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06B1 -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 Google Patents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06B1
KR101337506B1 KR1020110096000A KR20110096000A KR101337506B1 KR 101337506 B1 KR101337506 B1 KR 101337506B1 KR 1020110096000 A KR1020110096000 A KR 1020110096000A KR 20110096000 A KR20110096000 A KR 20110096000A KR 101337506 B1 KR101337506 B1 KR 101337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index finger
finger
thimble
scrol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424A (ko
Inventor
정준석
Original Assignee
정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석 filed Critical 정준석
Priority to KR1020110096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3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2Ergonomic shaped mouse adjustable to suit one of both h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5Finger operated miniaturized mo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는 검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투입구를 가지는 골무형 케이스 및 골무형 케이스에 탑재되고 광 센서와 스크롤 휠,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마우스를 검지 손가락에 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는 광센서를, 엄지 손가락으로는 스크롤 휠과 버튼들을 쉽고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고, 타이핑 등과 같은 다른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FINGER MOUSE}
본 발명은 검지 손가락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Mouse)는 키보드(key board)와 함께 거의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컴퓨터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특히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에서 컴퓨터 화면상에 현재 마우스 위치에 대응하는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켜 버튼으로 메뉴 항목 등을 선택하여 특정 명령을 실행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마우스는 볼마우스나 광마우스 또는 이를 이용한 무선마우스이다. 볼마우스의 경우 마우스 본체가 이를테면 책상이나 기타 임의의 평면, 즉 작업 표면상을 이동할 때 회전하는 볼의 회전정도를 이용하여 이동 궤적을 검출함으로써 화면상의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는 원리를 갖는다. 또한 광마우스는 볼을 대신하여 광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상기한 마우스의 일 예로서 선행기술문헌1(공개특허 제10-2001-76740호 참조)에는 두 개의 손가락으로 마우스 본체의 이동과 버튼체의 조작이 가능한 마우스가, 선행기술문헌2(등록실용신안 제20-370862호 참조)에는 컴퓨터 본체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제어 패널부를 손목에 차고, 제어패널부와 연결된 다수의 마우스부를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마우스가, 선행기술문헌3(등록특허 제10-0920252호 참조)에는 링형의 고정장치를 가지며 단부와 양측면에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 마우스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문헌들에 기재된 마우스는, 마우스에 하나 혹은 두 개의 손가락을 끼워 사용할 수 있으나, 마우스에 끼워진 손가락이나 다른 손가락으로 마우스를 이동시키거나 버튼(센서)들을 조작해야 하므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선행기술문헌3의 경우 마우스를 장지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엄지와 검지 및 약지 손가락으로 센서들을 조작해야 하는데, 엄지 손가락과 달리 검지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은 좌우측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않아 센서들을 정확하게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76740호(공개일자 2001. 08. 16.)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70862호(등록일자 2004. 12. 09.)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920252호(등록일자 2009. 09. 28.)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우스를 구성하는 광센서와 스크롤 휠, 각종 버튼을 쉽고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우스를 휴대한 상태에서, 타이핑 등과 같은 다른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는, 검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투입구를 가지는 골무형 케이스 ; 및 상기 골무형 케이스에 탑재되고 광 센서와 스크롤 휠,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는 원호형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는 실리콘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의 상부에는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마우스를 검지 손가락에 끼웠을 때 검지 손가락의 끝이 향하는 전방 아래를 향하도록 상기 골무형 케이스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휠은 링 형상으로서 상기 골무형 케이스의 중간부위에 상기 골무형 케이스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버튼은 팝업버튼과 선택버튼으로서 검지 손가락에 끼웠을 때 엄지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골무형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는, 마우스를 검지 손가락에 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는 광센서를, 엄지 손가락으로는 스크롤 휠과 버튼들을 쉽고도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검지 손가락에 마우스를 낀 상태에서, 타이핑 등과 같은 다른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배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측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투시도이다.
