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475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475B1
KR101334475B1 KR1020110018689A KR20110018689A KR101334475B1 KR 101334475 B1 KR101334475 B1 KR 101334475B1 KR 1020110018689 A KR1020110018689 A KR 1020110018689A KR 20110018689 A KR20110018689 A KR 20110018689A KR 101334475 B1 KR101334475 B1 KR 101334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oes
user
sensing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058A (ko
Inventor
이정숙
윤영원
Original Assignee
윤영원
이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원, 이정숙 filed Critical 윤영원
Priority to KR102011001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475B1/ko
Publication of KR20120100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9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with means to differentiate between right and left sho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5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magnets, magnetic parts or magn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은 사용자의 좌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짝을 이루며 사용자의 우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가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신발 {Shoes}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의 좌우 짝을 바꾸어 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이 하나의 짝 즉, 한 쌍을 이루어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 신발은 사람의 좌측 발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우측 신발은 사람의 우측 발 모양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신발을 사람의 발 모양과 최대한 유사하게 형성함으로써 사람이 신발을 신을 때 최대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의 제조 목적대로 신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신발의 좌우 짝 즉, 신발 방향이 사람의 발 방향과 일치하도록 신어야 한다.
하지만, 6세 이하의 어린이와 같은 인지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에는 신발의 좌우 짝 즉, 신발 방향을 잘 알지 못하여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을 상호 바꾸어 신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이 경우, 신발 좌우 짝 즉, 신발 방향을 상호 바꾸어 신발을 신은 어린이 드은 발 모양과 신발 모양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발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걷거나 뛰는 경우 정상적으로 신발을 신은 어린이 등 보다 자주 넘어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린이 등 인지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에도 쉽게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하여 신발의 좌우 짝을 바꾸어 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사용자의 좌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짝을 이루며 사용자의 우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Unit) 및, 상기 감지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닛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가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알람 유닛은 발광 또는 소리를 통해 상기 좌측 신발과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 유닛은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근접센서(Sens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사용자의 좌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짝을 이루며 사용자의 우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신발 및,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밀어내어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위치를 바꾸어 놓지 않도록 유도하는 정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유닛은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밀어내는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신발에 따르면, 어린이 등 인지력이 부족한 사람의 경우에도 쉽게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신발의 좌우 짝을 바꾸어 싣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이용하면, 신발 좌우 짝 즉, 신발 방향을 상호 바꾸어 신음으로 인해 발생되는 제반 문제 곧, 발이 불편하거나 신발이 옷에 걸려 자주 넘어지는 등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일 경우 알람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전원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일 경우 정렬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일 경우 알람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의 내부 전원연결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사용자의 좌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신발(100a)과, 사용자의 우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신발(100b)을 포함한다.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은 상호 짝을 이루어 구성되며, 각각 내부에 사용자의 발이 넣어지도록 공간(11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좌측 신발(100a)은 사용자의 좌측 발이 신겨질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좌측 발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좌측 신발(100a)의 앞부분 좌측에는 아크 형태나 사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 신발(100b)도 사용자의 우측 발이 신겨질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자의 우측 발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앞부분 우측에는 아크 형태나 사선 형태 또는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우측 신발(100b)은 상호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 예를 들면, 가죽 재질이나 인조가죽 재질, 합성가죽 재질, 고무 재질 또는 이들이 조합된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에는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를 감지하는 감지 유닛(120) 및, 상기 감지 유닛(120)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 유닛(1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가 감지되면 알람을 발생하여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유닛(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 유닛(120)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에 각각 설치된 한쌍의 근접센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감지 유닛(120)은 상호간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할 경우 작동되는 제1감지 유닛(120a)과 제2감지 유닛(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감지 유닛(120a)은 상기 좌측 신발(100a)의 좌측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제2감지 유닛(120b)은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이 바르게 놓일 경우, 즉, 상기 우측 신발(100b)이 상기 좌측 신발(100a)의 우측에 근접하게 놓이거나 상기 좌측 신발(100a)이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좌측에 근접하게 놓일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이 상호간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은 작동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상기 감지 유닛(120)은 작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감지 유닛(120)의 작동에 따라 작동되는 상기 알람 유닛(130)은 알람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이지 않고 바르게 놓인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좌측 신발(100a)과 우측 신발(100b)을 놓음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지도록 놓을 경우, 상기 좌측 신발(100a)에 설치된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에 설치된 제2감지 유닛(120b)은 상호간 일정거리 이내로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은 작동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감지 유닛(120)이 작동되므로, 상기 알람 유닛(130)은 상기 감지 유닛(120)의 작동에 따라 알람을 발생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발생되는 알람에 따라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알람 발생에 따라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상기 우측 