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888B1 -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 Google Patents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888B1
KR101336888B1 KR1020120039619A KR20120039619A KR101336888B1 KR 101336888 B1 KR101336888 B1 KR 101336888B1 KR 1020120039619 A KR1020120039619 A KR 1020120039619A KR 20120039619 A KR20120039619 A KR 20120039619A KR 101336888 B1 KR101336888 B1 KR 10133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bar
switchgear
wireless monitoring
temperature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391A (ko
Inventor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 디지털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지털파워 filed Critical (주) 디지털파워
Priority to KR1020120039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8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5/00Supervisory desks or panels for centralised control or displa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이 개시된다. 본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단말 장치, 부스바, 부스바의 일 단에서 배전반 및 설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체결부, 부스바의 일 영역에 부착되어, 고장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고장 발생 정보를 무선으로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감시 장치, 부스바, 체결부, 배전반, 및 설비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전송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고장 발생 정보 및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무선 감시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Switchgear with High, low busbar of Wireless Monitoring}
본 발명은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스바 관리를 위한 감시 장치의 설치와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각 배전반에서는 고전압 대전류를 각 공장내 설비에 공급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각 설비와 배전반을 부스바로 연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부스바는 일단이 배전반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고 타단은 설비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부스바는 여러 개의 부스바를 볼트 및 너트로 연결하여서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전반이나 각 부스바의 연결부에서 진동 등에 의해 볼트 및 너트의 체결부위가 풀릴 경우 체결부위 간의 접촉면이 감소되어 저항이 증가하게 되므로 접촉불량 부위에서 열에 의한 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접촉면 감소로 인해 부스바를 통과하는 전류 흐름은 일부분에서 집중되어 볼트 주위에서 스파크를 발생시키고 심각한 경우에는 폭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스바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스바를 관리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 기술의 부스바 관리 장치는 부스바의 모든 상에 온도감지센서를 부착시켜 감지된 각각의 온도 신호를 온도표시 모니터를 통해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각각의 온도감지센서와 온도표시 모니터는 유선으로 연결되었다. 이러한 유선연결 방식은 특히 부스바가 많이 필요한 대형 공장에서 온도감시장치의 탈부착을 어렵게 하였으며, 부스바의 종류 및 사이즈에 크게 의존하였다.
또한, 온도 등과 같은 고장 정보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뿐이므로, 부스바의 현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스바의 고장 정보를 검출하여 원격지의 단말에 무선으로 전송하고, 부스바 및 그 주변 영역의 이미지를 원격지의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부스바 및 그 주변 영역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단말 장치, 부스바, 상기 부스바의 일 단에서 배전반 및 설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부스바의 일 영역에 부착되어, 고장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고장 발생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감시 장치, 상기 부스바, 상기 체결부, 상기 배전반, 및 상기 설비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전송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상기 체결부를 둘러싸는 튜브 형태의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변색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 상기 체결부, 상기 배전반, 및 상기 설비 중 적어도 일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상기 고장 발생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무선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부스바의 온도 감지를 기반으로 고장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상기 부스바의 과전류에 따른 고장 전류를 감지하는 개방형 CT, 상기 열감지센서의 센서 ID와 고장 온도 및 상기 개방형 CT의 센서 ID와 고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 발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고장 발생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감지센서, 상기 개방형 CT, 상기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고장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고장 온도에 따른 표시, 고장 전류에 따른 표시, 고장 온도와 고장 전류에 따른 표시 각각을 구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고장 발생 이력별로 각각 구분되는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일정 두께와 면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받침부에 수직하게 신장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끝단에서 받침부에 평행하여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받침부,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의 내측면으로 형성되어 부스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열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형 CT가 노출되어 안착되는 부스바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스바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원격지의 단말에서 무선으로 부스바의 고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부스바의 고장 정보와 함께 부스바 및 그 주변 영역의 이미지 정보를 함께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장치부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와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장치부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 및 도 4의 Q-Q`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외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와 감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Q-Q`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10000)은 전력 장치부(1000), 단말 장치(300), 이미지 생성부(400), 및 서버(700)를 포함한다.
전력 장치부(1000)는 부스바(200)와 부스바(200)에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전력 장치를 포함한다.
