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900B1 - Backdraft generator - Google Patents

Backdraft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900B1
KR101337900B1 KR1020130072539A KR20130072539A KR101337900B1 KR 101337900 B1 KR101337900 B1 KR 101337900B1 KR 1020130072539 A KR1020130072539 A KR 1020130072539A KR 20130072539 A KR20130072539 A KR 20130072539A KR 101337900 B1 KR101337900 B1 KR 101337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water
stream
circular support
riv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주원
Original Assignee
서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주원 filed Critical 서주원
Priority to KR1020130072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9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9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Abstract

A backdraf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ircular support; and a plurality of backdraft generating guide parts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and guiding stream water to the lower region of the circular support by flowing the stream water backward using the speed of the stream, wherein the backdraft generating guide parts include a channel pipeline for forming the vertical stream of the stream water; an inflow part for stream water placed at the upper end part of the circular support and forming one end of the channel pipeline; and a stream water discharge part placed at the other end of the channel pipeline and discharging the stream water. The backdraft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restoration of water quality by floating pollutants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tream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or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xygen on the bottom of the stream while the backdraft generator reduces the costs of maintenance, enables mass production thereof owing to the simple structure of the apparatus and the facility of manufacture, and can be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being naturally decomposed.

Description

역류발생장치{Backdraft Generator}Backflow Generator {Backdraft Generator}

본 발명은 역류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되어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별도의 동력 발생수단이 없이도 하천수를 하방으로 역류시켜 수질개선을 도모할 수 있는 역류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flow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structure, easy to mass production, and to a backflow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by flowing backward the river water without a separate power generating means will be.

보통 강이나 개천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하천 저면은 불규칙한 높이를 가진다.Common riverbeds, usually rivers or streams, have irregular heights.

도 1은 일반적인 하천의 유속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low rate of a typical stream.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푹 패인 곳에 수질을 악화 시킬 수 있는 오염 하천수질이 쌓일 가능성이 높다. 오염 하천수질로는 하천의 지류에서 유입된 각종 질소와 인을 포함하는 축산 폐기하천수 또는 생활 하수 뿐만 아니라, 하천에 녹아 있는 영양 하천수질로 인한 녹조, 플랑크톤 등의 부영양화 하천수질, 토양에 흡수되지 아니한 침출수 등이 포함된다.As shown in FIG. 1, the contaminated river water quality that may worsen the water quality in the depression is likely to accumulate. Contaminated river water quality is not absorbed by livestock waste streams containing various nitrogen and phosphorus introduced from tributaries of rivers or domestic sewage, but also by eutrophication river water, plankton, etc. Leachate and the like.

일반적인 하천의 유속은 하천 저면은 유속이 약하고 상층으로 갈수록 유속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하천의 유속이 있는 중, 상층에서는 전술한 오염 하천수질이 하류로 이동될 수 있고 유동되면서 자연 정화될 수 있다. 반면, 하천의 유속이 약하거나 없는 하천 저층 또는 하천 바닥에는 오염 하천수질이 쌓일 수 밖에 없으며, 수질 오염의 원인이 된다.In general, the flow velocity of rivers is weak at the bottom of the stream, and the flow rate is generally increased toward the upper layer. Accordingly, while there is a flow rate of the river, the above-mentioned polluted river water quality can be moved downstream in the upper layer and can be naturally purified while flowing. On the other hand, contaminated river water quality can not only accumulate in the river bed or the bottom of the river, where the flow rate of the river is weak or without, and causes water pollution.

이러한 오염 하천수질을 정화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시행되고 있다.Various measures are being taken to purify the polluted river water quality.

그러나, 일반적인 수작업으로, 일일이 하천 바닥을 청소하거나 또는 일정 기간 마다 바닥을 준설하여 오염 하천수질을 퍼내는 일반적인 수질개선 방식은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 마찬가지로, 하천 바닥에 자동의 정화/청소 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장치를 운전하기 위한 전기 설비나 배터리 등의 별도의 동력원이 반드시 요구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장치 자체의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일정 기간마다 수리나 교체 등 유지보수 관리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as a general manual work, the general water quality improvement method of cleaning the river floor or dredging the soil by dredging the floor at regular intervals is not only cumbersome but expensive. Similarly, an automatic purification / cleaning device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river, but in this case, a separate power source such as an electric device or a battery for driving the device is necessarily required.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tself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nufa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management costs such as repair or replacement every certain period of time.

