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500B1 -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500B1
KR101337500B1 KR1020120013233A KR20120013233A KR101337500B1 KR 101337500 B1 KR101337500 B1 KR 101337500B1 KR 1020120013233 A KR1020120013233 A KR 1020120013233A KR 20120013233 A KR20120013233 A KR 20120013233A KR 101337500 B1 KR101337500 B1 KR 101337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ffle
kitchen waste
inlet port
port
outl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3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1898A (ko
Inventor
배우근
박영식
이정훈
박강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3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5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1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 및 상기 침전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유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주방오물 중 습윤 밀도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방오물이 상기 침전 케이스에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고, 옥내배관이 주방오물에 의해서 폐색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방오물 전처리장치{KITCHEN WASTE PRE-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주방오물을 오수관으로 배출하기에 앞서 상대적으로 비중이 큰 분쇄물을 침전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하여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나머지 분쇄물이 오수관 및 하수도를 통해 원활하게 유하할 수 있도록 돕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가정이나 대형 음식점 등의 주방 씽크대 하부측의 배수로에 설치하여 각종 음식물 쓰레기나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을 분쇄시킨 후 분쇄된 주방오물과 수분을 하수배관을 통해 배출시키도록 한 주방오물 분쇄기(disposer)가 있다.
이와 같은 주방오물 분쇄기는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회전 칼날을 장착하고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을 직접적으로 파쇄하도록 구성되거나, 구동모터의 구동축 상에 회전판을 장착하고 회전판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회전 칼날과 분쇄기의 내주벽에 돌기가 형성되고 하단을 톱니형으로 형성시킨 통체를 장착하여 투입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이 회전판에 의해 비산되면서 회전 칼날과 내주벽 상의 돌기 및 톱니 등에 부딪혀 간접적으로 분쇄 및 파쇄되도록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주방오물 분쇄기에 연결되는 가정용 배수 배관이 일반적으로 소구경 관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관계로 배관의 굴곡부 또는 수평부에 침적된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이 굳어져 결국 배관이 폐색됨으로써 오히려 분쇄기 상부나 씽크대 위쪽으로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 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정의 주방과 하수배관의 연결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파트, 연립주택 또는 일반주택 등 일반 가정(5)에 설치된 주방 또는 씽크대(6)는 직경이 2~5미터 정도인 횡지관(1)에 연결되고, 다수의 가정에 연결된 횡지관(1)은 공동이용수직관(2)에 연결된다. 여러 개의 횡지관(1)이 연결된 공동이용수직관(2)은 직경이 큰 횡주관(3)에 연결되고, 횡주관(3)은 최종적으로 도시하수도(4)에 연결되는 배관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배관 구조를 가지는 가정 내 배관(옥내배관, 횡지관 및 횡주관)은 역구배 또는 제로(zero)구배로 시공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단독 주택에서의 분쇄물 배출 시 옥내배관 폐색 현상이 더 많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66675호 등에서 배관 폐색 방지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여기에 제안된 장치는 배관에 세정샤워 노즐을 연결하여 분쇄기의 작동이 멈출 때마다 솔레노이드 밸브를 열어 세정수를 분출하는 장치인데,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세정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이 낭비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주방오물 분쇄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물의 낭비를 줄이면서 간편하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배관 폐색 방지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주방오물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주방오물의 비중에 따라서 옥내 배관으로 배출 여부를 달리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쇄된 주방오물 및 물의 흐름을 조절하여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걸러주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에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방 씽크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 및 상기 침전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유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플을 이용하여 유수의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상기 주방오물 중 습윤 밀도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방오물이 상기 침전 케이스에서 유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고,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하수처리관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출포트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전 케이스는 높이가 밑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과 사이는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의 중심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에 연결되며,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보다 상기 유출 포트의 중심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침전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옥내 배관의 폐색 또는 막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크기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씽크대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장치 내부에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 보수 편의성을 높이고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는 비중 또는 습윤밀도에 따라서 배출되는 주방오물과 장치 내에 퇴적되는 주방오물을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하수의 오염도를 줄이고 하수처리장에서의 하수처리 부담을 줄일 수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가정의 주방과 하수배관의 연결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가 설치된 씽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가 설치된 씽크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씽크대(6)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씽크대(6)의 내부에는 씽크대에서 설거지 후에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주방오물을 잘게 분쇄하는 주방오물 분쇄기(11)가 설치된다. 