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203B1 - 쌀통 - Google Patents
쌀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8203B1 KR101338203B1 KR1020120090426A KR20120090426A KR101338203B1 KR 101338203 B1 KR101338203 B1 KR 101338203B1 KR 1020120090426 A KR1020120090426 A KR 1020120090426A KR 20120090426 A KR20120090426 A KR 20120090426A KR 101338203 B1 KR101338203 B1 KR 101338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 storage case
- discharge
- bevel gea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고, 저장된 쌀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쌀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는 쌀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쌀통은 본 발명의 쌀통의 특징은 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회전시켜서 교반하는 교반수단(3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상승시켜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 및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에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700);를 포함하며, 양분공급기(700)는 액상의 양분이 저장되도록 입구(711)가 형성되는 양분저장통(710); 양분저장통(710)의 입구(711)에 장착되어 양분을 분사하는 노즐(730); 노즐(730)이 양분을 분사하도록 노즐(7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50); 및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이 함께 작동되도록 입력전원을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에 함께 인가하는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쌀통은 본 발명의 쌀통의 특징은 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회전시켜서 교반하는 교반수단(3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상승시켜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 및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에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700);를 포함하며, 양분공급기(700)는 액상의 양분이 저장되도록 입구(711)가 형성되는 양분저장통(710); 양분저장통(710)의 입구(711)에 장착되어 양분을 분사하는 노즐(730); 노즐(730)이 양분을 분사하도록 노즐(7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50); 및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이 함께 작동되도록 입력전원을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에 함께 인가하는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쌀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고, 저장된 쌀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쌀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는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쌀통은 내부에 쌀이 저장되고 하부에 일정량의 쌀이 나오도록 하는 정량유출장치와, 정량유출장치로 쌀이 모아져 취출되도록 소정의 경사면을 갖는 유도경사판과, 정량유출장치를 통해 취출되는 쌀을 담는 쌀 인출서랍등으로 구성되어, 저장된 쌀을 정량유출장치를 통해 취출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쌀통은 쌀을 정량유출장치를 통해 취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허리를 숙인 상태로 쌀을 배출하여야 하므로 사용상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쌀통 내부가 밀폐되므로 쌀이 장기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통기가 불량하여 쌀이 부패, 변질되거나 벌레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고온 다습한 여름일수록 더 심하다.
더욱이, 쌀통에 저장된 쌀을 사용자가 별도의 양분을 섞어서 밥을 지어 섭취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쌀과 양분을 인위적으로 섞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허리를 숙이지 않은 상태로 쌀을 배출할 수 있고, 쌀통의 쌀이 변질되거나 벌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저장된 쌀에 자동으로 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쌀통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쌀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고, 저장된 쌀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저장된 쌀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는 쌀통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쌀통은, 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회전시켜서 교반하는 교반수단(3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상승시켜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 및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에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700);를 포함하며, 양분공급기(700)는 액상의 양분이 저장되도록 입구(711)가 형성되는 양분저장통(710); 양분저장통(710)의 입구(711)에 장착되어 양분을 분사하는 노즐(730); 노즐(730)이 양분을 분사하도록 노즐(7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50); 및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이 함께 작동되도록 입력전원을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에 함께 인가하는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교반수단(300)은 저장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쌀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310); 및 교반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교반구동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교반구동부재(330)는 교반스크류(3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피동베벨기어(331); 피동베벨기어(331)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333); 및 구동베벨기어(333)를 회전시키는 모터(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출수단(500)은 저장케이스(100)의 상부외측에서 내부공간(110)까지 관통되게 설치되는 배출관(510); 배출관(51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쌀을 상승시키는 배출스크류(530); 및 배출스크류(530)를 회전시키는 배출구동부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출관(510)은 일단이 '∩'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출관(510)은 제1관(511); 제1관(511)에 연결되는 제2관(512); 및 제1관(511)에 제2관(51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513);을 포함하며, 연결수단(513)은 제1관(5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관(514); 및 암나사관(514)에 나사결합 되도록 제2관(51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관(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배출구동부재(550)는 배출스크류(530)에 축결합되는 배출피동베벨기어(560); 및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동력전달부(570)는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전달하는 전달베벨기어(571); 전달베벨기어(571)에 공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결합되는 실린더축(572); 및 전달베벨기어(571)가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분리가능하게 교합되도록 실린더축(572)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을 냉장보관 하도록 저장케이스(100)를 냉각하는 냉각수단(900);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쌀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는 상태로 쌀을 배출할 수 있고, 저장된 쌀에 양분을 제공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밥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양분도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저장된 쌀을 저온으로 보관할 수 있어서 쌀벌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반수단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관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분공급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착부재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쌀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쌀통이 싱크대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쌀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각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교반수단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수단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배출관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양분공급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장착부재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쌀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쌀통이 싱크대에서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쌀통이 싱크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가 돌출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냉각수단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쌀통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와, 교반수단(300) 및 배출수단(500)을 포함한다.
