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670B1 - Fog removal device - Google Patents

Fog remov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670B1
KR101337670B1 KR1020120142735A KR20120142735A KR101337670B1 KR 101337670 B1 KR101337670 B1 KR 101337670B1 KR 1020120142735 A KR1020120142735 A KR 1020120142735A KR 20120142735 A KR20120142735 A KR 20120142735A KR 101337670 B1 KR101337670 B1 KR 101337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per
coupled
base bloc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7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정호
황명화
손승현
권지성
Original Assignee
황명화
황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화, 황정호 filed Critical 황명화
Priority to KR1020120142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6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6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97Wiper units as items separate from vehicle, e.g. for emergency use or retro-fit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A demis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ed unit connected on the surface of objects in which fogging is generated and a wiper formed to wipe the surface of the fogged object and mounted to be attached to/detached from the fixed unit. The demister is capable of removing a large amount of fogging at a time, wiping a window corner and a mirror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irror or window as a part in which a blade is installed is detachable, and obtaining excellent usability because it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removed.

Description

김서림 제거장치 {Fog removal device}Fog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거울이나 유리창 등에 서리는 김을 제거하는 김서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한 번에 많은 양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장착된 부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거울 및 유리창의 규격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도록 구성되는 김서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ogging device for removing frost on a mirror or a window, more specifically, to remove a large amount of defogging at a time, the blade is mounted to be detachable portion of the mirror and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lass window can be used in common, and relates to a defogging device configured to simplify installation and removal.

일반적으로 물이 높은 열을 만나서 기체로 변화된 것을 김이라고 하며, 이와 같은 김이 거울이나 유리 등 표면이 매끄러운 부위에 서리는 현상을 김서림 현상이라 한다. 이와 같은 김서림 현상은 뜨거운 물의 사용 시 세면장이나 대중목욕탕의 샤워기 부근에 설치되어 있는 거울에 자주 발생된다. In general, when water meets high heat and is transformed into a gas, it is called laver. The laver phenomenon is called laver frost on a smooth surface such as a mirror or glass. Such steaming occurs frequently in mirrors installed near a shower in a bathroom or public bath when hot water is used.

한편, 세면장이나 대중목욕탕의 샤워기에는 통상적으로 뜨거운 물과 찬물이 나오도록 구성된 혼합수전과 세면대 및 거울을 부착하게 되는데 이는 거울을 보면서 면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거울을 보면서 샤워나 면도를 하기 위해서 혼합수전을 이용해 뜨거운 물을 나오게 했을 경우 이 뜨거운 물에서 발생되는 김에 의해 거울에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어 거울을 이용할 수 없을 정도로 뿌옇게 흐려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hower in the bathroom or public bath is usually attached to the mixing faucet and wash basin and mirror configured to come out of hot and cold water, which is also to facilitate the shaving while looking in the mirror. However, when the hot water comes out using the mixing faucet to take a shower or shave while looking at the mirror as described above, the mist generated from the hot water causes the mirror to become cloudy so that the mirror cannot be used.

상기와 같이 거울이 뿌옇게 흐려지는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면 사용자는 거울 표면을 손으로 닦아 상기 김서림을 제거 하는데, 이와 같이 손으로 거울을 닦는 경우 거울 표면에 있던 오염물이 손에 묻어 불쾌함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거울을 통해 자신의 얼굴이나 신체를 보기 위해서는 거울 표면 중 상당히 큰 면적을 닦아야 하는데,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손으로 거울을 닦는 경우 거울을 닦는 동작을 수회에 걸쳐 반복해야하는바 사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손으로 거울을 닦는 경우에는 아무리 깨끗하게 거울을 닦더라도 거울 표면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으므로, 거울 표면을 깨끗하게 세정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blurring fog occurs, the user wipes the surface of the mirror by hand to remove the blurring. In this case, when the mirror is cleaned by hand, contaminants on the mirror surface may be on the hands, causing unpleasantness.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in order to see the user's face or body through the mirror, the user must clean a large area of the mirror surface, and as mentioned above, when cleaning the mirror by hand, the mirror cleaning operation must be repeated several times. There is a drawback to this. In addition, in the case of wiping the mirror by hand, no matter how clean the mirror can not completely remove the moisture on the mirror surfa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a limit to clean the mirror surface clean.

