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756B1 - 여과망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여과망 세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5756B1 KR101335756B1 KR1020130076635A KR20130076635A KR101335756B1 KR 101335756 B1 KR101335756 B1 KR 101335756B1 KR 1020130076635 A KR1020130076635 A KR 1020130076635A KR 20130076635 A KR20130076635 A KR 20130076635A KR 101335756 B1 KR101335756 B1 KR 1013357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lination angle
- unit
- support
- angle control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4 Libellul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72 pisci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OVCWXUNBOPUCH-UHFFFAOYSA-N Nitrous acid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16 gi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90 leftov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90 physiological processes and func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7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rota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과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통해 상기 여과망에 포집된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오수가 상기 여과망을 보다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경사각도조절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의 회전축을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통해 상기 여과망에 포집된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오수가 상기 여과망을 보다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경사각도조절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의 회전축을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여과망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환여과식 양어는 사육지의 물을 정화하여 다시 사용하는 방법으로 어류를 고밀도로 양식할 수 있으며, 수온이 낮은 겨울에도 보일러 등을 이용하여 사육수의 온도를 올리게 되므로 사육 경비가 많이 들지만 사육 용수를 많이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순환여과식 양어는 수용된 어류양에 비해서 총 수량(水量)이 적으므로 배설물 등 오물에 의한 수질악화 속도가 빠르고 그 정도도 심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배설물이나 먹다 남은 먹이는 가급적 빨리 제거해 주지 않으면 어류의 생리 기능을 약화시켜 질병의 원인이 된다.
양어장에서 발생하는 고형물질(슬러지)은 곧바로 어류의 아가미에 해를 주거나 암모니아, 아질산 등의 유독성 용존물질로 전환되어 순환여과의 후단부의 물리적, 생물학적 여과조의 부하를 높여 주어 시설비 및 운영비용을 가중시키게 되며, 미생물 여과재에 막힘현상을 초래하고 용존산소의 소비량을 가중시키게 되므로 양어장에서는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사육수로부터 분리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양어장에서 발생되는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드럼스크린, 침전법, 모래 여과기, 단백질스키머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크리너는 전술한 고형물질 제거를 위하여 드럼스크린, 침전조, 모래여과기,단백질스키머 등의 여과 장치로 양어 수조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양어수조의 중심부에 모여있는 슬러지를 빨아내어 전술한 여과장치로 보내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1차적으로 크기가 큰 어류의 사체를 여과하는 역할도 한다.
종래의 크리너는 일반적으로 양어 수조의 수위보다 낮게 여과장치보다는 높게 적당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따라서, 양어 수조의 수위가 높으면 많은 양의 오수(슬러지가 다량 포함된 사육수)가 크리너로 공급되어 흘러넘치거나, 양어 수조의 수위가 낮으면 전혀 여과장치로 오수가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육자는 양어 수조의 수위에 따라 크리너를 떼어내어 다시 적절한 높이로 다시 설치하거나, 필요이상으로 양어 수조에 물을 공급하여 수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 양어 수조로 펌핑하여 공급되는 순환여과수(여과하여 깨끗해진 물)가 과다하면, 양어수조의 수위가 지나치게 높아지며, 이에 따라 크리너에서 넘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급하게 양수펌프의 가동을 중지시켜야 하고, 양어 수조로 공급되는 순환여과수가 적으면, 여과장치가 헛가동되므로 급하게 펌프의 가동시켜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양어 수조의 수위에 따
라 간편하게 크리너를 승강시킴으로써, 크리너로 공급되는 오수량을 일정 수위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오수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나아가 오수에서 발생하는 유해 거품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크리너 내부로 유입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여 어류 사체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크리너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327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3272호(크리너)의 경우 용기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여과망을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통과하는 과정 중에 상기 여과망에 포집된 슬러지로 인해 상기 여과망을 오수가 원활히 통과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통해 상기 여과망에 포집된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오수가 상기 여과망을 보다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경사각도조절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의 회전축을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여과망 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이 내부에 구비된 용기체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용기체의 상부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하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가 상부방향에 수직구비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일측에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용기체의 상부 일측에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판의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용기체의 상부 타측에 타측이 고정되는 타측지지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방향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세척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을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체결시키는 체결몸체와;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의 하측 내부에 상측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의 표면에 키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몸체의 상측 내부에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몸체를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몸체에 등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 표면에 밀착고정되는 탭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볼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축의 키홈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체결몸체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의 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의 전측 상부를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재와, 상기 체결몸체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의 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의 후측 상부를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연결부재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측 내주면과 후측 내주면에 각각 제 1암나사선과 제 2암나사선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제 1연결몸체와; 상기 제 1연결몸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몸체의 제 1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1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세척부재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제 1리드스크류와; 상기 제 1연결몸체의 후측 내부에 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몸체의 제 2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2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체결몸체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제 2리드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연결부재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측 내주면과 후측 내주면에 각각 제 3암나사선과 제 4암나사선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제 2연결몸체와; 상기 제 2연결몸체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연결몸체의 제 3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3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체결몸체의 후측에 축결합되는 제 3리드스크류와; 상기 제 2연결몸체의 후측 내부에 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연결몸체의 제 4암나사선과 대응되는 형상의 4수나사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세척부재의 후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제 4리드스크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에 상기 구동부의 경사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경사각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가 상부에 수직고정되며, 각 모서리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경사각도조절판과;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수직관통하고, 외경크기가 상기 관통구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하측너트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상측너트로 구성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경사각도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가 상부에 수직고정되며, 각 모서리에 관통구가 형성되는 경사각도조절판과; 상기 지지부의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를 수직관통하고, 외경크기가 상기 관통구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여 