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004B1 -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004B1
KR101339004B1 KR1020110013807A KR20110013807A KR101339004B1 KR 101339004 B1 KR101339004 B1 KR 101339004B1 KR 1020110013807 A KR1020110013807 A KR 1020110013807A KR 20110013807 A KR20110013807 A KR 20110013807A KR 101339004 B1 KR101339004 B1 KR 10133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time
information
us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4355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크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크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9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94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4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단말기가 복수의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되, 복수의 모드는 각각 위치/시간에 따라 자동 결정됨으로써 위치/시간 기반에 의해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OPERAT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과 관련된 기술이다.
반도체 기술을 포함하는 전자 부품 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발달은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등장시켰으며, 그 편리한 휴대성은 장소나 시간에 관계없는 활용성을 부여함으로써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아니 되는 중요한 통신도구로 자리매김 되어졌다.
한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진화에 따라 근자에 보편화되어 가고 있는 스마트폰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간단한 방식으로 탑재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활용성을 폭발적으로 증대시키게 되었다.
특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용이로운 탑재는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단순한 통신매체를 넘어서 현대인의 일상에 필요한 많은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는 도구로 기능할 수 있게 하였고, 이러한 점 때문에 현대인의 일상은 점점 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의지되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 기능이 많아짐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의 번거로움(메뉴를 찾아 기능을 실행시키는 조작의 번거로움 등)이 증대하고, 무차별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홍수는 사용자가 최적화된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조작이 용이하고 최적화된 정보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 또한 요구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위치/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정보를 제공할 있는 휴대단말기의 작동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단계;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및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1 시간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2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2 시간 정보를 더 기억하며,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1 모드가 제1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1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2 모드가 제2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2 시공 모드로 전환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와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 상기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및 상기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단계;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및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1 위치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2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더 기억하며,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1 모드가 제1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1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2 모드가 제2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2 시공 모드로 전환된다.
더 나아가 위의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에서, 상기 제1 기억단계에서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상기 제2 기억단계에서 설정되는 제2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기능, 화면 디스플레이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형태 내지 제3 형태와 같은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제1 형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제2 형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와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제3 형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제4 형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모드와 특정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특정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특정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한 특정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제5 형태에 따른 기록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모드와 특정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특정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특정 위치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한 특정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을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이동성과 실시간 휴대성에 착안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시간/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로 작동함으로써 해당 시간/위치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보에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는 등 그 활용이 편리하게 되어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이 구현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개요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4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결합 응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작동방법은 도1의 휴대용 통신단말기(100)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용 통신단말기(100)는 지피에스(GPS)부(110), 시간생성부(120), 기억부(130), 프로그램저장부(140), 애플리케이션저장부(150), 판단부(160), 디스플레이부(170), 제어부(180) 및 입력부(19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피에스부(110)는 위성으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시간생성부(120)는 지피에스부(110)를 통해 위성으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을 기준으로 다음 시간을 지속적으로 생성한다.
기억부(130)는 입력부(19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설정 입력되는 작동 모드에 대한 정보, 설정 입력되는 위치 정보, 설정 입력되는 시간 정보 등을 기억한다.
프로그램저장부(140)는 특정한 위치나 시간과 연동되어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모드를 달리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모드별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이나 동작 선택, 모드별 메뉴 선택, 모드별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기능 선택, 모드별 화면 편집 및 설정, 모드별로 작동하기 위한 조건인 위치나 시간의 설정 등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애플리케이션저장부(150)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 상에서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물론, 기억부(130), 프로그램저장부(140), 애플리케이션저장부(150)는 하나의 메모리상에 구현될 수 있다.
판단부(160)는, 제어부(180)에 일체화될 수 있으며, 현재의 위치나 시간이 기억부(130)에 저장된 위치 정보나 시간 정보에 따른 위치나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요구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마련된다.
