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670B1 -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670B1
KR101333670B1 KR1020120080693A KR20120080693A KR101333670B1 KR 101333670 B1 KR101333670 B1 KR 101333670B1 KR 1020120080693 A KR1020120080693 A KR 1020120080693A KR 20120080693 A KR20120080693 A KR 20120080693A KR 101333670 B1 KR101333670 B1 KR 101333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rope
information
conveyor bel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0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식
Original Assignee
(주) 씨티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티코어 filed Critical (주) 씨티코어
Priority to KR1020120080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전자 바닥 장치는, 로프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지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고,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과 각각 연결되고, 본체부,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부,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회전력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Electronic floor apparatus working together display apparatus providing contents according to operating of rope, and contents provid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올라선 바닥의 마찰력을 제어하거나 경사 또는 방향을 제어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이르러, 스마트 폰과 태블릿 PC 등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사용자가 활용가능한 컨텐츠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단말에서 사용되는 컨텐츠들은 터치나 모션 기술의 활용에 국한되지 않고 햅틱 기술 등의 활용을 통해 보다 높은 현실감의 제공을 모색하게 된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이라는 특성상 사용자 인터랙티브 측면에서 진동, 소리, 영상 이외에 대한 활용이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며,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도 버튼이나 화면 터치에 국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의 현실감을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모바일 단말이 아닌 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21912(2010.11.19)와 같은 게임 기기와 같이 기존의 장치들에서도 조이스틱이나 리모콘과 같은 모형의 인터페이스 수단을 이용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현장감 있는 컨텐츠 활용의 제공이 불가능하다.
특히, 로프의 조작에 따라 화면의 컨텐츠를 변경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단순히 로프를 당기는 조작이나 로프를 흔드는 조작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함에 그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충분히 전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실과 동일한 인터페이스 수단과 함께 시뮬레이션 영상을 제공함과 동시에 지면에서의 마찰력이나 지면의 위치 또는 방향을 영상에 대응되는 환경으로 구축함으로써, 현실감과 현장감 측면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높은 만족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실과 동일한 인터페이스의 활용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우수한 현실감과 현장감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를 통해, 로프를 조작할 때의 표면 마찰력, 방향에 따른 로프 조작 및 경사에 따른 로프 조작에 있어서의 현장감을 배가시킬 수 있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는, 로프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지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 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된 무게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무게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자 바닥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방향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수직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경사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경사이 조절되도록 상기 경사 조절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 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기초로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고,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을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자 바닥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자 바닥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임계마찰력을 초과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회전력 정보와 상기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로프 조작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의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단에서 측정된 당기는 힘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조합 결과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에 위치한 봉에 감긴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봉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봉이 회전하는 회전력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조합 결과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 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기초로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자 바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전자 바닥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임계마찰력을 초과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전자 바닥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단계;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프와 관련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실제 로프를 마련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로프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아이템을 실제로 조작하는 것과 같은 실감나는 아이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를 통해, 로프를 조작할 때의 표면 마찰력, 방향에 따른 로프 조작 및 경사에 따른 로프 조작에 있어서의 현장감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실제감 있는 컨텐츠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닥 장치의 경사 조절 예와 방향 조절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바닥 장치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바닥 장치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로프에 작용하는 힘과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의 조합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자 바닥 장치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라 전자 바닥 장치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로프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로프 조작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하, '로프 장치'로 총칭)(10)와 로프 장치(10)와 연동되며 로프 장치(10)의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지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이하, '바닥 장치'로 총칭)(100)로 구성된다.
로프 장치(10)는 로프와 관련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고, 실제 로프를 통해 화면에 표시된 영상이나 컨텐츠를 실제로 조작하는 것과 같은 실감나는 아이템 조작을 가능하도록 한다. 로프 장치(10)에서 로프는 사용자가 로프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를 조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화면 상에서 줄에 매달린 풍선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로프를 잡아 당기면 화면 상의 풍선 아이템들이 잡아당겨지는 효과를 가지도록 줌-인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화면 상에서 줄에 매달린 캐릭터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사용자가 로프를 흔들면 화면 상의 캐릭터 아이템들이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효과를 가지도록 화면 아래 방향으로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의 일단은 로프 장치(10)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마련되고 타단은 로프 장치(10)의 외부에 존재하도록 마련되며, 개구부를 통해 로프 장치(10)를 관통하게 된다.
