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370B1 -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370B1
KR101333370B1 KR1020120041042A KR20120041042A KR101333370B1 KR 101333370 B1 KR101333370 B1 KR 101333370B1 KR 1020120041042 A KR1020120041042 A KR 1020120041042A KR 20120041042 A KR20120041042 A KR 20120041042A KR 101333370 B1 KR101333370 B1 KR 10133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current value
led
voltag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8110A (ko
Inventor
서영석
오준규
오재현
임해용
장자순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41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370B1/ko
Publication of KR20130118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Led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위치 소자, 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LED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의 전류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따르면, 인덕터의 양단에 흐르는 전압과 인덕터의 전류가 0이 되는 시점을 이용하여 별도의 센싱 저항 없이 LED의 전류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Switch mode LED driver circuit and driving method for thereof}
본 발명은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센싱 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LED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 드라이버 회로는 LED에 흐르는 전류의 측정을 위해 센싱 저항을 LED에 직렬 연결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센싱 저항의 저항 값은 이미 알고 있으므로 센싱 저항에 걸리는 전압 값만 측정하면 전류 값을 손쉽게 연산할 수 있다. 센싱 저항을 이용하여 LED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배경 기술은 국내특허공개 제10-2006-009476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센싱 저항을 통해 LED에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기 위해서는 아주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고전력의 저항(0,1Ω 이하의 고정밀, 고전력 저항)을 사용해야 한다. 여기서 아주 낮은 값의 저항이라 하더라도 저항 자체가 에너지를 소비하는 소자에 해당되므로 센싱 저항은 LED 드라이버 회로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더욱이,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고전력의 저항은 일반적인 저항과 대비하여 고가에 해당되므로 제품의 단가를 상승시킨다.
또한, 기존의 센싱 저항은 회로에 직접 직렬로 삽입되는 요소로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회로 구동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센싱 저항 없이 인덕터의 양단에 흐르는 전압을 이용하여 LED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위치 소자, 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LED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와,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의 전류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 t1으로부터 임의 시점 t2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을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2031249758-pat00001
여기서, iL(t2)는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 L은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 vL(t)는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함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현재 구동 중인 스위치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바로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BCM(Boundary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가 상기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모드로 변환 동작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정 시간 동안 오프 구동시킨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소자를 다시 온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은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위치 소자, 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LED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와,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탐색부와,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전류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의 전류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는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에 따르면, 인덕터의 양단에 흐르는 전압과 인덕터의 전류가 0이 되는 시점을 이용하여 별도의 센싱 저항 없이 LED의 전류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덕터 양단에서 전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회로의 형태와 무관하게 LED 전류의 측정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에너지 소비소자인 센싱 저항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회로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위치 소자의 모드에 따른 인덕터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100)에는 스위치 소자(10), LED(30),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10) 및 LED(30)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20)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 소자(10)는 턴온 또는 턴오프 스위칭 동작을 통해 Vcc 전원을 인덕터(20)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FET 등과 같은 소자로 구현된다. 인덕터(20)는 스위치 소자(10)의 신호 출력을 적분하여 LED(30)에 직류 전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ED(3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제어하기 위하여 기존과 같이 LED(30)에 직렬 연결되는 센싱 저항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인덕터(2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LED(30)의 전류를 측정 및 제어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100)는 전압 센싱부(110), 탐색부(120), 전류 계산부(130), 획득부(14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 센싱부(110)는 상기 인덕터(20)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압 센싱부(110)는 전압을 센싱할 수 있는 소자라면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센싱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요소들은 전압 센싱부(1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고 회로를 컨트롤하는 구성으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 부분에 해당된다.
그 중 상기 탐색부(120)는 전압 센싱부(110)의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한다. 만약 인덕터(20)의 양단의 센싱된 전압 값이 0V 라면 I=V/R 식에 의해 인덕터(20)에 흐르는 전류 값도 0에 해당될 것이다.
