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590B1 - 자외선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6590B1
KR101336590B1 KR1020130122302A KR20130122302A KR101336590B1 KR 101336590 B1 KR101336590 B1 KR 101336590B1 KR 1020130122302 A KR1020130122302 A KR 1020130122302A KR 20130122302 A KR20130122302 A KR 20130122302A KR 101336590 B1 KR101336590 B1 KR 101336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ultraviolet
fluid
inlet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드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드니
Priority to KR102013012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65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8Having flow diverters (baff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목적은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체 유로가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자외선챔버에 유입챔버 및 배출구를 연결설치하여,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체의 재순환유동(와류,선회류 등등으로 인한 믹싱효과)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체의 자외선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는 원수(原水)가 유입되고 내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블레이드를 구비한 유입챔버와, 상기 유입챔버가 일측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와, 상기 유입챔버에 일측단이 연결지지되고 자외선챔버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복수의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의 타측단을 지지하고 자외선챔버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며 제어부 또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자외선챔버의 타측에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유입챔버를 통해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이동되되, 유입챔버, 자외선챔버 및 배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의 전체 유로가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살균장치{ULTRAVIOLET DISINFECTION UNIT}
본 발명은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를 구비한 유입챔버에 의해 유체가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자외선챔버내에서 이동되도록 하여, 유체에 대한 자외선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水)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식수용, 농업용 또는 공업용 등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도 특히 인류의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식수 또는 세면에 사용되는 물의 경우, 그 청결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만약, 음용 또는 세면/세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이 깨끗하지 못하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많은 세균들에 의해 복통, 설사, 구토 등 다양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질병의 생기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활성탄 필터, 마이크로 필터, 멤브레인 필터 등 다양한 필터들을 적용하여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또는 자외선(UV) 램프를 이용하여 물에 포함되어 있는 대장균 등의 세균을 살균/처리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그 중에 가장 간단하고 설치 비용이 적게 드는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살균방식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는 원통의 챔버내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되고, 상기 챔버에 수직되도록 챔버 일측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며, 챔버 타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유입구, 챔버 및 배출구를 통해 유체가 전체적으로 '∪'자 형상의 유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살균장치는 원통형상을 구비하고 내부에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챔버내에서 유체가 거의 수평이동을 하게 되므로, 자외선램프에 근접하여 수평이동되는 유체에 대해서는 살균처리가 이루어지나, 챔버의 내부벽면에 근접되어 수평이동되는 유체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외선 조사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생물학적 세균이 완전하게 살균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의 전체 살균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챔버내에서 유체가 수평이동만으로 흐름을 형성할 경우, 챔버의 내벽에 유체흐름을 따라 다량의 슬러지가 존재하게 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자외선에 의해 살균, 처리가 완료된 물이라 할지라도,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외선램프 표면에도 이물질이 부착되어 살균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09203(2012.02.0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36997(1998.11.18)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53322(2013.04.04)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9827(2002.12.18)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살균장치의 유체 유로가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자외선램프가 설치된 자외선챔버에 유입챔버 및 배출구를 연결설치하여,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체의 재순환유동(와류,선회류 등등으로 인한 믹싱효과)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유체의 자외선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챔버내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유입챔버를 통해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입된 유체가 선회유동하도록 하여 자외선챔버내 유체에 대한 자외선 조사량을 일정하게 하여, 전체 자외선 살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수(原水)가 유입되고 내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블레이드를 구비한 유입챔버와, 상기 유입챔버가 일측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와, 상기 유입챔버에 일측단이 연결지지되고 자외선챔버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복수의 석영관과, 상기 석영관의 타측단을 지지하고 자외선챔버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며 제어부 또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커버부와, 상기 자외선챔버의 타측에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유입챔버를 통해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이동되되, 유입챔버, 자외선챔버 및 배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의 전체 유로가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 램프가 설치된 자외선챔버의 수평방향으로 유입챔버를 통해 원수(原水)가 유입되고, 자외선챔버내로 유입된 원수가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처리되며, 자외선램프에 의해 살균처리된 처리수가 자외선챔버에 수직으로 연결설치된 배출구를 통해 자외선챔버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어, 전체 유체의 흐름이 'L' 자형상을 구비하게 되며, 이와 같은 형상의 흐름에 의해 자외선챔버내를 흐르는 유체에 선회류가 형성되어 유체에 대한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원수에 대한 자외선 