주방오물 분쇄기(11)에는 제어부(12)가 장착될 수 있다. 주방오물 분쇄기(11)에서 분쇄된 주방오물은 분쇄기(11)에 연결된 배관(7)을 통해 옥내 배관으로 물과 함께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 분쇄기(11)에 연결되어 분쇄기(11)에 의해 잘게 분쇄된 주방오물과 물이 유입 및 유출되는 부분이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물에 포함된 분쇄 주방오물 중 비중이 큰 주방오물은 전처리장치(100) 내부에 퇴적 또는 침전되게 하여 옥내 배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감소시키고 상대적으로 비중이 작은 분쇄 주방오물만 선별적으로 옥내 배관으로 배출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옥내 배관 내부에 퇴적되어 옥내 배관이 폐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 분쇄기(11)에 의해 분쇄된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물)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11)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112)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110,160) 및 침전 케이스(110,160)에 형성되어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를 이용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옥내 배관 또는 하수처리관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옥내 배관 또는 하수처리관이 막히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침전 케이스(110,160)는 외부 케이스(110) 및 내부 케이스(160)로 분리 형성되거나, 외부 케이스와 내부 케이스가 일체화된 하나의 침전 케이스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외부 및 내부 케이스(110,160)로 분리 형성된 침전 케이스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쇄된 주방오물이 물과 함께 침전 케이스(110,160) 안으로 들어오게 되는 유입포트(111)에는 배관(7)과 연결되는 유입배관 연결부(P1)가 구비되고, 유출포트(112)에는 옥내 배관과 연결되는 유출배관 연결부(P2)가 구비될 수 있다.
배플(190)은 침전 케이스(110,160)에 형성될 수 있는데, 침전 케이스(110,160)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160)에 배플(190)이 형성될 수 있다.
배플(190)은 유입포트(111)에 근접 형성됨으로써 유입포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주방오물을 함유한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주방오물 중 습윤 밀도가 소정 기준을 초과하는 주방오물이 침전 케이스(110,160)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분쇄된 주방오물을 포함하는 물의 흐름이 배플(190)에 의해서 가로 막히기 때문에 배플(190)과 유입포트(111) 사이에서 물의 난류 또는 와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배플(190)과 유입포트(111) 사이에 물이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입포트(1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물이 유출포트(112)를 통해 빨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입포트(111)와 배플(190) 사이에서 어느 정도 머물게 함으로써,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배플(190)에 걸려 침전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때, 유입포트(111)와 배플(190) 사이의 거리가 가깝고, 유입포트(111)와 마주 보는 위치에 배플(19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유입포트(111)와 가깝고 유입포트(111)와 마주 보는 위치에 배플(190)이 있어야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최대한 방해하고 물의 흐름을 변화시킬 수 있어서, 결과적으로 주방오물이 침전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배플(190)은 침전 케이스(110,160)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침전 케이스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110,160)로 구분 형성되는 경우에 배플(190)은 내부 케이스(160)의 내벽 또는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배플(190)과 내벽 사이의 이격된 공간 또는 틈새를 통해 비중이 작은 주방오물이 함유된 물이 흘러 나갈 수 있다.
배플(190)의 상단에는 구멍(19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구멍(191)을 이용해서 외부 케이스(110)에서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할 수 있다. 배플(190)이 내부 케이스(16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배플(190)의 구멍(191)에 손가락을 걸고 배플(190)을 당기면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할 수 있다. 이는 침전 케이스가 외부 및 내부 케이스로 형성된 경우에만 해당된다.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를 별도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 케이스(160)에 침전되거나 퇴적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제거하기가 용이하다. 외부 케이스(110)는 배관에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 케이스(160)만 분리하여 퇴적된 주방오물을 제거한 후 내부 케이스(160)를 외부 케이스(110)에 장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침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전 케이스에 퇴적된 주방오물을 버리기 위해서는 배관과 침전 케이스의 연결상태를 해제한 후에 침전 케이스를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일 침전 케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침전 케이스와 배관 사이에 물의 흐름을 일시 차단할 수 있는 밸브(미도시) 및 배관과 침전 케이스의 연결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분리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침전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110) 및 내부 케이스(160)로 분리 형성되는 경우, 유입 포트(111) 및 유출 포트(112)는 외부 케이스(110)에 형성되고 배플(190)은 내부 케이스(160)에 형성될 수 있다.