거울이나 유리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블레이드가 장착된 '유리창 닦개'가 다양한 구조로 제안된 바 있으나, 현재까지 제안된 유리창 닦개는 매우 넓은 면적의 거울이나 유리를 청소하기 위하여 크게 제작되는 것으로서, 화장실 거울을 닦는 용도로는 사용이 부적합하며 보관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effectively clean mirrors and glass, a glass window cleaner equipped with a blade made of rubber has been proposed in various structures, but the glass window wipes proposed so far are largely manufactured to clean a very large area of the mirror or glass. To clean the bathroom mirro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use and difficult to sto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거울을 닦지 아니하더라도 거울 표면에 서린 김을 제거할 수 있고, 한 번의 조작으로 넓은 면적의 거울 표면을 닦을 수 있으며, 블레이드 장착 부위가 탈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게 구성되는 김서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ven if the user does not directly wipe the mirror,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mist on the mirror surface, and to wipe the mirror surface of a large area in one oper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fogging device configured to be highly removable because the blade mounting portion is removabl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물체(이하 '김서림 물체'이라 약칭함)의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김서림 물체 표면을 닦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fogging device, including: a fixing part coupled to a surfac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msurim object') in which a defogging phenomenon occurs; And a wip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part to wipe the surface of the fogged object during rotation.

상기 와이퍼에는 블레이드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중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된 측의 반대편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된다.The wiper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blade, a handle is formed protru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f the wiper is coupled to the blade.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A fastening hole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wip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in a detachable structure with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김서림 물체의 표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part includes a base block on which the connection bracket is mounted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an adsorption plate coupled to the base block and attached to a surface of the steaming object in a detachable structure.

일측이 상기 흡착판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을 관통하는 체결나사와, 상기 체결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흡착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블록을 더 포함한다.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adsorp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screw penetrating the base block, the fastening block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to secure the base block and the adsorption plate.