여과망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통해 상기 여과망에 포집된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오수가 상기 여과망을 보다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경사각도조절부를 통해 상기 세척부의 회전축을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여과망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구동부에서 세척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일예의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세척부의 회전축이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다른예의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세척부의 회전축이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구동부에서 세척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일예의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세척부의 회전축이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다른예의 경사각도조절부에 의해 세척부의 회전축이 여과망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여과망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여과망 세척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00), 구동부(200) 및 세척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지지부(100)의 일측과 상기 지지부(100)의 타측은 용기체(10)의 상부 일측과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용기체(10)의 하부 전측에는 양어수조로부터 다량의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체(10)의 하부 후측에는 상기 용기체(10)의 내부에 유입되어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01)의 후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배출구(102)의 상부방향에 구비되도록 상기 용기체(10)의 내부에는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20)이 구비된다.
상기 여과망(20)의 하측에서 상기 여과망(20)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여과망(20)은 상기 용기체(1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유입구(101)와 상기 배출구(102)가 형성된 상기 용기체(10)와 상기 여과망(20)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033272를 통해 공지된 기술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2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 수직구비된다.
상기 구동부(200)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구동부(20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방향에 구비된다.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하여 상기 여과망(20)에 포집된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10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지지판(110), 일측지지브라켓(120) 및 타측지지브라켓(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방향에는 상기 구동부(200)가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0)의 중심부에는 관통구(도 6의 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브라켓(120)은 일측지지다리(121)와 일측고정판(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다리(121)는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서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지지다리(121)의 타측이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면 전측과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면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일측지지다리(121)는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 상기 지지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판(122)은 상기 일측지지다리(121)의 일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브라켓(130)은 타측지지다리(131)와 타측고정판(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다리(131)는 상기 지지판(110) 타측에서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지지다리(131)의 일측이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면 전측과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면 후측에 각각 일체연결된 상태로 상기 타측지지다리(131)는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에 상기 지지판(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판(132)은 상기 타측지지다리(131)의 타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전측과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후측 및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는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외측방향으로 일체형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는 연장판(10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장판(103)을 훼손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된 상기 연장판(103)에 상기 일측고정판(122)과 상기 타측고정판(132)을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500)는 일측위치고정부재(510)와 타측위치고정부재(5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위치고정부재(5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절곡판(511), 일측고정볼트(512) 또는 일측절곡판(511), 일측고정볼트(512) 및 일측너트(5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절곡판(511)은 일측수평판(511a)과 일측수직판(5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타측 상부는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상기 연장판(103)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수직판(511b)은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일측에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고정볼트(512)는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고정판(122)의 일측과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일측을 각각 수직관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일측고정볼트(511)는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측고정판(122)의 일측과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일측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일측고정판(122)의 일측과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일측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너트(513)는 상기 일측고정볼트(511)의 하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일측수평판(511a)의 하부면 일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위치고정부재(5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측절곡판(521), 타측고정볼트(522) 또는 타측절곡판(521), 타측고정볼트(522) 및 타측너트(5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절곡판(521)은 타측수평판(521a)과 타측수직판(52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일측 상부는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형성된 상기 연장판(103)의 하부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타측수직판(521b)은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타측에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고정볼트(522)는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고정판(132)의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타측고정판(132)의 타측과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타측을 각각 수직관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타측고정볼트(522)는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타측고정판(132)의 타측과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타측을 각각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타측고정판(132)의 타측과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타측에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너트(523)는 상기 타측고정볼트(522)의 하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타측수평판(521a)의 하부면 타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구동부(200)에서 세척부(30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방향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부(300)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상의 회전축(310), 체결몸체(320) 및 세척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은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의 하측방향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320)는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의 상측에 일체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320)는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을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32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의 관통구(111)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재(330)는 몸체(331), 축부재(332) 및 세척용브러쉬(3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331)는 상기 용기체(10)의 전측에서 상기 용기체(1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32)는 상기 몸체(331)의 상측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부재(33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332a)이 형성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31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용브러쉬(333)는 상기 몸체(331)의 하측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331)의 상측 중심부에 형성된 상기 축부재(332)는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의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의 하측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세척용브러쉬(333)는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할 수 있다.
