거래에까지 계속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메시지의 사용 확대에 따라, 메시지의 보안이 심각하게 지켜져야 하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기술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변형하여, 자기 자신 또는 자신의 변형을 복사하여 컴퓨터 작동에 피해를 주는 명령어들의 조합인 바이러스 또는 악성코드는 일반적인 컴퓨터에서만 존재해왔으나, 요즈음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전화 등의 휴대/이동 단말기에 탑재된 운영체제에 맞는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휴대전화 등의 휴대/이동 단말기에서도 메시지에 대한 보안이 심각하게 침해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 또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특히,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방지책 또한 없는 상황이다.
전술하였듯이,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특성이 있는 바이러스는 유해한 메시지 내용 또는 악성코드 등을 여러 사람에게 퍼뜨리는 심각한 바이러스 확산 문제점이 있으며,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는 것은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메시지 전송에 따른 통신 비용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함으로써,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어 발생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전송시도되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 및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가 전송시도되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 모니터링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는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 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어 발생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메시지 전송에 따른 통신 비용을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 단말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메시지는 SMS (Short Message Service: SMS, 이하 'SMS'라 칭함) 메시지뿐만 아니라 정지영상을 비롯, 음악 및 음성 그리고 동영상 등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를 상대편에게 송부하는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메시지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방지하고자 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을 위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방지하고자 하는 바이러스(150)는 단말기 A(100)에 침투하여 저장되어있다가 유해한 메시지(101)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유한 메시지(101)를 바이러스 메시지라고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이러스 메시지(101)는 바이러스 메시지 1(111), 바이러스 메시지(112) 및 바이러스 메시지(113)를 포함한 동일한 내용을 가진 다수의 복사본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동일 내용의 메시지를 단말기 A(100)에 저장되어있는 주소록(160) 상의 전화번호로 여러 차례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단말기 A(100)에 저장된 주소록(160)에는 HKD, KCS, LYJ 및 KMS를 포함한 3명의 사용자가 있으며, 이러한 3명의 사용자의 단말기(단말기 1(110), 단말기 2(120) 및 단말기 3(130))로 위에서 전술한 바이러스 메시지(101)의 복사본인 바이러스 메시지 1(111), 바이러스 메시지(112) 및 바이러스 메시지(113)가 전송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바이러스 메시지(101)의 복사본을 전송받은 단말기 1(110), 단말기 2(120) 및 단말기 3(130)은 같은 방식으로 바이러스 메시지(101)의 복사본의 복사본을 생성하여 각기 저장하고 주소록 상의 전화번호로 전송하게 되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Virus)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200)는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210),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 및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210)은 전송시도되는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은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저장하고, 전송 시도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에서 언급한 임계값(Threshold)은 특정 시간 이내에 메시지 전송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로서, 메시지의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메시지를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하게 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이고, 임계값의 설정 방식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정 방식 및 단말기 내부에서의 자동 설정 방식 중 하나이다.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230)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에서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메시지의 전송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200)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에서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 것을 표시하여 단말기(200)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의해서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메시지인 것을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중단된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확정되면 메시지의 전송 중지 및 삭제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전술한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220)은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의해서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메시지인 것을 표시한 이후,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중단된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미확정되면 메시지의 전송 실행을 수행하게 된다. 즉,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에서 메시지를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추정)하여,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220)에서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였지만, 사용자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된 해당 메시지를 바이러스 메시지로 확정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메시지의 전송 여부를 사용자의 선택에 맡기는 과정 없이, 단말기 내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220)의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만으로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중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이용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손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유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은, 단말기가 전송시도되는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 모니터링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단계(S 300), 단말기가 전송 시도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단계(S 302) 및 전술한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단계에서의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는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S 304)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즉,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정보인 임계값이상의 전송 시도 횟수를 보이게 되면, 해당 메시지를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추정)하여, 해당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게 됨으로써,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E-mail) 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임계값(Threshold)은 특정 시간 이내에 메시지 전송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로서, 메시지의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메시지를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하게 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이고, 임계값의 설정 방식은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정 방식 및 단말기 내부에서의 자동 설정 방식 중 하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단계(S 302)에서의 전송 시도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이하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은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S 312)를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은, 전술한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S 304) 이후,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 것을 표시하는 사용자 알림 단계(S 306)를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사용자 알림 단계(S 306) 이후,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인지 확정되는 바이러스 메시지 확정 단계(S 308)를 추가로 포함하여 수행된다. 즉, 바이러스 메시지 확정 단계(S 308)에서는, 사용자 알림 단계(S 306)에 의해서 해당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임을 알게 된 사용자는 해당 메시지가 진짜 바이러스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이러스 확정 단계(S 308)에서, 해당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판단하여 확정하게 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은 해당 메시지에 대한 전송을 중지하고 삭제하는 메시지 전송 중지 및 삭제 단계(S 310)를 추가로 포함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이러스 확정 단계(S 308)에서, 해당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판단되지 않아 미확정하게 되면, 전술한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S 304)에 서 중단되었던 해당 메시지의 전송이 메시지 전송 단계(S 312)에 의해서 실행되게 된다.
해당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S 304) 이후, 해당 메시지의 전송 여부가 사용자의 선택에 결정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알림 단계(S 306) 및 바이러스 메시지 확정 단계(S 308) 등의 수행 없이, 단말기에 의한 자동적인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만으로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중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단말기에 적용하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 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손쉽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유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유무선 통신 기기를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보안 기술에 적용되어, 바이러스 및 악성코드등의 악성 소프트웨어가 단말기에 침투하여 단말기 내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또는 이메일주소로 동일한 메시지를 다량으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바이러스를 방지함으로써, 메시지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고, 다량의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어 발생하는 단말기 및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며, 원하지 않는 통신 비용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방지하고자 하는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을 위해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단말기
210: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
220: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
230: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
240: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2)