상기 연결브라켓 중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the base block.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연결브라켓 일측면이 안착되는 제1 베이스블록과,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연결브라켓 타측면이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단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블록을 포함하며,The base block includes a first base block on which one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seated, and an insertion e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seated. A second baseblock,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체결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블록과 제2 베이스블록을 상기 흡착판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The fastening block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is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second base block toward the suction plate.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제2 베이스블록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블록에 안착되는 돌출단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체결블록과, 상기 제1 체결블록의 타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 체결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체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astening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block having a protruding end seated on the base block by penetrating the second base block and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and to be s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It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block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which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through the fastening block.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물체(이하 '김서림 물체'이라 약칭함)의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김서림 물체 표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와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xing part coupled to a surface of an obje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msurim object') in which a defogging phenomenon occurs; The wiper is configured to wipe the surface of the fogged object is mounted in a removable structure in the fixing por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A fastening hole is formed to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the fixing part, and the wiper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in a detachable structure with a fasten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끝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an end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extends downwar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상기 체결돌기는, 장변 길이방향이 상기 와이퍼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fastening protrusion is formed such that its long side direction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와이퍼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돌출턱을 구비한다.The connecting bracket has a pair of protruding jaws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per.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한 번에 많은 양의 김서림을 제거할 수 있고, 블레이드가 장착된 부위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거울 및 유리창의 규격에 관계없이 거울 및 유리창의 구석까지 닦을 수 있으며, 설치 및 제거가 간편하여 활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a large amount of defogging at a time, and the blade-mounted por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to wipe the corners of the mirror and the window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mirror and the window.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과 와이퍼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와이퍼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bracket and the wiper included in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diagram used to separate the wip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anti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욕실의 거울(10)이나 유리창 등과 같이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물체(이하 '김서림 물체'라 약칭함)에 부착되어 상기 김서림 물체의 표면에 서려있는 김을 보다 신속하고 깨끗하게 제거하기 위한다는 점에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0)의 표면에 부착되되, 거울(10)의 표면에 접촉된 부위(220 : 와이퍼)가 거울(10)과 접촉된 상태로 거울(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거울(10) 표면에 서려있는 김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n object (hereinafter abbreviated as 'kimseorim object') in which a defogging phenomenon occurs, such as a mirror 10 or a glass window of a bathroom, and more quickly The purpose is to remove it cleanly. That is,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as shown in Figure 1, so a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ortion 220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The wiper is configured to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in contact with the mirror 10 so as to remove the lather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이때, 회동 시 거울(10)의 표면을 닦는 부위는 사용자의 손에 비해 길게 제작되며 거울(10)과의 밀착성이 사람의 손보다 우수하게 제작되는바, 한 번 움직일 때 넓은 면적을 깨끗하게 닦게 된다. 이와 같이 거울(10) 표면이 닦여지면 거울(10) 표면에 서려있던 김이 제거되므로 사용자는 거울(10)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확실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손으로 거울(10)을 닦는 경우에 비해 거울(10)에 서려있는 김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to wipe the surface is made longer than the user's hand and the adhesion with the mirror 10 is produced better than the human hand, it cleans a large area when moving once . As such, when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is wiped, the steam that is standing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is removed, so that the user can surely see his appearance through the mirror 10. That is, when using the anti-fog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the mist on the mirror 10 compared to the case of wiping the mirror 10 by han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각 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에 포함되는 연결브라켓과 와이퍼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와이퍼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2 an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connecting bracket and wiper included in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and FIG. 6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he wiper is used separately.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김서림 물체의 표면(본 실시예에서는 거울(1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100)와,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되 거울(10)을 향하는 면에 블레이드(230)가 구비되어 회전 시 거울(10)의 표면을 닦는 와이퍼(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220)는 고정부(1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연결브라켓(210)을 매개체로 고정부(1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2 to 5,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rface (mirror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of the defogging object that is generated by the defogging phenomenon The blade 230 is mounted on the fixing part 100 so as to be rotatable, and includes a wiper 220 that wipes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when the blade 230 is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mirror 10. In this case, the wiper 22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or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using the connecting bracket 210 as a medium.

이와 같이 고정부(100)가 거울(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퍼(220)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를 거울(10)에서부터 떼어내지 아니하고 와이퍼(220)를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거울(10)에 서려있는 김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를 거울(10)의 일측에 부착시켜 놓은 상태에서도 거울(10)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함이 없으므로, 김서림 제거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공간이 요구되지 아니하는바,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도 있다.When the fixing unit 100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state where the fixing unit 100 is fixed to the mirror 1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does not remove the anti-fo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mirror 10 without the wiper 220. Only by rotating the) can be wiped clean the seaweed standing on the mirror 10,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very convenient to use.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great inconvenience in using the mirror 10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anti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mirror 10,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antifogging device is not required.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easy storage.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와이퍼(220)가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베이스블록(110)과, 상기 베이스블록(110)에 결합되되 상기 거울(10)의 표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는 흡착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착판(120)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거울(10)의 표면에 부착되었을 때 진공압에 의해 거울(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와 같은 흡착판(120)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00)가 흡착판(12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의 장착위치를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및 보관, 유지 보수 등이 매우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The fixing part 100, the base block 110, the wiper 220 is mounted in a rotatable structure, coupled to the base block 110, but attached to the removable structure on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plate (120). The adsorption plate 120 is made of soft synthetic resin and is a component that is attached to the mirror 10 by vacuum pressure when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The adsorption plate 120 as described above is Since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such, when the fixing part 100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adsorption plate 120,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so that the use, storage, and maintenance are very conveni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한편, 상기 와이퍼(220)는 외력에 의해 회동될 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설정수준 이상의 강성 및 경도를 갖도록 제작되는데, 거울(10)의 표면을 닦는 부위가 경도가 높은 재질을 갖게 되면 거울(10)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거울(10)에 서려있는 김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220)는 거울(10)의 표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2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230)는 장시간 사용 시 경화되거나 변형될 수 있으므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구조로 와이퍼(22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230)는 와이퍼(220)의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장착될 수도 있고 와이퍼(220)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블레이드(230)의 장착방식은 자동차의 와이퍼 등에서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는바, 상기 블레이드(230)의 형상 및 조립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wiper 220 is manufactured to have a stiffness and hardness of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so as not to be deformed when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if the portion of the mirror 10 to wipe the surface of the material having a high hardness mirror 10 Adhesion with and may not be able to effectively remove the steam standing on the mirror (10). Therefore, the wiper 22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lade 230 made of a soft rubber at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In addition, since the blade 230 may be cured or deformed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blade 230 is preferably mounted to the wiper 220 in a detachable structure so that replacement is possible. The blade 230 may be mounted to be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220, or may be mounted in a fitting manner to the wiper 220, such a mounting method of the blade 230 is various in the wiper of the vehicle, etc. As it is implemen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hape and assembly structure of the blade 230 will be omitted.

