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7057B1 -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7057B1
KR101337057B1 KR1020120151239A KR20120151239A KR101337057B1 KR 101337057 B1 KR101337057 B1 KR 101337057B1 KR 1020120151239 A KR1020120151239 A KR 1020120151239A KR 20120151239 A KR20120151239 A KR 20120151239A KR 101337057 B1 KR101337057 B1 KR 101337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negotiation
negot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정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2015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7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7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7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6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directed to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Machine-to-machine: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전송부;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부;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영상 특징 데이터를 상기 M2M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기 위한 통신협상 중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M2M Gatew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video data based on M2M}
본 발명은 M2M(Machine-to-machine: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2M(Machine to Machine) 혹은 O2N(Object to Object Intelligent Network)으로도 불리는 사물지능통신은 다양한 기기들 안에 들어 있는 센서에 감지된 정보를 인터넷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집해 한 차원 높은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현재 텔레매틱스, 운동, 내비게이션, 스마트 계량기, 자동판매기, 보안서비스 등에 적용되고 있다.
사물지능통신은 모든 사물에 센서 통신 기능을 부과해 지능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상호 전달하는 네트워크로,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인식, 위치정보 파악, 원격제어/모니터링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지능형 서비스이다.
사물지능통신은 급속히 변화하는 모바일 환경과 미래 방송통신 수요에 대응하고, 다양한 산업과 융합을 통해 차량 지능화 서비스, 개인 맞춤형 서비스, 스마트 안심 서비스 등의 신시장 창출로 국가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로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 맞춤형 서비스의 경우, 개인의 기호화 패턴을 인식해 맞춤형 지식 전달이 가능하고, 차량충돌 및 트래픽제어, 모바일 진단감시 서비스 등으로 차량지능화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교통, 기상, 환경, 재난 정보 모니터링을 통한 사회 안전망을 확보함으로써 스마트 안심 서비스가 가능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물지능통신은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상황인식, 위치정보 파악, 원격제어/모니터링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그 중 CCTV 카메라와 같은 영상 장치를 통해 상황인식, 원격제어/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대용량의 영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데 따른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또한 원격지에 설치된 영상 장치가 다양한 원인에 따라 장애 등이 발생하면 해당 장애를 파악하여 보수하고 유지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M2M을 통해 상황인식, 원격제어/모니터링 등의 M2M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시) 대용량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으로 인한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원격지에 설치된 영상 장치의 장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선택적으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는, M2M 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전송부;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부;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영상 특징 데이터를 상기 M2M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Communication Protocol Negotiation)을 중개하기 위한 통신협상 중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협상 중개부는, M2M 영상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는 협상정보수신부; 상기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과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 통신 협상 성공 시 상대방 단말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협상부; 및 통신협상부에서의 통신 협상 결과 정보, 상대방 단말의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시작 명령을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명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는 상대방 단말의 IP 주소 또는 접속 포트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영상 특징 데이터는 원 영상에서 추출된 색상, 질감, 모서리, 및 윤곽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은, M2M 게이트웨이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M2M 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로부터 영상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영상 특징 데이터를 상기 M2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M2M 영상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2)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3) 상기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과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 통신 협상 성공 시 상대방 단말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4) 통신 협상 결과 정보, 상대방 단말의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시작 명령을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 정보는 상대방 단말의 IP 주소 또는 접속 포트 정보일 수 있고, 상기 영상 특징 데이터는 원 영상에서 추출된 색상, 질감, 모서리, 및 윤곽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M2M을 통해 상황인식, 원격제어/모니터링 등의 M2M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시) 원 영상에서 추출된 영상 특징 데이터만을 M2M 서버로 전송하여, 대용량 영상 데이터의 송수신으로 인한 트래픽의 과부하를 방지하고, 영상 특징 데이터의 분석 및 상태 감시를 통해 원격지에 설치된 M2M 영상 단말의 장애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M2M 영상 단말로부터 영상을 수집하여 고객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M2M 영상 서비스의 제공 시 M2M 플랫폼을 기반으로 대용량 영상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M2M 영상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전부 M2M 서버로 전송하지 않고, M2M 영상 단말(영상 장치 및 영상 장치에 연결된 M2M 통신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 시에 요구되는 최소한의 영상 특징 정보(데이터)만을 추출하여 M2M 게이트웨이를 통해 M2M 서버로 전송하고, M2M 서버는 수집된 영상 특징 정보를 분석하여 M2M 영상 단말의 장애를 파악하고 고객에게 각종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간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의 필요 시, M2M 