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129B1 -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 Google Patents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129B1
KR101334129B1 KR1020090016727A KR20090016727A KR101334129B1 KR 101334129 B1 KR101334129 B1 KR 101334129B1 KR 1020090016727 A KR1020090016727 A KR 1020090016727A KR 20090016727 A KR20090016727 A KR 20090016727A KR 101334129 B1 KR101334129 B1 KR 101334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ngle
terminal
photographing terminal
angle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7868A (ko
Inventor
이준우
남기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41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97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7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외장 또는 내장한 다각도 촬영단말이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가 촬영한다. 다각도 촬영단말은 촬영된 다각도 이미지를 저장 또는 표시하며, 다각도 이미지를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한다. 이미지복원서버가 다각도 이미지를 이용해 다각도 촬영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다각도 촬영단말로 전송하면, 다각도 촬영단말은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표시한다. 이에 의해, 다각도 촬영단말만 있으면, 장소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특정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의 촬영 및 복원에 의해 특정 피사체의 관찰이 가능하다.
3차원, 이미지, 촬영, 카메라, 다각도, 단말

Description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System and method for 3-dimensional image acquisition using camera terminal for shooting multi angle pictures}
본 발명은 가입자 기반의 3차원 이미지 획득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 촬영 및 3차원 이미지 복원을 통해 3차원으로 특정 피사체에 대한 관찰을 가능하도록 하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외장 또는 내장한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디지털 매체에 의한 가상 현실을 통해 물체를 접하게 될 경우 좀더 시각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사진과 같은 평면 이미지뿐 아니라 마치 눈앞에 실제 대상물이 있는 것과 같은 3차원 입체영상에 의한 충분한 입체감과 사용자가 대상물을 보는 방향이나 자세 등을 자유로이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3차원 이미지를 함께 제공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육 효과, 제품에 대한 실제적 정보 제공 등의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3차원 콘텐츠의 이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3차원 콘텐츠 제공 방법은 작업자가 촬영 대상물(예를 들어, 조각품, 판매용 제품 등)을 다수의 각도에서 수동으로 촬영한 후, 촬영된 사진들을 합성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하는 방법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등이 제공되고 있다.
수동으로 촬영된 복수의 사진을 합성하여 하나의 3차원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은 수요자(예를 들어, 구매자, 관람자 등)의 요구에 따른 각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에, 3차원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촬영하여야 하는 사진의 수량이 많고, 촬영시 많은 시간을 요구하며 또한 3차원 이미지 생성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3차원 이미지 생성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모든 촬영 대상물을 복수 회 촬영할 때 사진의 중심점이 일치하지 않는 사진이 존재하는 경우 처음부터 촬영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수작업으로 다양한 각도를 재촬영하는 과정에서 사람의 시각과 카메라 렌즈의 각도에 따른 작업 오차가 발행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비해, 동영상을 촬영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은 우수한 촬영 기자재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촬영 대상물을 촬영한 후 하나의 전자 파일로 제공할 수 있어 전자 파일 생성 시간을 단축시키고, 전자 파일 생성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요자가 원하는 각도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동영상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서 해당 파일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Service Server)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 다수개의 제품 또는 자료를 홍보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3차원 콘텐츠 제공 방법은 3차원 콘텐츠 생성 비용, 작업 시간, 작업 비용, 수요자의 요구 불만족 등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VR Contents(Virtual Reality Contents) 및 3 차원(Three Dimensional) TV 서비스를 위해 단일 카메라 또는 다중 카메라를 활용한 3 차원 이미지 촬영 및 복원에 대한 기술은 이미 많이 개발되어 있다. 단일 카메라를 통해 3차원 이미지 획득 및 복원을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이미지 처리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중 카메라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일반 사용자보다는 TV 채널 같은 전문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3차원 이미지 촬영 및 복원을 위한 휴대성에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따라, 3차원 콘텐츠 획득 서비스와 관련해서 3차원 콘텐츠 생성을 위한 시간 및 노력 등을 줄이고, 생성시 장치에 대한 휴대의 간편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누구든지 휴대가 간편한 다각도 촬영단말만 있으면, 촬영된 특정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 복원을 통해 특정 피사체에 대한 관찰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획득 방법은,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로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다각도 이미지를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다각도 이미지를 이용해 생성된 상기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다각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 전에,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촬영된 다각도 이미지를 저장 또는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획득 시스템은, 다각도에서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부터 촬영된 상기 특정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다각도 이미지를 수신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다 각도 촬영단말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표시 하도록 하는 이미지복원서버; 를 포함한다.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이미지복원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송수신부;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들을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다각도 이미지들의 전송에 따른 상기 이미지복원서버의 반환인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한다.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은,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될 수 있다.