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6257B1 -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searching users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searching users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6257B1 KR101336257B1 KR1020070026064A KR20070026064A KR101336257B1 KR 101336257 B1 KR101336257 B1 KR 101336257B1 KR 1020070026064 A KR1020070026064 A KR 1020070026064A KR 20070026064 A KR20070026064 A KR 20070026064A KR 101336257 B1 KR101336257 B1 KR 101336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content
- location information
- service providing
- providing serv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검색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제1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searching a user and an apparatus, a server, and a system theref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comprising: transmitting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a content information element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컨텐츠, 취향, 위치 정보, 지도, 단말기 Content, taste, location information, map,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기가 영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4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playing movi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유형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adata type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간의 통신 서비스 이용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termin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M 서비스 이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 service us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10 is a view show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말기가 영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2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is playing movie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 영역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1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arch area selection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3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terminal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erminal display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10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6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1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011 : 단말기 1020 :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11: terminal 1020: first service providing server
1030 : 제2 서비스 제공 서버 1040 : 중계 서버1030: second service providing server 1040: relay server
본 발명은 사용자 검색을 위한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텐츠 사용에 있어서 유사한 취향을 갖는 사용자를 검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for searching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earching for a user having a similar taste in content use, and an apparatus, a server, and a system therefor.
디지털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음악, 영화, 게임 등의 각종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컨텐츠의 검색 및 이용, 기타 정보 교류를 위하여 자신과 유사한 취향을 갖는 사람들과 접촉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웹 사이트 상에 구축된 동호회에 가입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많은 정보들을 공유하기도 한다. As digital technology develops, demand for various digital contents such as music, movies, and games is increasing. Users may contact people with similar tastes in order to search for and use contents that meet their tastes and to exchange other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 may join a community that is built on a web site, thereby sharing more and more information.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이용 중인 컨텐츠에 연관된 정보를 다른 사용자로부터 얻기 위해서는 웹 사이트 상에 해당 컨텐츠에 대한 질문을 업로드 해두거나, 웹 사이트 상에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들에게 일일이 IM(Instant Message) 형식으로 대화를 신청해야 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를 경우 실시간적인 정보 교류가 쉽지 않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in order to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that the user is using from another user, the user uploads a question about the content on the website, or instant message (IM) to users who are currently accessing the website. You should apply for the conversation in the form. That is,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not easy to exchange information in real time.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휴대용 단말 기에 수십에서 수백개의 컨텐츠를 저장시켜두고,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 없이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 중인 사용자의 경우 실시간으로 자신과 유사한 취향을 갖는 사람과 정보를 교환 하기가 더욱 쉽지 않다. Recently, more and more users use tens or hundreds of contents stored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and use desired content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n the case of a user using such a portable terminal, it is more difficult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a person having a similar taste in real time.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이용중인 컨텐츠에 관하여 유사한 취향을 갖는 다른 사용자와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exchange information in real time with another user having a similar taste with respect to content currently in use.
본 발명은 유사한 컨텐츠를 사용 중인 사용자들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rvice that can search for users using similar content in real time and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searched user.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제1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ansmitting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a content information element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terminal playing content, and display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1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from a first terminal, playing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eceived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생성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제1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igit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a content information elemen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the service provision And a network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playing the first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from the serve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 및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집된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송신하는 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for coll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is playing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and And a service processing device for receiving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from the first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제1 로컬 영역에서 상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를 중계 서버에게 송신하는 제1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제2 로컬 영역에서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중인 제3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제2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송신된 상기 컨텐츠 정보 요소를 상기 제2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제공 서버가 수집한 상기 상기 제3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송하는 중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2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3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1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content associated with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 the first local area; A first service providing server that collects location information of a second terminal that is playing the content,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to a relay server, and a location of the third terminal that is playing content relat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in a second local area; A second service providing server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transmitted from the first service providing server to the second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collected by the second service providing server. A relay server for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to the first service providing server, wherein the first server comprises: a relay server;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cond terminal and the third terminal to the first terminal.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세 개의 단말기(112, 114, 116)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도시된 것 보다 많은 수의 단말기 또는 도시된 것 보다 적은 수의 단말기가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단말기들(112, 114, 116)은 동일하거나 유사 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특정 단말기에 대한 설명은 다른 단말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각 단말기들(112, 114, 116)의 사용자는 서로 다른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112)의 사용자는 '사용자A'로 칭하기로 하고, 단말기(114)와 단말기(116)의 사용자는 각각 '사용자B' 및 '사용자C'로 칭하기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three