게이트웨이에서 양측 단말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여 상호 규격을 맞춰주어, M2M 영상 단말과 스트리밍의 목적지인 상대방 단말 간의 직접적인 종단 연결 및 스트리밍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M2M 게이트웨이 및 M2M 서버에서 트래픽의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통신협상 중개부의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도 4의 통신 협상 중개 단계의 세부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시스템의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M2M 영상 단말(11), 서비스 단말(13), 상대방 단말(15), 통신망(100), M2M 게이트웨이(200), 및 M2M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M2M 영상 단말(11)은 촬영으로 취득된 영상에서 색상, 질감, 모서리, 윤곽선 등의 영상 특징 정보(또는 데이터라 칭함)를 추출하여 M2M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해당 영상을 상대방 단말(15)로 실시간 스트리밍하기 위한 것으로, CCTV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 및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필요 시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서비스 단말(13)은 M2M 서버(300)에 연결되어 M2M 영상 단말(11)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제어 정보를 설정하거나 역으로 M2M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각종 M2M 영상 서비스 정보(예를 들어, 상황인식, 원격제어/모니터링, 장애 감지 등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대방 단말(15)은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영상 스트리밍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단말을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통신망(100)은 M2M 영상 단말(11), M2M 게이트웨이(200), M2M 서버(300), 및 상대방 단말(15) 간을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연결하여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
M2M 게이트웨이(200)는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원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영상 특징 데이터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영상 특징 데이터를 M2M 서버(300)로 전달하고,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상대방 단말(11)로의 영상 스트리밍이 요청되면 M2M 영상 단말(11)과 상대방 단말(15)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여 해당 영상을 스트리밍 할 수 있도록 한다.
M2M 서버(300)는 M2M 게이트웨이(200)를 매개로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받은 영상 특징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상황인식, 원격제어/모니터링, 장애 감지 등의 M2M 영상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고, 서비스 단말(13)을 통해 설정된 각종의 원격 제어 정보(또는 신호라 칭함)에 따라 M2M 게이트웨이(200)를 통해 M2M 영상 단말(11)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원격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M2M 영상 단말(11)이 영상 특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영상 특징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스트리밍하도록 하는 스트리밍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트리밍 관련 정보에는 스트리밍 대상인 해당 상대방 단말(15)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식별정보는 갱신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의 구성도로, 도 2의 M2M 게이트웨이(200)의 상세 구성도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신호 전송부(210), 메시지 확인부(230),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250), 및 통신협상 중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 전송부(210)는 M2M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11)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원격 제어 신호는 적어도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특징 데이터 관련 정보 및 스트리밍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확인부(230)는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영상 관련 메시지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메시지 종류 정보가 어떤 정보인지에 따라 해당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관련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되는 메시지 종류 정보는, 전술한 원격 제어 정보에 따라 설정될 수 있고,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 또는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일 수 있다.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에는 스트리밍 목적지로서의 상대방 단말(15)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250)는 메시지 확인부(230)에서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일 경우, 해당 영상 관련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 특징 데이터를 M2M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통신협상 중개부(270)는 메시지 확인부(230)에서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상대방 단말(15)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통신협상 중개부(270)의 세부 구성도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부(271), 협상정보 수신부(273), 통신협상부(275), 및 스트리밍 명령부(277)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부(271)는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영상 스트리밍의 요청 시 해당 M2M 영상 단말(11)이 정당한 단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협상정보 수신부(273)는 인증부(271)를 통해 인증이 성공하면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상대방 단말(15)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통신 협상 정보는 예를 들어 스트리밍 목적지로서의 상대방 단말(15)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및 M2M 영상 단말(11)의 코덱(code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협상부(275)는 협상정보 수신부(273)를 통해 수신된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15)과 통신하여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 통신 협상 성공 시 상대방 단말(15)로부터 상대방 단말(15)의 IP주소 또는 포트 정보와 같은 접속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스트리밍 명령부(277)는 M2M 영상 단말(11)로 스트리밍 개시 명령 또는 스트리밍 불가 명령을 주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통신협상부(275)에서의 통신 협상 결과에 따라 해당 통신 협상 정보(예컨대, 통신 협상 성공 여부 정보, 협상된 상대방 코덱 정보 등 포함), 상대방 단말(15)의 접속 정보(IP주소 또는 포트 정보), 및 스트리밍 시작 명령을 M2M 영상 단말(11)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 내지 도 3의 M2M 게이트웨이(200)에 적용되므로, 도 1 시스템에서 도 2~3과 같이 구성된 M2M 게이트웨이(20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서비스 단말(13)을 통해 사용자가 원격 제어 신호를 설정하면 M2M 서버(300)는 그 원격 제어 신호를 M2M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고, M2M 게이트웨이(200)의 제어신호 전송부(200)는 M2M 서버(300)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그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해당 M2M 영상 단말(11)로 전송하여 M2M 영상 단말(11)의 기능을 원격 설정하고 동작을 제어한다(S410).