퇴적된 주방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내부 케이스(160)를 분리하는 경우에 내부 케이스(160)에는 주방오물 뿐만 아니라 물도 함께 있기 때문에, 내부 케이스(160)가 분리되는 순간에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내부 케이스(160)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16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공(162)의 크기는 내부 케이스(160)에 퇴적되는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배수공(162)을 통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이면 적당하다. 배수공(162)은 측벽 또는 바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측벽 또는 바닥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160)의 외면에는 외부 케이스(110)와 내부 케이스(160)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17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재(170)는 내부 케이스(160)가 외부 케이스(110)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게 하며, 내부 케이스(160)의 외면 중 어느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침전 케이스 또는 외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유입포트(111)는 유출포트(112)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 포트(111)가 높게 형성되면 유입 포트(111)를 통과한 물이 내부 케이스(160)의 바닥으로 떨어지면서 그 충격에 의해 주방오물이 배플(190)에 의해서 차단되지 않고 배플(190)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 포트(111)의 형성 위치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출 포트(112)가 낮으면 배플(190)에 의해서 차단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이 물과 함께 배출될 수도 있으므로 유출 포트(112)의 형성 위치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케이스(160)의 상단은 유입 포트(111)의 최하단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160)의 상단이 유입 포트(111)의 최하단 보다 낮아야 내부 케이스(160)에 의해서 유입 포트(111)가 막히지 않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도 5 내지 도 9는 침전 케이스의 모양, 유입 포트, 유출 포트 그리고 배플의 모양/위치 등에 대한 설명을 위한 내용만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의 침전 케이스(210)는 밑면이 정사각형이고 상하로 길쭉한 모양을 가지며, 용량은 5리터이다. 즉, 침전 케이스(210)는 높이(c1)가 밑면의 가로(a1) 및 세로(b1)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다. 밑면의 가로(a1) 및 세로(b1)는 각각 12.5cm이고, 높이(c1)는 24.5cm이다. 유입포트(211) 및 유출포트(212)의 직경(i1,j1)은 5cm이고, 유입포트(211) 및 유출포트(212)의 중심의 높이(e1,d1)는 각각 18.5cm이다. 즉, 유입포트(211)는 유출포트(212)는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유입 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유출 포트(212)가 형성된 측벽은 서로 이웃하며, 배플(290)은 유입포트(211)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290)의 경사각도(θ1)는 60도이고, 배플(290)의 가로(g1)는 11cm이고 세로(f1)는 12.5cm이다.
배플(290)은 유입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며, 유입포트(2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290) 사이가 이격되어 있다. 이격된 거리(h1)는 3cm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플(290)은 유출포트(2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는 유입포트(211)를 통해 유입된 물이 경사진 배플(290)에 부딪힌 후 측벽과 배플(290) 사이의 간격(h1)을 통해 바닥으로 떨어져서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퇴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29
계란 껍질 37
닭뼈 74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여기서, ○는 대부분 퇴적, △는 소량 퇴적, ×는 퇴적 없음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동일하다.
비교적 비중이 작은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생쌀 및 계란 껍질 분쇄물은 처리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량이 가장 많이 되는 성분은 생쌀이었으며(71%), 계란 껍질(63%)과 닭뼈(26%) 분쇄물의 퇴적량이 그 뒤를 이었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생쌀, 계란 껍질, 닭뼈와 같이 비중이 큰 주방오물은 분쇄된 후 주방오물 전처리장치(200) 내에 일부 퇴적 또는 침전됨으로써 전량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는 침전 케이스(310)의 바닥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높이는 바닥의 장변 보다 짧으며, 전체 용량은 9리터이다.