도 1에서 네트워크(10)는 유선, 무선, 또는 이들 간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10)는 단말기(112)와 서비스 제공 서버(120) 간의 통신 경로로서, 이들 간의 통신을 중계해주는 중계소(예를 들어 기지국이나 AP(Access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In FIG. 1, the
단말기(112)는 네트워크(1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기(112)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기(112)는 IEEE 802.11 표준이나 IEEE 802.15.3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나 기타 다른 유형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단말기(112)는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컨텐츠는 비디오 정보, 오디오 정보 및 텍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객체이다. 컨텐츠의 구체적인 유형으로는 영화, 음악, 사진, 자바 게임, 전자 서적, 각종 디지털 방 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2)는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스트리밍 모드와 일반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재생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The
스트리밍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기(112)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스트리밍 형식으로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12)는 컨텐츠를 일정량씩 버퍼링하면서 재생시킬 수 있다.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기(112)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거나 자신과 연결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시킬 수 있다. 단말기(112)나 단말기(112)와 연결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도 있고, 다른 경로를 통하여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When operating in the streaming mode, the terminal 112 may be provided with the content in a streaming format from the
이러한 단말기(112)는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단말기(112)는 셋탑 박스, 데스크 탑 컴퓨터, 디지털 TV와 같은 고정형 디지털 장치일 수도 있다.The terminal 112 is preferably a portable digital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112 may be a fixed digital device such as a set top box, a desktop computer, or a digital TV.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에게 컨텐츠 및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의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컨텐츠 정보 요소의 종류는 컨텐츠의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유형이 음악이라면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는 장르, 아티스트, 앨범, 멜로디 등의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유형이 영화라면 메타데이터는 장르, 주연배우, 감독 등의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 유형이 디지털 방송이라면 메타데이터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와는 별개의 데이터 객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메타데이터가 컨텐츠에 포함됨으로써 메타데이터와 컨텐츠가 일체의 데이터 객체로 구성될 수 있다. Such metadata may be composed of data objects separate from the contents, but, preferably, metadata is included in the contents so that the metadata and the contents may be composed of all data objects.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의 요청에 따라서 다른 단말기(114, 116) 중에서 특정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중인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단말기(1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Meanwhile,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 단말기(112)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여야 한다. 단말기(112)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한다는 것은, 단말기(112)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서비스의 제공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단말기(112)의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채널이 확립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order to receive a predetermined service from the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인증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단말기(112)의 접속을 허락하거나 불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정보를 사전에 등록된 등록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A는 사전에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자신의 ID와 패스워드를 등록시켜둘 수 있다. 그 후, 사용자A의 요청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하려는 단말기(112)는 사용자A의 ID와 패 스워드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전송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A의 ID 및 패스워드를 사전에 등록된 ID 및 패스워드와 비교함으로써 단말기(112)의 접속에 대한 허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 방식은 로그인(log-in) 방식이나 사인인(sign-in) 방식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물론, 이는 일 실시예일뿐이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다른 유형의 인증 방식에 기반하여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각 단말기(112, 114, 116)가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된 상태(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각 단말기(112, 114, 116)에 대해 접속을 허락한 상태)임을 가정한 것이다. Hereinafter, the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following embodiment, each terminal 112, 114, and 116 is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for exampl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기 원하는 사용자A는 컨텐츠를 검색하는데 사용될 키워드(이하 '검색 키워드'라 한다)와 함께 컨텐츠 검색 요청을 단말기(112)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A로부터 컨텐츠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S210), 단말기(112)는 입력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215),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에는 복수의 검색 키워드가 포함될 수도 있다. The user A who wishes to receive the content from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에서 검색 키워드를 추출하고(S225), 추출된 검색 키워드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검색 키워드가 특정 가수의 이름이라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해당 가수의 음악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에서 복수의 검색 키워드가 추출되었다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복수의 검색 키워드 모두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The
과정 S230의 검색 작업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검색 결과 발견된 컨텐츠의 리스트를 생성하고(S235),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S240). 컨텐츠 리스트는 컨텐츠의 제목, 유형, 식별자 등 컨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arch operation of step S230 is completed,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컨텐츠 리스트를 수신한 단말기(112)는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245). 이 때, 사용자A는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컨텐츠 리스트에서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A는 단말기(112)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컨텐츠 전송 방식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Upon receiving the content list from the
사용자A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입력되면(S250), 단말기(112)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255),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송신할 수 있다(S260). 과정 S255에서 생성되는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A가 결정한 컨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When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A (S250), the terminal 112 may generate a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S255),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S260). ). The content transmission request message generated in step S255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ent transmission method determined by user A.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서 컨텐츠 식별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컨텐츠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한다(S265). 과정 S265에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또한 단말기(112)에게 전송될 수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타데이터는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컨텐츠와는 별개의 데이터 객체로 단말기(112)에게 전송될 수도 있다. The
한편, 과정 S26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단말기(112)에게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은 스트리밍 방식과 다운로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어떠한 컨텐츠 전송 방식을 사용할 것인지는 사전에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기(112)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전송 요청 메시지에 컨텐츠 전송 방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그에 따라서 과정 S265에서의 컨텐츠 전송 방식이 결정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content to the terminal 112 by the
컨텐츠 전송 방식이 스트리밍 방식인 경우, 단말기(112)의 재생 모드는 스트리밍 모드가 된다.When the content transmission method is the streaming method, the playback mode of the terminal 112 is the streaming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112)가 다른 단말기(114, 116)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할 것이나, 이는 단말기(112)의 사용자인 '사용자A'의 관점에서 볼 때 다른 단말기(114, 116)의 사용자인 '사용자B'나 '사용자C'를 검색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112 will be described as searching for the
먼저, 사용자A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기(112)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310). 여기서, 단말기(112)의 재생 모드는 스트리밍 모드일 수도 있고 일반 모드일 수도 있다. First, when the request of the user A, the terminal 112 can play the content (S310). Here, the playback mode of the terminal 112 may be a streaming mode or a normal mode.