저장케이스(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저장케이스(100)는 하부에 쌀이 중앙으로 모이도록 호퍼형태의 경사판(13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케이스(100)는 일측에 용기(10)가 수용되는 격판(150)들에 의해 서랍공간(1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배출관(510)이 격판(150)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경우, 배출관(510)을 통해 쌀이 서랍공간(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는 서랍공간(120)에 수용된 상태로 배출관(510)에서 배출되는 쌀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저장케이스(1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6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가이드레일(160)은 저장케이스(100)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게 하면서 싱크대(1)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케이스(100)는 싱크대(1)에 장착되는 경우 미관이 수려하고 별도의 설치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저장케이스(100)는 쌀이 투입되는 투입구(170)를 개페하는 개폐판(180)이 형성된다.
교반수단(300)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회전시켜서 교반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교반수단(300)은 저장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쌀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310) 및 교반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교반구동부재(330)를 포함한다.
교반스크류(310)는 내부공간(1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 쌀을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므로 쌀들이 전체적으로 교반될 수 있다.
교반구동부재(330)는 교반스크류(3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피동베벨기어(331)와, 피동베벨기어(331)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333) 및 구동베벨기어(333)를 회전시키는 모터(335)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동베벨기어(331)와 구동베벨기어(333)로 구성되는 경우 회전력을 직각으로 전환시켜서 교반스크류(3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반구동부재(33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스크류(310)의 축에 결합되어 교반스크류(310)를 직접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는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배출수단(500)은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상승시켜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출수단(500)은 저장케이스(100)의 상부외측에서 내부공간(110)까지 관통되게 설치되는 배출관(510)과, 배출관(51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쌀을 상승시키는 배출스크류(530) 및 배출스크류(530)를 회전시키는 배출구동부재(5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출관(510)은 도 1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공간(110)에 수직 상태로 내장되어서 일단이 저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50)에 돌출되어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저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출관(510)의 일단은 '∩'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 형태로 절곡된 배출관(510)에 의해 배출되는 쌀이 아래방향으로 정확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출관(510) 일단의 하부에 용기(10)를 위치시키는 경우 배출되는 쌀이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동부재(550)가 구동되는 경우 배출스크류(530)가 회전되어서 배출관(510)의 상단으로 쌀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자세로 배출되는 쌀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쌀을 받기 위해서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도 된다.
또한, 배출관(5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511)과, 제1관(511)에 연결되는 제2관(512) 및 제1관(511)에 제2관(51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5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수단(513)은 제1관(5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관(514) 및 암나사관(514)에 나사결합 되도록 제2관(51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관(516)을 포함한다.
여기서, 암나사관(514)은 제1관(511)의 단부에 걸려서 공회전 되도록 일단에 내향턱(5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나사관(516)은 제2관(512)의 단부에서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511)의 단부를 제2관(512)의 단부에 마주되게 한 상태에서 암나사관(514)을 수나사관(516)에 나사결합 시킨 상태로 조이는 경우 제1관(511)이 제2관(5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관(512)이 격판(150)을 관통하는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암나사관(514)을 수나사관(516)에 나사결합 시키는 경우, 제1관(511)이 제2관(51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관(51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를 관통하면서 싱크대(1)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2관(512)에 연결되는 제1관(511)을 통해 싱크대(1)의 상부로 쌀이 배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싱크대(1)의 상부에서 쌀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관(512)이 격판(150)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경우, 제2관(512)에 연결되는 제1관(511)을 통해 쌀이 서랍공간(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의 일측으로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는 경우 서랍공간(120)에 수용되어서 제1관(511)에서 배출되는 쌀이 채워질 수 있다.