다음, M2M 영상 단말(11)에서 단계 S410의 원격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을 취득하고 그 취득된 영상과 관련된 영상 관련 메시지를 M2M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면, M2M 게이트웨이(200)의 메시지 확인부(230)는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영상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헤더에 기록된 메시지 종류 정보를 보고 해당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한다(S430).
다음, M2M 게이트웨이(200)의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250)는 단계 S430에서 확인된 메시지 종류 정보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S440), 해당 영상 관련 메시지에 포함된 영상 특징 데이터를 M2M 서버(300)로 전송하고, M2M 서버(300)는 수신된 영상 특징 데이터를 분석 및 가공하여 해당 M2M 영상 단말(11)의 상태 등을 파악한 후 서비스 단말(13)을 통해 제공한다(S450).
다음, M2M 게이트웨이(200)의 통신협상 중개부(270)는 단계 S430에서 확인된 메시지 종류 정보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S460), 해당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스트리밍 목적지로 설정된 상대방 단말(15)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해당 M2M 영상 단말(11)과 상대방 단말(15)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한다(S470).
도 5는 도 4의 통신 협상 중개 단계(S470)의 세부 흐름도로, 도 3의 통신협상 중개부(270)에 적용되므로, 도 3의 통신협상 중개부(270)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470의 통신 협상 중계 과정의 시작으로 인증부(271)는 해당 M2M 영상 단말(11)과 통신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S471), 해당 M2M 영상 단말(11)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한다(S472).
이어, 단계 S472에서 해당 M2M 영상 단말(11)의 인증이 성공하면 협상정보 수신부(273)는 M2M 영상 단말(11)로부터 상대방 단말(15)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는데, 통신 협상 정보는 예를 들어 스트리밍 목적지로서의 상대방 단말(15)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 및 M2M 영상 단말(11)의 코덱(codec)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S473).
이어, 통신협상부(275)는 단계 S473에서 협상정보 수신부(273)를 통해 수신된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15)과 통신하여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S474), 상대방 단말(15)로부터 스트리밍 가능하다는 응답을 받아 통신 협상이 성공하면(S475), 상대방 단말(15)로부터 상대방 단말(15)의 IP주소 또는 포트 정보와 같은 접속 정보를 수신한다(S476).