컨텐츠의 재생 도중 사용자A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S315), 단 말기(112)는 자신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유형과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디스플레이한다(S320).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12)가 영화 컨텐츠(410)를 재생하고 있던 중에 사용자A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 단말기(112)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화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유형('장르', '주연 배우', '감독' 등)을 나타내는 메타데이터 유형 선택 화면(42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A during the playback of the content (S315), the terminal 112 displays the type of metadata related to the type of the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S320). For example, if a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A while the terminal 112 is playing the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될 경우, 단말기(112)는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중지할 수 있다. 물론,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되더라도 단말기(112)가 컨텐츠의 재생을 지속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Whe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the terminal 112 may temporarily stop the playback of the content. Of course, even if the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it is also possible for the terminal 112 to continue playing the content.
사용자A는 단말기(112)가 디스플레이한 메타데이터의 유형 중에서 검색 기준으로 삼을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되는 메타데이터의 유형의 개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The user A may select the type of metadata to be searched from among the types of metadata displayed by the
사용자A에 의해 메타데이터의 유형이 선택되면(S325), 단말기(112)는 재생 중이던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서 사용자A에 의해 선택된 메타데이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 요소를 추출한다(S330). 예를 들어, 단말기(112)가 '반지의 제왕'이라는 영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었고, 사용자가 메타데이터의 유형 중에서 '감독'을 선택했다면, 과정 S330에서 단말기(112)는 자신이 재생 중이던 영화 컨텐츠('반지의 제왕')의 메타데이터 중에서 '감독' 유형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 요소인 '피터 잭슨'을 추출할 수 있다. When the type of metadata is selected by the user A (S325), the terminal 112 extracts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metadata selected by the user A from the metadata of the content being played (S330). For example, if the terminal 112 is playing the movie content called “Lord of the Rings” and the user selects “Director” from the type of metadata, the terminal 112 displays the movie content that the user is playing in step S330. From the metadata of (Lord of the Rings), "Peter Jackson", which is a content information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Supervision" type, can be extracted.
그 후, 단말기(112)는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 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335), 생성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전송한다(S340). Thereafter, the terminal 112 generates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the extracted content information element (S335), and transmits the generated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S340).
단말기(112)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자신에 접속해 있는 다른 단말기(114, 116) 중에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하고 있는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 한다(S345). The
단말기의 검색 및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S345은 단말기(114, 116)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 받는 중인지의 여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접속 중인 단말기(114, 116)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 받고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도 5의 과정 또는 도 6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과정 S345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 중인 모든 단말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접속 중인 각 단말기들의 재생 모드에 따라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도 5의 과정과 도 6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또는 병렬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말기(114)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 받고 있는 상태이며, 단말기(116)은 그렇지 않은 상태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단말기(114)는 스트리밍 모드로 컨텐츠를 재생 중일 것이며, 단말기(116)는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고 일반 모드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을 수도 있다.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search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S345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 수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과정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 받고 있는 단말기(114)에 대 해서 수행된다.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llecting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process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114 receiving the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서비스 제공 서버(120)는 도 3의 과정 S340에서 수신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서 컨텐츠 정보 요소를 추출하고(S510), 단말기(114)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 받고 있는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와 과정 S510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가 매칭되는지 판단한다(S520).The
과정 S520의 판단 결과,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가 단말기(114)에게 전송 중인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매칭되면(구체적으로는 상기 메타데이터에 동일한 컨텐츠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으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4)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530).If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extracted from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matches the metadata of the content being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4 (specifically, if the sam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is included in the metadata), the service is determined. The providing
그러나, 과정 S520의 판단 결과 단말기(114)에게 전송 중인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과정 S510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단말기(114)의 위치 정보는 수집되지 않는다.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520 that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extracted in step S510 is not included in the metadata of the content being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4,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4 is not collected.
도 5의 과정은 단말기(112)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당시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 받고 있는 모든 단말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The process of FIG. 5 may be performed for all terminals that are receiving content in a streaming manner from the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된 단말기 중에서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제공 받고 있지 않은 단말기(116)에 대해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도 6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erminals connected to the
단말기(112)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도 3의 과정 S340),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서 컨텐츠 정보 요소를 추출한 다(S610). 그 후,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620), 생성된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단말기(116)에게 전송한다(S630).Whe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2 (step S340 of FIG. 3), the
만약, 단말기(116)가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당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었다면, 단말기(116)는 자신이 재생 중인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S640),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전송한다(S650). If the terminal 116 is playing the content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metadata request message, the terminal 116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the metadata of the content being played (S640), and generates the generated response messag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20 (S650).
단말기(116)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응답 메시지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S660), 이를 과정 S610에서 추출해 둔 컨텐츠 정보 요소를 비교한다(S670). When the response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116, the
과정 S670의 비교 결과, 과정 S610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가 과정 S660에서 추출된 메타데이터에도 포함되어 있다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6)의 위치 정보를 수집한다(S680). 그러나, 과정 S670의 비교 결과, 과정 S610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가 과정 S660에서 추출된 메타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단말기(116)의 위치 정보는 수집되지 않는다.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670, if the content information element extracted in step S610 is also included in the metadata extracted in step S660, the
도 6에는 생략되어 있으나,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당시 단말기(116)가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지 않았다면, 과정 S640은 단말기(116)가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지 않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응답 메시지에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도 6의 과정 S660 내지 S680은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Although omitted in FIG. 6, if the terminal 116 was not playing the content at the time of receiving the metadata request message, the process S640 generates a response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116 is not playing the content. It can be replaced with a process. In this case, since metadata is not included in the response message, processes S660 to S680 of FIG. 6 may not be performed.