이러한 로프는 탄성력이 약한 밧줄이나 탄성력이 강한 고무줄이 될 수 있고, 하나의 가닥 또는 복수의 가닥으로 마련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자재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교체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로프 장치(10)에 마련된 로프는 로프 장치(10)의 내에 존재하는 특정 부분의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프를 잡아당기거나 흔드는 조작은, 특정 부분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나 방향 또는 패턴 등을 통해 분석될 수 있다.
또한, 로프에 대한 조작이 분석되면, 로프 장치(10)는 이러한 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기초로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레벨의 크기로 로프를 잡아당기는 경우, 로프 장치(10)는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힘에 대응되는 크기를 감지 또는 분석하게 되고, 이러한 힘에 대응되도록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이 잡아당겨지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영상을 변경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더 큰 레벨의 크기로 잡아당기는 경우, 로프 장치(10)는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아이템들이 더 많이 잡아당겨지거나 더 빨리 잡아당겨지는 효과가 나타나도록 영상을 변경하게 된다.
한편, 로프 장치(10)는 로프의 특정 부분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나 방향 또는 패턴 등과 함께,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로프 장치(10)에 마련된 로프는 로프 장치(10)의 내에 존재하는 봉에 감긴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로프를 잡아당기거나 흔드는 조작은, 봉에 감긴 로프가 풀리면서 마찰력에 의해 봉이 회전하는 속도나 패턴 등을 통해 분석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로프에 대한 조작이 분석되면, 로프 장치(10)는 이러한 로프에 가해지는 힘을 기초로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로프 장치(10)는 로프가 연결된 봉의 회전력이나 회전 패턴 등과 함께,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바닥 장치(100)는 일반적인 런닝머신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즉, 바닥 장치(100)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과 이러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를 구비하며,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발을 구르는 사용자의 구름 동작을 기초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바닥 장치(100)는 로프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로프 장치(10)와 연동되어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지면 환경이 제공되도록 컨베이어 벨트의 임계마찰력을 제어하고, 바닥 장치(100)의 방향과 경사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로프 장치(10)의 화면에 모래밭 지대나 늪 지대와 같은 환경이 디스플레이되면, 바닥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의 임계마찰력이 높게 설정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더 큰 힘을 가해야만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더 큰 힘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가 다시 로프 장치(10)로 전달되어, 로프 장치(10)의 화면에는 아이템 또는 캐릭터가 이동하며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로프 장치(10)의 화면에 산악 지대와 같은 환경이 디스플레이되면, 바닥 장치(100)는 바닥 장치(100)에 마련된 두 사이드 프레임 중 어느 한 부분의 높이가 다른 한 부분의 높이보다 높아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경사진 환경을 보다 현장감있게 느낄 수 있게 한다.
뿐만 아니라, 로프 장치(10)의 화면에서 캐릭터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바닥 장치(100)는 바닥 장치(100)에 마련된 두 사이드 프레임 중 어느 한 부분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사용자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가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로프 장치(10)가 로프의 특정 부분에 인가되는 힘의 크기나 방향 또는 패턴 등과 함께,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는, 바닥 장치(100)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로프가 당겨지는 힘과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야 사용자가 발휘하는 힘으로 산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프를 잡아당기는 힘의 레벨의 크기가 3이고 사용자가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레벨의 크기가 2인 경우, 바닥 장치(100)는 '2'라는 레벨의 크기를 로프 장치(10)로 전송하고 로프 장치(10)는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2'라는 레벨의 크기와 줄을 당기는 힘의 레벨의 크기인 '3'을 조합하여 비로소 사용자가 발휘하는 힘의 크기가 '5'인 것으로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바닥 장치(100)는 조합된 힘의 레벨의 크기인 '5'에 대응되도록 화면의 영상을 변경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로프 장치(10)는 로프가 연결된 봉의 회전력이나 회전 패턴 등과 함께,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조합하여 화면 상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할 수도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 역시 마찬가지 논리로서, 바닥 장치(100)에 마련된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기 때문에 로프가 연결된 봉이 회전하는 회전력과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야 사용자가 발휘하는 힘으로 산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로프가 연결된 봉이 회전하는 회전력의 레벨의 크기가 3이고 사용자가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의 레벨의 크기가 2인 경우, 바닥 장치(100)는 '2'라는 레벨의 크기를 로프 장치(10)로 전송하고 로프 장치(10)는 바닥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2'라는 레벨의 크기와 봉이 회전하는 회전력의 레벨의 크기인 '3'을 조합하여 비로소 사용자가 발휘하는 힘의 크기가 '5'인 것으로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도 바닥 장치(100)는 조합된 힘의 레벨의 크기인 '5'에 대응되도록 화면의 영상을 변경하게 된다.