살균처리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챔버의 내부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 원수(原水)가 유입되는 유입챔버에서부터 자외선챔버내에서 자외선 살균처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에 이르기까지, 자외선챔버내의 유체에 믹싱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입챔버의 내부면에 복수의 경사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어, 유체(원수)의 유입압에 의해 유입챔버를 통과한 유체가 자외선챔버내에서 선회류를 자동 형성하며 이동되므로, 유체에 대한 살균처리효율을 더욱 극대화될 뿐 아니라, 자외선챔버 내부벽면 및 자외선램프가 내장된 석영관의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챔버 일측에 유입챔버가 축방향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유입구가 형성되는 종래의 살균장치에 비해, 생산성, 조립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하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챔버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챔버의 부분절단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챔버의 경사블레이드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유입챔버에 의한 유체의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 실시예1에 따른 결과를 보인 예시도(경사블레이드 미설치)
도 8 은 본 발명 실시예2에 따른 결과를 보인 예시도(경사블레이드설치)
도 9 는 본 발명 비교예에 따른 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구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유입챔버의 부분절단면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챔버의 경사블레이드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의 유입챔버에 의한 유체의 흐름을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결합관계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살균장치(100)는 원수(原水)가 유입되고 내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구비한 유입챔버(20)와, 상기 유입챔버(20)가 일측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30)와, 상기 유입챔버(20)에 일측단이 연결지지되고 자외선챔버(30)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램프(40)가 내장된 복수의 석영관(50)과, 상기 석영관(50)의 타측단을 지지하고 자외선챔버(30)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며 제어부 또는 전원부(80)과 연결되는 커버부(60)와, 상기 자외선챔버의 타측에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70)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입챔버(20)는 유체(원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배관(90)과 연결되는 일측단(21)에서 자외선챔버(30)와 결합되는 타측단(22)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확대되는 원뿔대통 형상(디퓨저형상)을 구비하는 몸체부(28)와, 상기 몸체부(28)의 내부벽면(23)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입챔버(20)의 몸체부(28)에는 유입배관(90)이 연결되는 일측단에 유입구(24)가 형성되고, 자외선챔버(30)와 결합되는 타측단(22)에는 플랜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8)와 경사블레이드(1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 는 경사블레이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해 분리하여 도시한 것일 뿐, 몸체부와 경사블레이드가 분리설치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경사블레이드(10)는 자외선챔버(30)내로 유입되는 유체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유입배관(90)과 연결되는 유입챔버의 일측단(21)에서, 자외선챔버와 결합되는 유입챔버의 타측단(22)에 이르도록 유입챔버의 내부벽면(23)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경사블레이드(10)는 유입챔버의 내부벽면(23)에서부터 중심선(C)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되되, 각각의 경사블레이드(10)는 서로 사이거리(L)을 구비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경사블레이드(10)는 유입구(24)와 연결되는 유입배관(90)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선단부(11)와, 자외선챔버(30)와 연결되는 유입배관의 타측단(22)에 위치하는 후단부(12)와, 상기 선단부(11)와 후단부(12)를 연결하고 유입챔버의 내부벽면(23)에서부터 중심선(C)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경사날개부(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날개부(13)는 중심선(C)을 향하는 돌출끝단(14)이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거리(L1)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사블레이드(10)는 선단부(11)가 유입배관(90)이 위치하는 유입챔버(20)의 일측단에 위치하고, 후단부(12)가 자외선챔버(30)와 결합되는 유입챔버의 타측단(22)에 위치하며, 상기 선단부(11)에서 후단부(12)가 경사날개부(13)에 의해 연결되고, 경사날개부(13)의 돌출끝단(14)이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거리(L1)만큼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는 유입챔버의 내부벽면(23)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고, 경사날개부(13)의 돌출끝단(14)이 소정거리(L1)의 2배에 해당되고 유입구의 내경(d)과 동일한 길이(크기)의 사이거리(L)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경사블레이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는 중심선(C)를 중앙기준점으로 하여, 선단부의 중심선(C.F)와 후단부의 중심선(C.B)가 회전각(θ)이 소정각도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경날개부(13)가 기울어진 형상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경사날개부(13)의 기울어진 정도는 경사날개부(13)를 따라 흐르는 유체(원수)가 자외선챔버(30)내에서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정도면 충분하므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회전각(θ)은 약 30°∼180°, 바람직하게는 약 30°∼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80°를 구비하는 것이, 유체속도 및 압력을 고려할 경우, 선회류의 형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는 유입챔버(10)의 내부에 선풍기의 날개형상과 같이 방사선상으로 뻗어나가도록 또한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유입구의 내경(d)과 경사블레이드간의 사이거리(L)이 동일하도록 되어 있어, 유입구(24)를 통한 유체(원수)의 자외선챔버(30)내 유입시, 유입챔버(20) 내부의 공간확장으로 인한 유체의 속력저하가 보상됨과 동시에, 경사날개부(13)를 따라 유체가 흐르게 되어 자외선챔버(30)내로 유입되는 유체에 선회류가 발생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챔버(20)는 경사블레이드(10)의 후단부(12)에,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서로 연결하고 석영관(50)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고리(26)가 경사블레이드(1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는 중앙에 하나의 지지고리(26)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내용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자외선램프의 설치갯수에 따라 복수개의 지지고리가 경사블레이드에 연결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지지고리(26)가 형성된 지지부(91)를 유입챔버(20)와 자외선챔버(30) 사이에 위치하도록 별도로 형성되어 설치하여 복수의 석영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고리를 구비한 지지부를 유입챔버(20)와 자외선챔버(30)의 플랜지 결합시 함께 결합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챔버(30)는 일측단이 유입챔버(20)와 플랜지결합되고, 타측단이 커버부(60)와 플랜지결합되며, 내부에 자외선램프(40)가 내장된 하나 이상의 석영관(50)이 설치되는 살균공간(3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챔버(30)에는 드레인배관(32), 자외선센서(33) 및 온도센서(34)가 더 연결설치되어 있다.
