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802B1 -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802B1
KR101954802B1 KR1020120107088A KR20120107088A KR101954802B1 KR 101954802 B1 KR101954802 B1 KR 101954802B1 KR 1020120107088 A KR1020120107088 A KR 1020120107088A KR 20120107088 A KR20120107088 A KR 20120107088A KR 101954802 B1 KR101954802 B1 KR 10195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udio data
presence information
information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0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38070A (en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2/00800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83816A1/en
Publication of KR20130138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0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8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존의 단순 텍스트 대신 오디오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체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n apparatus therefor and a method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for generating presence information Storing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according to a terminal setup request message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from a second terminal to transmit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to a second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and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and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intuitively by provid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udio data. A user can intuitively provide presence information, and a new user experience (UX, user experien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application providing the service u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본 발명은 프레즌스 정보(PRESENCE INFROMATION)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n apparatus therefor,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through audio data, .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성능 향상을 통해서,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Recently, due to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the spread and use of mobile terminals are rapidly increasing. In particular, recent mobile terminals have achieved a mobile convergence step by upgrading their performance to the area of other terminals without staying in their traditional unique areas.

대표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Typicall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TV viewing function (for example, a mobile broadcasting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a music playback function (e.g., MP3 MPEG Audio Layer-3), a picture taking function, and an Internet access function.

더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방형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 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폰은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고성능화로 스마트 폰은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rec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developed various forms of convenience and amusement through development of smart phones capable of installing various user functions based on an open OS. These smartphones enable easy access to a wide variety of applications that customers want by enabling open markets. With its high performance, smartphones can handle many functions that are handled by PCs.

이러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 및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데,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신저 혹은 모바일 메신저 등의 메신저 서비스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가 있다.Various services and functions can be utilized by using such a smart phone. Common services include a messenger service such as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an instant messenger or a mobile messenger. There is a message service that can exchange messages.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직접 통화보다 간단하게 자신의 의도나 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별개로 서비스되던,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며, 파일 전송, 컨텐츠 공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지 서비스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Such a message service is inexpensive compared to a call service, and its intention or mess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more easily than a direct call. Therefore, the message service is very useful. In recent years, a variety of message services And is being develop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message service that can utiliz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file transmission and content sharing.

아울러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프레즌스(presence)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즌스 서비스는 특정 사용자 단말의 현재 접속 상태, 즉, 로그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여 관심 있는 다른 사용자들에게 그 접속 상태를 통보해 주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종래의 프레즌스 서비스는 단순한 텍스트로 제공되고 있다. In addition, such a message service provides a presence service. The presence service is a service for notifying other interested users of the connection state by grasping the current connection state of a specific user terminal, that is, the log on / off state. Such conventional presence services are provided in simple text.

한국등록특허 10-0690319 B1, 2007년 02월 27일 공고 (명칭: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에서의 플레이리스트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90319 B1, February 27, 2007 Announcement (Name: Playlist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in Client Server Architectur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한 것으로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직관적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more intuitively using audio data, an apparatus therefor, and a method there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은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성이 있으면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1 단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제1 단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t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s outputted while being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Storing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data according to a setup request message and a first terminal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request message for establishing a presence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from a second terminal, And a presence server for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for the first terminal by transmitt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er and sto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for the first terminal, Whe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 and a second terminal for outputting the data in the background soun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은 음원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오디오 데이터 검색을 요청하고,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받은 검색결과 중에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하도록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제1 단말의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음원 제공 장치와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 first termina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setup request message to provide selected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nd a sound source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selected according to a setup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terminal to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 presence server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audio data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providing apparatus and the second terminal and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esence server, From the providing apparatus And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provid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는 제1 단말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ence server,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first terminal, And store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according to a setup request message, and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er,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nd audio data to the second terminal.

여기서 상술한 제어부는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 Here, the controller may map the audio data that can represent the location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 location.

또한 상술한 제어부는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감정인 경우,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n emotion, the controller may map the audio data expressing the emotion.

더욱이 상술한 제어부는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바쁜 정도인 경우, 바쁜 정도와 비례하는 템포의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busy, the control unit can map the audio data of the tempo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busy.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는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음원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제2 단말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2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 storage unit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output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outputted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n response to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second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to the second terminal.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장치는 제1 단말, 제2 단말 및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와 제1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제1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부와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요청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음원제공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including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 first terminal, a second terminal and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a storage unit storing one or more audio data A search unit for searching at least one piece of audio data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torage unit and providing the at least one piece of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do.

여기서 상술한 음원 제공 장치의 검색부는 제1 단말의 검색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검색어와 일치하는 오디오 데이터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 받고, 전송 받은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기 적절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Here, the search unit of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an audio data search result matching the search wor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search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terminal. In additio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may be receiv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audio data suitable for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may be searched and provided based on the received presence information.

여기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위치를 표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Here, if the pres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is a location, it may provide one or more audio data for representing a location.

또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프레즌스 정보가 감정인 경우 감정을 표현하기 적절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es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is an emotion, it may provide one or more audio data suitable for expressing the emotion.

더욱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전송 받은 프레즌스 정보가 바쁜 정도인 경우 바쁜 정도에 비례한 템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if the pres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is busy, one or more audio data having a tempo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busy can be provid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단말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 통신부와,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통신부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associa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with the audio data And a first controller for requesting to set presence information by transmitting the generated setup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er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위치를 표현하도록 위치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Here,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s the position, the audio data related to the position may be selected so as to express the position of the audio data.

또한, 프레즌스 정보가 감정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감정이 표현되도록 감정을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s an emotion, audio data representing an emotion may be selected so that the emotion is represented in the audio data.