단말 장치(300)는 전력 장치부(1000) 또는 서버(7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포함하며, 일 예로서, 피쳐폰, 스마트폰, PDA, 랩탑 컴퓨터, 태블릿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생성부(400)는 전력 장치부(1000)의 부스바(200) 및 부스바(200) 주변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생성부(400)는 CCTV 카메라와 이미지 처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생성부(400)는 CCTV 카메라를 통해 부스바(200) 및 부스바(200) 주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생성부(400)는 열감지 센서와 이미지 처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생성부(400)는 열감지 센서를 통해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감지 센서는 적외선 센서로 대체될 수도 있다.
아울러, 이미지 생성부(400)는 감시 장치(100), 부스바(200), 체결부, 배전반(미도시), 및 설비(10) 중 적어도 일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는 사진 등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700)는 이미지 생성부(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이미지 생성부(400)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수신한다. 서버(700)는 수신된 이미지를 다양한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생성부(400)는 기설정된 시간(일 예로서, 10분) 간격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700)로 전송하고, 서버(700)는 기설정된 시간(일 예로서, 30분) 간격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생성부(400)는 생성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서버(700)로 전송하고, 서버(700)는 수신된 이미지를 저장한 후,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 장치(300)가 감시 장치(300)로부터의 고장 신호를 수신하면, 단말 장치(300)가 서버(700)에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700)는 이미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들 중 가장 최근의 이미지를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10000)은 서버(700) 없이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생성부(400)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생성된 이미지를 단말 장치(30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장치부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와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의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전력 장치부(1000)는 부스바(200), 부스바(200)의 일 영역에 부착되어, 온도 및 과부하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시하기 위한 감시 장치(100), 부스바(200)의 일 단에 연결된 설비(10), 부스바(200)의 타 단에 연결된 배전반(미도시), 설비(10)를 부스바(200)의 일 단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20, 30, 4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는, 부스바(200)의 일 단이 체결부(20, 30, 40)를 통해 설비(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부스바(200)의 일 단이 체결부(20, 30, 40)를 통해 배전반(미도시)과 결합될 수도 있다.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에 설치되어 부스바(200)의 온도 감지를 기반으로 고장 온도를 감지하고, 부스바(200)의 과전류에 따른 고장 전류를 감지하여 고장 발생 정보를 무선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300)는 감시 장치(100)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부스바(200)의 일 단과 설비(10)의 일 단은 볼트(20), 너트(30), 및 와셔(40)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부스바(200)의 일 단과 설비(10)의 일 단에는 각각 개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와셔(40)는 도 3에서 도시된 것처럼,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기설정된 온도 보다 낮은 경우 와셔(40)의 변색 영역이 빨간색이지만, 기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 와셔(40)의 변색 영역이 회색으로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스바(200) 및 그 주변의 온도 변화를 와셔(40)의 변색 영역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체결부(20, 30, 40)는 볼트(20), 너트(30), 및 와셔(40)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체결부는 볼트(20), 너트(30), 와셔(40), 부스바(200)의 일 단, 및 설비(10)의 일 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 장치(300)는 감시 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단말 장치(300)는 입력부(310)와 표시창(320)을 구비한다. 입력부(310)는 단말 장치(30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표시창(320)은 감시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창(320)은 부스바(200)의 온도 및 과부하 여부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장치부와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장치부(1000)는 체결부(20, 30) 및 체결부(20, 30) 주변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둘러싸는 튜브 형태의 캡(50)을 포함할 수 있다. 캡(50)은 플렉서블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하며, 와셔(40)의 변색 영역과 마찬가지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체결부(20, 30)는 부스바(200)의 일 단 및 설비(10)의 일 단을 포함할 수 있다. 부스바(200)의 일 단과 설비(10)의 일 단에는 각각 개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도 2 및 도 4의 Q-Q`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에 탑재된 후 케이블 타이와 같은 고정 부재(190)로 부스바(2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는 감시 장치(1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부스바(20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스바(200)는 고전압 대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도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부스바(2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바(200)는 일정 두께의 직육면체 기둥 형태나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케이스가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감시 장치(100)는 직육면체 형태를 가짐으로써 부스바(200)의 활선 상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즉 관리자 또는 설치 작업자는 감시 장치(100)를 부스바(200)에 탑재한 후 고정 부재(190)로 체결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부스바(200)가 활선 상태인 경우 안전을 위하여 절연 장갑 등을 착용한 후 작업하거나, 부스바(200)를 단선시킨 후 작업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외형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감시 장치(100)는 케이스(101)와, 부스바(200)와 접촉되는 케이스(101)의 제1 면에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가 접촉되게 설치되고, 케이스(10)의 제1 면의 이면인 제2 면에 표시부(16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감시 장치(100)는 열감지센서(120), 개방형 CT(130), 제어부(140), 표시부(160), 통신부(150), 전원부(17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시 장치(100)는 도 6에서 설명한 케이스(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계측 제어부(140)로 표현될 수도 있다.