따라서 하천의 수질을 개선시키면서도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무(無)동력/비(非)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제작과 유지보수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는 수질 개선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while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tream,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it can be operated with no power / non-power, and the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that can minimize the production and maintenance costs is urgently needed.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작동되어 저면에 퇴적된 오염원인 하천수질들을 부유시키거나 저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켜 수질 복원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장치의 재질을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적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 역류발생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operated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resilience by floating the river water quality of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bottom or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bottom, Its simple structure and easy manufacturing make it possible to reduce maintenance cost and mass production, and to provide backflow generator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eco-friendly materials that decompose the material of device natural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는, 원형 지지체; 상기 원형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하천의 유속을 이용하여 하천수를 역류시켜 상기 원형 지지체의 하부 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역류형성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는, 상기 하천수의 수직 흐름을 형성하는 유로 배관; 상기 원형 지지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 배관의 일단을 형성하는 하천수 유입부; 및 상기 유로 배관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천수가 배출되는 하천수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ircular support;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verse flow guides for flowing the river water back to the lower region of the circular support by using the flow rate of the river, the counter flow formation guide, the vertical flow of the river water to form Flow piping; A stream water inle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ircular support and forming one end of the flow path pipe; And a river water discharge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pipe, through which the river water is discharged.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는, 상기 하천의 유선(streamline)의 분포 밀도로부터 발생되는 수압 차이에 의해 하천수를 유동(flow)시킬 수 있다.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may flow the river water by a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from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streamline of the stream.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하천수 배출부의 단면 배치는 상기 수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되, 개구면이 하천의 이동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ross-sectional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outlet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may occur, and the opening surface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low of the stream.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는 상기 원형 지지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may be disposed in a spiral shape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상기 하천수 배출부는 상기 원형 지지체의 양 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outlet may b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ircular support.

상기 하천수 배출부는 상기 유로 배관 측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는 원추 형상일 수 있다.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may have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as it moves away from the flow path pipe side.

상기 하천수 배출부의 원추 형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원형 지지체의 저면에 함몰되어 마련될 수 있다.Part of the conical shape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may be provided reces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상기 원형 지지체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 분해 가능하도록 재생 종이 또는 압축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The circular support may be made using recycled paper or compressed paper so as to be naturally degradable over time.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는, 별도의 동력원이 없이도 작동하여 하천의 유속을 이용하여 하방으로의 역류 흐름을 만들 수 있어 하천 저면에 퇴적된 오염원인 하천수질들을 부유시키거나 저면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켜 수질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everse flow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to create a reverse flow flow downward by using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to float the river water quality, which is a pollutant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or increase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bottom. This can improve the water quality recovery ability.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는,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costs and enabling mass production.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는, 압축 종이 등 분해 가능한 재질로 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 분해되어 친환경적일 수 있다.The reverse flow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nufactured with a decomposable material such as compressed paper, and may be naturally decomposed over time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도 1은 일반적인 하천의 유속 흐름에 대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역류발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발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하천수 유입부와 하천수의 유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발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하천수 배출부와 하천수의 유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flow rate of a typical stream.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top view of FIG. 2.
Fig. 4 is a bottom view of Fig. 2. Fig.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ream inflow of the river water inlet and stream water in order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ream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unit and stream water in order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역류발생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저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top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bottom view of FIG. 2.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발생장치는, 하천에 설치되는 원형 지지체(10)와, 원형 지지체(10)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하천의 유속을 이용하여 하방으로 하천수를 역류하여 원형 지지체(10)의 하부 영역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역류형성 안내부(20)를 포함한다.The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ircular support 10 installed in a stream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and uses a flow velocity of the river to reversely flow river water downward to lower the region of the circular support 10.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portion 20 to guide to.