한편, 도 6의 과정 S630은 사용자C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C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에 대하여 응답할 것인 가의 여부를 단말기(116)에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만약, 응답하는 것으로 설정이 된다면 도 6의 과정 S630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응답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이 된다면 도 6의 과정 S630은 메타데이터를 알려줄 수 없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process S630 of Figure 6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the user C intervention. For example, the user C may set in the terminal 116 whether to respond to the metadata request message of the
물론, 과정 S630은 사용자C의 실시간 개입 하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메타데이터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116)는 응답 여부의 결정을 요청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C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요청에 응답할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C가 응답할 것으로 결정한다면 단말기(116)는 과정 S630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C가 응답하지 않을 것으로 결정한다면 도 6의 과정 S630은 메타데이터를 알려줄 수 없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과정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C의 개입 여부는 사용자C에 의하여 사전에 단말기(116)에 설정될 수 있다. Of course, process S630 may be performed under real-time intervention of userC. For example, when a metadata reques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이러한 도 6의 일련의 과정은 단말기(112)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될 당시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접속은 해있으나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전송 받고 있지 않은 모든 단말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다. 6 may be performed for all terminals that are connected to the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수집된 위치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의 식별자나 단말기의 사용자의 ID 등)와 매핑시켜둘 수 있다(S350). 그 후,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수집된 위치 정보 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한다(S355). 이 때, 과정S350에서 각 위치 정보와 매핑된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또한 단말기(112)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112)는 각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Referring back to FIG. 3,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12)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360). 과정 S360에서 단말기(112)는 텍스트 형식의 리스트나 테이블 형태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112)는 지도의 형태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과정 S355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지도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112)는 사전에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전자 지도를 제공 받아 두고, 과정 S355에서 전송되는 위치 정보를 사전에 획득한 전자 지도와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물론, 단말기(112)가 다른 경로를 통하여 전자 지도를 미리 획득해 두는 실시예도 가능하다.The terminal 112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위치 정보는 전자 지도에 기반한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단말기(112)가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전자 지도에 적합한 좌표 형식으로 위치 정보를 변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electronic map. Of course, the location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latitude and longitude, and the terminal 112 may convert the location information into a coordinate format suitable for the electronic map held by the
과정 S360에서 단말기(112)가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정보의 일 실시예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서 음영처리된 원들(710 내지 750)이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지점이다. 이 지점들은 단말기(112)가 재생 중인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다른 단말기(예를 들어 단말기(114)나 단말기(116))의 위치를 나타낸다. 즉, 위치 정보 는 사용자A와 유사한 취향을 갖는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사용자B 및 사용자C)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A는 자신과 유사한 취향을 갖는 다른 사용자들의 존재 여부 및 존재 위치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지도에는 단말기(112)의 위치, 즉 사용자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760)도 포함되어 있는데, 단말기(112)의 위치 정보는 과정 S360에서 다른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함께 서비스 제공 서버(12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단말기(112)가 자신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예를 들어 GPS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면, 단말기(112) 스스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An embodiment of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terminal 112 in step S360 is illustrated in FIG. 7.
한편, 검색된 단말기의 수가 매우 많을 경우, 단말기(112)가 각 단말기의 모든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제공되는 위치 정보의 개수는 임계 개수로 제한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수집한 위치 정보의 개수가 임계 개수를 초과하면,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임계 개수만큼의 위치 정보를 선별하고 선별된 위치 정보를 단말기(112)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개수는 서비스 제공 서버(120)의 운영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A가 단말기 검색 요청을 입력할 때 단말기(112)를 통하여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사용자A가 임계 개수를 직접 설정하는 경우, 설정된 임계 개수는 도 3의 과정 S335에서 생성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임계 개수에 맞게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복수의 위치 정보 중 임계 개수만큼의 위치 정보를 선별 하는 방식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복수의 위치 정보 중에서 랜덤하게 위치 정보를 선별할 수도 있고,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담당하는 영역의 서브 영역 별로 위치 정보의 분포 밀도에 비례하여 필요한 개수만큼의 위치 정보를 선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number of searched terminals is very large, it may be inefficient for the terminal 112 to display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terminal. Therefo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사용자A는 단말기(112)가 디스플레이하는 위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사용자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The user A may select any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terminal 112 and communicate with the user of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3의 과정을 거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A에 의해 선택되면(S810), 단말기(112)는 선택된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와의 통신을 요청하는 통신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815), 생성된 통신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전송한다(S820). 통신 요청 메시지에는 과정 S810에서 선택된 위치 정보나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는 단말기(112)가 어떤 다른 단말기와의 통신을 원하는지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목적에 부합되는 것이라면 다른 정보가 통신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통신 요청 메시지에는 단말기(112)에 대한 식별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112)의 식별자나 사용자A의 ID)가 포함될 수도 있다. When any one of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is selected by the user A (S810), the terminal 112 generates a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S815). In operation S820, the generated communication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로부터 수신된 통신 요청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말기(112)가 어떠한 단말기와 통신을 원하는지 판단한다(S825). 본 실시예에서는 과정 S825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기(114)가 단말기(112)의 통신 요청 상 대로 확인된 것으로 가정한다. 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에 대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락 여부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고(S830), 이를 단말기(114)에게 전송한다(S835).The