감시 장치(100)는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가 부스바(200)의 온도 및 전류 변화를 각각 감지하고, 기설정된 온도 또는 기설정된 전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부스바(200)와 연결된 전기 회로에서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른 정보 전달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가 되는 경우, 고장 발생과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와 관련된 상태 정보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감시 장치(100) 정보 수집시 별도의 전기적 위험 없이 안전하게 정보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열감지센서(120)는 부스바(200)와 접촉되어 또는 일정 간격을 가지고 부스바(200)의 열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열감지센서(120)는 설계자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값을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열감지센서(120)는 부스바(200)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되는 경우,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약 3초 정도 대기 후 고장 발생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열감지센서(120)는 센서 ID 정보와 고장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발생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개방형 CT(130)는 부스바(200)와 접촉되어 부스바(200)의 전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개방형 CT(130)는 부스바(200)에 과전류가 발생하고, 과전류 발생에 따라 전압 오프가 발생하면 부스바(200) 및 이와 관련된 전기 회로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140)에 고장 발생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개방형 CT(130)는 센서 ID와 고장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발생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부스바(200)의 이상 상태를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표시부(160)는 LED 등으로 형성되며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 발생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하는 경우,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일정 색의 발광 또는 일정 주기의 점멸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160)는 다색 LED 또는 점멸 주기 조절 등으로 정상 상태와 고장 발생 상태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감시 장치(100)를 다른 감시 장치(미도시)와 식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0)는 고장 이력에 따라 이전과는 다른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감시 장치(100)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발생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추후 동일한 부스바(200)에서 다시 고장이 발생하면 이전 고장 발생이 있었음을 관리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즉 반복적인 고장이 발생하고 있음을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부(160)의 색상이나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고장 발생 정보를 기 설정된 관리자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통신부(150)는 다양한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무선 통신 방식 중 근거리 통신 방식 및 원거리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에 따른 통신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블루투스나 지그비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2G, 3G, 4G 등의 이동통신 모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통신부(150)는 특정한 통신 모듈이나 통신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장 발생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단말 장치(300), 예컨대 관리자의 단말 장치 또는 기설정된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전원부(170)는 감시 장치(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전원부(170)는 배터리 형태로 마련된 케이스(101)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70)는 리튬 배터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전원부(170)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각 구성들에 분배하여 본 발명의 부스바(200)의 온도 및 과부하 무선 감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제어부(140)는 전원부(170)의 전원을 감시하여 전원부(170) 전원이 일정 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전원부(170) 전원 충전을 지시하는 알림 메시지를 단말 장치(300)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70)는 전원부(170) 전원이 일정값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표시부(160)를 이용하여 이를 알릴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전원부(170) 전원 충전을 지시하는 색 또는 그에 대응하는 점멸 주기로 발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표시부(160) 확인을 통하여 전원부(170) 충전 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열감지센서(120)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에 상기 고장 발생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열감지센서(120)는 온도 이상 발생 시 일정 시간 예를 들면 약 3초 지연 후 고장 발생 정보를 제어부(14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40)는 열감지센서(120)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해당 고장 발생 정보를 해당 단말 장치(300)에 일정 횟수 예를 들면 10회 반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온도 이상에 따른 고장이 발생하면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온도 이상에 따른 고장 발생을 지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표시부(160)는 온도 이상에 따른 고장 발생에 대응하는 색깔의 광 또는 고장 발생에 대응하는 점멸 주기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고장 발생 정보 전송 후 통신부(150)를 슬립 모드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개방형 CT(130)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300)에 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고장 발생 정보 전송을 일정 횟수 예를 들면 10회 반복하여 단말 장치(300)에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과전류 이상에 따른 고장 발생시 표시부(160)를 제어하여 그에 대응하는 표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시부(160)는 과전류 이상에 따른 고장 발생에 대응하는 색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케이스(101)의 형태가 부스바(200)에 탑재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가 용이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부스바(200) 감시 결과를 원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 부스바(200)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장 발생 시에만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60)를 이용하여 다양한 고장 상태 및 고장 이력에 따른 구분 표시를 함으로써 관리자가 고장 상태를 보다 빠르고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스 관리 감시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부스바(200)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은 감시 장치(100)의 제어부(140)가 전원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들을 초기화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개방형 CT(130)를 활성화하고 부스바(200)의 전류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형 CT(130)는 501 단계에서 부스바(200)의 부하 전류를 감시할 수 있다.