더욱이, 프레즌스 정보가 바쁜 정도인 경우, 오디오 데이터는, 바쁜 정도에 비례한 템포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s busy, the audio data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empo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busy.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단말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및 음원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1통신부와 음원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요청하고, 검색결과 중에서 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여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출력되도록 요청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for communication with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nd searches the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selecting one of the audio data from the search results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2 통신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와, 제2 통신부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에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할 때,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출력부를 통해 배경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cond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to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a second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and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according to the user selection,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o be output as a background sound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및 음원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2통신부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 받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data, Upon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device, the audio data is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received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upon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단말이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가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가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와,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할 때,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includes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related to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Generating a setup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up audio data and transmitting the setup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sto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Transmitting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data to a second terminal when receiv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outputting corresponding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the second terminal outputs the presence informa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할 때, 수신하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함께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transmitting, by a second terminal,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to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Receiving and stor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storing the received audio data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is outpu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And outputting the data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soun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은, 음원 제공 장치가 접속된 제1 단말로부터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음원 제공 장치가 제1 단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와 음원 제공 장치가 제1 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 정보와 함께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음원 제공 장치가 제1 단말의 설정 요청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음악 제공 장치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arching for one or more pieces of audio data related to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search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and providing the one or more pieces of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search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a request for setting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selec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udio data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music providing device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Jeunseu information and receiving audio data request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and includes the step of providing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아울러,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음원 제공 장치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searching for one or more audio data and providing the one or more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searching for audio data based on the received presence information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제2 단말이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출력 시,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by a second terminal,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to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Receiv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stor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Receiving and storing the audio data,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is output.

아울러, 본 발명은 상술한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ing audio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존의 단순 텍스트 대신 오디오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체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intuitively provided by provid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audio data, and the user can enjoy the new user experience UX, User eXperience).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 of the application providing the service u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increased.

아울러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 가능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의 목록을 제공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의 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 list of one or more pieces of audio data that can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is provided, thereby making it easier to select audio data for indicating presence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embodiment for explaining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for explaining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terminal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200, and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접속된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200)에 프레즌스 서비스를 제공한다. 프레즌스 서비스는 소위 “버디”로 등록된 사용자 그룹 내에서 다른 사용자의 현재 상태, 즉,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는 기본적으로, 상대방이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비롯하여, 상대방의 위치, 통신 가능 여부, 기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단말(100) 혹은 제2 단말(200)의 프레즌스 정보라 함은 제1 단말(100) 혹은 제2 단말(200) 자체에 대한 정보가 될 수도 있고, 제1 단말(100) 혹은 제2 단말(200)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가 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can access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network and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can access the connected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To provide presence services. The presence service means a service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nother user in a group of users registered as " buddy ", i.e., presence information. Here, the " presence information " may basically include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other party is connected, the location of the other party, availability of communication, mood, and the like.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information on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itself, And may be information on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or the second terminal 200. [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은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설명될 것이며, 제2 단말(200)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제1 단말(2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장치로 설명될 것이다.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제2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일반적인 텍스트 대신, 오디오 데이터로 제2 단말(200)에 제공하며, 제2 단말(200)은 이러한 오디오 데이터로 이루어진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단말(100)의 사용자는 기존의 단순 텍스트 대신 오디오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디오는 대표적으로, 음악 파일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음악 파일 이외에, 사용자가 직접 저작한 음성 파일 또는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애니메이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an apparatus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connected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200. [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may provide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provid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as audio data instead of the general text, and the second terminal 200 provides presence information Information can be output (reproduced). Therefore,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100 can experience a new user experience (UX) that intuitively recognizes the presence information through audio instead of the existing simple text. Such audio will typically be able to use music files. However, in addition to music files, audio files or music files authored by the user, video files, animations, and the like can be illustrated.

한편, 설명의 편의상 제1 단말(100) 및 제2 단말을 구분하여 설명하지만,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에 따라, 그 역이 될 수도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Meanwhi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are separately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but may be revers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제2 실시예는 프레즌스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과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firs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portion for processing presence information and a portion for processing audio data to be outputt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embodiment. do.

한편 제2 실시예의 설명에서 생략된 부분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arts omitted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embodiment.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직접 및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 및 음원 제공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 second terminal 200, a presence service device 300,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400, which are directly and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can do.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은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제공 받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으며, 제2 단말(200)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출력 시의 배경음으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00 can select and set audio data for displaying presence information among at least one audio data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200 receiv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and acquires the audio data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ound upo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400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can do.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있어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제1 단말(100)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및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 받은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제2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includes pres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100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Stores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stored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data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200.

음원 제공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1 단말(100)의 검색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제2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한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stores one or more audio data, searches for and provides one or more audio data capable of represent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arch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provide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positional information of audio data capable of express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request.

이어서 상술한 제1,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즌스정보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각 장치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each apparatus for construc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통신부(310), 인증부(320), 저장부(330), 제어부(340)을 포함한다. 통신부(310)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및 음원 제공 장치(4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데이터는 정보 요청 메시지 또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310)은 네트워크의 종류 및 네트워크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310, an authentication unit 320, a storage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40. The communication unit 3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via a network. This data includ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r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network and the protocol applied to the network.

인증부(320)는 사용자가 등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으로서, 가입 절차에 의해 사용자를 등록한다. 인증부(320)는 제1 및 제2 단말(100, 200)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할 때마다, 사용자 등록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ID, Identification)와 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uthentication unit 320 i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user is a registered user, and registers the user by a registration procedure. Each tim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access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e authentication unit 320 can perform user authentication us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by the user at the time of user registration have. For exampl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 user's ID (Identification) and a corresponding password.

저장부(330)는 복수의 단말에 대한 정보와 각 단말과 매핑되는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각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330)의 저장 형태는 파일(fil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고, 데이터베이스(database) 시스템에 따라 저장 될 수 도 있다. 아울러, 저장부(330)는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330 store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presence information mapped to each terminal. In particular, audio data set according to each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tored. The storage format of the storage unit 330 may be stored according to a file system or may be stored according to a database system.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330 may store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set to display the presence information.

제어부(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접속된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내지 음원 제공 장치(400)의 요청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 서비스를 수행한다. 즉, 제어부(340)는 제1 단말(100)이 전송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310)을 통해 수신한 경우, 수신된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설정하고, 설정된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한다. 또한, 제어부(340)은 제2 단말(200)이 전송한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신부(310)을 통해 수신한 경우, 수신된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부(310)을 통해 제2 단말(200)에 제공한다. The control unit 340 performs the presence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or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setu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control unit 340 se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received setup request message , And maps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t presence information. When the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ransmitt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control unit 340 notifi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1 audio data of the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또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그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그 위치와 관련된 음악이 매핑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즌스 정보가 스페인이라면, 전형적인 스페인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매핑될 수 있다. 또한, 프레즌스 정보가 부산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부산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매핑될 수 있다. 전형적인 부산 관련은 음악은 예컨대,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같은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first terminal 100, the music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may be mapped to represent the location. For example, if the presence information is Spanish, typical Spanish-related music may be mapped to audio data. Also, if presence information is located in Busan,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mapped to audio data.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music such as "Come back to Busan Harbor".