또한, 배출구동부재(55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스크류(530)에 축결합되는 배출피동베벨기어(560) 및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동력전달부(570)는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전달하는 전달베벨기어(571)와, 전달베벨기어(571)에 공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결합되는 실린더축(572) 및 전달베벨기어(571)가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분리가능하게 교합되도록 실린더축(572)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73)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달베벨기어(571)는 실린더축(572)의 끝단에 베어링(575)을 이용하여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회전력이 전해지는 경우 실린더축(572)의 끝단에서 공회전된다.
따라서, 전달베벨기어(57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피동베벨기어(331)와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동시에 교합된 상태에서 모터(335)가 구동되는 경우, 구동베벨기어(333)가 회전되면서 구동베벨기어(333)에 교합된 피동베벨기어(331)가 회전되고, 피동베벨기어(331)에 교합된 전달베벨기어(571)가 회전되며, 전달베벨기어(571)에 교합된 배출피동베벨기어(560)가 회전되므로, 배출스크류(530)가 회전된다.
이때, 회전되는 배출피동베벨기어(560)와 피동베벨기어(331)에 의해 배출스크류(530)와 교반스크류(310)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쌀은 교반되면서 상승되어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 외측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동부재(550)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동부재(550)인 모터는 배출스크류(530)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는 협소한 공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에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70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양분공급기(700)는 액상의 양분이 저장되도록 입구(711)가 형성되는 양분저장통(710)과, 양분저장통(710)의 입구(711)에 장착되어 양분을 분사하는 노즐(730)과, 노즐(730)이 양분을 분사하도록 노즐(7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50) 및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이 함께 작동되도록 입력전원을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에 함께 인가하는 스위치(7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770)를 작동시키는 경우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의 모터(335)가 함께 작동되므로, 노즐(730)을 통해 양분저장통(710)에 저장된 양분이 분사되면서 교반수단(300)의 교반스크류(310)에 의해 쌀이 교반된다. 즉, 쌀은 양분이 공급되는 상태로 교반되므로 쌀의 표면에 양분이 고르게 도포될 수 있고, 교반되는 쌀들에 고르게 양분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쌀은 보편적으로 숨을 쉬기 때문에 습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내부에 습도가 높으면 스스로 습기를 내보내고 내부에 습도가 적어서 건조하면 습기를 받아들이는 기능을 하고 있다. 따라서, 저장케이스(100)의 내부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노즐(730)에서 양분이 분사되는 경우 액상의 양분이 쌀에 스며들게 된다. 즉, 쌀은 양분이 흡수되어 기존의 쌀이 갖고 있는 고유의 양분보다 높은 양분이 포함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쌀로 밥을 지어서 섭취하는 것만으로 양분이 함께 섭취되므로 별도의 양분을 섭취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양분은 어린이나 성인에게 필요한 비타민이나 한약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분공급기(700)를 커버하여서 보호하는 상태로 저장케이스(100)에 장착하는 장착부재(79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장착부재(790)는 저장케이스(100)의 측방에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102)에 삽입되어서 설치되고, 양분저장통(710), 노즐(730), 콤프레셔(7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792)이 형성되며, 노즐(730)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설치홀(793)이 형성되는 장착함체(791)와, 장착함체(791)의 수용공간(792)을 커버하면서 장착함체(791)에 고정되는 커버판(795) 및 커버판(795)와 장착함체(791)를 저장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797)를 포함한다.