한편 부스바(200)가 무전압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503 단계에서와 같이 돌입 대비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개방형 CT(130)는 505 단계에서 현재 측정된 전류 I 값이 고장 전류 기준 값인 P 값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개방형 CT(130)의 기준값 P는 개방형 CT(130) 자체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기준값 설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 P는 평상시 부하전류의 3~5배 이상의 과전류가 될 수 있다.
한편 505 단계에서 개방형 CT(130)가 현재 측정한 전류 I 값이 고장 전류 기준 값으로 설정한 P 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40)는 507 단계로 분기하여 전압 오프 상태로 변경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별도의 전압 변화가 없는 경우 5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다시 505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507 단계에서 전압 오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부스바(200)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표시부(160)를 이용하여 고장을 표시하는 한편 고장 발생 정보를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특정 단말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고장 발생 정보는 개방형 CT(130)의 ID 정보와 고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60)는 과전류에 의한 고장 발생에 해당하는 점멸 주기 변화 또는 해당하는 색상을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제어부(140) 제어에 따라 고장 발생 정보를 일정 횟수 예를 들면 10회 반복하여 전송하고 전송이 완료되면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505 단계에서 개방형 CT(130)가 현재 측정한 전류값 I가 고장 전류 기준값인 P 미만인 경우 제어부(14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전압 오프 변화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전압 오프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다시 505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511 단계에서 전압 오프가 발생하면 제어부(140)는 과전류 발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501 단계로 분기하여 부하전류 감시를 수행하면서 돌입 대비를 확인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부하 전류 감시 과정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이를 감시하고 있다가 전압 오프 과정이 발생한 것을 기준으로 고장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부스바(200)가 연결된 전기 회로의 경우 부스바(200)에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전원측 보호기기들이 전원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고장 전류가 부스바(200)에서 제거되는 것을 기준으로 고장 전류에 해당하는 과전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200)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은 감시 장치(100)의 제어부(140)가 전원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장치의 각 구성들을 초기화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열감지센서(120)를 활성화하고 부스바(200)의 열 감지 정보를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열감지센서(120)는 부스바(200)의 열을 601 단계에서와 같이 감시할 수 있다.