이때 위치 정보는 제1 단말의 위치정보 수신부(150) 또는 복수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제1 단말이 획득한 위치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of the first terminal or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by the first terminal using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의 기분이 표현되도록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낼 수 있는 음악이 매핑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moo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music that can express the mood of the user may be mapped so that the mood of the user is expressed. Table 1 below illustrates a method of sett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프레즌스 정보Presence information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 즐거운 기분Pleasant feeling 음악 1(즐거운 분위기의 음악)Music 1 (music in a pleasant atmosphere) ... ... 우울한 기분blues 음악 2(우울한 분위기의 음악)Music 2 (melancholy music)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1 단말(100) 프레즌스 정보가 “즐거운 기분”으로 설정된 경우,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이 매핑될 수 있고,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우울한 기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 매핑될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first terminal 100 presence information is set to &quot; pleasant mood &quot;,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mapped in a pleasant atmosphere, and the first terminal 100 )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set to &quot; melancholy mood &quot;, &quot; melancholic music &quot; can be mapped.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는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저장될 수 있다. 프레즌스 정보가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나타내는 경우, 그 바쁜 정도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는 템포를 가진 음악이 매핑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ored by normalizing the degree of busy. If the presence information normalizes and expresses the degree of busy of the user, music having a tempo that can appropriately express the degree of busy can be mapped.

다음의 <표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표현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Table 2 below illustrates audio data for expressing the degree of user's bus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프레즌스 정보(바쁜 정도)Presence information (busy) 음악 템포Music Tempo 매우 바쁨Very busy 77 바쁨busyness 66 조금 바쁨A little busy 55 평상Normal 44 조금 한가함A little free 33 한가함Free 22 매우 한가함Very free 1One

프레즌스 정보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매우 바쁨”, “바쁨”, 조금 바쁨”, “평상”, “조금 한가함”, “한가함” 및 “매우 한가함”으로 빠른 정도를 정규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특정 음악이 선택되면, 그 음악의 템포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1 내지 7로 조절되어,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1은 가장 느린 템포이며, 7은 가장 빠른 템포이다.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et by normalizing the quickness to "very busy", "busy", "a little busy", "normal", "a little free", "free" and "very free" . In this case, if a specific music is selected a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tempo of the music is adjusted to 1 to 7 accor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2, and can be included in the setting request message. At this time, 1 is the slowest tempo and 7 is the fastest tempo.

게다가, 제어부(340)는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할 수 있고, 프레즌스 정보와 부합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1단말에 제공하고, 제공된 오디오 데이터 중 선택된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와 프레즌스 정보를 매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40 can automatically map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provide one or mor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o the first terminal, You can also map data and presence information.

한편,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340)는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설정된 오디오 데이터 대신에,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40)는 제2 단말(200)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제2 단말(200)은 음원 제공 장치(400)에 더 접속하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야 한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3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receive and se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instead of the audio data set to display the presenc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40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 And receiv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에 구비되는 음원 제공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included in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원 제공 장치(400)는, 통신부(410), 검색부(420), 저장부(430), 음원제공부(440), 제어부(450) 구성을 포함한다.4,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410, a search unit 420, a storage unit 430,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440, a controller 450 ) Configuration.

통신부(410)는 제1 단말(100), 제2 단말(200) 내지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며, 이때 네트워크의 종류 또는 네트워크에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데이터는 정보 요청 메시지 또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포함한다.The communication unit 41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via a network. At this time, the communication unit 410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data in accordance with a network type or a protocol applied to the network As shown in FIG. This data includ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r a configuration request message.

저장부(430)는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의 저장 형식은 파일시스템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430)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목, 작곡가, 앨범, 년도, 설명, 장르, 비트 율 정보, 샘플링 율 정보, 채널 정보, 제작자, 음악에 대한 설명 등의 정보가 수록된 헤더파일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아울러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 있는 정보를 추가로 헤더파일에 추가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30 may store various audio data represen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this time, the storage format of audio data can be stored in a file system or a database system. Here, the storage unit 430 may further store a header file containing information such as title, composer, album, year, description, genre, bit rate information, sampling rate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have. In add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added to the header file.

검색부(420)는 제1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부(430)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100)의 입력부(130)로부터 입력 받은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검색부(420)는 통신부(410)를 통하여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관련성 있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The search unit 420 may search the audio data of the storage unit 430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first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keyword input from the input unit 130 of the first terminal 100 can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the search unit 420 receiv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and receives one or more relevant audio data based on the received presence information You can search.

예를 들면,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 감정, 바쁜 정도인 경우, 이러한 위치, 감정, 바쁜 정도 중 하나 이상의 값을 기준으로 저장부(430)의 헤더파일에 저장된 제목, 가사, 템포 등의 정보를 검색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기에 적절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presence information is location, emotion, or busy, information such as the title, the lyrics, and the tempo stored in the header file of the storage unit 430 may be retrieved based on one or more of the posi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retrieve audio data suitable for expres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음원제공부(440)는 제2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서, 제2 단말(200)이 수신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430)에서 검색하여, 통신부(410)를 통해 제2 단말(200)에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 데이터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전송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unit 440 searches the storage unit 430 for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audio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10 To the second terminal (200). At this time, audio data can be transmitted in a streaming manner.

제어부(450)는 통신부(410), 검색부(420), 음원제공부(4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1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도록 검색부(420)를 제공하고, 검색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제1 단말(100)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5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410, the search unit 420, and the tone generator 440.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he search unit 420 is provided to search for related audio data, and the audio data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the one or more audio data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원 제공 장치(400)는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즉,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출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관리하며, 제1 단말(100)이 특정 오디오 데이터를 프레즌스 정보의 배경음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아울러, 제2 단말(200)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 출력 시, 배경음이 될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nages one or more audio data that can be output as a background sound for expressing presence information, that is,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nd can provide audio data to be a background sound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output from the second terminal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100)은, 제1 통신부(110), 제1 출력부(120), 제1 입력부(130), 제1 저장부(140), 위치정보 수신부(150) 및 제1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5, a first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 first output unit 120, a first input unit 130, a first storage unit 140, A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and a first control unit 160.