원형 지지체(10)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원형 지지체(10)의 상부면에는 하천수 유입부(22)가 배치되고, 하부면에는 복수의 배출홈(11)이 마련된다. 배출홈(11)은 이에 인접 배치된 하천수 배출부(23)와 연결되게 형성되어, 하천수 배출부(23)에서 배출된 하천수가 배출홈(11)의 안내를 받으며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Circular support 1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hollow portion is provided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river water inlet 22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11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The discharge groove 11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disposed adjacent thereto, so that the river water discharged from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can be discharged while being guided by the discharge groove 11.

원형 지지체(10)는 역류형성 안내부(20)를 지지하는 한편, 역류형성 안내부(20)의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의 높이(高低) 차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즉, 본 발명의 하천바닥 정화용 역류발생장치의 원형 지지체(10)는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되며, 물 유입부(22)는 원형 지지체(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원형 지지체(10)의 저면에는 물 배출부(23)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 차이만큼의 압력 차이를 동반할 수 있어 하천수 유입부(22)에서 하천수를 유입받아 하방으로의 역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 흐름은 하천바닥 정화용 역류발생장치의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자세히 하기로 한다.
The circular support 10 supports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and forms a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of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do. That is, the circular support 10 of the stream bottom purification backflow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the water inlet 22 is disposed above the circular support 10, the circular support ( The water outlet 23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10.
Accordingly, the pressure difference may be accompanied by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so that the stream flows downward by receiving the river water from the river water inlet 22. This backflow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generator for riverbed purification.

이러한 원형 지지체(1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천수에 분해 가능한 재생 종이 또는 압축 종이 등의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하천의 일정 구역에 설치한 다음, 시간이 지나 하천수에 분해되는 경우, 제거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관리 측면에서도 유리하다.The circular support 10 may be manufactured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such as recycled paper or compressed paper that can decompose into river water over time. If it is installed in a certain area of the river and then decomposed into the river water over time, the removal cost is not only reduced, but also advantageous in terms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한편, 지지체의 형상은 원형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지지체의 높이가 일정 길이 이상이 되는 어떠한 형상의 지지체도 가능할 수 있다. 역류형성 안내부(20)는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의 높이 차이만 형성되면 동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shape of the support is not limited to the circle. Supports of any shape may be possibl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uppor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ength. This is because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may operate only when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is formed.

하천 저면에 움푹 패인 장소 또는 하천수의 흐름이 느린 하천 등에서는 퇴적된 오염 하천수질를 부유시키고자 하천수의 역류 흐름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역류형성 안내부(20)가 마련된다. 역류형성 안내부(20)는 하천수의 수직 흐름을 형성하는 유로 배관(21)과, 원형 지지체(10)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유로 배관(21)의 일단을 형성하는 하천수 유입부(22)와, 유로 배관(21)의 타단에 마련되며 하천수가 배출되는 하천수 배출부(23)를 포함한다.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untercurrent flow of river water in order to float the contaminated river water quality in a pit at the bottom of the river or in a river with a slow flow of river water.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is provided.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flow path pipe 21 for forming a vertical flow of the river water, and a stream water inlet 22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ircular support 10 and forming one end of the flow path pipe 21. I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pipe 21, and includes a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through which the river water is discharged.

역류형성 안내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지지체(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원형 지지체(10)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is dispos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while being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upport 10.

유로 배관(21)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긴 도관으로 마련되고, 원형 지지체(10)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주로 원형 지지체(10)의 상부, 외측부 및 하부 영역)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The flow path pipe 21 is provided as an elongated condui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spirally alo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mainly, the upper, outer and lower regions of the circular support 10). .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는 원형 지지체(1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배치되되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원형 지지체(10)의 상부면에는 하천수 유입부(22)가 마련된다. 하천수 유입부(22)는 유로 배관(21)의 선단부에 해당하며, 원형 지지체(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된다.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ircular support 10, respectively, and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is provided with a river water inlet (22). The river water inlet 22 corresponds to the front end of the flow path pipe 21, and protrudes into the circular support 10.