제어부(180)는, 상기한 각부를 제어하며, 기억부(130)에 기억된 모드별로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입력부(190)는 사용자의 명령이나 모드별 동작의 설정 등에 필요한 정보 등을 입력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위와 같은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인 설명은 계속하여 설명되는 작동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동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제1 기억<S211>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2. 제2 기억<S212>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물론, 제1 기억과 제2 기억이 설명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는 각각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위치로부터 반경 수킬로미터 이내라는 영역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위의 각 단계에서 기술된 제1 모드와 제2 모드의 구체적인 예시들은 후술한다.
3. 위치 판단<S220>
판단부(160)는 지피에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를 통해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한다.
4. 제1 모드 작동<S231>
제어부(180)는 단계 S220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5. 제2 모드 작동<S232>
제어부(180)는 단계 S220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제1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들>
1.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예시들
가.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예시
사용자는 회사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하고 집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특별한 명령의 입력 없이는 자동적으로 회사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특별한 명령의 입력 없이는 자동적으로 집안 행사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회사 일정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집안 행사 일정을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물론,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입력(예를 들어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실행 버튼을 터치함에 의한 입력)함에 따라 실행되면서 현재 위치에 따른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예를 따를 수도 있지만, 사용자가 제1 위치 정보 또는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들어섰을 경우에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면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예를 따를 수도 있다. 여기서 후자의 예를 따를 경우에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적으로 동작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들이 복수의 배경화면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화면을 차지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얼마든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하나일 수도 있고 두 개일 수도 있다. 즉, 하나의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두 개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따라 제1 모드와 제2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되는 예를 가질 수도 있고, 회사 행사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제1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집안 행사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제2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 별도로 탑재되어 있어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들어서게 되면 제1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들어서게 되면 제2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예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이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을 벗어나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영역으로 들어서게 되는 시점에서 제1 모드에서 제2 모드로 전환되어 작동(그 반대의 경우도 같음)하도록 하는 예를 따를 수도 있고, 제3 모드인 평상시 모드를 표준화시키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1 위치 정보나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가 아닐 경우에는 평상시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예를 따를 수도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은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은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공통될 수 있다.
나.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예시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이 회사 동료나 고객의 전화번호를 즐겨찾기 목록을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이 가족이나 친지의 전화번호를 즐겨찾기 목록에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물론, 즐겨찾기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편집되어져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전화번호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실행되면서 현재 위치에 따른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1 위치 정보 또는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들어섰을 경우에 자동적으로 실행되면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 따른 즐겨찾기 전화번호 목록이 복수의 배경 화면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화면을 차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다. 맛집 찾기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예시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 맛집 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맛집 찾기 애플리케이션이 회사에서 가깝고 회사 동료나 고객과 함께 즐길 수 있는 음식 메뉴를 가지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1 모드로 동작하게 되고,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고 있을 때 맛집 찾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에는 맛집 찾기 애플리케이션이 가족이나 친지들이 즐겨먹는 음식 메뉴를 가지는 음식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물론, 음식 찾기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음식 메뉴는 미리 설정되어져 있을 수 있다.
참고로 위에서 예시적으로 소개한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 예들은 사용자의 제1 모드 또는 제2모드의 편집 설정에 따라 함께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2. 메뉴를 대상으로 한 예시
사용자는 회사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하고 집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기능실행 메뉴 등과 같은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메뉴들 중 제1 메뉴 내지 제5 메뉴가 배경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제6 메뉴 내지 제10메뉴가 배경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명암 판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메뉴가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었다가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게 되면 명암 판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메뉴는 배경 화면상에서 제거되고 사용자가 즐기고 있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메뉴가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질 수 있게 되는 일예가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들이 제1 편집 상태로 배열되는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배경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들이 제2 편집 상태로 배열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명암 판독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메뉴가 배경 화면의 정 중앙에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되었다가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가 즐기고 있는 게임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능메뉴가 배경 화면의 정 중앙에 배열되도록 디스플레이되어질 수 있게 되는 일 예가 구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 기능을 대상으로 한 예시
사용자는 회사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하고 집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해 놓을 수 있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잠금기능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제2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하고,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잠금기능이 자동적으로 해제되는 제1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전용성이 큰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잠금기능이 해제되어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전용성이 비교적 적은 집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배우자나 어린 아이들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정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예는 기능을 대상으로 한 예시적인 하나의 예일 뿐이기 때문에 다른 기능들에 대해서도 공통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들을 제1 그룹 내지 제3 그룹으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각 그룹별로 숨김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제3 그룹에는 배우자에게 숨기고 싶은 사진들(예를 들어 배우자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회사 이성동료와 함께 찍은 사진 등)을 저장하여 놓고, 집에서는 제3 그룹으로 저장된 사진들의 숨김 기능이 동작되도록 하면 자동으로 제3 그룹에 있는 사진들이 배우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예시는 모드 설정이 가능한 모든 기능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것이다.