침전 케이스(310)의 바닥(밑면)의 가로(a2)는 26cm, 세로(b2)는 20cm, 높이(c2)는 17.5cm이다. 유입 포트(311)는 침전 케이스(310)의 앞쪽 측벽에 형성되고, 유출 포트(312)는 침전 케이스(310)의 뒤쪽 측벽에 형성된다. 이 때, 유입 포트(311)가 유출 포트(312) 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4.5cm이고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11.5cm이다. 유입 포트(311) 및 유출 포트(312)의 직경(i2,j2)은 모두 5cm로 동일하다.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는 배플(390)이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312)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유입 포트(311) 및 유출포트(312)를 통과하는 물의 흐름 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 또는 일치하는 방향으로 배플(390)이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배플(390)은 유출포트(312)가 형성된 측벽에 붙어 있으나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과는 이격되어 있다. 유입포트(3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390) 사이의 이격된 거리는 3cm 정도이다. 왜냐하면, 배플(390)의 폭(e2)이 17cm이기 때문이다.
또한, 배플(390)의 높이(d2)는 침전 케이스(310)의 높이(c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390)의 높이(d2)는 15cm이다.
한편, 배플(390)과 유입포트(311) 사이의 거리는 배플(390)과 유출포트(312)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포트(311)의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g2)는 5cm이고, 유출포트(312)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f2)는 7cm로서, 배플(390)은 유입포트(311)에 가깝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배플(390)이 유입포트(311)에 가깝게 형성되면, 유입포트(311)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방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2.6 × ×
계란 껍질 28 × ×
닭뼈 69 ×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 내부 퇴적이 전혀 없이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생쌀 및 계란 껍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량이 가장 많이 되는 성분은 생쌀 이었으며(97.4%), 계란 껍질(72%)과 닭뼈(31%) 분쇄물의 퇴적량이 그 뒤를 이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지관과 횡주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었다. 계란 껍질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서 비중이 비교적 큰 성분(껍질)은 모두 침전되었으며, 배출된 분쇄물 성분 중 대부분이 계란 안쪽의 내피(막) 부분이 파쇄 되어 배출되었기 때문에 횡지관 및 횡주관에 퇴적없이 배관 밖으로 신속히 배출 되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닭뼈 분쇄물의 경우 비중이 큰 순수한 닭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에 퇴적이 되었으나,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 밖으로 유출된 닭뼈 분쇄물의 성분은 닭뼈 부분에 붙어 있는 살코기 및 물렁뼈(연골)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살코기 및 물렁뼈 성분은 횡지관, 횡주관에 퇴적 없이 원활하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실험결과 비중이 큰 성분인 생쌀, 계란 껍질, 닭뼈 분쇄물이 배관 내 퇴적 현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다.
상기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는 용량이 9리터로 씽크대 내부로 들어가기에는 다소 큰 부피이기 때문에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크기(용량)을 줄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도 실험을 하였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는 용량이 5리터이고, 침전 케이스의 바닥의 가로(a2)는 22.5cm, 세로(b2)는 15.5cm, 높이(c2)는 14.5cm로 하였다. 배플(390)의 폭(e2)은 12.5cm, 배플(390)의 높이(d2)는 11cm로 하였다.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4cm,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7.5cm이다. 유입 포트(311)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g2)는 4.5cm, 유출포트(312)의 중심과 배플(390) 사이의 거리(f2)는 5.5cm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8 × ×
계란 껍질 25 ×
닭뼈 53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주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쌀 분쇄물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은 배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이송되었다.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변형예는 비중이 큰 분쇄물 중 계란 껍질 및 닭뼈를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다른 변형예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제2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는 용량이 5리터이고, 침전 케이스의 바닥의 가로(a2)는 12.5cm, 세로(b2)는 12.5cm인 반면에, 높이(c2)는 24.5cm로 하였다. 배플(390)의 폭(e2)은 11.5cm, 배플(390)의 높이(d2)는 21cm로 하였다. 유입 포트(311)의 높이(h2)는 13cm, 유출 포트(312)의 높이(k2)는 20cm이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300)의 다른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6 ×
계란 껍질 29 ×
닭뼈 50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및 계란 껍질은 횡지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는 배플(490)이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 및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플(490)이 형성되되 유입포트(411)와 유출포트(412)의 사이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배플(490)이 형성됨으로써, 유입포트(411)를 통해 유입된 물의 흐름이 배플(490)에 의해서 막히면서 비중이 큰 분쇄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침전 케이스(410)의 대략적인 형태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긴 직육면체 모양이라고 할 수 있다. 침전 케이스(410)의 용량은 5리터이고, 바닥(밑면)의 가로(a3)는 19cm, 세로(b3)는 13cm, 높이(c3)는 21cm로 하였다. 유입포트(411)와 유출포트(412)의 직경(i3,j3)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411) 중심의 높이(l3)는 12cm, 유출포트(412) 중심의 높이(k3)는 16cm로, 유출포트(412)가 유입포트(411) 보다 높이 형성된다.