유로 배관(21)의 타단부에는 하천수 배출부(23)가 마련된다. 하천수 배출부(23)는 유로 배관(21)에 연결되어 원형 지지체(10)의 하부면을 따라 배치된다. 하천수 배출부(23)는 유로 배관(21)에서부터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그 단면적이 증가되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며, 하천수 배출부(23)의 둘레의 일부 영역은 원형 지지체(10)의 내부에 함몰 배치될 수 있다. 하천수 배출부(23)의 단부에는 배출홈(11)이 연결되어 있다.The other end of the flow path pipe 21 is provided with a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The river water discharge part 23 is connected to the flow path pipe 21 and is dispos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is provided in a conical shape in which its cross-sectional area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flow passage pipe 21 toward the end portion, and a partial region around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is recessed inside the circular support 10. Can be deployed. The discharge groove 11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여기서, 각각의 하천수 유입부(22) 및 하천수 배출부(23)의 단면부는 원형 지지체(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의 단면 배치는 나란하게 배치되되, 개구면이 하천의 이동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하천수가 하방으로 역류 흐름을 형성하는 원리는 하천의 스트림라인(streamline, 유선)의 분포 밀도부터 발생되는 수압 차이에 의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장치의 동작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cross-sections of each of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may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support 10. That is, the cross-section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opening surface is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river flow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can occur. Through this, the principle that the river flows to form a countercurrent flow downward is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from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streamline (streamline, streamline) of the stream,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이러한 구성의 역류형성 안내부(20)는, 하천수 유입부(22)에서 하천수를 유입받아 유로 배관(21)을 타고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후 하천수 배출부(23)에서 하천 바닥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나선 형상으로 마련된 하천수 배출부(23)의 형상으로 인해 하천수를 소용돌이 형태로 배출시켜 하천 저면에 퇴적된 오염원인 하천수질들을 부유시킬 수 있다. 또한, 하천수의 수직 흐름의 발생을 통해 저층의 산소 농도를 증가시켜 하천의 수질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ceives the river water from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moves downward through the flow path pipe 21, and is then discharged from the river water outlet 23 to the river bottom. In this process, due to the shape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unit 23 provided in a spiral shape, the river water may be discharged in a vortex form to float the river water quality, which is a pollution source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restoring power of the river by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bottom layer through the generation of the vertical flow of the river water.

또한, 원형 지지체(10)의 형상을 원통 형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오는 하천의 흐름에 대응하여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ircular support 10 has a cylindrical shape has the advantage that can operate the device in response to the flow of the river from a variety of directions.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하천수 배출부(23)는 원형 지지체(1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하천수 배출부(23)를 반대 방향으로 배치하여 원형 지지체(10)의 원주 방향으로 배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ream water discharge portion 23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arranged to be discharg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support 10 It may be configured to discharge.

또한, 역류 흐름의 강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예를 들면, 하천의 유속이 느리다거나 오염 하천수질의 분포가 많을 때에는 원형 지지체(10)에 설치되는 역류형성 안내부(20)의 개수도 증가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ountercurrent flow, for example, when the flow velocity of the stream is slow or the distribution of the contaminated river water quality is large, the number of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s 20 installed in the circular support 10 is also It may be increased.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발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하천수 유입부와 하천수의 유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역류발생장치의 동작 과정을 모사하기 위하여 하천수 배출부와 하천수의 유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eam inflow and stream water streams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river water discharge to simulate the operation of the backflow gen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diagram of a streamline of river water.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발생장치가 동작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과정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improving the water quality by operating the backflow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이러한 역류형성 안내부(20)는 유체 역학의 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유체의 흐름인 유선(streamlin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서는 유속이 느리고, 수면 쪽으로 대략 소정의 높이만큼 올라오면 일정한 유속을 형성하며 평행하게 흐른다. 그러나 하천 내부에 장애물이 존재하는 등의 외적 요인이나, 압력 변화 또는 흐름 방향의 변화로 인해 유선의 간격이 변하게 되는데, 유선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유속이 상승하고, 압력이 낮아진다. 반대로 유선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유속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한다. 이러한 원리가 역류형성 안내부(20)에 적용된다.This countercurrent guide 20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energy conservation law of fluid mechanics. As shown in FIG. 1, a streamline, which is generally a fluid flow, has a slow flow rate at the bottom, and flows in parallel to form a constant flow rate when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surface of the water. However,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presence of obstacles in the river, or changes in pressure or flow direction changes the spacing of the streamline, the narrower the streamline, the higher the flow rate, the lower the pressure. Conversely, the wider the streamline, the lower the flow rate and the higher the pressure. This principle is applied to the backflow guide 20.