그리고 열감지센서(120)는 603 단계에서 측정값이 열감지센서(120) 설치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값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이때 설정 값은 관리자가 지정한 특정 값이 될 수 있으며, 이때 관리자는 설정 값과 함께 설정 시간도 함께 지정할 수 있다. 즉 관리자는 고장 발생으로 판단할 고장 온도에 해당하는 설정 값과 해당 고장 온도가 지속되는 시간도 함께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감지센서(120)는 현재 측정된 부스바(200)의 온도가 고장 온도에 해당하며 일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605 단계로 분기하여 제어부(140)에 이를 알릴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40)는 열감지센서(120)가 전달한 정보를 기반으로 이상 표시 및 이상 보고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온도에 따른 고장 발생을 지시하는 점멸 주기 또는 색상을 가지는 발광을 수행하도록 표시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와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고장 온도에 따른 고장 발생 정보 즉 열감지센서(120)의 센서 ID와 고장 정보를 해당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에 일정 횟수 이상 예를 들면 10회 반복하여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50)는 슬립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60)의 고장 발생에 따른 표시시, 제어부(140)는 고장 발생 이력에 따라 서로 다른 표시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바(200)에 설치된 감시 장치(100)에서 최초 고장이 발생한 경우 표시부(160)는 노란색 발광을 수행하거나 제1 점멸 주기로 점멸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감시 장치(100)에서 반복 고장이 발생한 경우 표시부(160)는 붉은색 발광을 수행하거나 제2 점멸 주기로 점멸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고장 발생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고, 각 고장 발생 이력 시 마다 다른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노란색 또는 붉은색 발광 등은 각 표시부(160)를 구성하는 LED 등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고장 발생 이력에 대하여 2개의 점멸 주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보다 많은 수의 점멸 주기를 가지고 각 고장 발생 이력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무선 감시 방법은 고장 전류 발생과 고장 온도 발생 두 가지 측면에서 각각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어부(140)는 이를 복합적으로 운용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고장 전류 발생 시 개방형 CT(130)의 센서 ID 정보와 고장 전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고장 발생 정보를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로 전송하는데 이때 열감지센서(120)로부터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열감지센서(120)의 센서 ID 정보와 고장 온도를 상술한 고장 전류에 관한 고장 발생 정보에 통합하여 하나의 메시지로서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고장 전류에 의한 표시와 고장 온도에 의한 표시를 각각 구분하도록 표시부(160)의 발광 색이나 점멸 주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동시 발생에 의한 표시를 각각의 고장 발생에 대한 표시와 구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고장 발생시 별도의 메시지 확인이 선행되지 않더라도 또는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감시 장치(100)의 표시부(160) 확인을 통하여 현재 어떠한 고장이 복합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발생하였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고장 온도 및 고장 전류에 대한 구분 표시는 고장 발생 이력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온도에 의한 부스바(200) 고장과 과전류에 의한 부스바(200) 고장 이력을 복합적으로 저장하고 해당 고장 이력의 누적시마다 구분되는 표시를 수행하도록 표시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부스바(200)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케이스(101)를 가지는 감시 장치(100)를 기반으로 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부(150)를 기반으로 원격으로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어 고장 발생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열감지센서가 고장 온도 발생 시에만 센서 ID와 고장 발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제어부(140)가 관리자의 단말 장치(300)에 전송해야할 정보가 단순하여 시스템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감시 장치(100)로부터 온도 고장에 따른 정보 수신이 고장에 의한 시점에만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정보 확인이나 분석의 과정 없이 부스바(200)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감시 장치(100)가 직육면체 형태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 부재(190)를 이용하여 부스바(200)에 고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감지(100)는 영문자 C자형으로 형성되어 부스바(200)에 끼움 방식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와 감시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Q-Q` 절단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일측이 개구된 형태의 케이스를 가지며 내부가 빈 형상으로 마련되어 부스바(200)에 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부스바(200)는 고전압 대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의 도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스바(20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부스바(200)는 일정 두께의 직육면체 기둥 형태나 원통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감시 장치(100)는 케이스가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가 부스바(200)의 일측으로 삽입된 후 내측에 마련된 안착부에 부스바(200)가 삽입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부스바(200)의 개구부와 연이어진 내측은 부스바(20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감시 장치(100)는 개구부 및 개구부와 연이어지는 중앙 안착부를 가짐으로써 부스바(200)의 활선 상태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즉 관리자 또는 설치 작업자는 감시 장치(100)의 개구부(115)를 부스바(200)의 가로 방향과 일치시킨 후 감시 장치(100)의 개구부(115) 반대 방향을 파지한 상태에서 부스바(200)의 몸통 방향 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감시 장치(100)를 부스바(20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이때 부스바(200)가 활선 상태인 경우 안전을 위하여 절연 장갑 등을 착용한 후 작업하거나, 부스바(200)를 단선시킨 후 작업할 수 있다. 