관상의 상기 회전축(310)이 정역회전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세척부재(330)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부(300)의 세척부재(330)의 상하높이가 조절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여과망(20)에 밀착되는 상기 세척용브러쉬(333)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331)의 하측에 반드시 상기 세척용브러쉬(332)가 일체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스폰지 등의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종류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의 표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키홈(211)이 상기 구동축(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320)의 상측 내부에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이 삽입되는 상측이 개방된 삽입홈(321)이 상기 체결몸체(320)의 상측에서 상기 체결몸체(320)의 하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몸체(320)를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310)에 견고하게 체결시켜 상기 체결몸체(320)가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을 따라 정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3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40)는 복수의 탭볼트(34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탭볼트(341)는 상기 체결몸체(320)에 등간격으로 수평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의 표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탭볼트(34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의 키홈(211)내에 삽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부재(330)가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정역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연결부재(351)와 제 2연결부재(352)로 구성되는 연결부재(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재(351)는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 하부와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전측 상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재(352)는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 하부와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후측 상부를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부재(351)는 제 1연결몸체(351a), 제 1리드스크류(351b), 제 2리드스크류(351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전측에서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1가이드슬릿(3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전측 내주면과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후측 내주면에는 각각 제 1암나사선(351d)과 제 2암나사선(351e)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후측이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전측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제 1암나사선(351d)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1수나사선(351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전측은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리드스크류(351c)의 전측이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후측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리드스크류(351c)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제 2암나사선(351e)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2수나사선(351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리드스크류(351c)의 후측은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재(352)는 제 2연결몸체(352a), 제 3리드스크류(352b) 및 제 4리드스크류(35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2연결몸체(351a)의 전측에서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되는 제 2가이드슬릿(35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전측 내주면와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후측 내주면에는 각각 제 3암나사선(352d)과 제 4암나사선(352e)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리드스크류(352b)의 후측이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전측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3리드스크류(352b)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제 3암나사선(352d)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3수나사선(352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리드스크류(352b)의 전측은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 하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전측이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후측 내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제 4암나사선(352e)과 대응되는 형상의 4수나사선(352g)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후측은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후측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전측 상부의 축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후측 상부의 축결합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세척부재(330)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세척부(300)의 세척부재(330)의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후, 작업자는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전측과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후측을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와 상기 제 2연결몸체(352a)를 각각 정역회전시켜 상기 제 1연결부재(351)의 전후길이 및 상기 제 2연결부재(352)의 전후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제 1리드스크류(351b)의 전측과 상기 제 4리드스크류(352c)의 후측을 각각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 및 상기 세척부재(330)의 몸체(331)의 후측 상부에 축결합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일예의 경사각도조절부(400)에 의해 세척부(300)의 회전축(310)이 여과망(20)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과 상기 구동부(200) 사이에 상기 구동부(200)의 상하경사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경사각도조절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세척부(300)의 회전축(310)을 상기 여과망(20)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는 일예로 도 6,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경사각도조절판(410), 볼트부재(420) 및 너트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은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의 상부방향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구동부(200)가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각 모서리에는 원형형상의 관통구(4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2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의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11)를 수직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부재(420)의 하측에 형성되는 헤드부(421)가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판(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재(420)는 상기 지지부(110)의 지지판(110)의 각 모서리를 수직관통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의 각 모서리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볼트부재(420)의 외경크기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430)는 하측너트(431)와 상측너트(4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너트(431)는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측너트(432)는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가령,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하측너트(431) 및 상기 상측너트(43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하강시키고,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하측너트(431) 및 상기 상측너트(43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승시킬 경우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하부방향으로 하강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부(200)의 상측은 상기 구동부(20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상부방향으로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구동부(200)의 하측은 상기 구동부(20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다른예의 경사각도조절부(400)에 의해 세척부(300)의 회전축(310)이 여과망(20)과 직교상태로 위치조절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는 다른예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 상기 볼트부재(420), 상기 너트부재(430) 및 탄성부재(440)로 구성되되,
상기 너트부재(430)는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의 내측에 상기 볼트부재(420)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지지부(100)의 지지판(110) 상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을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세척용브러쉬(333)가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하는 과정 중에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에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다.