또한, 상기 와이퍼(220)는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잡고 회동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230)가 장착된 반대편에 손잡이(22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224)는 거울(10)을 향하는 면의 반대측 즉, 블레이드(230)가 장착된 측의 반대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24)의 형상 및 형성위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per 220 may be provided with a handle 224 on the opposite side on which the blade 230 is mount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hold and rotate by hand. The handle 2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facing the mirror 10,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n which the blade 230 is mounted,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andle 224 is free to the user's choice Can be selected.

한편, 상기 흡착판(120)이 사용자의 가압력에 의해서만 거울(10)에 부착되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진공압이 감소되어 거울(10)에서부터 떨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이 상기 흡착판(120)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110)을 관통하는 체결나사(130)와, 상기 체결나사(1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블록(110)과 상기 흡착판(120)을 고정시키는 체결블록(30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착판(120)에 체결나사(130)가 구비되고, 베이스블록(11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나사(130) 끝단에 체결블록(300)이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부(322)가 마련되면, 흡착판(120)을 거울(10)의 표면에 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블록(300)을 체결나사(130)에 나사결합 시켰을 때 상기 체결나사(130)가 체결블록(300)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상기 체결나사(130)가 결합된 흡착판(120)의 가운데 부위 역시 체결블록(300) 측으로 당겨지게 되는바, 거울(10)과 흡착판(120) 사이에는 더욱 큰 진공압이 발생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sorption plate 120 is attached to the mirror 10 only by the user's pressing force, there is a fear that the vacuum pressure is reduced and fall from the mirror 10 with tim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stening screw 130 having one side fixedly coupled to the adsorption plate 120 and the other side penetrating the base block 110, and the fastening screw 130. Screwed to)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lock 300 for fixing the base block 110 and the adsorption plate 120. When the fastening screw 130 is provided on the suction plate 120 as described above, and the female screw part 322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astening screw 130 which protrudes through the base block 110, the fastening block 300 is screwed. When the fastening block 300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130 in a state where the adsorption plate 1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mirror 10, the fastening screw 130 is pulled toward the fastening block 300. The center portion of the adsorption plate 120 to which the fastening screw 130 is coupled is also pulled toward the fastening block 300, and a greater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mirror 10 and the adsorption plate 120.

이와 같이 거울(10)과 흡착판(120) 사이에 큰 진공압이 발생되면 상기 흡착판(120)의 부착력은 현저히 커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가 거울(10)로부터 떨어져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를 거울(10)에서부터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나사(130)로부터 체결블록(300)을 풀어 거울(10)과 흡착판(120) 사이의 진공압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이 거울(10)과 흡착판(120) 사이의 진공압이 감소되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흡착판(120)을 거울(10)로부터 떼어낼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a large vacuum pressure is generated between the mirror 10 and the adsorption plate 120, the adhesion of the adsorption plate 120 becomes remarkably large. Thus, the mist elimin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amaged from the mirror 10. It can be prevented.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removed from the mirror 10, the vacuum block between the mirror 10 and the suction plate 120 is reduced by releasing the fastening block 300 from the fastening screw 130. Let's do it. As such, when the vacuum pressure between the mirror 10 and the suction plate 120 is reduced, the user can detach the suction plate 120 from the mirror 10 with a small force.