이와 같이 로프 장치(10)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고 바닥 장치(100)와 함께 사용하며,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가 연동되도록 함으로서, 로프를 조작할 때의 표면 마찰력, 방향에 따른 로프 조작 및 경사에 따른 로프 조작에 있어서의 현장감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실제감 있는 컨텐츠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 장치(100)는 통신부(210), 마찰 조절부(220), 경사 조절부(230), 방향 조절부(240), 벨트 회전 감지부(250), 무게 감지부(260), 제어부(270) 및 저장부(280)로 구성된다.
통신부(210)는 로프 장치(10)와의 연동이 가능하도록 로프 장치(10)와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통신부(210)는 로프 장치(10)로부터 로프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로프 장치(10)로 전달한다.
즉,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서, 바닥 장치(100)의 컨베이어 벨트가 해당 임계마찰력을 기준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게 되면 해당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로프 장치(10)로 전달함으로서, 로프 장치(1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또는 컨텐츠가 해당 회전력을 기준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바닥 장치(100)의 컨베이어 벨트가 해당 임계마찰력을 기준으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해,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는 마찰 조절부(220)로 전달되게 된다. 마찰 조절부(220)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컨베이어 벨트의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여, 보다 큰 힘으로 발을 굴러야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거나 보다 적은 힘으로 발을 굴러도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게 된다.
또한, 통신부(210)는 후술한 무게 감지부(260)에서 감지된 무게 정보가 로프 장치(10)로 전달되도록 하고, 로프 장치(10)로부터 로프 장치(1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경사 정보와 방향 정보를 수신하여 각각 경사 조절부(230)와 방향 조절부(2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경사 조절부(230)는 수신된 경사 정보를 기초로 바닥 장치(100)의 경사가 변경되도록 하고, 방향 조절부(240)는 수신된 방향 정보를 기초로 바닥 장치(100)의 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 장치의 경사 조절 예와 방향 조절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a와 도 3b의 상단 도면들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예를 도시한 것이며 하단 도면들은 경사가 조절되거나 방향이 조절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에서는 로프 장치(10)를 기준으로 할 때, 바닥 장치(100)의 전면부가 X도 만큼 올라가 경사지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바닥 장치(100)의 후면부가 올라가 경사지도록 상정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또한, 도 3b에서는 로프 장치(10)를 기준으로 할 때, 바닥 장치(100)가 오른쪽으로 B도 만큼 방향을 이동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바닥 장치(100)가 왼쪽으로 방향을 이동하도록 상정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고 볼 것이다.
다시 도 2에 대해 설명하면, 벨트 회전 감지부(250)는 일반적인 상황이나, 임계마찰력이 변경된 상황이나, 경사가 조절된 상황이나, 방향이 조절된 상황에서 줄을 잡고 있거나 줄을 당기고 있는 사용자가 뒷걸음치며 발을 굴러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정도를 감지하게 된다.
벨트 회전 감지부(250)에서 감지된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로프 장치(10)로 전달되고, 로프 장치(10)는 이러한 회전력 정보를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변경하게 된다.
이러한 벨트 회전 감지부(250)는 전술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게 되고 나머지 하나의 사이드 프레임에는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부(220)가 장착되게 된다.