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이 외장된 경우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외장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과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은 상기 카메라렌즈와 상기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복원서버는, 다각도 촬영단말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 송수신부;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부터 촬영된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다각도 이미지들을 이용해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다각도 이미지 중 중첩된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중 첩된 부분의 한 면을 제거하여 상기 다각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촬영카메라모듈을 포함하는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해, 누구나 장소에 관계없고 쉽게 특정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촬영과 복원에 의해 특정 피사체에 대한 관찰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각도 촬영단말은 다중 촬영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되어 전송된 다각도 이미지들을 저장함으로써, 3차원 이미지가 필요시 이미지복원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획득 시스템은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이 내장 또는 외장된 다각도 촬영단말(100), 통신망(500) 및 이미지복원서버(700)를 포함한다.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유선 및 무선단말로, 퍼스널컴퓨터, 랩톱 컴퓨터, 통신수단을 구비한 카메라, PDA, 스마트폰, IMT-2000폰, GSM폰, GPRS폰, UMTS폰, MBS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각도 촬영단말(300)이 무선단말인 경우 다각도 촬영단말(300)은 다른 단말들, 서버 및 시스템과 무선으로 통상적인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자신과 연동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을 구동시키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에 의해 획득된 다각도 촬영 이미지를 저장하는 프리-프로세싱(Pre-Processing)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각도 촬영 이미지를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자신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렌즈(330-1 내지 330-n)를 개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제어하고, 각각의 카메라렌즈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저장 시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하나의 피사체로부터 획득된 이미지들을 그룹화하여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 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특정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이미지 그룹을 피사체 별로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3차원 이미지로 복원된 결과를 데이터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디코딩 모듈에 의해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다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장치로, 다각도 촬영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다각도에서 촬영을 할 수 있는 복수개의 카메라 집합을 포함 하고, 개구(開口)된 일면으로 피사체를 덮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되어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된 이미지는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재전송된다. 여기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는 이미지복원서버(700)에 의한 3차원 이미지 생성 프로세싱에 사용되기 위한 로우 데이터(raw data) 이미지이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카메라렌즈의 수가 많을수록 3차원 이미지 복원을 더욱 정교하고 자연스럽게 3차원 이미지로 복원하도록 다수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다각도 촬영단말(300)에 대해 외장형 또는 내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이 외장형인 경우 사용자는 다각도 촬영단말(300)에 연결한 뒤, 피사체를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 덮고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에 대해 초점을 맞춰 고정시킨 뒤, 다각도 촬영단말(300)의 입력부(예컨대, 키패드)를 이용해 피사체에 대한 촬영을 수행한다. 한편,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이 내장형일 경우 사용자는 다각도 촬영단말(300)에 연결할 필요 없이, 해당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망(500)은 인터넷(Internet) 서비스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유선 및 무선 망이며,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All IP망일 수 있다. 통신망(500)은 단말(100) 및 통신망(500)에 연결된 서버(700) 및 시스템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을 통한 원격에서 다각도로 촬 영된 피사체의 이미지들을 통신망(500)을 통해 수신한다. 이미지복원서버(700)는 수신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하나의 3차원 이미지로의 복원을 수행한다. 또한, 이미지복원서버(700)는 이미지복원서버(700)의 인터페이스와 다각도 촬영단말(300)의 인터페이스간의 결합에 의한 데이터 통신으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3차원 이미지 복원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복원서버(700)는 수신한 이미지들의 보정(Correction) 및 다각도 이미지들을 각각 연산 제어 처리 등을 수행하며, 3차원으로 표시 가능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로,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다각도 이미지 중 중첩된 부분을 추출하여 중첩된 부분의 한 면을 제거하여 다각도 이미지들을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3차원으로 표시가 가능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 또는 별도의 유무선단말로 전송하기 위해 멀티뷰인코딩(Multi-view Encoding)을 수행한다.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멀티뷰인코딩된 데이터 중 해당 3차원 이미지를 요청단말과 매칭되는 포맷의 3차원 이미지를 해당 요청 단말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 예로, 동영상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 수신된 다각도 동영상 정보에 대한 동기화 작업 후, 각 동기화된 각 프레임 별로 3차원 이미지를 복원하여 요청 단말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다각도 촬영단말(100)을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요청단말은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한 뒤, 3차원 표시가 가능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다각도 촬영단말(100)과 이미지복원서버(700)간의 3차원 이미지 획득 서비스 수행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나,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다양한 단말들과 이미지복원서버(700)간의 3차원 이미지 획득 서비스가 수행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 입력부(130), 제1 제어부(150), 표시부(170), 제1 송수신부(180) 및 저장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의 제2 입출력입터페이스(350)와 연결되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의 다수의 카메라렌즈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한다. 일 실시 예로,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의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연결 잭을 구비한 다른 전자기기 및 장치와 결합이 가능한 USB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입력 받아 제1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즉, 입력부(130)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의 피사체촬영 요청, 저장부(190)로의 촬영된 이미지 저장 요청 및 이미지복원서버(700)로의 촬영된 이미지 전송 요청 및 기타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통화연결 버튼 등을 입력하기 위한 유닛이다.