제1 통신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 통신부(110)는 제1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설정하고자 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10)는 설정하고자 하는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자체, 혹은,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is for accessing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network and se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presence information to be set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60. Als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the audio data itself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o be set,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audio data.

아울러, 제1통신부(110)는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고, 제1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can receive audio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and,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160, A setup request message can be transmitted.

제1 출력부(120)는 제1 단말(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1 출력부(120)는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제1 입력부(1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장치는 진동을 출력하는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first output unit 120 is a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irst terminal 1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through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first output unit 12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 audio device for outputting auditory information, a haptic device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device may be a touch screen. When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device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first input device 130. An audio device may represent a speaker typically. The haptic device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at outputs vibration.

제1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1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제1 입력부(130)는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first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command, selection, data, and information of the user. have. The first input unit 130 senses a key input of the user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key input to the first control unit 160. The first input unit 130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joystick, and the like.

제1 저장부(14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저장부(140)는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1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축약하는 경우, “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칭함)을 저장한다. 여기서, 프레즌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주소록, 인스턴스 메신저, 등을 대표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40)는 사용자의 제1 단말(1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first storage unit 140 is an apparatus for storing data, and includes a main storage unit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 The first storage unit 14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applicat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first storage unit 140 store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bbreviated as "presence application"). Here, the application for providing the presence information may represent an address book, an instant messenger, and the like representatively. The first storage unit 140 may store various kind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first terminal 100 by the user. Each kind of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can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위치정보 수신부(150)는 제1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위치정보 수신부(150)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GPS 신호를 제1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is a means for receiv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receives the GPS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 and transmits the received GPS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160.

제1 제어부(160)는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부(160)는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60)는 제1 단말(1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제1 저장부(1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160 may be a process unit that actually operates the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the first controller 16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n the first terminal 100 is powered on, the first control unit 160 moves the operating system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of the first storage unit 140 to the main storage unit, ).

제1 제어부(160)는 제1 입력부(13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If there is a user's request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60 generates a setup request message to set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setup request message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Then,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can be set.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 요청 메시지에는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그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특정하여 설정하기 위한 정보(이하, “오디오 정보”라고 칭함)가 포함될 수 있다. 이 정보는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 자체 또는 오디오 데이터의 식별자가 될 수 있다.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up request message includes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formation for specifying and sett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quot; audio information &quot; ) May be included. This information may b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itself or an identifier of the audio data.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또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그 위치를 표현할 수 있도록 그 위치와 관련된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0) 사용자가 스페인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스페인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산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부산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인 부산 관련은 음악은 예컨대,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같은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if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or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music associated with the location may be selected to represent the location.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located in Spain, typical Spanish-related music may be selected as audio data. Also, if the user is located in Busan,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selected as audio data.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music such as "Come back to Busan Harbo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의 기분이 표현되도록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낼 수 있는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즐거운 기분”으로 설정된 경우,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이 선택될 수 있고,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우울한 기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moo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music capable of representing the mood of the user may be selected so that the mood of the user is expressed. As shown in Table 1,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o &quot; pleasant mood &quot;, audio data expressing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elected in a pleasant atmosphere,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et to &quot; melancholic mood &quot;, &quot; melancholic music &quo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나타낼 수 있다.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나타내는 경우, 그 바쁜 정도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음악의 템포를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rmalize and input the busy level of the first terminal 100 user.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normalizes the busy level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tempo of the music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busy can be appropriately expressed.

프레즌스 정보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매우 바쁨”, “바쁨”, 조금 바쁨”, “평상”, “조금 한가함”, “한가함” 및 “매우 한가함”으로 빠른 정도를 정규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특정 음악이 선택되면, 그 음악의 템포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1 내지 7로 조절되어,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1은 가장 느린 템포이며, 7은 가장 빠른 템포이다.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et by normalizing the quickness to "very busy", "busy", "a little busy", "normal", "a little free", "free" and "very free" . In this case, if a specific music is selected a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tempo of the music is adjusted to 1 to 7 accor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2, and can be included in the setting request message. At this time, 1 is the slowest tempo and 7 is the fastest tempo.

상술한 바와 같은,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사용자가 제1 입력부(130)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면, 제1 제어부(160)는 그 입력에 따라,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bo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60 generates a setup request messag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setup request message &Lt; / RTI &gt;

또한,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사용자가 제1 입력부(130)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만을 입력하면, 제1 제어부(160)는 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술한 규칙에 의거하여, 입력된 프레즌스 정보에 상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검색한 후,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When the user inputs only the presence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60 detects the input and generates a setup reques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retrieve the audio data from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and then includ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게다가,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모두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경우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1 제어부(160)는 위치정보 수신부(150)로부터 변경되는 위치 정보(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인지하며, 변경된 위치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변경하고, 이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검색한 후,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한편, 위치 정보는 위치정보 수신부(150)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eneration of the setup request message can all be generated automatic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position information is changed, the first controller 16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GPS signal) changed from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r 150, recognizes the posi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presence information, retriev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from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and then includ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Meanwhile, although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is described as being us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position information may be obtained using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제1 제어부(160)는 제1 저장부(140)에서 프레즌스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할 때,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얻어 검색할 수 있다.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에는 제목, 작곡가, 앨범, 년도, 설명, 장르, 비트 율 정보, 샘플링 율 정보, 채널 정보, 제작자, 음악에 대한 설명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제1 제어부(160)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필요한 음악을 검색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ler 160 may retrieve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header of the audio data when searching for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For example, the header of the audio data includes information such as title, composer, album, year, description, genre, bit rate information, sampling rate information, channel information, producer, and description of music.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ler 160 can search for necessary music through this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다른 단말들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다른 단말들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when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is included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when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requests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by the other terminals, And provides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so that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00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audio data.