마지막으로, 스트리밍 명령부(277)는 통신협상부(275)에서의 통신 협상 결과에 따라 통신 협상 성공 여부 정보 및 협상된 상대방 단말(15)의 코덱 정보 등을 포함하는 통신 협상 정보, 상대방 단말(15)의 접속 정보(IP주소 또는 포트 정보)를 M2M 영상 단말(11)로 제공하면서 스트리밍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전달하고, 이에 따라 M2M 영상 단말(11)은 상대방 단말(15)과 접속 정보(IP주소 또는 포트 정보)를 기초로 직접 접속을 시도하여 영상의 스트리밍을 시작한다(S477).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M2M 영상 단말
13: M2M 서비스 단말
15: 상대방 단말
100: 통신망
200: M2M 게이트웨이
210: 제어신호 전송부
230: 메시지 확인부
250: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
270: 통신협상 중개부
271: 인증부
273: 협상정보 수신부
275: 통신협상부
277: 스트리밍 명령부

Claims (9)

  1. M2M 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 전송부;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로부터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메시지 확인부;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영상 특징 데이터를 상기 M2M 서버로 전송하는 영상특징데이터 전송부; 및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상기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기 위한 통신협상 중개부를 포함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협상 중개부는, M2M 영상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는 협상정보수신부; 상기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과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 통신 협상 성공 시 상대방 단말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협상부; 및 통신협상부에서의 통신 협상 결과 정보, 상대방 단말의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시작 명령을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는 스트리밍명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대방 단말의 IP 주소 또는 접속 포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징 데이터는 원 영상에서 추출된 색상, 질감, 모서리, 및 윤곽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5. M2M 게이트웨이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a) M2M 서버로부터 수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따른 하나 이상의 M2M 영상 단말로부터 영상 관련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c)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특징 데이터의 전송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영상 특징 데이터를 상기 M2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확인된 영상 관련 메시지의 종류가 영상 스트리밍 요청 정보를 나타낼 경우, 해당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로 해당 영상을 직접 스트리밍할 수 있도록 해당 M2M 영상 단말과 상대방 단말 간의 통신 협상을 중개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M2M 영상 단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d-2) M2M 영상 단말로부터 상대방 단말에 대한 통신 협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d-3) 상기 통신 협상 정보를 기초로 상대방 단말과 통신 협상을 수행하고, 통신 협상 성공 시 상대방 단말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d-4) 통신 협상 결과 정보, 상대방 단말의 접속 정보, 및 스트리밍 시작 명령을 M2M 영상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정보는 상대방 단말의 IP 주소 또는 접속 포트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징 데이터는 원 영상에서 추출된 색상, 질감, 모서리, 및 윤곽선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20151239A 2012-12-21 2012-12-21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337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39A KR101337057B1 (ko) 2012-12-21 2012-12-21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239A KR101337057B1 (ko) 2012-12-21 2012-12-21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7057B1 true KR101337057B1 (ko) 2013-12-05

Family

ID=4998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239A KR101337057B1 (ko) 2012-12-21 2012-12-21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70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086A (ja) * 1996-02-26 1997-09-05 Chokosoku Network Computer Gijutsu Kenkyusho:Kk 画像転送方法
JP2002232878A (ja) 2001-01-31 2002-08-16 Toshiba Corp カメラ監視システム
JP2003521769A (ja) 1999-12-23 2003-07-15 ウエスポット アクチボラゲット 画像データ処理
JP2003235029A (ja) 2002-02-07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086A (ja) * 1996-02-26 1997-09-05 Chokosoku Network Computer Gijutsu Kenkyusho:Kk 画像転送方法
JP2003521769A (ja) 1999-12-23 2003-07-15 ウエスポット アクチボラゲット 画像データ処理
JP2002232878A (ja) 2001-01-31 2002-08-16 Toshiba Corp カメラ監視システム
JP2003235029A (ja) 2002-02-07 200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および映像配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051B2 (en) Video analytics with pre-processing at the source end
CN112055024B (zh) 权限校验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0312057B (zh) 智能视频处理装置
WO2013147889A1 (en) Recognition-based security
SG191954A1 (en) An integrated intelligent server based system and method/systems adapted to facilitate fail-safe integration and /or optimized utilization of various sensory inputs
CN111798664B (zh) 一种违法数据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20210208946A1 (en) Enabling a fog service layer with application to smart transport systems
KR101262355B1 (ko) 영상 감시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감시 서버
CN101710443A (zh) 一种安防报警系统及方法
CN110855680A (zh) 一种物联网设备对接方法及装置
KR102054930B1 (ko) 영상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2523236A (zh) 一种动态连接建立方法和设备
KR101337057B1 (ko) M2m 기반의 영상 데이터 처리를 위한 m2m 게이트웨이, 방법, 및 기록 매체
CN107181929A (zh) 用于视频监控的方法和装置
CN212463305U (zh) 边缘计算装置以及边缘计算系统
JP6243906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内で複数の候補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通信接続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デバイス
JP2017063337A (ja) 誘導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誘導方法
US20210377580A1 (en) Live or local environmental awareness
KR100734132B1 (ko)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소호 제어용 홈서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감시 및 제어 방법
JP2015528260A5 (ko)
CN113973162A (zh) 边缘计算装置以及边缘计算方法和系统
TW201332321A (zh) 辨識連網設備以建立點對點連線的系統與方法
KR20210001606A (ko)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자동 수집이 가능한 객체추적 시스템 및 방법
KR101755149B1 (ko) M2m 기반 데이터 전송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CN112202786B (zh) 一种违法数据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