4. 화면을 대상으로 한 예시
사용자는 회사의 위치 정보를 제1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하고 집의 위치 정보를 제2 위치 정보로 입력 설정해 놓을 수 있고,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제1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제1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하고,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서는 제2 배경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제2 모드로 동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1 배경 화면인 강아지 사진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고, 배우자와 공동으로 점유될 수 있는 집에서는 제2 배경 화면인 배우자 사진이 배경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게 응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제1 모드에 따른 예들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있을 경우 모두 함께 구현되도록 제1 모드를 편집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모드에 따른 예들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있을 경우 모두 함께 구현되도록 제2 모드를 편집할 수도 있도록 함으로써 위의 예시들이 모두 함께 구현될 수 있는 통합적인 모드의 편집 설정이 가능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위치에 따라서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 원칙적이나, 사용성을 고려(예를 들어, 집에서도 회사의 업무를 하는 경우 등을 고려할 수 있음)할 때 입력부(190)를 통한 사용자의 모드 해제 명령의 입력에 의해서 평상시 모드로 전환되거나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서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고정되도록 구현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해당 프로그램은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을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것이며, 기록매체에 담겨질 수 있다.
<작동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제1 기억<311>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2. 제2 기억<S312>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마찬가지로, 제1 기억과 제2 기억이 도3의 흐름도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지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3. 시간 판단<S320>
판단부(160)는 시간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시간 정보를 통해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한다.
4. 제1 모드 작동<S331>
제어부(180)는 단계 S320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5. 제2 모드 작동<S332>
제어부(180)는 단계 S320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제2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대역에는 텔레비전 수신 기능이 동작하는 제1 모드로 작동하고,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대역에는 라디오 수신 기능이 동작하는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19:00이 되면 제1 모드인 텔레비전 수신 기능이 동작하여 일일연속극과 뉴스를 시청할 수 있도록 작동하고, 20:00이 되면 텔레비전 수신 기능이 중지되고 제2 모드인 라디오 수신 기능이 동작하여 '별이 빛나는 밤에'라는 라디오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도로 작동하는 것이다.
물론, 위의 예시는 다양한 예시들 중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1 실시예에서 예시하였던 애플리케이션, 기능, 메뉴, 배경 화면을 대상으로 시간을 기반으로 하여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해당 프로그램은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을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기록매체에 담겨질 수 있다.
<응용예>
본 응용예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위치에 기반하는 모드의 전환과 제2 실시예에 따른 시간에 기반하는 모드의 전환이 결합된 예이다.
도4는 본 응용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1. 제1 기억<S411>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2. 제2 기억<S412>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90)를 통해 입력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부(130)에 기억시킨다.
여기서, 제1 시간 정보와 제2 시간 정보는 12:00~13:00 등과 같이 시간 대역의 개념을 포함할 수 있다.
3. 위치 및 시간 판단<S420>
판단부(160)는 지피에스부(110)를 통해 수신한 위치 정보와 시간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시간 정보를 통해 현재의 위치와 시간이 각각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한다.