먼저, 하천수 유입부(22)의 동작 원리를 상세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수 유입부(22)의 개구는 하천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유로 배관(21)이 있는 A 지점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유선(유로 흐름)이 형성되는데 반해, 유로 배관(21)이 없는 B 지점에서는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아 A지점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선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베르누이 법칙에 따라, A 지점보다 B 지점에서 유속이 감소하고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유로 배관(21) 내부의 압력 Pin보다, 하천수 유입부(22) 근방의 입구부의 Pout이 크게 되므로 자연스레 유로 배관(21)으로 흘러들어가는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어떤 동력원이 마련되지 않음에도, 하천수가 유로 배관(21)으로 유입될 수 있다.First,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iver water inlet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opening of the river water inlet 22 is disposed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river water. Whereas a streamline (flow path)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the A point where the flow path pipe 21 is formed, an obstacle does not exist at the B point where the flow path pipe 21 is absent, so that the distance of the streamline is wider than the A point. do. According to Bernoulli's law, the velocity decreases and the pressure increases at point B rather than point A. Since the P out of the inlet part near the stream water inflow part 22 becomes larger than the pressure P in in the flow path piping 21, the flow which flows into the flow path piping 21 naturally arises. As such, even if no power source is provided, the river water may flow into the flow path pipe 21.

하천수 배출부(23)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수 배출부(23)는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어 유로 배관(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천수 배출부(23)의 단면 배치는 하천수 유입부(22)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수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개구면이 하천의 이동 방향의 반대쪽으로 배치된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unit 23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6, the river water discharge part 23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and is formed to increase in cross-sectional area as it moves away from the flow path pipe 21. 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river water inflow portion 22, the opening surface is disposed in the opposite side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river so that the hydraulic pressure difference can occur.

이럴 경우, 유로 배관(21)을 타고 오는 유선에 비해, 하천수 배출부(23)의 형상 때문에 하천수 배출부(23) 근방에서의 유선 간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이에, A 지점에 비해 B 지점에서는 유속이 증가되고, 압력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하천수의 유동 흐름은 자연스럽게 유로 배관(21)에서부터 하천수 배출부(23)를 통해 외부로 유동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streamline spacing in the vicinity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is relatively reduced due to the shape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23, compared to the streamline coming through the flow path pipe 21. As a result, the flow rate is increased at the point B compared to the point A, and the pressure is lowered. Therefore, the flow flow of the river water flows to the outside through the stream water discharge portion 23 from the flow passage pipe 21 naturally.

이와 같이,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의 단면 배치는 나란하게 배치되되, 개구면이 하천의 이동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압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유출부의 동작 원리는 베르누이 법칙에 기초한 것으로서, 유선의 간격 변화에 따라 압력 변화로부터 무동력으로 하천수가 역류되는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cross-sectional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opening surface is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low of the stream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can occu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tream inflow 22 and the stream outflow is based on Bernoulli's law, and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flow in which the river water flows back from the pressure change without forc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streamline.

또한, 하천수 유입부(22)와 하천수 배출부(23)의 고저 차이로 인한 유속 차이를 보이므로, 하천수 유입부(22)의 압력 차이가 하천수 배출부(23)의 압력 차이보다 크다. 따라서, 하천수 유입부(22)에서 하천수를 유입받아 하방으로의 역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rate difference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river water inlet 22 and the river water outlet 23 is different,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river water inlet 22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difference of the river water outlet 23. Therefore, the stream flows downward by receiving the river water from the river water inlet 22.