한편, 가령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에 위치한 상기 너트부재(4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하강시키고,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에 위치한 상기 너트부재(4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승시킬 경우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전측하부방향으로 하강함과 더불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 전측과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 전측 사이에 위치한 상기 탄성부재(440)는 수축되면서 상기 구동부(200)의 상측은 상기 구동부(200)의 전측 하부방향으로 하강하게 되고,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후측상부방향으로 상승함과 더불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 후측과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 후측 사이에 위치한 상기 탄성부재(440)는 팽창되면서 상기 구동부(200)의 하측은 상기 구동부(20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하는 상기 세척부(300)를 통해 상기 여과망(20)에 포집된 슬러지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오수가 상기 여과망(20)을 보다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를 통해 상기 세척부(300)의 회전축(310)을 상기 여과망(20)과 직교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위치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지지부, 200; 구동부,
300; 세척부.
300; 세척부.
Claims (10)
- 오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여과시키는 여과망(20)이 내부에 구비된 용기체(1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고정되는 지지부(100)와;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200)와;
상기 구동부(200)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하는 세척부(300)와;
상기 지지부(100)와 상기 구동부(200) 사이에 상기 구동부(200)의 경사각도를 조절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는 경사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00)는 상기 구동부(200)가 상부방향에 수직구비되는 지지판(110)과;
상기 지지판(110)의 일측에 타측이 고정되고,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일측에 일측이 고정되는 일측지지브라켓(120)과;
상기 지지판(110)의 타측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용기체(10)의 상부 타측에 타측이 고정되는 타측지지브라켓(1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방향에 상하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300)는 상기 지지부(100)의 하측방향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20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10)과;
상기 회전축(310)의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310)을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에 체결시키는 체결몸체(320)와;
상기 회전축(310)의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상기 회전축(310)의 하측 내부에 상측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10)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여과망(20)을 세척하는 세척부재(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의 표면에 키홈(211)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몸체(320)의 상측 내부에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이 삽입되는 삽입홈(32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몸체(320)를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40)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재(340)는 상기 체결몸체(320)에 등간격으로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 표면에 밀착고정되는 탭볼트(341)로 이루어지고,
상기 탭볼트(34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구동부(200)의 구동축(210)의 키홈(211)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전측 상부를 연결시키는 제 1연결부재(351)와,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후측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과 상기 세척부재(330)의 후측 상부를 연결시키는 제 2연결부재(352)로 구성되는 연결부재(3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재(351)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측 내주면과 후측 내주면에 각각 제 1암나사선(351d)과 제 2암나사선(351e)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제 1연결몸체(351a)와;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제 1암나사선(351d)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1수나사선(351f)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세척부재(330)의 전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제 1리드스크류(351b)와;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후측 내부에 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연결몸체(351a)의 제 2암나사선(351e)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2수나사선(351g)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체결몸체(320)의 전측에 축결합되는 제 2리드스크류(351c);로 구성되고,
상기 제 2연결부재(35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전측 내주면과 후측 내주면에 각각 제 3암나사선(352d)과 제 4암나사선(352e)이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형성되는 제 2연결몸체(352a)와;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전측 내부에 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제 3암나사선(352d)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 3수나사선(352f)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전측이 상기 체결몸체(320)의 후측에 축결합되는 제 3리드스크류(352b)와;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후측 내부에 전측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연결몸체(352a)의 제 4암나사선(352e)과 대응되는 형상의 4수나사선(352g)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후측이 상기 세척부재(330)의 후측 상부에 축결합되는 제 4리드스크류(352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가 상부에 수직고정되며, 각 모서리에 관통구(411)가 형성되는 경사각도조절판(410)과;