상기 석영관(50)은 내부에 유체 살균을 위한 자외선램프(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이 유입챔버(20)의 지지고리(26)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측이 커버부(60)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은 석영관(50)은 자외선챔버(30)의 살균공간(31)내에 수평을 이루도록 즉, 자외선챔버(3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40)가 내장된 석영관(50)의 구성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커버부(60)는 자외선챔버(30)의 타측단을 밀폐시켜 자외선챔버(30)가 수밀구조를 구비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외선램프(40)에 전기적 신호를 부여하여 살균공간(31)내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하는 것으로, 자외선챔버(30)와 플랜지결합된다. 즉, 상기 자외선램프(40)는 커버부(60)를 통해 제어부 또는 전원부(8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자외선램프(40)가 내장된 석영관(50)의 고정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다.
상기 배출구(70)는 자외선챔버(30)내에서 살균처리된 유체(처리수)를 자외선챔버(3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자외선챔버(30)의 타측에 자외선챔버(30)에 수직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입챔버(20)와 자외선챔버(30) 및 커버부(60)의 결합에 의한 수밀구조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유입배관(90)을 통해 유입챔버(20)내로 유체(원수)가 유입될 경우, 상기 유입챔버(20)내로 유입된 유체(원수)는 경사블레이드(10)의 사이거리(L)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유로(27) 및 경사블레이드의 경사날개부(13)를 따라 자외선챔버(30)내로 선회류를 형성하면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선회류를 형성하며 자외선챔배(30)내로 유체가 유입되면, 자외선챔버(30) 내부에서 유체가 선회(교반)되어, 자외선챔버내 유체에 대하여 자외선이 일정하게 조사되게 되므로, 유체의 살균효율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급수시설, 정수시설, 오염물 처리시설 등등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급수시설에 효율적으로 적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7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740㎜ 길이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SUS 100A Sch5) 내부에 직경 28㎜의 석영관이 설치되고, 디퓨저 형상의 유입챔버의 유입구가 자외선챔버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자외선챔버에 유입챔버를 수평(축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대하여, 유체의 유동특성 및 체류시간을 전산유체해석(CFD ; Computatuinal Fluid Dynamics)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7 에 나타내었다. 이때, 유입챔버에 형성된 유입구는 내경 35.7㎜을 구비하고, 작동유체는 20℃의 물을 사용하였으며, 유입유량은 (Max.) 5.0㎥/h으로 하였다.
도 7 의 (b)는 유체의 유동특성을, (c)는 체류시간을 도시한 것으로, 유입구가 자외선챔버의 축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할 경우, 자외선챔버내에서 직선경로 유동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유체의 재순환유동이 발생되어, 유체가 선회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체의 평균체류시간은 약 5.289 초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도 8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740㎜ 길이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SUS 100A Sch5) 내부에 직경 28㎜의 석영관이 설치되고, 디퓨저 형상의 유입챔버의 유입구가 자외선챔버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자외선챔버에 유입챔버를 수평(축방향)으로 설치된 자외선 살균장치에 대하여, 유체의 유동특성 및 체류시간을 전산유체해석(CFD ; Computatuinal Fluid Dynamics)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 에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유입챔버내에는 4개의 경사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경사블레이드는 선단부의 중심선(C.F)와 후단부의 중심선(C.B)가 이루는 회전각(θ)이 60°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유입챔버에 형성된 유입구는 내경 35.7㎜을 구비하고, 작동유체는 20℃의 물을 사용하였으며, 유입유량은 (Max.) 5.0㎥/h으로 하였다.