서비스 제공 서버(120)으로부터 수락 여부 확인 메시지가 수신되면, 단말기(114)는 단말기(112)의 통신 요청이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840). 과정 S840에서 통신을 요청한 단말기(112)에 대한 식별 정보도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When the acceptance message confirmation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사용자B는 단말기(114)가 디스플레이한 정보를 확인하고, 단말기(112)의 통신 요청을 수락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B로부터 단말기(112)의 통신 요청을 수락한다는 정보가 입력되면(S845), 단말기(114)는 통신 수락 메시지를 생성하고(S850),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전송한다(S855). The user B may check 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terminal 114 and determine whether to accept the communication request of the terminal 112. If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4)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S860), 이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한다(S865).At this time, the
그 후,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2)와 단말기(114)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S870).Thereafter, the
이에 따라서, 단말기(112)와 단말기(114) 간의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A는 자신과 유사한 취향을 갖는 사용자B와의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통신 서비스의 예로써 IM(Instant Messenger) 서비스, SMS,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통신 서비스가 이에 한정되 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단말기(112)가 단말기(114)와 IM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말기(112)가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내었다. Accordingly, a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the terminal 112 and the terminal 114 may be provided. That is, the user A can use the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user B having a taste similar to that of the user A. Examples of communication services include IM (Instant Messenger) services, SMS, voice calls, video calls, and the lik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9 illustrates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by the terminal 112 when the terminal 112 uses an IM service with the terminal 114.
도 8에는 생략되었지만, 과정S845에서 사용자B가 통신을 거부한다는 정보를 입력하였다면, 단말기(114)는 통신 거부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통신이 거부되었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단말기(112)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기(112)와 단말기(114) 간에 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다. Although omitted in FIG. 8, if the user B inputs information that denies communication in step S845, the terminal 114 may generate a communication rejection message and transmit it to the
한편, 사용자A의 요청에 따라서 단말기(112)는 통신을 수행한 단말기(114)의 위치 정보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추후 사용자A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단말기(112)는 저장해둔 위치 정보를 다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A는 컨텐츠 사용에 있어서 자신과 유사한 취향을 갖는 사용자B를 지도 상에서 찾을 수 있다. 물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사용자B의 실제 위치는 단말기(112)가 다시 디스플레이한 위치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간의 활동 반경은 제한적이므로 사용자A가 지도 상에서 사용자B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확인하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다. 또한, 위치 정보에 매핑된 단말기(114)에 대한 식별 정보도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될 수 있으므로, 단말기(112)가 단말기(114)와의 통신 서비스를 다시 이용하는 것도 여전히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말기(112)가 단말기(114)와의 통신 서비스를 다시 이용할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20)은 단말기(114)의 새로운 위치 정보를 단말기(112)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기(112)는 단말기(114)의 새로운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 한 내용들은 단말기(112)와 통신을 수행한 단말기(11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at the request of user A, the terminal 112 ma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14 that performed the communication. If the user A requests later, the terminal 112 may display the stored location information again. Accordingly, the user A can find a user B on the map who has a similar taste in using the content. Of course, as time passes, the actual location of the user B may not match the location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terminal 112 again. However, in general, since the radius of activity of the human is limited, there is no big problem for the user A to roughly identify the user B on the map. In addition, sin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terminal 114 mapped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also be sto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it is still possible for the terminal 112 to use the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terminal 114 aga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terminal 112 uses the communication service with the terminal 114 again, the
도 1 내지 도 9에서는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존재하는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런데, 하나의 서비스 제공 서버(120)이 단말기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물리적인 영역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일정 영역마다 서비스 제공 서버가 존재하고, 각 서비스 제공 서버를 연계시킬 수 있는 중계 서버를 두어, 서비스 제공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1 to 9 have described a service system in which one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는 두 개의 서비스 제공 서버(1020, 1030)과 서비스 제공 서버들(1020, 1030)을 연계해 주는 중계 서버(1040)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둘 이상의 서비스 제공 서버가 존재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각 서비스 제공 서버(1020, 1030)은 각각 제1 로컬 영역과 제2 로컬 영역을 담당한다. 도 10에 도시된 네트워크들(20, 30, 40, 50)은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10)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10 is a view showing a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0, a
제1 로컬 영역 내의 단말기들(1011, 1012, 1013)은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제2 로컬 영역 내의 단말기들(1014, 1015, 1016)은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시와 도시, 지방과 지방, 나라와 나라 간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환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로컬 영역과 제2 로컬 영역의 구성은 각각 도 1에 도시한 서비스 시스템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서비스의 적용 범위가 동일 로컬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타 로컬 영역까지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단말기(1011)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단말기(1011)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S1101). 여기서, 단말기(1011)의 재생 모드는 스트리밍 모드일 수도 있고 일반 모드일 수도 있다.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terminal 1011 may play the content (S1101). Here, the playback mode of the terminal 1011 may be a streaming mode or a normal mode.