한편, 연결브라켓(210)이 베이스블록(110)에 끼워맞춤 구조로 결합되면, 수회에 걸쳐 와이퍼(220)를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상기 연결브라켓(210)이 베이스블록(110)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와이퍼(220)를 수회에 걸쳐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연결브라켓(210)이 베이스블록(110)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브라켓(210) 중 상기 베이스블록(110)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관통공(214)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10)은 상기 연결브라켓(210)의 관통공(214)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nection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110 in a fitting structure, the connection bracket 210 can be pulled out of the base block 110 by rotating the wiper 220 several times. have. Therefore,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bracket 210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110 even when the wiper 220 is rotated several times, among the connection brackets 210. A through hole 214 is formed at a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110, and the base block 11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14 of the connection bracket 21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112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is preferable.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10) 중 관통공(214)이 형성된 부위의 일측면이 제1 베이스블록(112)에 안착되고, 연결브라켓(210) 중 관통공(214)이 형성된 부위의 타측면에는 제2 베이스블록(114)이 안착되되 제2 베이스블록(114)에 구비된 삽입단(116)이 관통공(214)으로 삽입되며, 상기 체결블록(300)은 상기 체결나사(130)에 나사결합되어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을 흡착판(120)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나사(130)와 체결블록(300)이 나사결합 됨에 따라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인가받더라도, 제2 베이스블록(114)의 삽입단(116) 끝단이 제1 베이스블록(112)에 안착되어 있으므로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 간의 거리는 기준치 이상 가까워지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 사이에 삽입된 연결브라켓(210)은 체결나사(130)와 체결블록(300) 간의 체결력이 매우 커지더라도 제1 베이스블록(112)과 제2 베이스블록(114) 사이에서 압착될 우려 없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to 4, one side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214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racket 210 is seated on the first base block 112 and the through hole in the connection bracket 210. The second base block 114 is s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rtion 214 is formed, the insertion end 116 provided in the second base block 114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4, the fastening block 300 )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130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base block 112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toward the adsorption plate 120 side. At this time, as the fastening screw 130 and the fastening block 300 are screwed together,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base block 112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are close to each other, the second base block 114. Since the insertion end 116 of the end is seated on the first base block 112,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base block 112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does not become clos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refore, the connection bracket 210 inserted between the first base block 112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has the first base block 112 even though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fastening screw 130 and the fastening block 300 becomes very large. And the second base block 114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in a state capable of free rotation without being squeezed.

한편, 상기 체결블록(300)은 체결나사(130)와 나사결합됨에 따라 제2 베이스블록(114)에 밀착되는데, 이와 같이 체결블록(300)이 제2 베이스블록(114)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블록(300)을 더 회전시키면 상기 제2 베이스블록(114)이 체결블록(300)을 따라 회전하여 전체적인 제품의 각도가 틀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상기 체결블록(300)을 회전시켜 체결나사(130)와 나사결합 시키는 과정에서도 베이스블록(110)이나 기타 다른 부품들이 회전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체결블록(300)이 두 개의 구성요소로 나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블록(300)은, 제2 베이스블록(114)과 관통공(214)을 관통하여 베이스블록(110)에 안착되는 돌출단(312)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체결블록(310)과, 제1 체결블록(310)의 타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되 제1 체결블록(310)을 관통하여 체결나사(13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322)를 구비하는 제2 체결블록(3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블록(300)이 제1 체결블록(310)과 제2 체결블록(320)으로 나뉘어 구성되면, 체결나사(130)와의 나사결합을 위해 제2 체결블록(320)을 회전시키더라도 제1 체결블록(310)과 제2 체결블록(320) 사이에서만 마찰력이 발생되므로, 제1 체결블록(310)은 약간 회전될 수 있더라도 베이스블록(110)이나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이 회전되는 현상은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block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block 114 by being screwed with the fastening screw 130, in this way the fastening block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base block 114 If the fastening block 300 is further rotated, the second base block 114 may be rotated along the fastening block 300 so that the angle of the entire product may be distorted. Therefore,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base block 110 or other parts are not rotated even in the process of screwing the fastening block 300 and the fastening screw 130, the fastening block 300 It is desirable to be divided into two components. That is, the fastening block 300,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end 312, which penetrates the second base block 114 and the through-hole 214 to be mounted on the base block 110 on one side. ) And a second fastening block 320 which is coupled to be s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and has a female screw part 322 that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130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When the fastening block 300 is configured to be divided into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and the second fastening block 320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econd fastening block 320 is rotated for screwing the fastening screw 130. Since the friction force is generated only between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and the second fastening block 320, even if the first fastening block 310 may be slightly rotated, the base block 110 or other components are prevented from rotating. You can do it.