도 8 의 (b)는 유체의 유동특성을, (c)는 체류시간을 도시한 것으로, 유입구가 자외선챔버의 축방향으로 위치하고, 유입챔버내에 복수의 경사블레이드가 설치될 경우, 유입챔버를 통과한 유체는 자외선챔버내에서 완벽하게 선회류를 형성하여 자외선챔버내의 유체가 믹싱됨을 알 수 있다. (유체가 믹싱됨에 따라 유체에 대한 자외선 조사량이 일정하게 되므로, 살균효율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체의 평균체류시간은 약 5.220 초로 나타났다.
실시예 3
도 9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740㎜ 길이를 구비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SUS 100A Sch5) 내부에 직경 28㎜의 석영관이 설치되고, 상기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유입구(내경 35.7㎜) 및 배출구가 설치된 자외선 살균장치(기존 자외선살균장치의 구조)에 대하여, 유체의 유동특성 및 체류시간을 전산유체해석(CFD ; Computatuinal Fluid Dynamics)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9 에 나타내었다.
도 9 의 (b)는 유체의 유동특성을, (c)는 체류시간을 도시한 것으로, 자외선챔버의 상부영역에서는 일부 재순환유동이 형성되나, 자외선챔버의 하부영역은 유체가 직선경로 유동만을 하고 있어, 전체적으로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체의 직선경로 유동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외선램프를 따라 직선경로 유동만이 발생될 경우, 자외선램프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유체에 대해서는 살균처리를 위한 자외선조사량이 조사되지 못하게 되어, 살균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 또한, 유체의 평균체류시간은 약 4.879 초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경사블레이드 (11) : 선단부
(12) : 후단부 (13) : 경사날개부
(14) : 돌출끝단 (20) : 유입챔버
(21) : 일측단 (22) : 타측단
(23) : 내부벽면 (24) : 유입구
(25) : 플랜지 (26) : 지지고리
(27) : 중앙유로 (28) : 몸체부
(30) : 자외선챔버 (31) : 살균공간
(32) : 드레인밸브 (33) : 자외선센서
(34) : 온도센서 (35) : 플랜지
(40) : 자외선램프 (50) : 석영관
(60) : 커버부 (70) : 배출구
(80) : 제어부 또는 전원부 (90) : 유입배관
(91) : 지지부 (100) : 자외선 살균장치

Claims (9)

  1. 원수(原水)가 유입되고 내부에 소정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구비한 유입챔버(20)와,
    상기 유입챔버(20)가 일측단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자외선챔버(30)와,
    상기 유입챔버(20)에 일측단이 연결지지되고 자외선챔버(30)내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자외선램프(40)가 내장된 복수의 석영관(50)과,
    상기 석영관(50)의 타측단을 지지하고 자외선챔버(30)의 타측단에 고정설치되며 제어부 또는 전원부(80)과 연결되는 커버부(60)와,
    상기 자외선챔버의 타측에 자외선챔버에 수직되도록 설치되는 배출구(70)를 포함하여,
    유입챔버를 통해 자외선챔버내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선회류를 형성하며 이동되되, 유입챔버, 자외선챔버 및 배출구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의 전체 유로가 'L'자 형상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20)는 유입배관(90)과 연결되는 일측단(21)에서 자외선챔버(30)와 결합되는 타측단(22) 방향으로 점차 내경이 확대되는 원뿔대통 형상을 구비하는 몸체부(28)와, 상기 몸체부(28)의 내부벽면(23)에 소정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경사블레이드(10)는 유입구(24)와 연결되는 유입배관(90)의 일측단에 위치하는 선단부(11)와, 자외선챔버(30)와 연결되는 유입배관의 타측단(22)에 위치하는 후단부(12)와, 상기 선단부(11)와 후단부(12)를 연결하고 유입챔버의 내부벽면(23)에서부터 중심선(C)을 향하도록 돌출형성되는 경사날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경사날개부(13)는 돌출끝단(14)이 중심선(C)으로부터 소정거리(L1)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5.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경사블레이드(10)의 선단부(11)와 후단부(12)는 중심선(C)를 중앙기준점으로 하여, 선단부의 중심선(C.F)와 후단부의 중심선(C.B)가 회전각(θ)이 소정각도를 구비하도록 되어, 경사날개부(13)가 소정각도 기울어진 형상을 구비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θ)은 30°∼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θ)은 3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20)는 경사블레이드(10)의 후단부(12)에, 복수의 경사블레이드(10)를 서로 연결하고 석영관(50)의 일측단이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지지고리(26)가 경사블레이드(10)에 일체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9.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유입챔버(20)와 자외선챔버(30) 사이에는 복수의 지지고리를 구비한 지지부(91)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살균장치.