컨텐츠의 재생 도중 사용자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되면(S1102), 단말기(1011)는 검색 영역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1103).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단말기 검색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단말기(1011)는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 영역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 영역은 로컬 영역과 글로벌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글로벌 영역은 복수의 로컬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로서, 도 10의 실시예와 같은 서비스 시스템이라면 글로벌 영역은 제1 로컬 영역과 제2 로컬 영역을 포함하는 범위이다.Whe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the reproduction of the content (S1102), the terminal 1011 displays a search area selection screen (S1103). 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content is being played back as shown in FIG. 12A, when a user's terminal search request is input, the terminal 1011 may display a search area selection screen as shown in FIG. 12B. As shown in FIG. 12B, the search area may include a local area and a global area. Here, the global area is a range including a plurality of local areas, and if the service system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global area is a range including a first local area and a second local area.
사용자는 글로벌 영역과 로컬 영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검색 영역이 선택되면(S1104), 단말기(1011)는 자신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유형과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디스플레이한다(S1105). The user can select either the global zone or the local zone. When the search area is selected by the user (S1104), the terminal 1011 displays the type of metadata related to the type of content that is being played (S1105).
사용자는 단말기(1011)가 디스플레이한 메타데이터의 유형 중에서 검색 기준 으로 삼을 메타데이터의 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메타데이터의 유형이 선택되면(S1106), 단말기(1011)는 재생 중이던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타데이터의 유형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 요소를 추출한다(S1107). 도 11의 과정 S1105 내지 과정 S1107은 도 3의 과정 S320 내지 과정 S330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user may select the type of metadata to be searched from among the types of metadata displayed by the
그 후, 단말기(1011)는 과정 S1104에서 선택된 검색 영역에 대한 정보(이하 검색 영역 정보라 한다)와 과정 S1107에서 추출된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S1108), 생성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 전송한다(S1109). Thereafter, the terminal 1011 generates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arch area selected in step S11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arch area information) and content information elements extracted in step S1107 (S1108).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first service providing server 1020 (S1109).
단말기(1011)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를 통해서 로컬 영역과 글로벌 영역 중 어떠한 검색 영역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는지 판단한다(S1110). 만약, 검색 영역 정보가 로컬 영역을 나타낸다면, 단말기 검색 작업은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이 담당하고 있는 제1 로컬 영역에 대해서 수행되며 그 과정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검색 영역이 로컬 영역으로 설정된 경우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Receiving a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from the terminal 1011, the first
과정 S1110에서의 판단 결과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검색 영역 정보가 글로벌 영역을 나타낸다면,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는 중계 서버(1040)에게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111). 이 때, 전송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는 단말기(1011)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도 있고,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이 새롭게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110, if the search area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erminal search request message indicates the global area, the first
중계 서버(1040)은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으로부터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이를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에게 중계한다(S1112). The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은 제2 로컬 영역에서 자신과 접속 중인 단말기(1014, 1015, 1016) 중에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하고 있는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 한다(S1113). 과정 S1113에서 수반되는 작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econd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은 수집된 위치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와 매핑시켜둘 수 있다(S1114). 그 후,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은 수집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S1115), 이를 중계 서버(1040)에게 전송한다(S1116). 과정 S1115에서 생성되는 응답 메시지는 각 위치 정보에 매핑된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중계 서버(1040)은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검색 응답 메시지를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게 중계한다(S1117). The
한편,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은 제1 로컬 영역에서 자신과 접속 중인 단말기(1012, 1013) 중에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컨텐츠 정보 요소와 관련된 컨텐츠를 재생 하고 있는 단말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수집 한다(S1118). 과정 S1118에서 수행되는 작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 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first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은 수집된 위치 정보를 해당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와 매핑시켜둘 수 있다(S1119).The first
그 후,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은 중계 서버(1040)으로부터 전송된 응답 메시지에서 위치 정보를 추출하고(S1120), 자신이 수집한 위치 정보와 과정 S1120에서 추출된 위치 정보를 단말기(1011)에게 전송한다(S1121). 물론, 과정 S1121에서 각 위치 정보에 매핑된 단말기에 대한 식별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first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1011)는 수신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S1122). 과정 S1122는 도 3의 과정 S360과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글로벌 영역을 대상으로 단말기들의 위치를 검색한 것이므로, 과정 S1122에서 위치 정보가 지도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면, 과정 S112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지도는 제1 로컬 영역과 제2 로컬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과정 S1122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정보를 도 13a에 도시하였다. 물론, 본 발명이 도 13a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는 로컬 영역 단위로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즉, 도 11의 과정 S1122에서 위치 정보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서 제1 로컬 영역의 검색 결과와 제2 로컬 영역의 검색 결과가 교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실시예를 도 13b에 도시하였는데, 단말기(1011)는 제1 로컬 영역(1320)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다음 로컬 영역'이 요청되면 경우, 제2 로컬 영역(13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물론, 그 역의 과정도 가능 하다. The terminal 1011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한편, 도 11의 과정 S1117에서 중계 서버(1040)은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으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해둘 수 있다. 만약, 위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한 때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으로부터 과정 S1111에서 전송된 것과 동일한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된다면, 임시적으로 저장해 둔 위치 정보를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요청이 수신된 경우 이전과 동일한 작업을 다시 수행할 필요 없이 이전의 작업 결과를 제공하더라도 실제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경우, 중계 서버(1040)은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에게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중계 서버(1040)의 작업 처리 시간이나 로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은 도 11의 과정 S1121에서 단말기(1011)에게 전송한 위치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저장 시점부터 임계 시간 내에 단말기(1011)로부터 과정 S1109에서 전송된 것과 동일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임시적으로 저장해 둔 위치 정보를 단말기(1011)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step S1117 of FIG. 11, the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단말기(112, 114, 116, 1011, 1012, 1013, 1014, 1015, 1015), 서비스 제공 서버(120, 1020, 1030) 및 중계 서버(104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들의 구성 요소 간의 동작 과정은 앞서 설명한 도 1 내 지 도 12를 참조하면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1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1400)은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서비스 제공 서버들(120, 1020, 1030)의 구성으로 볼 수 있다.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server 1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strated service providing server 1400 may be viewed as a configuration of the