결론적으로, 역류형성 안내부(20)를 통해, 하천의 스트림라인(streamline, 유선)의 분포 밀도부터 발생되는 수압 차이에 의해 유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천 바닥으로부터 원형 지지체(10)의 높이만큼 상층의 하천의 흐름을 최대한 하천의 바닥으로 역류하도록 유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천수 배출부(23)도 하천수 유입부(22)의 배치와 나란한 관계로, 원형 지지체(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원형 지지체(10)의 저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배치 되어 있어, 하천수를 소용 돌이 형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천수의 역류 흐름이 발생하게 되면, 물 배출부(23)에서 뿜어져 나오는 하천수는 하천 저면의 바닥으로 분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천 바닥에 존재하는 퇴적된 오염원인 물질들을 부유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하천 바닥의 오염원이 하천의 흐름에 동반되어 흘러 내려가면서 정화될 수 있다.
또한, 하부에서 상부로 유속이 발생해 하천수가 골고루 섞이게 되며, 하천 상부에서 산소를 포함한 하천수가 하천 하부로 쉽게 내려올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바닥의 산소 농도가 증가될 수 있으며 하천 바닥 영역의 용존 산소량(D.O.)이 증가될 수 있어 하천의 수질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conclusion, through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20, it is possible to flow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from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streamline (streamline) of the stream, thus, the height of the circular support 10 from the bottom of the stream As much as possible, the flow of the upper stream can be induced to flow back to the bottom of the stream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the stream discharge portion 23 is also arrang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ircular support 10 in a parallel relationship with the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inlet 22. Therefore, the river water can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vortex stones.
When the countercurrent flow of the river water occurs, the river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discharge unit 23 may be discharged to the bottom of the river bottom, thereby floating the material that is the accumulated pollutant existing on the river bottom. . Eventually, pollutants at the bottom of the stream can be purged as they flow down the stream.
In addition, the flow rate is generate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iver water is evenly mixed, the river water containing oxygen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iver can easily descen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iver. Accordingly, the oxygen concentration of the stream bottom may be increased, and the dissolved oxygen amount DO may be increased in the stream bottom area, thereby improving the water quality restoring power of the stream.

또한,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여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추가적으로, 원형 지지체(10)의 저면이 하천 바닥에 설치되면 시공이 완료되는 것으므로, 장치 시공성에 있어 편리하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evice is simple and easy to manufacture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mass production. In addition, since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10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thus it is convenient in device constructability.

또한, 원형 지지체(10)를 압축 종이, 재생 종이 등 분해 가능한 종이 재질로 장치를 제작할 수 있어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 분해될 수 있어 자연 친환경적인 장점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ircular support 10 can be manufactured from a degradable paper material such as compressed paper or recycled paper, the device may be naturally decomposed with time, and thus there is a natural eco-friendly advantag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원형 지지체 11 : 배출홈
20 : 역류형성 안내부 21 : 유로 배관
22 : 하천수 유입부 23 : 하천수 배출부
10: circular support 11: discharge groove
20: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portion 21: flow path piping
22: river water inlet 23: river water outlet

Claims (8)

미리 설정된 높이(高低)차를 형성하며 내측에 중공 구역이 마련되는 원형 지지체;
상기 원형 지지체의 외주면에 마련되며, 상기 높이차에 의해 하천의 유선(streamline) 분포 차이로부터 발생되는 압력 변화에 의해 하천수를 상기 원형 지지체의 하부 영역으로 역류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역류형성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는,
상기 하천수의 수직 흐름을 형성하는 유로 배관;
상기 원형 지지체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유로 배관의 일단을 형성하는 하천수 유입부; 및
상기 유로 배관의 타단에 마련되며,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상기 유로 배관을 따라 안내된 상기 하천수가 배출되는 하천수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하천수 배출부의 단면 배치는 상기 압력 차이가 발생할 수 있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원형 지지체 및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로 인하여 형성되는 상기 하천의 수면에서부터 상기 하천수 유입부의 상부까지의 길이 구간과, 상기 하천의 수면에서부터 상기 원형 지지체의 중공부까지의 길이 구간의 차이로 상기 유선 분포의 차이가 발생하고,
상기 유선 분포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 차이에 의해 상기 하천수가 상기 하천수 유입부 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A circular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difference and having a hollow section provided therein;
It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backflow guides for guiding the river water back to the lower region of the circular support by the pressure change generated from the streamline distribution difference of the stream by the height difference; ,
The countercurrent formation guide unit,
A flow passage pipe forming a vertical flow of the river water;
A stream water inlet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circular support and forming one end of the flow path pipe; And
I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low passage pipe, and includes a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for discharging 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guided along the flow path pipe,
Cross-sectional arrangement of 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outlet is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the pressure difference can occur,
The length of the stream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river formed by the circular support and the countercurrent guide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am water inlet and the length of the stream from the water surface of the river to the hollow portion of the circular support of the streamline distribution A difference occurs,
Backflow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iver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river water inlet side by the pressure difference generated by the difference in the streamline distribu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하천수 배출부의 개구면은 하천의 이동 흐름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opening surfaces of 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outlet are dispos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flow of the stre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형성 안내부는 상기 원형 지지체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ntercurrent flow guide unit is arranged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수 유입부와 상기 하천수 배출부는 상기 원형 지지체의 양 단부에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iver water inlet and the river water discharge unit is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ircula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수 배출부는 상기 유로 배관 측에서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증가되는 원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stream water discharge portion backflow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ical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the cross-sectional area as the distance away from the passage pi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천수 배출부의 원추 형상의 일부 영역은 상기 원형 지지체의 저면에 함몰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ortion of the conical shape of the river water discharge portion is provided by being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circular sup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지지체는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 분해 가능하도록 재생 종이 또는 압축 종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lar support is a backflow generator, characterized in that made using recycled paper or compressed paper so as to be naturally decomposable over time.
KR1020130072539A 2013-06-24 2013-06-24 Backdraft generator KR1013379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39A KR101337900B1 (en) 2013-06-24 2013-06-24 Backdraft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2539A KR101337900B1 (en) 2013-06-24 2013-06-24 Backdraft gen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900B1 true KR101337900B1 (en) 2013-12-06