상기 지지부(100)의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11)를 수직관통하고, 외경크기가 상기 관통구(4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볼트부재(420)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하측너트(431)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상측너트(432)로 구성되는 너트부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도조절부(400)는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200)가 상부에 수직고정되며, 각 모서리에 관통구(411)가 형성되는 경사각도조절판(410)과;
상기 지지부(100)의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411)를 수직관통하고, 외경크기가 상기 관통구(411)의 내경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볼트부재(420)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볼트부재(42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430)와;
상기 볼트부재(420)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00)의 상부면 각 모서리와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수직구비되어 상기 경사각도조절판(410)을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망 세척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635A KR101335756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과망 세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6635A KR101335756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과망 세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35756B1 true KR101335756B1 (ko) | 2013-12-02 |
Family
ID=49987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6635A KR101335756B1 (ko) | 2013-07-01 | 2013-07-01 | 여과망 세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575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0659A (ko) | 2014-03-31 | 2016-12-07 |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 입자상 흡수제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1741454B1 (ko) * | 2014-12-05 | 2017-05-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필터 엘리먼트 세척 장치 |
KR102230460B1 (ko) * | 2020-09-25 | 2021-03-22 |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 슬러지 배출함의 여과망 청소장치 |
CN115155138A (zh) * | 2022-05-24 | 2022-10-11 | 湖北超越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环保型污水过滤净化处理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2697A (ja) * | 1995-11-08 | 1997-05-13 | Yoshiro Aoyama | 汚水濃縮機 |
KR100417701B1 (ko) * | 1999-12-29 | 2004-02-11 | 주식회사 포스코 |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
-
2013
- 2013-07-01 KR KR1020130076635A patent/KR1013357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22697A (ja) * | 1995-11-08 | 1997-05-13 | Yoshiro Aoyama | 汚水濃縮機 |
KR100417701B1 (ko) * | 1999-12-29 | 2004-02-11 | 주식회사 포스코 | 폐수처리여과기의 여과재 표면세척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40659A (ko) | 2014-03-31 | 2016-12-07 |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 입자상 흡수제 및 그의 제조 방법 |
KR101741454B1 (ko) * | 2014-12-05 | 2017-05-30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필터 엘리먼트 세척 장치 |
KR102230460B1 (ko) * | 2020-09-25 | 2021-03-22 |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 슬러지 배출함의 여과망 청소장치 |
CN115155138A (zh) * | 2022-05-24 | 2022-10-11 | 湖北超越环保设备有限公司 | 一种环保型污水过滤净化处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35756B1 (ko) | 여과망 세척장치 | |
CN203735275U (zh) | 一种水池清洗装置 | |
KR101033272B1 (ko) | 크리너 | |
CN105028301A (zh) | 一种室内长方形循环水养殖池自动清污方法 | |
CN203736917U (zh) | 封闭式水循环过滤器 | |
US714451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wimming pool skimmer efficiency | |
CN101313671A (zh) | 一种带有污物清除装置的鱼缸/水族箱 | |
US11332950B2 (en) | Pool skimmer devices, systems, and methods | |
CN109479797A (zh) | 一种单池循环水水产养殖系统 | |
CN203735273U (zh) | 一种可移动式水池移动清洗装置 | |
CN211570319U (zh) | 一种水处理活性炭过滤装置 | |
EP1031540B1 (de) | Vorrichtung zum Behandeln von Abwasser | |
CN209449474U (zh) | 一种单池循环水水产养殖系统 | |
US20080308478A1 (en) | Screen for swimming pool skimmer and method of using same | |
KR20100047777A (ko) |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 |
CN208448760U (zh) | 一种过滤排污装置及水产养殖池 | |
CN109052702A (zh) | 一种海绵城市用的雨水沉淀池 | |
CN206238118U (zh) | 一种可清除残饵排泄物的多层循环式水产养殖池 | |
CN211111480U (zh) | 一种养殖圈舍污水快速处理装置 | |
CN209204846U (zh) | 一种格栅机捞渣系统 | |
CN211558498U (zh) | 一种用于鱼缸水处理的过滤箱 | |
CN209226728U (zh) | 一种工业污水处理装置 | |
CN208776865U (zh) | 一种电镀设备中的电镀池 | |
KR101061439B1 (ko) | 수족관용 여과장치 | |
JPH05123081A (ja) | 養魚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