배플(490)과 유입포트(411) 사이의 거리는 배플(490)과 유출포트(412)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g3)는 7cm이고,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h3)는 12cm로서, 배플(490)은 유입포트(411) 가깝게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경우 배플(490)은 침전 케이스(410)의 바닥과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플(490)의 하단과 침전 케이스(410) 바닥 사이에는 3cm 정도의 간격(f3)이 있다. 이 간격을 통해 물이 흐르게 된다. 한편, 배플(490)의 폭(e3)은 13cm이고, 배플(490)의 높이(d3)도 13cm이다.
도 7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25 ×
계란 껍질 29 ×
닭뼈 71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및 계란 껍질은 횡지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닭뼈 분쇄물은 횡지관을 통과하였으나, 횡주관에서 일부 퇴적이 관찰되었다.
도 7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크기를 다르게 한 변형예에 대하여도 실험을 하였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변형예는 용량은 5리터이고, 바닥(밑면)의 가로(a3)는 20.5cm, 세로(b3)는 7.5cm, 높이(c3)는 26.5cm로 하였다. 유입포트(411) 중심의 높이(l3)는 14.5cm, 유출포트(412) 중심의 높이(k3)는 16cm로, 유출포트(412)가 유입포트(411) 보다 높이 형성된다.
유입포트(4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g3)는 6.5cm이고, 유출포트(412)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490) 사이의 거리(h3)는 14cm로서, 배플(490)은 유입포트(411) 가깝게 있다.
배플(490)의 하단과 침전 케이스(410) 바닥 사이에는 5cm 정도의 간격(f3)이 있고, 배플(490)의 폭(e3)은 7.5cm이고, 배플(490)의 높이(d3)는 21cm이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400)의 변형예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과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25 ×
계란 껍질 29
닭뼈 86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계란 껍질은 횡지관 및 횡주관에 일부가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생쌀 및 닭뼈 분쇄물은 횡지관을 통과하였으나, 횡주관에서 일부 퇴적이 관찰되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의 침전 케이스(510)는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플(59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은 배플(590)과 동일한 방향 내지 평행한 방향이며,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은 배플(590)과 직교하는 방향임을 알 수 있다.
침전 케이스(510)는 밑면(바닥)의 가로(a4)가 19cm, 세로(b4)가 13cm, 높이(c4)가 21cm이고, 용량은 5리터이다. 유입포트(511) 및 유출포트(512)의 직경(i4,j4)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511) 중심의 높이(l4)는 10cm, 유출포트(512) 중심의 높이(k4)는 15cm로서 유출포트(512)가 유입포트(511) 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배플(590)은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에 결합되어 있으나,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배플(590)은 유출포트(5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3cm 정도 떨어져 있다. 이 틈새를 통해 물이 흐르게 된다. 배플(590)의 폭(e4)은 5cm이고, 배플(590)의 높이(d4)는 19cm이다. 이와 같이, 배플(590)의 높이(d4)는 침전 케이스(510)의 높이(c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배플(590)과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4)는 배플(590)과 유출포트(512)의 중심 사이의 거리(h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배플(590)과 유입포트(5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4)는 6.5cm이고, 배플(590)과 유출포트(512)의 중심 사이의 거리(h4)는 6cm로서, 배플(590)이 유출포트(512)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는 유입포트(511)와 유출포트(512)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사이에 배플(590)이 위치함으로써, 유입된 물의 흐름을 막을 뿐만 아니라 침전 케이스(510) 내에 물이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비중이 큰 주방오물의 침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7]과 같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횡지관 퇴적 횡주관 퇴적
생쌀 2 × ×
계란 껍질 30 × ×
닭뼈 72 × ×
절임 배추 100 × ×
미역 100 × ×
비교적 비중이 가벼운 음식물쓰레기 분쇄물 성분인 미역 및 절임 배추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 내부에 퇴적이 전혀 없이 그대로 횡지관 및 횡주관으로 배출되었으며, 물의 흐름에 따라 빠르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이에 반해, 계란 껍질 및 닭뼈 분쇄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 상당량 퇴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서 배출된 분쇄물 중 생쌀, 계란 껍질 및 닭뼈는 횡지관과 횡주관 내 퇴적이 전혀 없이 배관 밖으로 원활히 배출되었다. 