Family

ID=4998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539A KR101337900B1 (en) 2013-06-24 2013-06-24 Backdraft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9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369A (en) * 1993-04-13 1995-08-15 Jgc Corp Method and tank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of solid matter of slurry
KR100495903B1 (en) * 2003-04-17 2005-06-16 주식회사 태영 Equipment of Drawn-sludge using STEEL IN STEEL REVOLUTION SYSTEM
JP4060484B2 (en) * 1999-03-16 2008-03-12 阪神動力機械株式会社 Underwater stirring device
KR101052534B1 (en) * 2008-11-25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diment remova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369A (en) * 1993-04-13 1995-08-15 Jgc Corp Method and tank for preventing sedimentation of solid matter of slurry
JP4060484B2 (en) * 1999-03-16 2008-03-12 阪神動力機械株式会社 Underwater stirring device
KR100495903B1 (en) * 2003-04-17 2005-06-16 주식회사 태영 Equipment of Drawn-sludge using STEEL IN STEEL REVOLUTION SYSTEM
KR101052534B1 (en) * 2008-11-25 2011-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ediment removal device and ship hav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2205B (en) Low-resistance anti-block vertical flow wetland structure
CN110563133A (en) TAF biological filter and T-shaped air-water distribution block filter brick water and air distribution system thereof
KR101050234B1 (en) Eco-friendly small hydro power generation system and small hydro power generation method
JP2007113232A (en) Dust removing device
CN106563298A (en) Waste water sedimentation basin
CN206408048U (en) A kind of sewage-treatment plant of microbe stuffing purification
CN104229975B (en) Plate and frame biological filter dam purifier
KR101337900B1 (en) Backdraft generator
CN205740680U (en) A kind of pretreatment unit of black-odor riverway sewage
CN103819035B (en) Speed fraction Sewage treatment systems
JP2008163622A (en) Inverted siphon structure of sewer
KR102075485B1 (en) Pipe structure for velocity increasinf flow
CN209907339U (en) Multistage abrupt slope energy absorber
CN204509038U (en) Waste disposal plant
CN209163002U (en)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atch-basin
KR102507157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for water channel using Storage space
KR102188419B1 (en) Permeable Reactive Barriers and Methods for Purifying Groundwater Contamination Using thereof
KR102214724B1 (en) Apparatus for increasing of fiow velocity
KR101551854B1 (en) Vortex Generator for River water
JP4360743B2 (en) Suppression device
CN109260805B (en) Device for prolonging service life of pipeline filtration in hydraulic engineering
KR101236215B1 (en) Sewage disposal facilities for river
CN204709879U (en) A kind of square collection immersed tube second pond
CN205528059U (en) Multiple sewage treatment plant
KR100768546B1 (en) Aeration structure of watercour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