이렇게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인덕터(20)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게 되면 인덕터(20)의 전류를 계산할 수 있으나, 인덕터(20)의 전압만을 측정하게 되면 인덕터 회로의 초기 전류i(0)의 누적으로 인해 전류 값에 대한 에러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 전류가 상쇄될 수 있도록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고, 이 탐색된 시점부터 임의 시점까지의 전류 값을 연산한다면 초기치의 누적과 무관한 즉, 에러가 없는 전류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류 계산부(130)는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전류 계산부(130)에 의해 계산된 전류 값은 상기 LED(30)에 흐르는 전류 값에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획득부(140)는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30)의 전류 값을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10)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3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LED(30)에 흐르는 전류 값이 곧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에 해당되므로, 이를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소자(10)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한다면, LED(3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원하는 범위 내로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100)의 구동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압 센싱부(110)는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한다(S210).
그리고, 상기 탐색부(120)에서는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한다(S220). 이러한 S220 단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의 스위치 소자의 모드에 따른 인덕터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스위치 소자(10)의 턴온 및 턴오프 스위칭 구동에 따라 상기 인덕터(20)에 흐르는 전류 파형은 시간 흐름에 대해 펄스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의 (a)와 (b)는 각각 스위치 소자(10)의 스위치 모드가 BCM(Boundary conduction mode)으로 구동할 경우 및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으로 구동할 경우의 인덕터(20)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여기서, BCM은 CCM(Continuous Conduction Mode)과 DCM의 경계에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도 3에서 I0 는 인덕터(20)의 평균 전류 값을 나타낸다. ΔIL은 전류 파형의 최대값과 최저값의 차이에 해당된다. 만약 I0 값이 0.5×ΔIL값과 동일하면 스위치 소자(10)는 BCM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며, I0 값이 0.5×ΔIL값보다 작으면 스위치 소자(10)는 DCM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I0 를 이용하여 스위치 소자(10)의 현재 구동 중인 스위치 모드가 어떤 모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스위치 모드가 도 3의 (b)와 같은 DCM 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탐색부(120)에서는 인덕터(20)의 전류 값 IL이 0이 되는 구간을 바로 탐색한다. DCM 모드에서는 IL이 0이 되는 구간이 각 주기당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므로 구간의 탐색이 효과적이다.
이에 반해,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도 3의 (a)와 같은 BCM 모드인 경우, 상기 탐색부(120)에서는 상기 스위치 소자(10)가 DCM 모드로 변환 동작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인덕터(20)의 전류가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도록 한다. 이는 BCM 모드에서는 인덕터(20)의 전류 값 IL이 0이 되는 구간이 순간적으로 발생하므로 구간의 탐색 효율 및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방식은 스위치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통해 인덕터(20)의 전류 값 IL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방식이나, 이외에도 스위치 모드와 관계없이 스위치 소자(10)를 일정 시간 오프 구동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탐색부(120)는 상기 스위치 소자(10)를 일정 시간 동안 오프 구동시켜 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한 다음, 상기 스위치 소자(10)를 다시 온 구동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S220 단계 이후에는,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한다(S230).
예를 들어, 스위치 소자(10)가 현재 DCM 모드로 동작 중이거나, 혹은 BCM 모드에서 DCM 모드로 변경 동작한 경우에는, 도 3의 (b)와 같이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 t1으로부터 임의 시점 t2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을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한다(S230).
Figure 112012031249758-pat00002
여기서, iL(t2)는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 L은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 vL(t)는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함수를 나타낸다. 이러한 v(t)는 시간 흐름에 따른 전압 값으로부터 상기 전압 센싱부(110)로부터 얻어진다.
만약,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학식 1에 초기치 i(0) 성분이 누적(합산)되어 전류 값에 에러가 증가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인덕터(20)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시점을 이용하여 초기치 i(0) 성분을 0으로 갱신함으로써 에러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1 시점은 상기 인덕터(20)의 전류가 0이 되는 탐색 구간 상의 임의 시점이라면 무관하며, 반드시 도 3의 (b)와 같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t1 시간 이후 t2' 시점에서 다시 전류 값이 0이 되므로 t1에서 t2'까지에 대해 수학식 1을 연산하여도 상술한 경우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t2 시점 또한 반드시 t1 시점으로부터 파형의 한 주기까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S230 단계로부터 얻어진 인덕터의 전류 값은 곧 LED(30)의 전류 값에 대응되므로, 상기 획득부(140)에서는 이로부터 LED(30)의 전류 값을 획득한다(S240).
이후에는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10)의 온오프 구동을 실시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30)에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하여 LED(30)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구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인덕터(20)의 양단에 흐르는 전압과 인덕터(20)의 전류가 0이 되는 시점을 이용하여 별도의 센싱 저항 없이 LED(30)의 전류 값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회로 단에 직접적으로 삽입되는 것이 아니라 전압 센싱부(110)와 같은 측정 요소를 이용한 간접적인 측정 방식에 해당되므로, 상기 전압 센싱부(110) 내지 제어부(150)의 고장 발생 시에도 스위치 소자(10), 인덕터(20), LED(30), 전원 등을 포함하는 주회로 동작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LED 드라이버 회로는 앞서 도 1과 같은 형태 이외에도 동일 기술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인덕터(20)의 양단에 단순히 전압 센싱부(110)를 배치하여 전압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을 통해 회로의 형태와 무관하게 LED(30) 전류의 측정 및 제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별도의 센싱 저항을 이용한 기존의 LED 드라이버 회로에 추가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므로, 센싱 저항의 고장 시에 고장 판별 및 전류 측정의 대체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LED(30)의 전류 측정을 위해 기존과 같이 에너지 소비소자인 센싱 저항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회로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신뢰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또는 군용기기 등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Buck Topology의 회로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Topology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위치 소자 20: 인덕터
30: LED 100: LED 드라이버 회로
110: 전압 센싱부 120: 탐색부
130: 전류 계산부 140: 획득부
150: 제어부