계란 껍질의 경우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서 비중이 비교적 큰 성분(껍질)은 모두 침전되었으며, 배출된 분쇄물 성분 중 대부분이 계란 안쪽의 내피(막) 부분이 파쇄되어 배출되었기 때문에 횡지관 및 횡주관에 퇴적없이 배관 밖으로 신속히 배출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닭뼈 분쇄물의 경우 비중이 큰 순수한 닭뼈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에 퇴적이 되었으나,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 밖으로 유출된 닭뼈 분쇄물의 성분은 닭뼈 부분에 붙어 있는 살코기 및 물렁뼈(연골) 성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살코기 및 물렁뼈 성분은 횡지관, 횡주관에 퇴적 없이 원활하게 배관 밖으로 배출되었다. 주방오물 전처리장치(500)의 실험결과 비중이 큰 성분인 생쌀, 계란 껍질, 닭뼈 분쇄물이 배관 내 퇴적 현상이 전혀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의 경우 유출포트(612)는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배플(690)은 유출포트(612)와 유입포트(611)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배플(690)은 유입포트(611)를 통해 들어온 물의 흐름을 차단하면서 유출포트(612) 쪽으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입 포트(611)가 형성된 측벽과 배플(690) 사이의 거리는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제5 실시예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는 침전 케이스(610)의 용량은 5리터이고, 밑면(바닥)의 가로(a5)는 19cm, 세로(b5)는 13cm, 높이(c5)는 21cm이다. 유입포트(611) 및 유출포트(612)의 직경(i5,j5)는 모두 5cm이고, 유입포트(611) 중심의 높이(l5)는 10cm이고, 유출포트(612) 중심의 높이(k5)는 15cm로서, 유출포트(612)가 유입포트(611) 보다 높이 위치한다.
배플(690)의 폭(e5)은 13cm이고 높이(d5)는 19cm이며, 배플(690)의 경사 각도(θ6)는 60도이다. 배플(690)은 유출포트(612)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격된 틈새를 통해서 물이 흘러서 유출포트(612)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배플(690)은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 및 침전 케이스(610)의 바닥에 연결되며,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배플(690)의 가장자리는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 보다 유출 포트(612)의 중심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유출 포트(612)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배플(690)의 가장자리와 유입포트(611)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g5)는 5.5cm이고, 유출포트(612) 중심 사이의 거리(h5)는 4.5cm이다.
도 9에 도시된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를 사용하여 주방오물의 침전 실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8]과 같다.
주방 오물 전처리장치 유출율(%)
생쌀 30
계란 껍질 40
닭뼈 60
절임 배추 100
미역 100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비중이 큰 생쌀, 계란껍질, 닭뼈 등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600) 내에 침전되지 않고 배출됨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표 1] 내지 [표 8]을 참조하면, 분쇄된 주방오물 중에서 비중이 큰 생쌀, 계란껍질, 닭뼈 등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 내에 침전되거나 퇴적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습윤 밀도(단위 g/cm3)가 1 보다 큰 주방오물은 침전시키거나 퇴적시켜 배관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이고, 습윤 밀도가 1 보다 작은 주방오물은 침전이나 퇴적시키지 않고 배관으로 유입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주방오물의 습윤 밀도 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방오물을 침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는, 습윤 밀도가 물의 밀도가 거의 유사한 값을 가지는 주방오물은 주방오물 전처리장치(100) 내에 물이 흐르지 않을 때에는 전처리장치 바닥에 침전되어 있지만 전처리장치에 물이 유입되면 부상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유출되어 옥내배관을 통해 원활하게 공공하수도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습윤 밀도가 물의 밀도 보다 큰 주방오물은 전처리장치에 그대로 퇴적되어 옥내배관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침전 케이스가 배플에 의해 비중이 큰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주방오물 전처리장치의 침전 케이스는 주방오물의 크기에 따라 주방오물을 선별적으로 여과시킬 수도 있는 바, 침전 케이스의 범위 또는 의미에 여과 케이스가 배제된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200,300,400,500,600: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10: 외부 케이스
160: 내부 케이스
111,211,311,411,511,611: 유입포트
112,212,312,412,512,612: 유출포트
190,290,390,490,590,690: 배플
210,310,410,510,610: 침전 케이스

Claims (23)

  1. 분쇄된 주방오물이 포함된 유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 및 유출되는 유출포트를 구비하는 침전 케이스; 및