4. 제1 모드 작동<S431>
제어부(180)는 단계 S420에서 현재의 위치와 시간이 각각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이고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1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5. 제2 모드 작동<S432>
제어부(180)는 단계 S420에서 현재의 위치와 시간이 각각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이고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 경우에는휴대용 통신단말기(100)가 제2 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응용예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회사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점심시간인 12:00~13:00 시간 대역에는 회사 근처에 있는 맛집 정보가 자동으로 배경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시공(時空) 모드로 동작하고, 사용자가 집에 위치하고 있으면서 점심시간인 12:00~13:00 시간 대역에는 집 근처에 있는 맛집 정보가 자동으로 배경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몰론, 본 예시는 위치와 시간 모두에 기반하여 작동모드가 선택되는 것의 일 예시이므로 제1 실시예에에 따른 구체적인 예시들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기능, 메뉴, 배경 화면을 대상으로 본 응용예가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응용예에 따른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의 작동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그러한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해당 프로그램은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저장부(140)에 저장된다.
그리고 해당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와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을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것이며, 마찬가지로 기록매체에 담겨질 수 있다.
<응용예의 제1 변형예>
본 변형예는 설정되는 기본 정보들이 응용예와 동일하나, 위치 기반을 우선으로 하고 시간 기반을 위치 기반에 부가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회사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 모드로 동작하다가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속하게 되면 제1 모드의 변형 모드인 제1 시공모드로 전환되고,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집에 위치하고 있을 때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제2 모드로 동작하다가 현재의 시간이 제2 시간 정보에 속하게 되면 제2 모드의 변형 모드인 제2 시공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제1 모드가 배경화면 상에 회사의 업무상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모드인 경우, 회사에 위치하는 있는 상태에서 제1 시간 정보에 속하는 12:00이 되면 제1 모드의 골격인 회사의 업무상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은 그대로 유지한 채 회사 근처의 맛집 찾기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동작하는 변형 모드인 제1 시공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집에서 제2 모드인 상태로 동작하다가 제2 시간 정보인 22:00~24:00 시간 대역이 되면 '별이 빛나는 밤에'라는 라디오 방송이 자동으로 켜지도록 동작하는 변형 모드인 제2 시공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응용예의 제2 변형예>
본 변형예는 설정되는 기본 정보들이 응용예와 동일하나, 시간 기반을 우선으로 하고 위치 기반을 시간 기반에 부가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본 변형예에 따르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대역(예를 들어 회사 생활 시간 대역인 09:00~18:00)에는 회사의 업무상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모드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다가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속하게 되면 제1 모드의 변형 모드인 제1 시공모드로 전환되고,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대역(예를 들어 회사로부터 벗어나 있는 시간 대역인 18:00~19:00)에는 개인의 잡다한 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모드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다가 현재의 위치가 제2 위치 정보에 속하게 되면 제2 모드의 변형 모드인 제2 시공모드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제1 모드가 배경화면 상에 회사의 업무상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모드인 경우, 제1 위치 정보에 속하는 주요 거래처 근처에 위치하게 될 때 제1 모드의 골격인 회사의 업무상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일정관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상태는 그대로 유지한 채 주요 거래처의 임직원들 전화번호 목록이 배경 화면의 일부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예시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모드에 대한 예시는 제2 모드 시에도 동일한 개념으로 응용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열거한 예들은 주로 두 개의 작동모드(제1 모드와 제2 모드)만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위치/시간에 기반하는 작동모드가 3개 이상(예를 들어, 집, 회사 및 학교 등)일 수 있거나 어느 하나의 위치/시간 정보에 기반하는 하나의 작동모드만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일 하나의 작동모드만을 가지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특정 모드와 특정 위치 정보/특정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특정 위치 정보/특정 시간 정보에 따른 위치/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및 현재의 위치/시간이 상기한 특정 위치 정보/특정 시간 정보에 따른 위치/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한 특정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을 휴대용 통신단말기(100)에서 실행시킬 수 있도록 단순화 될 수 있다.