또한,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및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에는 사이드 프레임과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하기 위한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의 본체부 프레임(미도시)이 마련되며, 이러한 본체부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과 각각 연결되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체부의 프레임의 하단에는 전술한 경사 조절부(230)와 방향 조절부(240)가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바닥 장치(100)의 경사 및 방향이 변경되도록 한다.
한편, 무게 감지부(260)는 컨베이어 벨트 상의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는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마다 이용중인 컨텐츠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무게 감지부(260)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무게를 측정하여 해당 무게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전술한 통신부(210)에 의해 로프 장치(10)로 전달되고, 로프 장치(10)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저장부(280)는 전술한 사용자 정보 뿐만 아니라, 회전력 정보, 경사 정보, 방향 정보와 같은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바닥 장치(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로프 장치(10)와 연동되기 위한 프로토콜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전술한 통신부(210), 마찰 조절부(220), 경사 조절부(230), 방향 조절부(240), 벨트 회전 감지부(250), 무게 감지부(260) 및 저장부(280)를 제어하여, 바닥 장치(100)가 로프 장치(10)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로프와 관련된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도 4는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무게 감지 결과에 따라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바닥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의 무게가 감지되는지 판단하고(S410),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S410-Y) 감지된 무게 정보를 로프 장치(10)로 전달하게 된다.
로프 장치(10)는 감지된 무게에 대응되는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사용자가 이용한 컨텐츠 이용 내역을 조회하게 된다(S430).
이후, 로프 장치(10)는 조회결과에 따른 컨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게 되고(S44), 바닥 장치(100)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정보를 전달하고 상호 동기화를 진행한다(S450).
도 5는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로프에 작용하는 힘과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의 조합에 따라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로프 장치(10)는 컨텐츠에 대한 조작 설정 사항을 확인하게 된다(S510). 예를 들어, 컨텐츠에 대한 조작은 바닥 장치(100)와의 연동없이 로프 장치(10)만으로 조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고, 로프 장치(10)에서 줄을 당기는 조작없이 바닥 장치(100)의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조작만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로프 장치(10)는 바닥 장치(100)와 로프 장치(10)가 연동된 것으로 확인되면(S520-Y), 로프 장치(10)에 연결된 로프를 당기는 힘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S530).
이와 병렬적으로 바닥 장치(100)는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 속도 또는 회전력을 측정하며(S540), 측정된 회전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로프 장치(10)에 전달한다(S550).
로프 장치(10)는 로프를 당기는 힘과 벨트 회전속도 또는 회전력을 조합하고(S560), 조합된 결과가 컨텐츠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정도인지 판단하며(S570), 컨텐츠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정도인 경우(S570-Y), 조합된 결과에 따라 화면의 컨텐츠가 변경되도록 조작하게 된다(S580).
도 6은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 간의 연동 동작을 도시한 것으로서, 로프 장치(1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따라 바닥 장치(100)를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로프 장치(10)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중 특정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게 된다(S610). 여기서 특정한 이벤트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면 상에서의 진행방향이 변경되거나 특정 아이템이 획득 또는 사용되거나 복수 개의 선택사항들 중 일부가 선택되는 것 등을 의미하며,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이 아니더라도 상태이 변경되는 모든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로프 장치(10)는 컨텐츠의 출력 중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S610-Y), 발생된 이벤트에 대응되는 정보를 바닥 장치(100)로 전달하며, 바닥 장치(100)는 수신된 이벤트 정보에 따라, 바닥 장치(100)의 임계마찰력, 경사,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한다.