    상기 침전 케이스에 형성되어 상기 유수에 포함된 주방오물을 침전시키는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포트는 상기 유출포트 보다 높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포트를 통과한 상기 유수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 사이의 충격을 저감시키고,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상기 유출포트의 사이에 제공되되,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도록 상기 유입포트와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되거나 상기 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수의 흐름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내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벽과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케이스는 높이가 밑면의 가로 및 세로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와 마주 보는 측벽에 형성되되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과 사이는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 사이의 거리 보다 짧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과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평행한 방향 및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과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사이의 거리는 상기 배플과 상기 유출포트의 중심 사이의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포트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이웃하는 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와 상기 유입포트 사이에 비스듬하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침전 케이스의 바닥에 연결되며,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 연결된 상기 배플의 가장자리는 상기 유입포트가 형성된 측벽 보다 상기 유출 포트의 중심 가까이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상기 유출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마주 보는 측벽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포트가 형성된 측벽과 상기 배플 사이의 거리는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측벽에서부터 마주 보는 측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케이스는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가 형성된 외부 케이스 및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배플이 형성된 내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와 상기 내부 케이스의 밀착을 위한 실링부재가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측벽 또는 바닥에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단에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서 상기 내부 케이스를 분리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단은 상기 유입 포트의 최하단 보다 낮게 형성되는,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KR1020120013233A 2012-02-09 2012-02-09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KR101337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ko) 2012-02-09 2012-02-09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ko) 2012-02-09 2012-02-09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98A KR20130091898A (ko) 2013-08-20
KR101337500B1 true KR101337500B1 (ko) 2013-12-17

Family

ID=492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3233A KR101337500B1 (ko) 2012-02-09 2012-02-09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5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299B1 (ko) * 2019-02-01 2020-04-22 성경애 생활하수 정화장치
CN111922039B (zh) * 2020-08-03 2021-11-16 南京蹑波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生活污水生态及氧化综合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2666B1 (en) 2008-12-02 2012-03-27 Tom Happel Baffle box deflectors and flow sprea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2666B1 (en) 2008-12-02 2012-03-27 Tom Happel Baffle box deflectors and flow sprea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898A (ko) 2013-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697B1 (ko)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CN107619122A (zh)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337500B1 (ko) 주방오물 전처리장치
CN106948467A (zh) 雨水径流污染截污设施及截污操作方法
CN107335284A (zh) 一种厨余垃圾固液分离装置
CN202625946U (zh) 一种改进型餐饮油水分离器
CN201424678Y (zh) 清洗池的垃圾处理装置
CN108889002A (zh) 排污设备、排污系统及排污方法
CN206604231U (zh) 一种格栅式沉沙装置
CN205710137U (zh) 废水处理装置
KR200445578Y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의 정화조
CN207680194U (zh) 一种持续性快速沉淀式污水处理沉淀池
CN207193056U (zh) 一种含油污水处理装置
CN206859334U (zh) 一种残渣收集处理的单星水池
CN102399041A (zh) 全自动化无动力装置集油器
CN109454095A (zh) 一种用于源头预处理后餐厨废弃物的料仓
KR20100135102A (ko) 음식폐기물용 고액 분리기
CN210457908U (zh) 卧式螺旋沉降污泥脱水分离装置
CN209531683U (zh) 一种用于源头预处理后餐厨废弃物的料仓
CN208626796U (zh) 低设备损耗餐厨垃圾多相分离系统
KR101352690B1 (ko) 협잡물종합처리기
US10967299B2 (en) Vacuum waste removal system
CN105994116A (zh) 一种双排水、可排污鱼缸循环过滤系统
CN207102111U (zh) 一种厨余垃圾固液分离装置
CN207944546U (zh) 无动力雨水径流污染物截污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