KR1020130122302A 2013-10-15 2013-10-15 자외선 살균장치 KR10133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302A KR101336590B1 (ko) 2013-10-15 2013-10-15 자외선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302A KR101336590B1 (ko) 2013-10-15 2013-10-15 자외선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6590B1 true KR101336590B1 (ko) 2013-12-16

Family

ID=4998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302A KR101336590B1 (ko) 2013-10-15 2013-10-15 자외선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65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18A (ko) * 2014-06-27 2016-01-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비가열식 유체 살균 장치
KR20180035070A (ko) * 2016-09-28 2018-04-05 한주호 불투명 점성 액체의 비가열 살균 유닛
KR102036332B1 (ko) 2019-03-06 2019-10-24 디엠엔텍 주식회사 관 내부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킨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20013418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에코셋 무전원 자동 세척장치
KR102255048B1 (ko) 2020-12-04 2021-05-24 주식회사 에코원테크놀로지 분산 및 세척의 복합 기능을 갖는 분산구조를 구비한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관로형 자외선소독장치
WO2022055306A1 (ko) * 2020-09-11 2022-03-1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30B1 (ko) 2008-01-30 2008-12-15 (주)동남이엔지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장치
KR101042229B1 (ko) 2008-12-30 2011-06-17 삼건세기(주) 자외선 살균 시스템
KR101253322B1 (ko) 2012-11-21 2013-04-10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130B1 (ko) 2008-01-30 2008-12-15 (주)동남이엔지 광촉매를 이용한 정화 장치
KR101042229B1 (ko) 2008-12-30 2011-06-17 삼건세기(주) 자외선 살균 시스템
KR101253322B1 (ko) 2012-11-21 2013-04-10 대한수처리주식회사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518A (ko) * 2014-06-27 2016-01-0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비가열식 유체 살균 장치
KR101638979B1 (ko) 2014-06-27 2016-07-13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비가열식 유체 살균 장치
KR20180035070A (ko) * 2016-09-28 2018-04-05 한주호 불투명 점성 액체의 비가열 살균 유닛
KR101870033B1 (ko) 2016-09-28 2018-06-21 한주호 불투명 점성 액체의 비가열 살균 유닛
KR102036332B1 (ko) 2019-03-06 2019-10-24 디엠엔텍 주식회사 관 내부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킨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20200134181A (ko) * 2019-05-21 2020-12-01 주식회사 에코셋 무전원 자동 세척장치
KR102392565B1 (ko) * 2019-05-21 2022-04-29 주식회사 에코셋 무전원 자동 세척장치
WO2022055306A1 (ko) * 2020-09-11 2022-03-17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KR102255048B1 (ko) 2020-12-04 2021-05-24 주식회사 에코원테크놀로지 분산 및 세척의 복합 기능을 갖는 분산구조를 구비한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관로형 자외선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6590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1823948B1 (ko) 유수 정화 장치
KR1012533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1721249B1 (ko) Uv 여과기
JP2007144386A (ja) 紫外線照射水処理装置
US9771959B2 (en) Fluid flow modifier and fluid treatment system incorporating same
KR102255048B1 (ko) 분산 및 세척의 복합 기능을 갖는 분산구조를 구비한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관로형 자외선소독장치
US6454952B1 (en) Fluid sterilization apparatus
KR100926893B1 (ko) 자외선 및 미세기포를 이용한 기포부상식 자외선살균 장치
KR20180083780A (ko) 와류발생을 이용한 관로형 자외선 소독장치
US20180334400A1 (en) Uv apparatus
KR102036332B1 (ko) 관 내부의 살균효과를 증대시킨 관로형 자외선 살균장치
KR101516765B1 (ko) 광촉매 공기 살균정화장치
KR101264350B1 (ko) 광 촉매를 이용한 수처리 장치
CN201288075Y (zh) 一种带有组合式独立腔体的紫外线杀菌器
JP2013075271A (ja) 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装置
KR102256064B1 (ko) 오존가스를 병용한 자외선 수질 정화장치
KR100835585B1 (ko)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CN103754982A (zh) 一种光催化水处理消毒设备
KR100883123B1 (ko) 무동력 와류발생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관로형 자외선소독장치
KR101318604B1 (ko) 마이크로 버블 살균장치
KR102029625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101547300B1 (ko) 순환식 수경재배용 배액제어장치
CN202924789U (zh) 一种变径扰流自动清洗的紫外线杀菌器
KR101942915B1 (ko) 비타민을 공급하는 유수 절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