한편, 연결브라켓(210)이 고정부(100)로부터 탈거가 불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와이퍼(220)를 회전시켜 거울(10)을 닦을 때 와이퍼(220)의 회전반경 내의 영역만을 닦을 수 있을 뿐, 와이퍼(220)의 회전반경을 벗어난 지점은 닦을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와이퍼(220)가 고정부(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와이퍼(220)는 상기 연결브라켓(2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퍼(220)가 연결브라켓(2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와이퍼(220)를 연결브라켓(210)으로부터 탈거시켜 거울(10)의 각 구석까지 닦을 수 있게 된다. 물론, 거울(10)에 서려 있는 김을 모두 제거한 이후에는 와이퍼(220)를 연결브라켓(210)에 장착시킴으로써, 와이퍼(22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nnecting bracket 210 is configured to be removable from the fixing part 100, in the state shown in Figure 1 when rotating the wiper 220 to wipe the mirror 10 within the rotation radius of the wiper 220 Only the area can be wiped, and a point outside the rotation radius of the wiper 220 cannot be wiped away.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feature in that the wiper 220 is configured to be detached from the fixing part 100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so as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at is, the wiper 22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in a removable structure. When the wiper 2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onnecting bracket 210 as described above, as illustrated in FIG. 6, the user removes the wiper 220 from the connecting bracket 210 to wipe each corner of the mirror 10. It becomes possible. Of course, after removing all the steam standing on the mirror 10, by mounting the wiper 220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oss of the wiper 220.

와이퍼(220)를 연결브라켓(210)에 장착시키고 탈거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브라켓(210)에는 체결홀(212)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퍼(220)에는 상기 체결홀(212)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기(22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222)가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체결돌기(222)가 체결홀(212)로부터 쉽게 빠질 수 있으므로, 상기 체결돌기(222)는 체결홀(212)에 삽입 체결되었을 때 체결홀(212)을 관통한 끝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중단이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acilitate mounting and removal of the wiper 220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a fastening hole 212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racket 210, the fastening hole 212 in the wiper 220 It is preferable that a fastening protrusion 222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In this case,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simply formed in a horizontally extending protrusion shape,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fastening hole 212,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fastening hole 212. When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end, th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212 is preferably formed in a bent shape so as to extend downward.