상술한 감시 장치(100)의 외형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받침부(110), 제1 날개부(111) 및 제2 날개부(112),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케이스(101), 케이스(101) 외측, 내측 등 다양한 곳에 위치하는 열감지센서(120), 개방형 CT(130), 제어부(140), 표시부(160) 및 통신부와 전원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일정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가지는 판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받침부(110)는 필요에 따라 내측면이 돌출된 형태 또는 음각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비전도성 재질 예를 들면 플라스틱이나 폴리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다양한 비전도성 재질의 합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받침부(110)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감시 장치(100)를 구성하는 열감지센서(120), 개방형 CT(130), 제어부(140), 통신부 및 전원부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받침부(110)의 일면에는 열감지센서(120)와 개방형 CT(130)가 안착되면서도 열감지센서(120)와 개방형 CT(130)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형태의 음각부들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 내부에는 제어부(140)가 내장될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0)의 일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열감지센서(120)와 개방형 CT(130)는 받침부(110) 내측에 마련된 제어부(140)와 연결될 수 있는 신호 라인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받침부(110) 내측에는 통신부와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통신부 및 전원부 또한 제어부(140)와 연결될 수 있는 신호 라인을 가질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제어부(14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으며 상술한 통신부, 열감지센서(120), 개방형 CT(130) 또한 칩 형태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110)는 상술한 인쇄회로기판이 실장될 공간 및 전원부가 배치될 공간만을 마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한편 받침부(110) 내측에 배치되는 각 구성들 중 열감지센서(120)와 개방형 CT(130)는 부스바(20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위하여 받침부(110) 내측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부스바(200)가 개구부(115)를 통하여 감시 장치(100) 내측으로 진입하는 경우 받침부(110) 내측에 노출된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는 부스바(200)와 접촉될 수 있다. 부스바(200)와 접촉되는 받침부(110) 내측 일면은 부스바(200)의 면적과 유사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가 삽입된 부스바(20)와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접촉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돌출되고 다른 영역이 침하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10)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부스바(200)가 받침부(11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경우 주변 구성들과 함께 부스바(20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열감지센서(120)와 개방형 CT(130)가 부스바(200)와 보다 견고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제1 날개부(111)는 받침부(11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받침부(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1 날개부(111)는 일정 두께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고 받침부(110)의 가장자리에서 형성되데 받침부(110) 내측면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날개부(111)의 내측면은 부스바(200)가 삽입된 이후 부스바(200)와 접촉될 수 있으며, 부스바(200)를 제2 날개부(112)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날개부(111) 또한 받침부(110)와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111)는 비전도성 재질의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2)는 받침부(110)의 타측 가장자리에서 일정 두께를 가지며 받침부(1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데 제1 날개부(111)와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12)는 제1 날개부(111)와 반대로 제1 날개부(111)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날개부(112)는 비전도성 재질로 구성되데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거나 받침부(110)로부터 신장되면서 제1 날개부(111)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날개부(112) 내측은 부스바(200)의 일면과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2 날개부(112)의 외측면에는 표시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는 받침부(110) 내측에 배치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 제어에 따라 일정 표시값을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제2 날개부(112)는 표시부(160)가 외측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을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60)가 제2 날개부(112)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외측면보다 낮은 높이로 음각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걸림부(113)는 제1 날개부(111) 끝단에서 제1 날개부(1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데, 제2 날개부(11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걸림부(113)는 바깥면이 라운딩될 수 있으며, 받침부(110) 쪽 측면은 후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부(114)는 제2 날개부(112) 끝단에서 제2 날개부(112)와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며 이때 제1 날개부(11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걸림부(114)는 