제1 제어부(150)는 입력부(130)로 입력되는 정보 및 다각도 촬영단말(100)을 동작시키기 위한 서비스 정보 등을 표시부(170)로 출력한다. 사용자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에 대한 피사체촬영 요청시, 제1 제어부(150)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 해당 피사체촬영 요청을 전송하도록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50)는 해당 피사체촬영 요청을 다각도 촬영 카메라모듈(300)의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로 전송하도록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50)는,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의 피사체촬영 요청에 따라,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부터 전송된 특정 피사체에 대한 촬영된 이미지들을 수신하고 이를 표시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30)로 입력된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부(170)로 해당 촬영된 이미지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50)는 특정 피사체별로 이미지들을 그룹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어부(150)는 다수의 이미지들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크므로, 이를 이용해 중복된 정보(Redundancy)를 제거하여 압축하는 방법인 정지영상 압축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이미지는 기존의 영상압축 방법으로 압축하고, 다른 하나의 이미지는 해당 하나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나머지 이미지들로 확산하여 중복된 정보를 제거하여 압축하는 인코딩을 수행한 뒤 저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코딩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30)로 입력된 이미지전송 요청에 따라 저장부(170)에 저장된 이미지들을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하도록 제1 송수신부(18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50)는, 이미지복원서버(700)로의 이미지전송에 따라, 이미지복원서버(700)로부터 다각도 촬영단말(100)에 맞는 포맷으로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제1 송수신부(18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50)는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디코딩한 후 표시부(17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입력부(130)로 입력된 저장 요청에 따라 저장부(190)로 디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부(170)는 제1 제어부(130)로부터 다각도 촬영단말(100)의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 및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일 실시 예로, 표시부(170)는 착신단말의 단말번호, 통화연결 버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특정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디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1 송수신부(180)는 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된 서버(예컨대, 이미지복원서버, 700) 및 다른 단말들과 신호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9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저장한다. 일반적인 기능으로 저장부(190)는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착신단말의 단말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90)는 제1 제어부(150)로부터 특정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 디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카메라본체(310), 다수의 카메라렌즈(330) 및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본체(310)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원통형으로 밑단만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카메라렌즈(330)는 렌즈는 다수개가 형성되며, 렌즈의 수는 가변될 수 있다. 다수의 카메라렌즈(330)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어 일정한 화각 및 노출량으로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카메라렌즈(330)는 해상도가 높고 3차원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해 최소 3개 이상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카메라렌즈(330)에서 각 렌즈(330-1 내지 330-n)는 카메라본체(3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렌즈의 전면이 향하고, 카메라본체(310)의 길이(ℓ)방향 상의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를 포함하는 렌즈 열(예컨대, 330-1과 330-2)을 형성한다. 렌즈 열은 카메라본체(310)의 원주상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는 다수의 카메라렌즈(33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들을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하며, 다각도 촬영단말(100)로부터 수신된 피사체에 대한 촬영 요청을 수신하여 카메라렌즈(330)로 전송함으로써, 원격의 촬영이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 예로,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는 카메라본체(330)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인출되어 USB포트로 결합되는 USB 연결 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해당 내용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카메라본체(310)는 원통형뿐만 아니라, 밑면이 개구된 삼각뿔, 및 중앙이 절단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렌즈(330)는 카메라본체(3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규칙적인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다각도 촬영단말(100)에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이 외장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내장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이 다각도 촬영단말(100)에 내장된 경우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110)와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350)는 제거되고, 다수의 카메라렌즈(330)와 제1 제어부(150)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복원서버(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복원서버(700)는 제2 송수신부(710), 제2 제어부(730) 및 데이터베이스(75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송수신부(71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한다.