전술한 모래밭 지대나 늪 지대와 같은 환경이 디스플레이되는 것도 특정한 이벤트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로프 장치(10)와 바닥 장치(100)의 연동을 통해 로프를 조작할 때의 실제 표면 마찰력에 대한 감각을 배양하고 현장감을 부여할 수 있으며, 방향에 따른 로프 조작이나 경사에 따른 로프 조작도 가능케하여 보다 현실감 있는 컨텐츠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로프 장치 100 : 바닥 장치
210 : 통신부 220 : 마찰 조절부
230 : 경사 조절부 240 : 방향 조절부
250 : 벨트회전 감지부 260 : 무게 감지부
270 : 제어부 280 : 저장부

Claims (9)

  1. 로프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며, 상기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지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양 측면부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력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 중 나머지 하나에 장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을 조절하는 마찰 조절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바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와 하단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단부 위에 위치한 사용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게 감지부에서 감지된 무게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무게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면, 상기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자 바닥 장치가 위치한 방향을 조절하는 방향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방향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방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방향이 조절되도록 상기 방향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수직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경사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경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바닥 장치의 경사이 조절되도록 상기 경사 조절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닥 장치.
  5.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 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기초로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을 기초로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전자 바닥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바닥 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임계마찰력을 초과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회전력 정보와 상기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로프 조작 정보를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의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일단에서 측정된 당기는 힘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조합 결과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단에 위치한 봉에 감긴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봉이 회전하게 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봉이 회전하는 회전력과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을 조합하여 상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컨텐츠의 영상이 상기 조합 결과에 대응되는 영상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컨베이어 벨트가 구비된 전자 바닥 장치 위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마련된 로프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화면을 기초로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는 전자 바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에 대응되는 임계마찰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전자 바닥 장치로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임계마찰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임계마찰력이 조절되는 단계;
    사용자에 의해 상기 로프가 당겨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작용하는 힘이 상기 임계마찰력을 초과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되는 경우,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전자 바닥 장치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달되는 단계; 및
    상기 로프를 당기는 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는 회전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변경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20080693A 2012-07-24 2012-07-24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KR101333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93A KR101333670B1 (ko) 2012-07-24 2012-07-24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0693A KR101333670B1 (ko) 2012-07-24 2012-07-24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670B1 true KR101333670B1 (ko) 2013-11-27

Family

ID=4985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0693A KR101333670B1 (ko) 2012-07-24 2012-07-24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97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벡터측정 장치
KR101969398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속도측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KR100804190B1 (ko) 2005-03-30 2008-02-18 이재주 전동 운동기구
WO2010059066A1 (en) 2008-11-19 2010-05-27 Industrial Research Limited Exercise device and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5165A (ja) * 1997-03-07 1998-11-17 Sega Enterp Ltd 魚釣り遊戯装置
KR100804190B1 (ko) 2005-03-30 2008-02-18 이재주 전동 운동기구
WO2010059066A1 (en) 2008-11-19 2010-05-27 Industrial Research Limited Exercise device and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397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벡터측정 장치
KR101969398B1 (ko) * 2017-12-22 2019-04-16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유도 훈련용 속도측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62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rtual reality content to a user based on body posture
EP2494432B1 (en)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20160059078A1 (en) Communicable exercise apparatus
EP2527017B1 (en) Game program, game system, and game processing method
US10712900B2 (en) VR comfort zones used to inform an In-VR GUI editor
KR101151054B1 (ko) 가상 현실 세계에서의 이동 체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7291221B (zh) 基于自然手势的跨屏幕自适应精度调整方法及装置
KR2017008458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72272B1 (ko) 제어 기기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21001446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20117104A (ko) 가상현실 러닝머신
KR101199097B1 (ko)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바이크 및 바이크의 구동방법
KR101333670B1 (ko) 로프의 조작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되는 전자 바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과 컨텐츠 제공 방법
CN107530582A (zh) 计算机娱乐系统的控制器
JP2013172962A (ja) 仮想オブジェクトの制御方法および/または制御システム
CN106484117A (zh) 一种vr设备的辅助控制装置、控制方法及vr设备
JP6082190B2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表示システム
CN106293329A (zh) 一种在终端上呈现界面元素阵列的方法、装置及终端
CN108671477B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青少年健身器材和使用方法
JP6673796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2020163210A (ja) 情報処理方法、装置、及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102053501B1 (ko) 롤러 기반의 트레드밀 시스템을 이용한 vr 환경에서의 걷기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2895B1 (ko) 야구 게임의 투구 방법 및 시스템
JP2017049899A (ja) 入力装置
KR101987864B1 (ko) 게임 유저의 액션 기반 전자 게임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