따라서, 장착함체(791)는 장착홀(102)에 설치되어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과 양분공급기(700)를 물리적으로 분리시키므로,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이 양분공급기(7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쌀에 포함된 먼지에 의한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착함체(791)에 수용된 양분공급기(700)는 커버판(795)에 의해 저장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면서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커버판(795)을 분리하여 양분공급기(700)를 편리하게 유지 및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을 냉장보관 하도록 저장케이스(100)를 냉각하는 냉각수단(90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냉각수단(900)은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케이스(100)의 외주면에 감겨져서 저장케이스(100)를 냉각하도록 기화되는 증발기(910)와, 증발기(910)에 관류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930)와, 압축기(930)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냉매액체로 변환시키는 응축기(950)와, 응축기(950)에서 변환된 냉매액체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밸브(9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증발기(910)는 저장케이스(10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저장된 쌀이 저온으로 보관되어서 부패되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벌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단(900)은 저장케이스(100)의 외주면에 감겨져서 저장케이스(100)를 냉각하도록 전류에 의해 작동되는 펠티에소자(Peltier effect device)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이종의 금속으로 짝지어져서 구성되는 펠티에소자에서 흡열하는 금속이 저장케이스(10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저장케이스(100)에 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저장케이스 110 : 내부공간
300 : 교반수단 310 : 교반스크류
330 : 교반구동부재 331 : 피동베벨기어
333 : 구동베벨기어 350 : 모터
500 : 배출수단 510 : 배출관
511 : 제1관 512 ; 제2관
513 : 연결수단 514 : 암나사관
515 : 수나사관 530 : 배출스크류
550 : 배출구동부재 560 : 배출피동베벨기어
570 : 동력전달부 571 : 전달베벨기어
572 : 실린더축 573 : 실린더
700 : 양분공급기 710 : 양분저장통
711 : 입구 730 : 노즐
750 : 콤프레셔 770 : 스위치
900 : 냉각수단
300 : 교반수단 310 : 교반스크류
330 : 교반구동부재 331 : 피동베벨기어
333 : 구동베벨기어 350 : 모터
500 : 배출수단 510 : 배출관
511 : 제1관 512 ; 제2관
513 : 연결수단 514 : 암나사관
515 : 수나사관 530 : 배출스크류
550 : 배출구동부재 560 : 배출피동베벨기어
570 : 동력전달부 571 : 전달베벨기어
572 : 실린더축 573 : 실린더
700 : 양분공급기 710 : 양분저장통
711 : 입구 730 : 노즐
750 : 콤프레셔 770 : 스위치
900 : 냉각수단
Claims (11)
- 쌀이 저장되는 내부공간(110)이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회전시켜서 교반하는 교반수단(300);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되는 쌀을 상승시켜서 저장케이스(100)의 상부로 배출하는 배출수단(500); 및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에 양분을 공급하는 양분공급기(700);를 포함하며,
양분공급기(700)는
액상의 양분이 저장되도록 입구(711)가 형성되는 양분저장통(710);
양분저장통(710)의 입구(711)에 장착되어 양분을 분사하는 노즐(730);
노즐(730)이 양분을 분사하도록 노즐(730)에 에어를 공급하는 콤프레셔(750); 및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이 함께 작동되도록 입력전원을 콤프레셔(750)와 교반수단(300)에 함께 인가하는 스위치(7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교반수단(300)은
저장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쌀을 교반하는 교반스크류(310); 및
교반스크류(310)를 회전시키는 교반구동부재(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2에 있어서, 교반구동부재(330)는
교반스크류(310)의 단부에 설치되는 피동베벨기어(331);
피동베벨기어(331)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333); 및
구동베벨기어(333)를 회전시키는 모터(3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출수단(500)은
저장케이스(100)의 상부외측에서 내부공간(110)까지 관통되게 설치되는 배출관(510);
배출관(510)에 회전가능하게 내장되어 쌀을 상승시키는 배출스크류(530); 및
배출스크류(530)를 회전시키는 배출구동부재(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4에 있어서, 배출관(510)은
일단이 '∩'의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배출관(510)은
제1관(511);
제1관(511)에 연결되는 제2관(512); 및
제1관(511)에 제2관(512)을 연결하는 연결수단(513);을 포함하며,
연결수단(513)은
제1관(51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나사관(514); 및
암나사관(514)에 나사결합 되도록 제2관(512)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수나사관(5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4에 있어서, 배출구동부재(550)는