서비스 제공 서버(1400)는 컨텐츠 관리 장치(1410), 접속 관리 장치(1420),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 서비스 처리 장치(1440), 및 통신 중계 장치(1450)를 포함한다.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400 includes a
컨텐츠 관리 장치(1410)는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요청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의 제공 방식은 스트리밍 방식 또는 다운로드 방식일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관리 장치(1410)는 어떤 단말기가 스트리밍 방식으로 컨텐츠를 수신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관리 장치(1410)는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검색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검색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텐츠 관리 장치(1410)는 복수의 컨텐츠 및 각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컨텐츠 관리 장치(1410)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자에 접근하여 필요한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접속 관리 장치(1420)는 접속을 요청한 단말기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접속 관리 장치(1420)는 사전에 단말기로부터 사전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등록해두고, 추후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인증 정보와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단말기의 접속에 대한 허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접속 관리 장치(1420)는 현재 접속 중인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접속 여부에 변경이 생길 경우 리스트를 갱신한다. The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는 접속 중인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관리한다.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는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와 방문 위치 등록기(Visited Location Regis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장치(예를 들어, GPS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는 단말기에게 제공할 전자 지도를 관리할 수도 있다. The loca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는 접속 중인 단말기로부터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전송 받고, 이를 관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중인 단말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자발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120)에게 전송하면,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가 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보 관리 장치(1430)가 접속 중인 단말기에게 위치 정보를 문의하고, 단말기로부터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서비스 처리 장치(1440)는 단말기나 중계 서버(1040)과의 통신을 위한 게이트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1400)을 구성하는 각 장치(1410, 1420, 1430)에게 필요한 동작을 지시하여, 단말기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서비스 처리 장치(1440)는 단말기나 중계 서버와의 통신에 필요한 각종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해석할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각종 요청이나 응답을 위한 정보 전달체로서, '메시지'라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라는 용어는 '프레임'이나 '패킷'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The
통신 중계 장치(1450)는 단말기들 간의 통신을 중계한다. 여기서 통신은, IM 서비스, SMS,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각종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통신 중계 장치(1450)는 복수의 통신 서비스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중계 장치(1450)는 단문 메시지 처리 장치, 교환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계 서버(104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중계 서버(1040)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를 다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게 전달하는 프록시 장치(1510),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장치(1520)를 포함한다. 관리 장치(1520)는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삭제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 장치(1520)는 특정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동일한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재수신되는 경우,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재사용할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으로부터 제1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프록시 장치(1510)가 이를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에게 송신한다. 그 후,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프록시 장치(1510)는 이를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게 전송한다. 이 때, 관리 장치(1520)는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만약, 위치 정보를 저장한 때로부터 임계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으로부터 제1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컨텐츠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관리 장치(1520)는 저장해 두었던 위치 정보를 제1 서비스 제공 서버(10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관리 장치(1520)는 프록시 장치(1510)가 제2 단말기 검색 요청 메시지를 제2 서비스 제공 서버(1030)에게 전송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16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도 10의 단말기들(112, 114, 116, 1011, 1012, 1013, 1014, 1015, 1016)은 도 16에 도시된 단말기(16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1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단말기(16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10), 사용자 입력부(1620), 재생부(1630), 저장부(1640),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50), 통신 서비스 처리부(1660), 및 제어부(1670)를 포함한다. The terminal 1600 includes a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10)는 서비스 제공 서버(14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1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각종 메시지, 컨텐츠, 위치 정보, 기타 데이터나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10)는 CDMA, WCDMA, 또는 GSM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 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610)는 IEEE 802.11 표준이나 IEEE 802.15.3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나 기타 다른 유형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62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요청이나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입력부(1620)는 키패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재생부(1630)는 각종 유형의 컨텐츠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도를 재생한다. 재생부(1630)는 컨텐츠나 지도의 재생을 위하여 각종 코덱이나 어플리케이션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생부(1630)는 MPEG2(Moving Picture Experts Group 2), MPEG4, H.264 등의 동영상 디코딩 기술에 기반한 비디오 디코더나 MP3(MPEG Audio Layer-3), WMA(Window Media Audio) 등의 오디오 디코딩 기술에 기반한 오디오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저장부(1640)는 컨텐츠, 위치 정보, 기타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640)는 하드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각종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50)는 서비스의 이용을 가이드하는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165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타데이터의 유형 선택 화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검색 영역 선택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user
통신 서비스 처리부(1660)은 IM, SMS, 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등과 같은 각 종 통신 서비스를 지원한다. The
제어부(1670)는 단말기(16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70)는 서비스 제공 서버(1400)에게 송신할 각종 메시지를 생성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4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메시지를 해석할 수 있다. The