제1 걸림부(113)와 유사하게 바깥면이 라운딩될 수 있으며, 받침부(110) 쪽 측면은 후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114)는 제1 걸림부(113)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데 상호 대향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개구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개구부(115)의 폭은 부스바(200)의 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부스바(200)가 삽입된 이후 부스바(200)가 개구부(115)를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는 부스바(200)가 받침부(110) 내측면으로 유입되는 동안 받침부(110) 중앙을 중심으로 바깥쪽 방향으로 휘었다가 부스바(200)가 받침부(110) 내측면에 완전 삽입되면 원래 위치로 복귀하거나 복귀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때 부스바(200)는 라운딩된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를 거쳐 받침부(110) 내측면으로 유입됨으로 관리자가 적은 힘으로서 부스바(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받침부(110) 내측면, 제1 날개부(111) 내측면, 제2 날개부(112) 내측면, 제1 걸림부(113) 내측면 및 제2 걸림부(114) 내측면으로 구성된 안착부(116)는 부스바(200)가 유입 고정되는 영역이다. 이러한 안착부(116)는 부스바(200)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부(116)는 부스바(200)의 단면이 사각형인 경우 사각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부스바(200) 단면이 원형인 경우 원기둥 형상의 공간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가 받침부(110)의 내측면에 노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는 안착부(116) 중 어느 한곳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감지센서(120) 및 개방형 CT(130)는 제1 날개부(111), 제2 날개부(112), 제1 걸림부(113), 제2 걸림부(114)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면에 형성되거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각기 다른 면에 형성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설명에서 표시부(160)가 제2 날개부(112)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받침부(110) 및 제1 날개부(111)의 외측면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될 수 도 있다. 또는 표시부(160)는 제1 날개부(111), 제2 날개부(112) 및 받침부(110) 중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는 부스바(200) 삽입 과정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외부 식별이 어려운 부스바(200) 안쪽으로 놓여질 확률이 높으므로 표시부(160) 형성이 제외될 수 있다. 그러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제1 걸림부(113) 및 제2 걸림부(114)에도 표시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115)와, 개구부(115)와 연이어져 부스바(200)가 삽입 고정되는 안착부(116)를 제공함으로써 장치를 부스바(200)에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부스바(200)의 활선 상태에 관계없이 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는 부스바(2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외형 구조를 제외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도 7의 100)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장치(100)를 이용한 부스바(200)의 온도 및 과부하 감시 방법 또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하게 수행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설비 20 : 볼트
30 : 너트 40 : 와셔
50 : 캡 100 : 감시 장치
101 : 케이스 110 : 받침부
111 : 제1 날개부 112 : 제2 날개부
113 : 제1 걸림부 114 : 제2 걸림부
115 : 개구부 116 : 안착부
120 : 열감지센서 130 : 개방형 CT
140 : 제어부 150 : 통신부
160 : 표시부 170 : 전원부
190 : 고정 부재 200 : 부스바
300 : 단말 장치 310 : 입력부
320 : 표시창 400 : 이미지 생성부
700 : 서버 1000 : 전력 장치부
10000: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Claims (15)

  1. 단말 장치;
    부스바;
    상기 부스바의 일 단에서 배전반 및 설비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체결부;
    상기 부스바의 일 영역에 부착되어, 부스바의 온도가 기설정된 기준값 이상의 온도가 되는 경우 또는 부스바에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의 고장 발생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고장 발생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감시 장치;
    상기 부스바, 상기 체결부, 상기 배전반, 및 상기 설비 중 적어도 일 영역의 온도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서버로 전송하는 이미지 생성부; 및
    상기 전송된 이미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부스바의 온도 감지를 기반으로 고장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
    상기 부스바의 과전류에 따른 고장 전류를 감지하는 개방형 CT;
    상기 열감지센서의 센서 ID와 고장 온도 및 상기 개방형 CT의 센서 ID와 고장 전류 중 적어도 하나의 고장 발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고장 발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고장 발생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부스바의 일단과 배전반 및 설비 중 어느 하나를 결합시키는 볼트와 너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와셔;를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상기 체결부를 둘러싸는 튜브 형태의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온도 변화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변색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CCTV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변색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부스바, 상기 체결부, 상기 배전반, 및 상기 설비 중 적어도 일 영역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에 따라 상이한 색상으로 표현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은,
    상기 고장 발생 정보 및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무선 감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센서, 상기 개방형 CT, 상기 제어부, 상기 통신부를 감싸는 케이스; 및