제2 제어부(73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들을 수신하도록 제2 송수신부(710)를 제어하며, 수신된 다각도 이미지들을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한다.
제2 제어부(730)는 수신된 다각도 이미지들을 이용해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한 다. 일 실시 예로, 제2 제어부(730)는 다각도 이미지 중 중첩된 부분을 추출하여 중첩된 부분의 한 면을 제거하여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하나의 피사체에 대한 3차원으로 표시가 가능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제어부(730)는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대한 인코딩(Encoding)을 수행하여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2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730)는 생성된 3차원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단말로의 전송을 위해 멀티뷰인코딩을 수행한다. 제2 제어부(730)는, 다각도 촬영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멀티뷰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 중 다각도 촬영단말(100)에 해당하는 해상도로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하도록 제2 송수신부(710)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3차원 이미지 요청시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자신이 처리 가능한 포맷정보를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750)는 제2 제어부(730)로부터 다각도 이미지들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750)는 제2 제어부(730)에 의해 생성된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은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하여(S10), 다각도 촬영단 말(100)로 촬영된 다각도 이미지를 전송한다(S12).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300)로부터 다각도 이미지를 수신한 뒤,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다각도 이미지를 표시 또는 저장한다(S14).
다각도 촬영단말(100) 사용자는 다중 촬영카메라모듈(300)에 의해 촬영되어 수신된 다각도 이미지를 저장부(도 2, 190)에 저장함으로써, 3차원 이미지의 필요시 이미지복원서버(700)로 다각도 이미지를 전송하거나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직접 연결을 통해 3차원 이미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이미지전송 요청에 따라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다각도 이미지를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한다(S16).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다수의 다각도 이미지에 해당되는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고, 멀티뷰인코딩을 수행한다(S18).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단계(S18)의 완료에 따라 이미지 생성 및 멀티뷰인코딩이 완료됐음을 나타내는 완료신호를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한다(S20).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자신이 처리 가능한 포맷정보와 함께 3차원 이미지 요청을 이미지복원서버(700)로 전송한다(S22).
이미지복원서버(700)는 단계(S18)에 의해 멀티뷰인코딩된 다수의 3차원 이미지 파일 중 다각도 촬영단말(300)의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 파일을 다각도 촬영단말(100)로 전송한다(S24).
다각도 촬영단말(100)은 인코딩된 3차원 이미지를 디코딩하여 표시한다(S26).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은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특정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 촬영 및 복원을 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복원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다각도 촬영단말 110: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
130: 입력부 150: 제1 제어부
170: 표시부 180: 제1 송수신부
190: 저장부 300: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
310: 카메라본체 330: 카메라렌즈
350: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 500: 통신망
700: 이미지복원서버 710: 제2 송수신부
730: 제2 제어부 750: 데이터베이스

Claims (9)

  1.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을 구비한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로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다각도 이미지 중 중복된 이미지를 제거하여 압축하는 압축하는 단계;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압축된 다각도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포맷정보를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만을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단계에서 상기 다각도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 전에,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은 상기 촬영된 다각도 이미지를 저장 또는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방법.
  3.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로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다각도 이미지 중 중복된 이미지를 제거하여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다각도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포맷정보를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만을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부터 촬영된 상기 특정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다각도 이미지를 수신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멀티뷰인코딩을 수행한 후에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의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만을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이 상기 3차원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지원하는 이미지복원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4. 이미지복원서버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1 송수신부;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로 특정 피사체에 대한 다각도 이미지를 촬영하고, 상기 다각도 이미지 중 중복된 이미지를 제거하여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다각도 이미지와 상기 피사체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포맷정보를 이미지복원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만을 상기 이미지복원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제1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수신된 3차원 이미지를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은,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에 내장 또는 외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이 외장된 경우 상기 외장된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과 상기 제1 제어부를 연결하기 위한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도 촬영카메라모듈은,
    다수의 카메라렌즈와 상기 제1 입출력인터페이스를 연결하기 위한 제2 입출력인터페이스;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도 촬영단말.