도6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마우스에 구비된 스크롤 휠(11)과 버튼(12)(13)들 및 광센서(10) 등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20)를 보인 기능 블록도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정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측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의 투시도이며, 도6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마우스에 구비된 스크롤 휠(11)과 버튼(12)(13)들 및 광센서(10) 등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20)를 보인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1)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무형 케이스(2)에 스크롤 휠(11)과 버튼(12)(13)들 및 광센서(10) 등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2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2)는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 성형되며, 그의 형상은 검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투입구(3)를 가지는 골무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2)가 연질의 실리콘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골무형 케이스(2)의 변형이 자유로워 사용자가 손가락 투입구(3)에 검지 손가락을 끼웠다 뺏다 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2)가 원호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이는 마우스(1) 사용시 엄지 손가락으로 스크롤 휠(11)이나 각종 버튼(12)(13)을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검지 손가락에 마우스(1)를 끼운 상태에서 타이핑 등과 같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골무형 케이스(2)가 상부에 주름부(7)를 가지는데, 이는 사용자가 검지 손가락에 골무형 케이스(2)를 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 할 수 있는 폭을 늘리기 위함이다.
위와 같이 골무형 케이스(2)를 원호형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골무형 케이스(2)의 상부에 주름부(7)를 형성하는 것은 마우스(1) 사용시는 마우스(1)를 검지 손가락에 낀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에 근접되게 구부려 마우스(1)의 스크롤 휠(11)과 선택버튼(12) 및 팝업 버튼(13)을 엄지 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마우스(1) 미사용시에는 검지 손가락을 펴고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우스 회로부(20)의 광센서(10)는 사용자가 마우스(1)를 검지 손가락에 끼고 사용시 검지 손가락의 끝이 향하는 전방 아래를 향하도록 골무형 케이스(2)의 단부(5)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마우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검지 손가락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우스(1) 사용시 광센서(10)가 가장 근접한 피사체에 광을 조사할 수 있는 각도를 선정해야 한다.
또한 골무형 케이스(2)의 단부(5)가 광센서(10)를 수용하는 역할도 하지만, 마우스(1)를 검지 손가락에 낀 상태로 타이핑 등과 같은 다른 작업을 할 때 자판 등을 두드리는 역할도 하므로 광센서(10)는 그의 일부가 외부와는 개방되고 외부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골무형 케이스(2)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우스 회로부(20)를 구성하는 스크롤 휠(11)은 링 형상으로서 골무형 케이스(2)의 중간부위에 골무형 케이스(2)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스크롤 휠(11)이 골무형 케이스(2) 즉, 검지 손가락을 감싸고 있으므로 검지 손가락으로 스크롤 휠(11)을 회전시키기 편리할 뿐더러 사용자가 스크롤 휠(11)을 회전시키기 위해 힘을 가해도 연질의 골무형 케이스(2)가 스크롤 휠(11)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크롤 휠(11)의 반경이 커지므로 한번의 조작으로 인지할 수 있는 스크롤 휠(11)의 작동범위가 확대될 뿐더러 미세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 마우스 회로부(20)를 구성하는 버튼(12)(13)은 팝업버튼과 선택버튼으로서 검지 손가락에 끼웠을 때 엄지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의 골무형 케이스(2)의 측면(6)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쪽잡이인지 혹은 왼쪽잡이인지에 따라 버튼(12)(13)의 방향이 달라짐을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마우스 회로부(20)의 구성 중 광센서(10)나 스크롤 휠(11) 그리고 버튼(12)(13)을 제외한 배터리(9)를 포함하는 회로부는 골무형 케이스(2)의 하단부(8)에 내장되어 있다. 특히 골무형 케이스(2)의 하단부(8)에 별도의 배터리 커버(15)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터리 커버(15)를 열고 배터리(9)를 교환하거나 충전할 수 있다.
도6은 마우스(1)에 구비된 스크롤 휠(11)과 버튼(12)(13)들 및 광센서(10) 등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20)를 보인 것이다.
마우스 회로부(20)의 마우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14)는 광센서(10)와 스크롤 휠(11) 그리고 버튼(12)(13)의 작동상태를 인지하여 무선통신모듈(16)(31)을 매개로 컴퓨터 본체(30)에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전원 스위치(17)는 마우스(1)의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스위치이고, 배터리(9)는 마우스(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이다.