또한, 상기 체결돌기(222)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와이퍼(220)를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때 와이퍼(220)가 체결돌기(222)를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연결브라켓(210)은 회전되지 아니하고 와이퍼(220)만 회전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사용자가 와이퍼(220)를 회전시킬 때 연결브라켓(210)까지 안정적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돌기(222)는 다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와이퍼(220)를 회전시킬 때에는 와이퍼(220)의 길이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좌우방향)으로 힘을 인가받으므로, 상기 체결돌기(22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 길이방향이 상기 와이퍼(220)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wiper 220 rotates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user holds the wiper 220 by hand and rotates the connection bracket 210. Otherwise, only the wiper 220 may rotate. Therefore,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when the user rotates the wiper 220 to be stably rotated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preferably manufactured in a shape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Do. In particular, when the wiper 220 is rotated, since the force is applied in a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embodiment)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220,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shown in Figs. As shown, the long side length direction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220.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222)를 다각형으로 제작하지 아니하더라도 와이퍼(220)를 회전시킬 때 연결브라켓(210)이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브라켓(210)에는 와이퍼(220)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돌출턱(2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브라켓(210)에 한 쌍의 돌출턱(216)이 형성되면, 와이퍼(220)는 연결브라켓(210)에 결합되었을 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턱(216) 사이에 끼이는 구조를 갖게 되는바, 와이러(220)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연결브라켓(210)도 함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연결브라켓(210)과 와이퍼(220)가 보다 안정적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돌기(222)도 다각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연결브라켓(210)에 한 쌍의 돌출턱(216)도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s mentioned above, even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not manufactured in a polygon, the connection bracket 210 may be rotated together when the wiper 220 is rotated. A pair of protruding jaws 216 supporting left and right sides may be formed. When a pair of protrusion jaw 216 is formed in the connection bracket 210 as described above, the wiper 220 is coupled between the pair of protrusion jaw 216 as shown in FIG. 5 when coupled to the connection bracket 210. It will have a structure to be fitted to the bar, when rotating the wire 220 to the left and right, the connection bracket 210 can also be rotated together. Of course, so that the connection bracket 210 and the wiper 220 can be rotated together more stably, 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protrusion 222 is also formed to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 as long as the connection bracket 210 The pair of projection jaw 216 may also be provided.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220)를 고정부(100)로부터 탈거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220)는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와이퍼(220)에 연결브라켓(2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연결브라켓(210)은 고정부(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지 아니하고, 상기 고정부(100)에 고정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퍼(220)가 연결브라켓(210)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김서림 제거장치는 연결브라켓(210)을 생략하여 와이퍼(220)가 고정부(100)에 직접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wiper 220 is removed from the fixing part 100 as shown in FIG. 6, the wiper 220 does not need to be rotatably mounted to the fixing part 100. In other words, when the wiper 22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210 in a detachable structure, the connecting bracket 210 is not coupled to the fixing part 100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the fixing part 100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100. It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ly coupled.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only when the wiper 220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structure in the connecting bracket 210, the defogg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connecting bracket 210, the wiper 220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removable structure directly to the fixing part (100).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also be appreciate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고정부 110 : 베이스블록
112 : 제1 베이스블록 114 : 제2 베이스블록
116 : 삽입단 120 : 흡착판
210 : 연결브라켓 212 : 체결홀
214 : 관통공 216 : 돌출턱
220 : 와이퍼 222 : 체결돌기
224 : 손잡이 230 : 블레이드
300 : 체결블록 310 : 제1 체결블록
312 : 돌출단 320 : 제2 체결블록
322 : 암나사부
100: fixed part 110: base block
112: first base block 114: second base block
116: insertion end 120: suction plate
210: connecting bracket 212: fastening hole
214: through hole 216: protruding jaw
220: wiper 222: fastening protrusion
224 handle 230: blade
300: fastening block 310: first fastening block
312: protrusion 320: second fastening block
322 female thread

Claims (12)