한편, 제1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음원 제공 장치(300)에서 제공 받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제1입력부(130)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되길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 받고,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설정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음원 제공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troller 160 selects one of the audio data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300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may transmit a message requesting the setting of the selected audio data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30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terminal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200)은, 제2 통신부(210), 제2 출력부(220), 제2 입력부(230), 제2 저장부(240) 및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a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a second output unit 220, a second input unit 230, a second storage unit 240, And a second controller 250.

제2 통신부(210)은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여,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와 통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제2 통신부(210)는 제2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고,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제2 통신부(210)은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s for accessing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reques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acquir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ler 250. [ At this tim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may receive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제2 출력부(220)은 기본적으로, 제2 단말(2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정보를 사용자가 시각, 청각, 또는, 촉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2 출력부(220)은 시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 장치, 청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 촉각적인 정보를 출력하는 햅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 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 형태로 표시 장치가 형성된 경우, 표시 장치는 제2 입력부(23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대표적으로 스피커를 예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출력부(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특정 단말(예컨대,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오디오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햅틱 장치는 진동을 출력하는 모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second output unit 220 is basically a means for outputting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cond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through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The second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an audio device for outputting auditory information, a haptic device for outputting tactile information, and the like. The display device may be a touch screen. If the display device is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display device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second input portion 230. An audio device may represent a speaker typically. Accordingly, the second output unit 220 may output the presence information of a specific terminal (e.g., the first terminal 100) through the audio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ptic device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at outputs vibration.

제2 입력부(230)은 사용자의 명령, 선택, 데이터,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 받고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 키 및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입력부(230)은 사용자의 키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키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제2 제어부(250)으로 전달한다. 제2 입력부(230)은 키보드, 키 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second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put keys and function keys for receiving numeric or character information and setting various functions,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a command, selection, data, and information of a user. have. The second input unit 230 senses a key input of the user and transmits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ensed key input to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he second input unit 230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keypad, a mouse, a joystick, and the like.

제2 저장부(24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 저장부(24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제2 저장부(2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또한, 제2 저장부(240)은 사용자의 제2 단말(200)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각 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각 종 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 변경, 추가될 수 있다. The second storage unit 240 is an apparatus for storing data, and includes a main storage unit and an auxiliary storage unit. The second storage unit 240 may store an operating system (OS), applications, and the like. In particular, the second storage unit 240 stores an application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second storage unit 240 may store various kinds of data genera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second terminal 200 by the user. Each kind of data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40 can be deleted, changed or adde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제2 제어부(250)은 운영 체제를 실제로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제어부(25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은 제1 단말(10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제2 저장부(240)의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는 부팅(booting)을 수행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의 제2 입력부(230)을 통한 요청이 있는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제2 입력부(23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제2 통신부(210)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정보 요청 메시지에는 요청하는 대상 단말이 명시된다. 예컨대, 정보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2 단말(200)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제2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하며,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정보가 설정된 경우, 오디오를 통해 표현할 수 있도록 오디오 데이터 또는 그 위치 정보도 같이 제공할 것이다. The second control unit 250 may be a process unit that actually operates the operating system. For example, the second controller 250 may be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When the first terminal 100 is powered on, the second control unit 250 moves the operating system from the auxiliary storage unit of the second storage unit 240 to the main storage unit, and then performs booting ). Then, if there is a request through the second input 230 of the user, an application may be executed to provide the presence information.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user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30, the second controller 250 generat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request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via the Internet. Then, the requesting target terminal is specified in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example, if the second terminal 200 reques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hrough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he presence server 300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f the audio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he audio information or the location information thereof may be provided so as to be expressed through the audio.

제2 제어부(250)은 이러한 프레즌스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통신부(210)을 통해 수신하여, 제2 출력부(220)을 통해 출력한다. The second control unit 250 receive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and outputs the same via the second output unit 220. [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그 위치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0) 사용자가 스페인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스페인 관련 음악이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ser,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expressing the location can be output.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located in Spain, typical Spanish-related music may be output a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의 기분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즐거운 기분”으로 설정된 경우,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이 출력될 수 있고,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우울한 기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moo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indicating the mood of the user can be output. Referring to Table 1,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o &quot; pleasant mood &quot;, music of pleasant atmosphere can be outputted,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quot; Mood &quot;, &quot; melancholic music &quot; can be outpu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그 바쁜 정도를 적절하게 나타내는 템포를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프레즌스 정보가, “매우 바쁨”, “바쁨”, 조금 바쁨”, “평상”, “조금 한가함”, “한가함” 및 “매우 한가함”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는 경우,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템포는 1 내지 7로 조절되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제2제어부(250)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2통신부(210)을 통해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고, 수신 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음원 제공 장치(400)에 요청하여 전송 받은 후, 이를 제2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dicates the busy level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audio data having a tempo appropriately indicating the degree of busyness may be output. Referring to Table 2,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s set to any one of "very busy", "busy", "a little busy", "normal", "little free", "free" The tempo of the audio data can be adjusted to 1 to 7 and output. Meanwhile,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ntroller 250 receive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is received and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is requested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and then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220. [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제1 단말(100)은 S105 단계에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접속하고, S110 단계에서, 자신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terminal 100 accesses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in step S105. In step S110,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a setup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up its own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data representing presence information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S115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Upon receiving the setup request message,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maps and stor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step S115.

제2 단말(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120 단계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주소록, 인스턴스 메신저, 등을 대표적으로 예시할 수 있다. 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은 소위 버디라고 칭해지는 사용자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그룹의 표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아이콘을 이용하여 각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second terminal 200 executes an application (presence application) u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in step S120. Here, the application u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may represent an address book, an instant messenger, and the like representatively. The presence application can display users belonging to a user group called so-called buddy. The display of such user groups may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user interface (UI), and illustratively, each user may be identified using an icon.

이때, 제2 단말(200)의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1 단말(100)의 사용자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단말(200)은 S125 단계에서 이러한 선택을 감지하고, S130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Here, it is assumed that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200 selects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a plurality of user groups. Then, the second terminal 200 detects the selection in step S125 and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step S130.