  8. 다각도 촬영단말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 제2 송수신부; 및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부터 촬영된 특정 피사체로부터 얻어진 다각도 이미지를 수신하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3차원 이미지를 멀티뷰인코딩을 수행한 후에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의 포맷정보에 매칭되는 3차원 이미지만을 상기 다각도 촬영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제2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다각도 이미지 중 중첩된 부분을 추출하여 상기 중첩된 부분의 한 면을 제거하여 상기 다각도 이미지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복원서버.
  9. 삭제
KR1020090016727A 2009-02-27 2009-02-27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KR10133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7A KR101334129B1 (ko) 2009-02-27 2009-02-27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727A KR101334129B1 (ko) 2009-02-27 2009-02-27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68A KR20100097868A (ko) 2010-09-06
KR101334129B1 true KR101334129B1 (ko) 2013-11-29

Family

ID=4300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727A KR101334129B1 (ko) 2009-02-27 2009-02-27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4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294A (ko) 2022-10-04 2024-04-12 오영식 이동하는 카메라로 다중 촬영한 사진들의 해상도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584B1 (ko) * 2013-10-11 2015-03-31 주식회사 세가온 가상 3차원 영상 콘텐츠 제어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102649210B1 (ko) * 2023-02-02 2024-03-19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지하시설물의 이미지를 입체적으로 처리하는 영상처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88A (ja) 1998-09-11 2000-03-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3次元共有仮想空間通信サービスにおける顔画像制御方法,3次元共有仮想空間通信用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1251647A (ja)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立体画像情報処理装置
JP2002058046A (ja) 2000-08-11 2002-02-22 Minolta Co Ltd 撮像システムおよび3次元カメラ
KR20030054360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케이티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0288A (ja) 1998-09-11 2000-03-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3次元共有仮想空間通信サービスにおける顔画像制御方法,3次元共有仮想空間通信用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1251647A (ja)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立体画像情報処理装置
JP2002058046A (ja) 2000-08-11 2002-02-22 Minolta Co Ltd 撮像システムおよび3次元カメラ
KR20030054360A (ko) * 2001-12-24 2003-07-02 주식회사 케이티 2차원 영상을 3차원 영상으로 변환하는 영상 변환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7294A (ko) 2022-10-04 2024-04-12 오영식 이동하는 카메라로 다중 촬영한 사진들의 해상도 향상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7868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470B1 (ko) 촬상 시스템, 촬상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시스템
JP6240642B2 (ja) イメージ撮影装置のイメージを提供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6740996B2 (ja) データ生成装置、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90074B2 (ja) 立体視画像処理装置、立体視画像表示装置、立体視画像提供方法、および立体視画像処理システム
US20060164509A1 (en) Stereo camera/viewer
CN107592549B (zh) 基于双向通信的全景视频播放拍照系统
US201202935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three-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using difference information
WO2017118662A1 (en) Spherical virtual reality camera
JP2007053717A (ja) 静止画像を共に出力する保安監視システム
KR100800653B1 (ko) 3차원 입체 영상을 압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34129B1 (ko) 다각도 촬영단말을 이용한 3차원 이미지 획득 시스템 및 이미지 획득 방법
CN111147883A (zh) 直播方法、装置、头戴显示设备和可读存储介质
JP6724659B2 (ja) 撮影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205647708U (zh) 使用硬件电路对鱼眼镜头所成图像实时矫正和拼接的系统
JP6157220B2 (ja) 出力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1034187A (zh) 动态图像的生成方法、装置、可移动平台和存储介质
US11825191B2 (en) Method for assisting the acquisition of media content at a scene
CN114793276A (zh) 一种拟真现实元宇宙平台3d全景拍摄方法
CN113409209A (zh) 图像去模糊方法、装置、电子设备与存储介质
CN109479147B (zh) 用于时间视点间预测的方法及技术设备
KR100446528B1 (ko) 휴대단말기에서 입체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CN220711570U (zh) 虚拟现实装置及虚拟现实直播系统
EP32037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ative of a focalization distance associated to an image belonging to a focal stack representative of a light field content
JP7382186B2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28453B2 (en) Device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