김서림 현상이 발생되는 물체(이하 '김서림 물체'이라 약칭함)의 표면에 결합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전 시 상기 김서림 물체 표면을 닦는 와이퍼; 및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퍼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는 체결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연결브라켓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A fixing part coupled to a surface of an object on which a glimmer occurs (hereinafter abbreviated as 'kim rim object');
A wip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to wipe the surface of the fogged object when rotated; And
It includes a; fastening hole is formed is coupled to the fixing bracket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The wip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to remove the anti-fog,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onnecting bracket detachabl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에는 블레이드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퍼 중 상기 블레이드가 결합된 측의 반대편에는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per is coupled to the detachable structure of the wiper, the anti-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is formed protruding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ide of the wiper coupled to the wip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되 상기 김서림 물체의 표면에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부착되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xing unit, the anti-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se block is mounted in a rotatable structure and the adsorption plate is coupled to the base block in a detachable structu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steaming object.
제4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흡착판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블록을 관통하는 체결나사와, 상기 체결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베이스블록과 상기 흡착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ti-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astening screw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adsorption plate and the other side penetrates the base block, the fastening block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to secure the base block and the adsorption pla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 중 상기 베이스블록에 결합되는 부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은,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연결브라켓 일측면이 안착되는 제1 베이스블록과,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부위의 상기 연결브라켓 타측면이 안착되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삽입단을 구비하는 제2 베이스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체결나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베이스블록과 제2 베이스블록을 상기 흡착판 측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the base block.
The base block includes a first base block on which one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seated, and an insertion end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while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of the portion wher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s seated. A second baseblock,
The fastening block is screwed to the fastening screw is de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ress the first base block and the second base block to the suction plate sid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블록은, 상기 제2 베이스블록과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블록에 안착되는 돌출단이 일측에 구비되는 제1 체결블록과, 상기 제1 체결블록의 타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제1 체결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나사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구비하는 제2 체결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astening block is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block having a protruding end seated on the base block by penetrating the second base block and the through hole on one side, and to be s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astening block. A de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fastening block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threaded through the fastening block and the fastening screw.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었을 때 상기 체결홀을 관통한 끝단이 하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rotrusion, the anti-fog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when the fasten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는, 장변 길이방향이 상기 와이퍼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astening protrusion is a de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 sid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와이퍼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돌출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서림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on bracket, anti-fogg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projection jaw for supporting the left and right side of the wiper.
KR1020120142735A 2012-12-10 2012-12-10 Fog removal device KR1013376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735A KR101337670B1 (en) 2012-12-10 2012-12-10 Fog remov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735A KR101337670B1 (en) 2012-12-10 2012-12-10 Fog remov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670B1 true KR101337670B1 (en) 2013-12-06

Family

ID=49987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735A KR101337670B1 (en) 2012-12-10 2012-12-10 Fog remov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67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37A (en) * 1998-05-13 1998-07-25 오원철 Automobile inner window brush device
JP2003220992A (en) 2002-01-29 2003-08-05 Wise Gear:Kk Window defogger
JP2004237876A (en) 2003-02-06 2004-08-26 Wise Gear:Kk Window defogger
KR200396087Y1 (en) * 2005-06-24 2005-09-15 황금윤 Moisture removing apparatus
JP2008167966A (en) 2007-01-12 2008-07-24 Lec Inc Cleaning tool, tool for mirror, floor, electronic device and window gla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37A (en) * 1998-05-13 1998-07-25 오원철 Automobile inner window brush device
JP2003220992A (en) 2002-01-29 2003-08-05 Wise Gear:Kk Window defogger
JP2004237876A (en) 2003-02-06 2004-08-26 Wise Gear:Kk Window defogger
KR200396087Y1 (en) * 2005-06-24 2005-09-15 황금윤 Moisture removing apparatus
JP2008167966A (en) 2007-01-12 2008-07-24 Lec Inc Cleaning tool, tool for mirror, floor, electronic device and window gla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533567A (en) Cleaning equipment
US11738722B2 (en) Mirror cleaning device
KR101337670B1 (en) Fog removal device
JP2014012503A (en) Window wiper
JP2007082777A (en) Toothbrush using foamed material made of resin
KR20160003991U (en) A window cleaning tool
US2957190A (en) Combination washer-wiper for glass louvers
US5381581A (en) Scratch proof squeegee cleaning apparatus
US20060277708A1 (en) Squeegee for curved surfaces
KR20130066173A (en) Fog removal device
KR200474749Y1 (en) Cleaning device for window
US20060042035A1 (en) Water wiper
KR101753852B1 (en) cleaning tool
CN211749271U (en) High-rise glass window cleaning device
CN217396479U (en) Multifunctional windscreen wiper
KR20190072741A (en) Mirror clean device
KR100622906B1 (en) Defroster for car glass
CN208403581U (en) A kind of glass pane cleaning sponge brush
TWM566162U (en) Improved wiper blade rubber structure
KR200399277Y1 (en) Window cleaning equipment for using a wiper
KR20170126077A (en) Window cleaner
CN200941136Y (en) Glasses with brush
KR200261228Y1 (en) Cleaning structure of the window
CN211381236U (en) Mirror surface defogging device
KR20230076544A (en) Wiper for bathroom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