Claims (10)

  1. 스위치 소자, 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LED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의 전류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현재 구동 중인 스위치 모드를 판단한 다음,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바로 탐색하고,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BCM(Boundary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가 상기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모드로 변환 동작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 t1으로부터 임의 시점 t2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을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
    Figure 112012031249758-pat00003

    여기서, iL(t2)는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 L은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 vL(t)는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함수를 나타낸다.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정 시간 동안 오프 구동시킨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스위치 소자를 다시 온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
  5.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의 구동방법.
  6. 스위치 소자, LED, 그리고 상기 스위치 소자 및 LED 사이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인 인덕터 전압을 센싱하는 전압 센싱부;
    상기 센싱된 인덕터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탐색부;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으로부터 다른 임의 시점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을 계산하는 전류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으로부터 상기 LED의 전류 값을 획득하는 획득부를 포함하며,
    상기 탐색부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현재 구동 중인 스위치 모드를 판단한 다음,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바로 탐색하고,
    상기 판단된 스위치 모드가 BCM(Boundary conduction mode)인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가 상기 DCM(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모드로 변환 동작하도록 제어한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류 계산부는,
    상기 탐색된 구간 내의 임의 시점 t1으로부터 임의 시점 t2까지의 인덕터 전압 값을 이용하여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을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Figure 112012031249758-pat00004

    여기서, iL(t2)는 상기 t2 시점에서의 인덕터의 전류 값, L은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 값, vL(t)는 상기 인덕터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의 함수를 나타낸다.
  8. 삭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탐색부는,
    상기 스위치 소자를 일정 시간 동안 오프 구동시킨 다음 상기 인덕터의 전류 값이 0이 되는 구간을 탐색하고 상기 스위치 소자를 다시 온 구동시키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10. 청구항 6, 청구항 7,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인덕터의 전류 값과 기준 전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의 온오프 구동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LED에 흐르는 전류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KR1020120041042A 2012-04-19 2012-04-19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KR10133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42A KR101333370B1 (ko) 2012-04-19 2012-04-19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1042A KR101333370B1 (ko) 2012-04-19 2012-04-19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10A KR20130118110A (ko) 2013-10-29
KR101333370B1 true KR101333370B1 (ko) 2013-11-28

Family

ID=49636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1042A KR101333370B1 (ko) 2012-04-19 2012-04-19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3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110A (ko) * 2005-04-25 2008-01-24 카탈리스트 세미컨덕터, 인크. 스텝 다운(step-down) 조정기를 사용한 led전류 바이어스 제어 회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9110A (ko) * 2005-04-25 2008-01-24 카탈리스트 세미컨덕터, 인크. 스텝 다운(step-down) 조정기를 사용한 led전류 바이어스 제어 회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110A (ko)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6999B2 (en) Apparatus, dimmable light emitting diode driver and control method
US815421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for an illumination device with precision current control
US9853548B1 (en) Accurate high-side current emulation with auto-conversion for smart power stage applications
US8836305B2 (en) DC/DC converter
US9167638B2 (en) LED controller circuit
CN103986348B (zh) 操作开关模式功率转换器的方法、控制器和照明系统
US20120139514A1 (en) Switch-mode power supply with enhanced current source capability
CN103207362A (zh) 用于实时监测igbt器件的操作状态的系统和方法
KR102084801B1 (ko) 스위치 제어 회로, 스위치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변환기
KR102047878B1 (ko) 사용 수명 예측 및 예측 결과 확인이 가능한 전력 제어장치 및 방법
US20160294292A1 (en)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Synchronous Rectifiers for High-Frequency Flyback Converters
CN110138209A (zh) 开关电源的模式切换电路和模式切换方法
JP2010206699A (ja) ソレノイド電流制御回路
US20140125304A1 (en) Switching regulator
CN103442489A (zh) 一种led驱动电路的平均模式恒流控制电路及控制方法
US20080012584A1 (en) Real-time load current detecting circuit for CPU
US20150245429A1 (en) Led, testing method and article
US2020035199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ircuit
KR101333370B1 (ko) 스위치 모드 led 드라이버 회로 및 그 구동방법
CN113131722B (zh) 开关变换器的检测电路和控制电路
CN110244111B (zh) 一种板端电源近端和远端电压侦测装置
JP6284582B2 (ja) 調光駆動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50016157A1 (en) Constant switching frequency discontinuous current mode average output current control scheme
CN101828428A (zh) 发光二极管的操作电路和发光二极管的操作方法
CN211086503U (zh) Igbt测定电路及其逆变器桥臂、逆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