배출스크류(530)에 축결합되는 배출피동베벨기어(560); 및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5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7에 있어서, 동력전달부(570)는
교반수단(300)의 회전구동력을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전달하는 전달베벨기어(571);
전달베벨기어(571)에 공회전 가능하게 끝단이 결합되는 실린더축(572); 및
전달베벨기어(571)가 배출피동베벨기어(560)에 분리가능하게 교합되도록 실린더축(572)을 신축시키는 실린더(5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양분공급기(700)를 커버하여서 보호하는 상태로 저장케이스(100)에 장착하는 장착부재(790);를 더 포함하며,
장착부재(790)는
저장케이스(100)의 측방에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102)에 삽입되어서 설치되고, 양분저장통(710), 노즐(730), 콤프레셔(75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792)이 형성되며, 노즐(730)이 관통되게 설치되는 설치홀(793)이 형성되는 장착함체(791); 및
장착함체(791)의 수용공간(792)을 커버하면서 장착함체(791)에 고정되는 커버판(795); 및
커버판(795)와 장착함체(791)를 저장케이스(10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79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 청구항 1에 있어서, 저장케이스(100)의 내부공간(110)에 저장된 쌀을 냉장보관 하도록 저장케이스(100)를 냉각하는 냉각수단(9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426A KR101338203B1 (ko) | 2012-08-20 | 2012-08-20 | 쌀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0426A KR101338203B1 (ko) | 2012-08-20 | 2012-08-20 | 쌀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8203B1 true KR101338203B1 (ko) | 2013-12-09 |
Family
ID=4998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0426A KR101338203B1 (ko) | 2012-08-20 | 2012-08-20 | 쌀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82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93259A (zh) * | 2014-06-28 | 2015-12-30 | 深圳市恒德创新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饮料机的饮料管及饮料管组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254Y1 (ko) * | 2002-03-14 | 2002-06-24 | 박영복 | 쌀통 |
KR101043262B1 (ko) * | 2008-11-12 | 2011-06-21 | 이은두 | 쌀통 |
-
2012
- 2012-08-20 KR KR1020120090426A patent/KR1013382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9254Y1 (ko) * | 2002-03-14 | 2002-06-24 | 박영복 | 쌀통 |
KR101043262B1 (ko) * | 2008-11-12 | 2011-06-21 | 이은두 | 쌀통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193259A (zh) * | 2014-06-28 | 2015-12-30 | 深圳市恒德创新科技有限公司 | 一种用于饮料机的饮料管及饮料管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99632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lender system with mid-cycle inversion | |
US8826683B2 (en) | Ice dispenser with crush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 |
CN211443169U (zh) | 一种食品质量检验用样品存放装置 | |
RU2019122258A (ru) | Перен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мгновен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с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 |
US20140130538A1 (en) | Wooden ice cream maker | |
US20140260407A1 (en) | Ice maker for french door bottom mount refrigerator | |
US20120031111A1 (en) | Direct contact turbo-chill chamber using secondary coolant | |
KR101338203B1 (ko) | 쌀통 | |
RU2437038C1 (ru) | Льдогенератор | |
CN203534046U (zh) | 便携可拆式储存箱及制冷装置 | |
CN208657578U (zh) | 一种用于优质铁皮石斛栽培的雾气喷淋装置 | |
US20120031112A1 (en) | Turbo-chill chamber with air-flow booster | |
KR101416821B1 (ko) | 냉장고용 댐퍼 | |
KR20110028966A (ko) | 제빙기를 갖는 이동식 냉장고 | |
KR101213532B1 (ko) | 벽걸이형 쌀통 | |
KR20220083246A (ko) | 상부인출구조를 갖는 화장품냉장고 | |
KR100186956B1 (ko) | 화장품 보관함 | |
CN210710746U (zh) | 一种具有冷却降温功能的臭氧发生器 | |
JP2000245641A (ja) | 穀物冷蔵装置 | |
CN110683214A (zh) | 一种可降温的试剂保藏盒 | |
EP0464341A1 (en) | Whipped cream making machine | |
DE60122022D1 (de) | Speiseeiseinheit mit mindestens einer eismaschine in kombination mit einem speiseeispräsentationsgestell | |
CA2370912A1 (en) | Refrigerator door mounted water dispensing assembly | |
CN220130844U (zh) | 一种医疗用药品冷藏箱 | |
CN108151404A (zh) | 一种车载冰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