<기타의 예>
위에서 예시하여 설명한 예들 외에도 전체적인 메뉴 컨셉, 아이콘의 디자인, 화면 UI(유저 인터페이스) 등이 위치나 시간을 기반으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전환되거나 특정 위치와 시간에 기반하여 특정 모드로 전환되게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와 제3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제3 기억단계;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단계;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상기 제1위치 또는 제2 위치 이외의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작동하는 제3 모드 작동단계; 및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1 시간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2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2 시간 정보를 더 기억하며,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1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1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2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2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2. 삭제
  3.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 제3위치 정보 및 제3 시간정보를 기억하는 제3 기억단계;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와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
    상기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상기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및
    상기 위치 및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또는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이외의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또는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이외의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제3 모드 작동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4.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1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단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와 제3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제3 기억단계;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시간 판단단계;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제1 모드 작동단계;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제2 모드 작동단계;
    상기 시간 판단단계에서 현지의 시간이 상기한 제1 또는 제2 시간 이외의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작동하는 제3 모드 작동단계; 및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1 위치 정보를 더 기억하고, 상기 제2 기억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입력되는 제2 위치 정보를 더 기억하며,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1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1 모드가 상기 제1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1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위치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위치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제2 모드 작동단계에서의 제2 모드가 상기 제2 모드의 변경 모드인 제2 시공 모드로 전환되고,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와 제3 위치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또는 제2 위치 이외의 위치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2.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 제1 위치 정보 및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 제2 위치 정보 및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 제3 위치 정보 및 제3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인지와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2 위치 정보에 따른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위치가 상기한 제1 또는 제2 위치 이외의 위치로 판단되고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또는 제2 시간 이외의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시공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3.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1 모드와 제1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2 모드와 제2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제3 모드와 제3 시간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2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현재의 시간이 상기한 제1 또는 제2 시간 이외의 시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3 모드로 작동하는 기능; 및
    사용자의 모드 고정 명령의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고정시키는 기능; 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드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 또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13807A 2011-02-16 2011-02-16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KR10133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07A KR101339004B1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07A KR101339004B1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55A KR20120094355A (ko) 2012-08-24
KR101339004B1 true KR101339004B1 (ko) 2013-12-10

Family

ID=4688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07A KR101339004B1 (ko) 2011-02-16 2011-02-16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90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155A (ko) * 2005-04-29 2006-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착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0400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80027544A (ko) * 2006-09-25 2008-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벨모드 설정 시스템 및 단말장비 및 그 운용방법
KR20090131831A (ko) * 2008-06-19 200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알람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155A (ko) * 2005-04-29 2006-11-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착신호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10400A (ko) * 2005-07-18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 관리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동작방법
KR20080027544A (ko) * 2006-09-25 2008-03-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벨모드 설정 시스템 및 단말장비 및 그 운용방법
KR20090131831A (ko) * 2008-06-19 200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위치 알람 제어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4355A (ko) 201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0423B2 (en) Intelligent user interfaces for multiple communication lines
US9154601B2 (en) Intelligent user interfaces for multiple SIM cards
CN101014162B (zh) 显示至少一个功能命令的方法以及实现该方法的移动终端
ES2813423T3 (es) Interfaz de usuario para dispositivos informáticos
CN110881079B (zh) 在扁平的交互层级中平行切换多个资源的方法及电子设备
JP2003108280A (ja) 画面表示方法
CN101160932A (zh) 具有菜单和子菜单结构的水平和竖直显示的移动通信终端
CN103546629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JP2008502172A (ja) プライバシィフラグと組み合わされた個人データの通信
US2014020632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call rejection function
CN110069203A (zh) 提供图形用户界面的方法和装置
KR20130071136A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단축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37827B1 (ko) 휴대단말의 콜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US8674944B2 (en)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for improved calendar user interface navigation
KR101339004B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작동방법 및 기록매체
KR100860034B1 (ko) 단말기의 메뉴 표시 방법, 단말기의 배경 화면 설정 방법및 이들을 이용한 단말기
JP5277574B2 (ja) 携帯電話機
KR1007019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표시방법
CN114911394B (zh) 一种终端设备以及单手操作方法
CN104660791A (zh) 手机及其壁纸自动切换方法
CN101577750B (zh) 便携式通信终端
EP219275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rganizing communication items
JP5288490B2 (ja)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621340B1 (ko) 작업 상태 저장/재생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작업 상태 저장/재생 방법
KR2007006082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