  1.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Virus)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a) 전송시도되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모듈;
    (b)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를 저장하고,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 및
    (c)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Threshold)은,
    특정 시간 이내에 메시지 전송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메시지의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메시지를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로 판단하게 되는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의 판단 기준이 되는 정보이고, 상기 임계값의 설정 방식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정 방식 및 상기 단말기 내부에서의 자동 설정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모듈에서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 것을 표시하여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서 상기 화면표시부에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의심메시지인 것을 표시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상기 중단된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확정되면 상기 메시지의 삭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 관리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서 상기 화면표시부에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의심메시지인 것을 표시한 이후, 상기 사용자에 선택에 의해 상기 중단된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로 미확정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실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단말기.
  6. 단말기가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단말기가 전송시도되는 상기 메시지의 전송 시도 시간 및 전송 시도 횟수 모니터링하는 메시지 모니터링 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지 비교하여,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지 판단하는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 판단 단계; 및
    (c)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메시지의 전송을 중단하는 메시지 전송 중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임계값(Threshold)은,
    특정 시간 이내에 메시지 전송 가능 횟수에 대한 정보로서, 상기 임계값의 설정 방식은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한 사용자 설정 방식 및 상기 단말기 내부에서의 자동 설정 방식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의 상기 전송 시도 횟수가 상기 임계값을 이하이면,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화면표시부에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의심 메시지인 것을 표시하는 사용자 알림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알림 단계 이후,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시지가 바이러스 메시지인지 확정되는 바이러스 메시지 확정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확정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메시지로 확정이 되면, 상기 메시지가 삭제되는 삭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 확정 단계에서,
    상기 메시지가 상기 바이러스 메시지로 미확정이 되면, 상기 (c)단계에서 중단되었던 상기 메시지의 전송이 실행되는 메시지 전송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에서의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KR1020070080037A 2007-08-09 2007-08-09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KR101339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037A KR101339783B1 (ko) 2007-08-09 2007-08-09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037A KR101339783B1 (ko) 2007-08-09 2007-08-09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94A KR20090015594A (ko) 2009-02-12
KR101339783B1 true KR101339783B1 (ko) 2013-12-11

Family

ID=406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037A KR101339783B1 (ko) 2007-08-09 2007-08-09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4522A (ko) 2012-02-16 2013-08-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보안 진단을 위한 휴대 단말기 및 보안 진단 방법
KR101286711B1 (ko) * 2013-03-28 2013-07-16 주식회사 이스턴웨어 모바일 단말기의 악성 프로그램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24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20050006576A (ko) * 2003-07-09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24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sms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KR20050006576A (ko) * 2003-07-09 2005-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94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2985B2 (en) Communications control for resource constrained devices
EP1343288B1 (en) Server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7210168B2 (en) Updating malware definition data for mobile data processing devices
US200802288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ushing activated instant messages
US7908658B1 (en) System using IM screener in a client computer to monitor bad reputation web sites in outgoing messages to prevent propagation of IM attacks
CN106022101B (zh) 一种应用管理方法及终端
CN104640085A (zh) 一种阅后即焚信息的发送方法及装置
US8856348B2 (en) On-demand network connection
US8626121B2 (en) Tr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339783B1 (ko) 메시지를 이용한 바이러스의 피해 방지 방법 및 그를 위한단말기
KR1014904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악성 문자메시지 차단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65083A (ko) 메시지 전송 장치, 메시지 서버 및 메시지 수신 장치
WO2012124955A2 (ko) 모바일 기기에서 스팸 문자열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996709B1 (ko) 아이피 응용 스팸 차단 장치 및 방법
JP2005284454A (ja) 迷惑メール配信防止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における情報端末及び電子メールサーバ
US8412779B1 (en) Blocking of unsolicited messages in text messaging networks
JP2005216249A (ja) 情報配信装置
Adwan et al. A Manual Mobile phone forensic approach towards the analysis of WhatsApp Seven-Minute Delete Feature
GB2377143A (en) Internet security
US20220141183A1 (en) Detecting and Preventing Transmission of Spam Messages Using Modified Source Numbers
US11176021B2 (en) Messaging systems with improved reliability
WO2022003907A1 (ja) スミッシング詐欺防止システム、スミッシング詐欺防止方法、および、スミッシング詐欺防止プログラム
WO2015060662A1 (ko) 데이터망 및 공중망을 이용한 동보메시지 전송방법
Ojah et al. SMS 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premium SMS malware in smart phone
Dwan The mobile phone vir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