프레즌스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S135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가정한 바와 같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설정되었다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S140 단계에서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데이터를 제2 단말(200)에 전송한다. Upon receiving the request for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step S135. If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ransmits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

다음으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200)은 S145 단계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2 단말(200)의 사용자는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Next, 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ing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outputs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in step S145. Accordingly,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200 intuitively recogniz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S205단계에서 제1 단말(100)은 음원 제공 장치(4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S210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step S205, the first terminal 100 may access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through a network, and request the search of the audio data in step S210.

오디오 데이터 검색 요청에 따라 S215단계에서는 음원 제공 장치(400)는 저장부(4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한다. 이때 검색은 제1 단말(100)의 요청 메시지와 함께 전송된 키워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프레즌스 정보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함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의 헤더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audio data search request,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searches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430 in step S215. At this time, the search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keyword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400. Here, in retrieving the audio data based on the presence information, information of the header of the audio data can be used.

S220 단계에서 음원 검색 장치(400)는 오디오 데이터 검색 결과를 제1 단말(100)에 제공하고, 이를 수신한 제1 단말(100)은 S225단계에서 제1출력부(120)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 후, 제1입력부(130)를 통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음원 제공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sound source search apparatus 400 provides the audio data search result to the first terminal 100. Upon receiving the audio data search result, the first terminal 100 receives the audio data search result through the first output unit 120 in step S225. And transmits the setting request message for the selected audio data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after outputting the result to the user.

오디오 데이터의 설정 요청 메시지를 받은 음원 제공 장치(400)는 S230단계에서 설정 요청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제공한다. 이 때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와 매핑하여 저장부(330)에 저장할 수 있다.In step S230,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receives the audio data setting request message and search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requested by the user in step S230 and provide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 At this time,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may map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store the same in the storage unit 330.

한편, 제2 단말(20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S235 단계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제2 단말(200)의 사용자가 복수의 사용자 그룹 중 제1 단말(100)의 사용자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단말(200)은 S240 단계에서 이러한 선택을 감지하고, S240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한다. Meanwhile, in response to the user's request, the second terminal 200 executes an application (presence application) using the presence information in step S235. Here, it is assumed that a user of the second terminal 200 selects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among a plurality of user groups. The second terminal 200 senses this selection in step S240 and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in step S240.

정보 요청을 수신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S250단계에서 저장부(330)에 저장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S255단계에서 확인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 위치 정보를 제2 단말(200)로 전송한다.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check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330 in step S250 and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And transmits the data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200)은 S260단계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 제공 장치(400)에 오디오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S265단계에서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ransmits an audio data request message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in step S260 , It is possible to receiv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in step S265.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200)은 S265단계에서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면서,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프레즌스 정보의 배경음으로 함께 출력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receiving the audio data outpu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n step S265, and outputs the received audio data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sound of the presence inform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 단말(100)의 제1 제어부(160)는 S305 단계에서 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그런 다음, 제1 제어부(160)는 S310 단계에서 수동, 자동 또는 반 자동으로, 프레즌스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first controller 160 of the first terminal 100 executes a presence application in step S305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en, in step S310, the first controller 160 generates a setup request message including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manually, automatically or semi-automatically.

예컨대, 수동의 경우의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사용자가 제1 입력부(130)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모두 입력하면, 제1 제어부(160)는 그 입력에 따라,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될 수 있다. 또는, 반자동의 경우의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사용자가 제1 입력부(130)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만을 입력하면, 제1 제어부(160)는 그 입력을 감지하고,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같은 규칙에 의거하여, 입력된 프레즌스 정보에 상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검색한 후,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동의 경우의 설정 요청 메시지의 생성은, 위치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제1 제어부(160)는 GPS 신호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위치를 인지하며, 인지된 위치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변경하고, 이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검색한 후,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bo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first control unit 160 generates a setup request message in response to a setting request message Lt; / RTI &gt; Alternatively, when the user inputs only the presence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30, the first controller 160 detects the input of the setup request message in the case of the semi-automatic operation,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entered presence information may be searched from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and then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may be included.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hanged, the first control unit 160 acquires the location information by using the GPS signal or th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recognizes the location, The presence inform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may be retrieved from the audio data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40, and then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may be included.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그 위치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0) 사용자가 스페인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스페인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산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부산 관련 음악이 오디오 데이터로 선택될 수 있다. 전형적인 부산 관련은 음악은 예컨대, “돌아와요 부산항에”와 같은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ser,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expressing the location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located in Spain, typical Spanish-related music may be selected as audio data. Also, if the user is located in Busan,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selected as audio data. Typical Busan related music can be music such as "Come back to Busan Harbor".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의 기분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앞서,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즐거운 기분”으로 설정된 경우,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이 선택될 수 있고,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우울한 기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 선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moo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indicating the mood of the user can be selected. As shown in Table 1,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o &quot; pleasant mood &quot;, audio data expressing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elected in a pleasant atmosphere,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terminal 1 100 is set to &quot; melancholy mood &quot;, &quot; melancholic music &quo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는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입력하고 나타낼 수 있다.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정규화하여 나타내는 경우, 그 바쁜 정도를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음악의 템포를 조절할 수 있다. 프레즌스 정보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매우 바쁨”, “바쁨”, 조금 바쁨”, “평상”, “조금 한가함”, “한가함” 및 “매우 한가함”으로 빠른 정도를 정규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특정 음악이 선택되면, 그 음악의 템포는 <표 2>에 보인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에 따라 1 내지 7로 조절되어, 설정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1은 가장 느린 템포이며, 7은 가장 빠른 템포이다. 상술한 바에 따라,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 제1 제어부(160)는 S315 단계에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제1 통신부(110)를 통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한다. 그러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등록, 저장할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rmalize and input the busy level of the first terminal 100 user.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normalizes the busy level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 tempo of the music can be adjusted so that the degree of busy can be appropriately expressed. Presence information can be set by normalizing the quickness to "very busy", "busy", "a little busy", "normal", "a little free", "free" and "very free" . In this case, if a specific music is selected as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tempo of the music is adjusted to 1 to 7 accor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2, and can be included in the setting request message. At this time, 1 is the slowest tempo and 7 is the fastest tempo. In step S315, the first controller 160, which has generated the setup request message, transmits the setup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10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Then, the presence service device 300 will register and store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 단말(100)이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은 음원 제공 장치(400)에 접속하여, 프레즌스 정보의 배경음으로 출력할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을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전송 받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가운데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음원 제공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음원 제공 장치(400)는 제1 단말(100)에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하여,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가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a setup request message including audio data. Alternative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a setup request message including audio data 400 to request the retrieval of audio data to be output as the background sound of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o transmit a setup request message for the selected audio data among the one or more audio data transmitt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400).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the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udio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so that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May be mapped and stored.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2 단말(200)의 제2 제어부(250)은 S405 단계에서 프레즌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S410 단계에서 복수의 사용자가 포함된 사용자 그룹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10,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he second controller 250 of the second terminal 200 executes a presence application in step S405, and then, in step S410, And displays the list of user groups.