신발(100b)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측면으로 이동시킴으로 다시 신발(100)을 바르게 놓을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신발을 바르게 신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유닛(120)이 작동되도록 하는 거리 즉,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 사이의 작동거리는 신발(100)의 크기에 따라 다소 조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린이의 신발은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 사이의 거리가 10cm∼15cm 이내일 때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어른의 신발은 상기 제1감지 유닛(120a)과 상기 제2감지 유닛(120b) 사이의 거리가 15cm∼20cm 이내일 때 작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 유닛(120)과 알람 유닛(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유닛(14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유닛(140)은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도록 신발(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은전지나 기타 부피와 무게가 적게 나가는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감지 유닛(120)과 알람 유닛(130)은 상기 전원공급유닛(140)에서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람 유닛(130)은 발광 또는 소리를 통해 상기 좌측 신발(100a)과 우측 신발(1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인 상황을 외부에서 사용자 등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람 유닛(130)은 LED 등의 전구로 구성되어 발광될 수도 있고, 스피커 유닛 등으로 구성되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신발의 좌우 짝이 바뀌어져 놓일 경우 정렬유닛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에는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알람 유닛(130)과 감지 유닛(120) 및 전원공급유닛(140) 외에, 정렬 유닛(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알람 유닛(130)과 감지 유닛(120) 및 전원공급유닛(140)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정렬 유닛(22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2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좌측 신발(200a)과 우측 신발(200b)이 바르게 놓여질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을 상호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평행하게 정렬시켜주는 정렬 유닛(2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렬 유닛(2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밀어내어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의 위치를 바꾸어 놓지 않도록 유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렬 유닛(220)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밀어냄과 아울러,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이 바르게 놓여질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을 상호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는 다수의 자석(220a,200b,200c,200d)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석들(220a,200b,200c,200d)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밀어내는 힘을 발휘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자석들(220a,200b,200c,200d)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을 경우 척력(斥力)을 발휘하도록 상호 동일 극성(220a,200c)이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들(220a,200b,200c,200d)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이 바르게 놓여질 경우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을 상호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끌어당기는 힘 즉 인력(引力)을 발휘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220b,220d)이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들(220a,200b,200c,200d)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우측 신발(200b)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걷거나 뛸 때 자력이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도록 다소 약한 자력을 갖는 자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10은 상기 좌측 신발(200a)과 상기 우측 신발(200b)에 각각 사용자가 발을 넣을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210)이다.
이상, 본 발명은 도시된 여러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 신발
100a, 200a : 좌측 신발
100b, 200b : 우측 신발
120 : 감지유닛
130 : 알람유닛
140 : 전원공급유닛
220 : 정렬유닛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의 좌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좌측 신발;
    상기 좌측 신발과 짝을 이루며, 사용자의 우측 발을 넣어 신을 수 있도록 마련된 우측 신발; 및,
    사용자가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위치를 바꾸어 놓지 않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의 상호 위치가 바뀌어져 놓일 경우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이 상호간 근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호간 밀어내는 척력을 발휘하도록 동일 극성으로 각각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이 바르게 놓여질 경우 상기 좌측 신발과 상기 우측 신발을 상호간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호간 끌어당기는 인력을 발휘하도록 서로 다른 극성으로 각각 배치된 다수의 자석을 포함하는 신발.
  5. 삭제
KR1020110018689A 2011-03-02 2011-03-02 신발 KR101334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89A KR101334475B1 (ko) 2011-03-02 2011-03-02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8689A KR101334475B1 (ko) 2011-03-02 2011-03-02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58A KR20120100058A (ko) 2012-09-12
KR101334475B1 true KR101334475B1 (ko) 2013-11-29

Family

ID=47109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689A KR101334475B1 (ko) 2011-03-02 2011-03-02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4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34Y1 (ko) * 2019-06-18 2020-08-13 정서현 자석이 구비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718B1 (ko) * 2018-10-05 2020-04-02 익스트림제이제이 주식회사 올바른 발로 신발을 신도록 유도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313U (ja) * 1983-03-15 1984-09-25 株式会社ア−ク 履物
KR200226015Y1 (ko) * 2000-12-09 2001-06-01 진영권 자석이 부착된 기능성 신발
KR200320716Y1 (ko) * 2003-04-16 2003-07-22 신소진 발광과 발성장치가 내장된 신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3313U (ja) * 1983-03-15 1984-09-25 株式会社ア−ク 履物
KR200226015Y1 (ko) * 2000-12-09 2001-06-01 진영권 자석이 부착된 기능성 신발
KR200320716Y1 (ko) * 2003-04-16 2003-07-22 신소진 발광과 발성장치가 내장된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34Y1 (ko) * 2019-06-18 2020-08-13 정서현 자석이 구비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058A (ko)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746997S1 (en) Compression knee sleeve
USD712535S1 (en) Two piece infant nasal aspirator
USD730025S1 (en) Dance shoe
USD728112S1 (en) Compression calf sleeve
USD656709S1 (en) One-piece garment for children
USD676627S1 (en) Elastic pants belt
BR112013021137A2 (pt) calçado tendo sistema sensor
US8608183B2 (en) Walker with integrated illumination means and alarm
USD640041S1 (en) Military style pants
US20120099298A1 (en) Light-emitting clothing structure
USD767254S1 (en) Exercise garment
CN106063987A (zh) 穿戴式步态复健训练装置
KR101334475B1 (ko) 신발
CA141478S (en) Knee protector
CA148503S (en) Chair
CA148504S (en) Chair
USD644416S1 (en) Pair of slippers
USD759943S1 (en) Pair of jeans with interchangeable pockets
USD674589S1 (en) Pair of fold-over socks
KR200461819Y1 (ko) 유아용 신발
CN105182729A (zh) 一种可穿戴式夜跑安全节拍器
KR101125012B1 (ko) 짝맞춤 알림기능을 가진 신발
USD727772S1 (en) Necklace
KR20140060764A (ko) 미아방지 및 실종방지용 신발
USD665967S1 (en) Fabric scarf and tie t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