이밖에도, 제어부(1670)는 도 16을 참조한 단말기(1600)의 설명에서 직접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았으나, 도 1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말기(160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는 위치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 관리부는 GPS 위성을 통하여 제공되는 단말기(1600)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는 GPS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terminal 1600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naging its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unit may include a GPS processing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600 provided through a GPS satellite.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기(16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일종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 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terminal 16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may be implemented as a kind of module. 'Module' means a software component or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d the module plays some role. However, a module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module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a module may include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the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module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검색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서버,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사한 컨텐츠를 사용 중인 사용자들을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된 사용자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a service for searching a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n apparatus, a server, and a system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rvice for searching for users using similar content in real time and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searched us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Claims (37)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1/743,887 US8788588B2 (en) | 2006-05-03 | 2007-05-03 |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US14/308,203 US9547688B2 (en) | 2006-05-03 | 2014-06-18 |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US15/380,268 US20170097998A1 (en) | 2006-05-03 | 2016-12-15 |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79687006P | 2006-05-03 | 2006-05-03 | |
US60/796,870 | 2006-05-0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7578A KR20070107578A (en) | 2007-11-07 |
KR101336257B1 true KR101336257B1 (en) | 2013-12-03 |
Family
ID=3906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26064A KR101336257B1 (en) | 2006-05-03 | 2007-03-16 |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searching users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625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612B1 (en) | 2011-11-24 | 2014-03-13 | 전자부품연구원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UI |
KR101535378B1 (en) * | 2014-03-27 | 2015-07-09 | 정성택 | Method for providing family contents, device using the same and system thereof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8681A (en) * | 2000-06-16 | 2001-12-26 | Sony Corp | Request system, server computer, terminal device, and medium |
US6618593B1 (en) * | 2000-09-08 | 2003-09-09 | Rovingradar, Inc. | Location dependent user matching system |
KR20040103680A (en) * | 2003-06-02 | 2004-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The method for getting and playing the contents between mobile terminal and playback device using locator on network,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layback device thereof |
US20060074883A1 (en) * | 2004-10-05 | 2006-04-06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arch and information access |
-
2007
- 2007-03-16 KR KR1020070026064A patent/KR10133625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58681A (en) * | 2000-06-16 | 2001-12-26 | Sony Corp | Request system, server computer, terminal device, and medium |
US6618593B1 (en) * | 2000-09-08 | 2003-09-09 | Rovingradar, Inc. | Location dependent user matching system |
KR20040103680A (en) * | 2003-06-02 | 2004-12-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The method for getting and playing the contents between mobile terminal and playback device using locator on network,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layback device thereof |
US20060074883A1 (en) * | 2004-10-05 | 2006-04-06 | Microsoft Corporation | Systems, methods, and interfaces for providing personalized search and information acces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07578A (en) | 2007-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23971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nt distribution over a network | |
US9253235B2 (en) | Streaming enhancements through pre-fetch background | |
CN101529867B (en) | Sharing multimedia content in a peer-to-peer configuration | |
US9547688B2 (en) | Method of providing service for user search,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
US2008023558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 |
US20150317680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with advertisements based on playlist context and advertisement campaigns | |
JP200552129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arrowing the target of service distribution to mobile devices | |
US2015028902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tch-now functionality in a media content environment | |
US2015028902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atch-now functionality in a media content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 |
US2016018922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support for shake action | |
US2016018922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hanced user-sponsor interaction in a media environment, including advertisement skipping and rating | |
US2016018923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dia content and advertisements across connected platforms, including targeting to different locations and devices | |
US20080091839A1 (en) | Streaming video communication | |
JP2016165052A (en) | Terminal, server and program | |
CN102572529B (en) | The methods, devices and systems that a kind of program resource is play | |
KR101336257B1 (en) | Method of providing a service for searching users and apparatus, server, and system for the same | |
JP5138784B2 (en) | Method for generating data enabling content search, system, terminal and server supplement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
US20230164206A1 (en) | System and apparatus for streaming, discovering, and sharing geo-spatial media content | |
JP5811426B1 (en) | Audio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 |
JP6328489B2 (en) | Music reproduction system based on station information, music reproduction apparatus, and station information transfer method | |
KR100580818B1 (en) | Mobile broadcast reservation service method and its server | |
Nabian et al. | Context-based experience of the city via broadcasted content retrieval | |
CN105979318A (en) |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 of television device program playing | |
KR101954802B1 (en) |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KR2014007244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music based on loc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2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3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3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