사용자 그룹의 리스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2 단말(200)의 사용자가 제2 입력부(230)을 통해 사용자 그룹의 리스트에 어느 하나의 사용자를 선택하였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선택된 사용자는 제1 단말(100)의 사용자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제2 제어부(250)은 S415 단계에서 제2 입력부(230)을 통해 이러한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제어부(250)은 S420 단계에서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user of the second terminal 200 selects any one of the users in the list of user groups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30 while the list of user groups is displayed. It is assumed that the selected user is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Then, the second controller 250 can sense the selection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230 in step S415.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ler 250 generat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MS 100 in step S420.

그런 다음, 제2 제어부(250)은 S425 단계에서 제2 통신부(210)을 통해 정보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한다. 프레즌스 정보에 대한 요청인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300)는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200)에 전송할 것이며,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프레즌스 정보만을 전송할 것이다. Then, the second control unit 250 transmit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n step S425.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which is a request for the presence information, if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300 transmits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200. If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not set, it will transmit only the presence informa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는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 위치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will transmit the audio data position information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따라서, 제2 제어부(250)은 S430 단계에서 제2 통신부(210)을 통해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해당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경우, 제2 단말(200)은 수신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 제공 장치(400)로부터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controller 250 can receive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r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10 in step S430. Here, when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he second terminal 200 can receive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400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이어서, 제2 제어부(250)은 S435 단계에서 프레즌스 정보와 프레즌스 정보를 표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출력부(220)을 통해 출력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우, 그 위치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말(100) 사용자가 스페인에 위치하고 있다면, 전형적인 스페인 관련 음악이 프레즌스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출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기분을 나타내는 경우, 사용자의 기분을 적절하게 나타낼 수 있는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즐거운 기분”으로 설정된 경우, 즐거운 분위기의 음악이 출력될 수 있고, 제1 단말(100)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가 “우울한 기분”으로 설정되는 경우, “우울한 분위기의 음악”이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시를 앞서, <표 1>에서 설명한 바 있다. In step S435, the second controller 250 outputs the audio data represen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220. [ 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loc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user,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expressing the location can be output. For example, i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located in Spain, typical Spanish-related music may be output a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indicates the mood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music capable of appropriately indicating the mood of the user can be output.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o &quot; pleasant mood &quot;, music of pleasant mood can be output, and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is set to &quot; Melancholy music "can be output.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Table 1 above.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100)의 프레즌스 정보가 제1 단말(100) 사용자의 바쁜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면, 그 바쁜 정도를 적절하게 나타내는 템포를 가지는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표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 중 사용자의 바쁜 정도가 “매우 바쁨”, “바쁨”, 조금 바쁨”, “평상”, “조금 한가함”, “한가함” 및 “매우 한가함”으로 정규화되고, 이러한 바쁜 정도 중 어느 하나가 프레즌스 정보로 설정되면,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템포는 1 내지 7로 조절되어, 출력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100 indicates the busy level of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100, audio data having a tempo appropriately indicating the degree of busyness may be output. For example, as described in Table 2, if the busyness level of the presence information is "very busy", "busy", "little busy", "normal", "little free", " If any one of these busy levels is set as the presence information, the tempo of the audio data to be output may be adjusted to 1 to 7 and outpu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즌스 정보를 단순한 텍스트가 아닌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프레즌스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가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audio data rather than simple text, whereby a user has a user experience (UX) that can more intuitively recognize presence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f software readable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ere, th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those known and available to a computer software artisan. For exampl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magnetic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CD-ROM), a digital video disk (DVD) Includes a hardware device that i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do.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may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Such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Furthermore,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they are used in a generic sense only to facilitate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한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과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프레즌스 정보 및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제2 단말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audio data, an apparatus therefor, and a method therefor. The system includes a first terminal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presence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Storing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in response to a message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for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from a second terminal to transmit prese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audio data to a second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and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audio data, and outputting the received presence information.

이와 같이,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할 때, 종래의 일반적인 텍스트가 아닌,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프레즌스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의 위치, 감정, 바쁜 정도 등을 오디오 데이터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사용자 경험(UX)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In this way, when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prese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using audio data, rather than conventional plain text. Through the audio data, the presence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hrough the audio data, for example, the location, emotion, busy level, etc. of the user. This allows the user to experience a user experience (UX) that can more intuitively perceive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This is not only a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r sales, but also a possibility of being industrially applicable since it is practically possible to carry out clearly.

100: 제1 단말 110: 제1 통신부 120: 제1 출력부
130: 제1 입력부 140: 제1 저장부 150: 위치정보 수신부
160: 제1 제어부 200: 제2 단말 210: 제2 통신부
220: 제2 출력부 230: 제2 입력부 240: 제2 저장부
250: 제2 제어부 300: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310: 통신부
320: 인증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100: first terminal 110: first communication unit 120: first output unit
130: first input unit 140: first storage unit 150: posi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60: first control unit 200: second terminal 210: second communication unit
220: second output unit 230: second input unit 240: second storage unit
250: second control unit 300: presence service apparatus 310: communication unit
320: authentication unit 330: storage unit 340:

Claims (18)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 is abandoned upon payment of registration fee. 프레즌스 정보 및 상기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상기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
상기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및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제2 단말;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A first terminal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 setup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Stor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for transmitting to a second terminal; And
Receiv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for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for the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And a terminal,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comprises:
And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 location, audio data representing a location is mapped and stored.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2 is abandoned due to payment of registration fee. 음원 제공 장치에 접속하여, 오디오 데이터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 받은 검색결과 중에서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하도록 설정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제1 단말;
상기 제1 단말의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제공하는 음원 제공 장치;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및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하는 제2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시스템.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to request a search for audio data and to generate and transmit a setup request message to provide audio data selected from search results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s a background sound when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udio data to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a setup request message of the first terminal;
A presence service apparatus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provided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second terminal; And
And a second terminal for receiv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nd outputting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received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The presen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제1 단말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며,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상기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여 관리하고, 상기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저장된 상기 제1 단말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a setup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up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from a first terminal and receiv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a second terminal;
Managing the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association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and managing the audio data to be provided to the first terminal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to the second terminal,
Wherein,
And mapping the audio data that can represent the location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 location.
삭제delete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5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감정인 경우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mapping the audio data capable of expressing emotion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n emotion.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6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바쁜 정도인 경우 바쁜 정도와 비례하는 템포의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3,
And mapping the audio data having a tempo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busy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busy.
제1 단말, 제2 단말 및 음원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상기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고, 상기 제2 단말의 정보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제2 단말에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 storage unit for stor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output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Receiv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output together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and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stored in the storag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message of the second terminal To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pres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udio data and audio data.
제1 단말, 제2 단말 및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 저장부;
상기 제1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서 검색하여 상기 제1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부;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제1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2 단말의 요청에 따라서, 요청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음원제공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음원 제공 장치.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and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audio data;
A searching unit searching the storage unit for one or more pieces of audio data related to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and providing the one or more pieces of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to transmit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selected by the first terminal among at least one audio data related to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And
A sound source providing unit transmitting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audio data providing apparatus provides the audio data.
삭제delete 삭제delete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제2 통신부;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특정 단말의 위치가 포함된 프레즌스 정보 및 상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출력될 때,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배경음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and audio data; And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receives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of a specific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audio data capable of expressing the location, and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is output,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second control unit;
And a second terminal.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 및 음원 제공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제2통신부;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2 출력부; 및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상기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A seco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audio data; And
Upon receipt of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receiving the audio data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on the basis of the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received audio data is outputted,
And a second terminal.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및 프레즌스 정보와 함께 출력될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하도록 요청하는 설정 요청 메시지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가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가 상기 설정 요청 메시지에 따라 상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가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가 위치인 경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
The presence service device receiving a setup request message requesting to set up audio data to be output together with presence information and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Mapp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tup request message; And
And transmi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to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receive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second terminal,
Wherein the storing step comprises:
And mapping the audio data that can represent the location if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is a location.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단말의 위치가 포함된 프레즌스 정보와 상기 프레즌스 정보와 연관성이 있으면서 상기 위치를 표현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출력 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audio data capable of representing the location, wherein the second terminal is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Outputting the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the second terminal output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음원 제공 장치가 접속된 제1 단말로부터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검색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의 검색 요청에 따라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 정보와 함께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원 제공 장치가 상기 제1 단말의 설정 요청에 따라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음원 제공 장치가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제2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
Receiving a search request of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presence information from a first terminal to which a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is connected;
Searching for one or more audio data related to presence information of a first terminal according to a search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and providing the one or more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the setting request of the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selection information of the audio data from the first terminal;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elected audio data to the presence service device in response to the setting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Receiving the audio data request message from the second terminal which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audio data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providing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cond terminal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6 is abandoned due to registration fe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제1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음원 제공 장치가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retrieving and providing the one or more audio data to the first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sound source providing apparatus receives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first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d searches the audio data based on the received presence information.
제2 단말이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에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를 요청하는 정보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프레즌스 서비스 장치로부터 상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와 상기 프레즌스 정보의 출력 시 배경음으로 제공될 오디오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음원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단말의 프레즌스 정보 출력 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배경음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이용하는 프레즌스 정보 제공 방법.
The second terminal transmitting to the presence service apparatus an information request message requesting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And
Receiving and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audio data to be provided as a background sound in outputting the presence information and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from the presence service device;
Receiving the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ound source providing device and storing the audio data; And
Outputting the audio data as a background sound when the presenc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terminal is output;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삭제delete
KR1020120107088A 2012-06-08 2012-09-26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954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2/008007 WO2013183816A1 (en) 2012-06-08 2012-10-04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ormation using audio data, and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1574 2012-06-08
KR20120061574 2012-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70A KR20130138070A (en) 2013-12-18
KR101954802B1 true KR101954802B1 (en) 2019-03-07

Family

ID=4998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088A KR101954802B1 (en) 2012-06-08 2012-09-26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80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43B1 (en) 2007-12-10 2009-0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s using presence information in a terminal and the terminal
US20090288114A1 (en) * 2008-05-13 2009-11-19 Yasuto Masuda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streaming server,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319B1 (en) 2005-09-13 2007-03-09 김경희 A method of realizing background contents when inputting a mobile text message.
KR20070122034A (en) * 2006-06-23 2007-12-2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for offering state/ability information, method for offering thereof and terminal using the same
KR20100090155A (en) * 2009-02-05 201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presen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943B1 (en) 2007-12-10 2009-02-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s using presence information in a terminal and the terminal
US20090288114A1 (en) * 2008-05-13 2009-11-19 Yasuto Masuda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streaming server,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070A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84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EP2641184B1 (en) Media file access
US98115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part of web page
WO201702862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resources
EP244492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and social network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US200701682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storing the program
US10133780B2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etermining availability of presentable content
CN104685854B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ocial service based on music information
US20040100492A1 (en) Ubiquitous companion agent
US201300122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ssage in mobile terminal
US20110087965A1 (en) Method for setting up a list of audio files for a mobile device
KR101336622B1 (en)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8700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vent message
JP6153170B2 (en) Server apparatus and program
US8819551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0900203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transmitting contents automatically
KR101684577B1 (en) Method of providing tag-based list of cont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954802B1 (en) System for providing presence infromation audio data,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2002123272A (en) Music data distribution system, server apparatus,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istributing music data
KR20160104981A (en) Method, user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for unified searching information
JP4396404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ITS METHOD, SERVER, AND PROGRAM
KR101679390B1 (en) Method of providing tag-based list of content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08311811A (en) Portable telephone device
CN107340968B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playing multimedia file based on gesture
KR20170124861A (en) Terminal apparatus, search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ing resul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