1 : 마우스 2 : 골무형 케이스
3 : 손가락 투입구 4 : 중간부위
5 : 단부 6 : 측면
7 : 주름부 8 : 하단부
9 : 배터리 10 : 광센서
11 : 스크롤 휠(회전 감지센서) 12 : 선택버튼
13 : 팝업 버튼 14 : 마우스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15 : 배터리 커버 16, 31 : 무선 통신모듈
20 : 마우스 회로부 30 : 컴퓨터 본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검지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손가락 투입구(3)를 가지는 골무형 케이스(2) ; 및
    상기 골무형 케이스(2)에 설치되고 광 센서(10)와 스크롤 휠(11), 두 개의 버튼(12)(13)을 포함하는 마우스 회로부(20)를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휠(11)은 링 형상으로서 상기 골무형 케이스(2)의 중간부위에 상기 골무형 케이스(2)를 감싸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두 개의 버튼(12)(13)은 팝업버튼과 선택버튼으로서 검지 손가락에 끼웠을 때 엄지 손가락을 향하는 방향의 상기 골무형 케이스(2)의 측면(6)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KR1020110096000A 2011-09-23 2011-09-23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KR101337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00A KR101337506B1 (ko) 2011-09-23 2011-09-23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000A KR101337506B1 (ko) 2011-09-23 2011-09-23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24A KR20130032424A (ko) 2013-04-02
KR101337506B1 true KR101337506B1 (ko) 2013-12-05

Family

ID=4843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000A KR101337506B1 (ko) 2011-09-23 2011-09-23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7958A (zh) * 2016-03-09 2016-07-27 周磊 穿戴鼠标及穿戴式的鼠标控制方法
RU2659759C2 (ru) * 2017-10-25 2018-07-03 Немнюгин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Простейшее 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ышь"
RU2680740C2 (ru) * 2018-05-22 2019-02-26 Немнюгин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Быстроремонтируемое 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ыш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935B1 (ko) * 2015-04-07 2016-10-04 김우중 손가락 착용형 리모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086A (ja) 2000-02-04 2001-08-10 Nec Yonezawa Ltd 指サックマウス
JP2001236177A (ja) 2000-02-22 2001-08-31 Tht Limited:Kk マウス
KR200425641Y1 (ko) * 2006-05-04 2006-09-06 김수용 핑거마우스
KR100920252B1 (ko) * 2008-11-07 2009-10-05 서창수 공중에서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제어되는 마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086A (ja) 2000-02-04 2001-08-10 Nec Yonezawa Ltd 指サックマウス
JP2001236177A (ja) 2000-02-22 2001-08-31 Tht Limited:Kk マウス
KR200425641Y1 (ko) * 2006-05-04 2006-09-06 김수용 핑거마우스
KR100920252B1 (ko) * 2008-11-07 2009-10-05 서창수 공중에서의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제어되는 마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7958A (zh) * 2016-03-09 2016-07-27 周磊 穿戴鼠标及穿戴式的鼠标控制方法
CN105807958B (zh) * 2016-03-09 2018-12-25 周磊 穿戴鼠标及穿戴式的鼠标控制方法
RU2659759C2 (ru) * 2017-10-25 2018-07-03 Немнюгин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Простейшее 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ышь"
RU2680740C2 (ru) * 2018-05-22 2019-02-26 Немнюгин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Быстроремонтируемое указ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ыш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424A (ko) 2013-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7002B2 (ja) コンピュータの入力装置および携帯式コンピュータ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KR101337506B1 (ko) 검지 손가락에 끼우는 마우스
WO2004025447A3 (en) Computer input device with ergonomically formed and positioned actuators
US20100188336A1 (en) Finger computer mouse
JP2021507357A (ja)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KR20040081697A (ko) 마우스식 터치패드
EP2889734B1 (en) Coordinate input device
KR101332708B1 (ko)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갖는 모바일 단말기 및 배면 터치 보조 입력 장치를 탑재한 모바일 단말기용 보호 케이스
SE518567C2 (sv) En portabel anordning för att mata styrsignaler till en perifer enhet samt användningen av en sådan anordning
TWI499942B (zh) 滑鼠搖擺按鍵結構
JP2005524897A5 (ko)
US201000266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RU2445674C2 (ru) Мышь и подставка для мыши
US20200192477A1 (en) Modular hand-mounted input device
JP6081338B2 (ja) ポインティング・スティックを含む入力装置、携帯式コンピュータおよび動作方法
US20080316172A1 (en) Manual input device
TWI552064B (zh) Handheld touch device
JP5259735B2 (ja) 人間工学的マウス
CN202494989U (zh) 一种左右手分控式鼠标
US20100194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120070769A (ko) 전자기기용 폴더형 휴대용 무선 입력 장치
KR101858549B1 (ko) 포인팅 디바이스
KR200455683Y1 (ko)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컴퓨터용 마우스
SK1712013U1 (sk) Univerzálny prstový ovláda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