    상기 고장 발생을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고장 온도에 따른 표시, 고장 전류에 따른 표시, 고장 온도와 고장 전류에 따른 표시 각각을 구분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고장 발생 이력별로 각각 구분되는 표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정 두께와 면을 가지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 가장자리 영역에서 받침부에 수직하게 신장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끝단에서 받침부에 평행하여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신장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
    상기 제1 걸림부와 제2 걸림부 사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받침부, 제1 날개부, 제2 날개부,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의 내측면으로 형성되어 부스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열감지센서 및 상기 개방형 CT가 노출되어 안착되는 부스바와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케이스를 상기 부스바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장치는,
    상기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형태의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의 전원이 기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알림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1020120039619A 2012-04-17 2012-04-17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10133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19A KR101336888B1 (ko) 2012-04-17 2012-04-17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619A KR101336888B1 (ko) 2012-04-17 2012-04-17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91A KR20130117391A (ko) 2013-10-28
KR101336888B1 true KR101336888B1 (ko) 2013-12-04

Family

ID=49636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619A KR101336888B1 (ko) 2012-04-17 2012-04-17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8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6B1 (ko) 2016-03-14 2016-08-04 (주)와이제이솔루션 부스바 접촉부 감시장치
KR101904072B1 (ko) * 2017-11-14 2018-10-05 김성순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KR101956196B1 (ko) 2017-11-28 2019-03-08 한빛이디에스(주) 저사양 센서 노드 기반 IoT 망 연계 및 데이터 무선 정보화가 가능한 복합형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6635B1 (ko) 2022-09-16 2023-05-26 (주)와이제이솔루션 영상 처리기반의 수배전반 감시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의 체결상태 검출방법
KR20230147820A (ko) 2022-04-15 2023-10-24 이종혁 부스바 커넥팅부 모니터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59B1 (ko) * 2013-12-03 2014-08-04 주식회사 뉴영이시티 수배전반용 지능형 열화감시영상시스템
KR101847971B1 (ko) * 2017-12-04 2018-04-11 (주)와이제이솔루션 영상 처리기반의 수배전반 감시장치
KR102424971B1 (ko) * 2020-10-23 2022-07-25 (주)와이제이솔루션 매트릭스 영상 재구성을 적용한 수배전반 안전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37A (ko) * 2009-04-30 2010-11-09 이동호 원격 배전반 관리시스템
KR20110042778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전오전기 모선용 절연튜브
KR101081929B1 (ko) 2011-03-07 2011-11-10 박기주 분전반 통합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9137A (ko) * 2009-04-30 2010-11-09 이동호 원격 배전반 관리시스템
KR20110042778A (ko) * 2009-10-20 2011-04-27 주식회사 전오전기 모선용 절연튜브
KR101081929B1 (ko) 2011-03-07 2011-11-10 박기주 분전반 통합 감시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86B1 (ko) 2016-03-14 2016-08-04 (주)와이제이솔루션 부스바 접촉부 감시장치
KR101904072B1 (ko) * 2017-11-14 2018-10-05 김성순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KR101956196B1 (ko) 2017-11-28 2019-03-08 한빛이디에스(주) 저사양 센서 노드 기반 IoT 망 연계 및 데이터 무선 정보화가 가능한 복합형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47820A (ko) 2022-04-15 2023-10-24 이종혁 부스바 커넥팅부 모니터링 시스템
KR102536635B1 (ko) 2022-09-16 2023-05-26 (주)와이제이솔루션 영상 처리기반의 수배전반 감시장치를 이용한 체결부의 체결상태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91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888B1 (ko) 고,저압 부스바 무선 감시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101299904B1 (ko) 부스바의 온도 및 과부하 무선 감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470348B1 (ko) 화재방지 장치를 구비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101106724B1 (ko) 보조 배터리와 블랙박스를 구비한 스마트 분전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WO2016122184A1 (ko) 감전을 경보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이와 연동된 수배전반이 포함된 감전 경보 수배전반 시스템
KR101264344B1 (ko) 배전반 내부 이상상태 감시용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
KR20130127819A (ko) 배전선로용 스마트 감시장치
CN104349560A (zh) 用于路灯照明系统的故障检测装置及其运行方法
CN109245042A (zh) 漏电检测报警装置
CN109347068A (zh) 一种开关柜电缆头防爆保护装置
KR101414929B1 (ko) 수배전반의 전압감지 표시 제어장치
CN102213738A (zh) 电器设备短路测试装置
KR101300523B1 (ko) 배전반 화재감시제어기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ES2930751T3 (es) Conmutador de carga
CN112313766B (zh) 用于计算电气开关的接触状态的方法和利用这种方法的电气开关
CN213582445U (zh) 一种配电火灾监控装置
KR20130131515A (ko) 태양전지 보호회로와 네트워킹을 포함한 모니터링 신호 송출 장치
CN210490548U (zh) 智能型高压开关柜
CN210806714U (zh) 一种智能空气开关
KR101163165B1 (ko) 간이형 차단기 상태 감시 장치
CN202231489U (zh) 开闭所温湿度监控系统
CN112952769A (zh) 一种断路器的设置方法、装置和配电系统
CN211086432U (zh) 一种过载警示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