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769B1 -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769B1
KR101332769B1 KR1020087013955A KR20087013955A KR101332769B1 KR 101332769 B1 KR101332769 B1 KR 101332769B1 KR 1020087013955 A KR1020087013955 A KR 1020087013955A KR 20087013955 A KR20087013955 A KR 20087013955A KR 101332769 B1 KR101332769 B1 KR 101332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ser equipment
mobile
channel
internet proto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7162A (ko
Inventor
레이날드 보르니어
쟝 루이즈 푸치셀라로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08007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 및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고, 이때 이동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한다. 이동 통신은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및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되는데,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패킷들로 분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들과 공유된 통신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고, 상기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전용 대역폭을 갖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이동 사용자 장비가 제공되며,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는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신하는 동시에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동 사용자 장비는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 사용자 장비의 가입을 변경하기 위한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한다. 이동 사용자 장비는 또한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회선 스위칭채널을 이용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설정하고,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이 설정되는 동안에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기를 지속하고, 그런 다음에 일단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비스의 향상된 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고 호 단절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호의 핸드오버를 용이하게 하도록 작동 가능한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동 원격통신 네트워크들은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사용자 장비(UE)로 및 사용자 장비(UE)로부터 통신하도록 하는 설비를 제공하게 배치된다. 사용자 장비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있을 수 있고,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제공되는 통신 세션이 사용자 장비가 제1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난다면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재-라우팅되거나 또는 인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는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의 부분집합인 커버리지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보다 더 큰 대역폭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사용자 장비는 제공되는 상기 더 큰 대역폭으로부터 이득을 얻기 위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 장비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난다면,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에서 시작된 통신 세션은 상기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를 제공함으로써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에서 지속될 수 있다. 일부의 환경에서는, 이러한 핸드오버가 상기 통신 세션에 대한 어떠한 심각한 중단 없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환경에서는, 서비스의 중단이 발생할 수 있거나 심지어 통신 세션이 단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이동 통신을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기 위한 원격통신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와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고, 상기 이동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된다.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한다. 상기 이동 통신은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및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된다.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패킷들로 분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들과 공유된 통신 베어러를 통해 전달된다.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에서는, 데이터가 전용 대역폭을 갖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신하면서 동시에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활성화하도록 작동 가능한 이동 사용자 장비를 포함한다. 이동 사용자 장비는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 사용자 장비의 가입을 변경하기 위한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한다. 또한, 이동 사용자 장비는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설정하고,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이 설정되고 있는 동안에 패킷 스위칭 채널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기를 지속한다. 일단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면, 이동 사용자 장비는 회선 스위칭 채널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한다.
따라서,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고 있는 동안에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을 일시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향상된 연속성이 제공될 수 있고 호 단절의 발생이 감소할 수 있다.
핸드오버 이벤트는 예컨대 이동 사용자 장비 또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가 현재 가입되어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가 예컨대 이동 사용자 장비가 자신이 현재 가입되어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무선 커버리지를 벗어나고 있기 때문에 통신이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훨씬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음을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핸드오버가 수행될 때 서비스 연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와이맥스(WiMAX) 또는 와이파이(WiFi) 무선 근거리통신망(WLAN)일 수 있는 근거리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보다 더 긴 범위 및 더 큰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예컨대 범용 이동 원격통신 시스템(UMTS)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러므로,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는 이동성을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는 통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한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기지국으로 인계되면서 (UMTS에서 노드 B들s로서 알려진) 기지국 트랜시버들에 의해 제공되는 커버리지 영역의 도처에 이동할 수 있다. 인터넷 프로토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소위 무선 "핫 스팟들" 내에서 짧은 범위의 통신 설비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때 통신 대역폭은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통신 대역폭보다 통상적으로 더 높다.
이동 통신 기술에 친숙한 이들이 이해하는 것과 같이, GSM(2G 네트워크들로서 언급됨)과 같은 일부의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들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전달용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전용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동 사용자 장비에 제공할 수 있다. GPRS 또는 UMTS에 따라 동작하는 것과 같은 다른 셀룰러 네트워크들은 패킷 데이터 통신들을 지원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데이터가 공통 통신 베어러를 통해 다른 이동 사용자 장비 및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로 다중화되는 패킷들을 통해 전달된다. 그러므로,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되는 패킷 데이터 접속은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패킷들이 전달되기 전까지는 대역폭이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의해 소모되지 않는다.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보다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이 음성 통신을 위해 더 우수한 품질을 제공하고 운영자에게 더 저렴하면서 커버리지 관점에서 유일한 대안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와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사이의 핸드오버를 위하여 이동 사용자 장비를 위한 설비를 제공하도록 배치되며, 데이터 패킷들을 잃어버릴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신 서비스의 연속성이 향상된다. 음성 통신이나 비디오 통신과 같은 시간에 민감한 서비스들을 위해, 연속성의 향상이 특히 유용하다. 통신의 연속성의 향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접속은 통신 서비스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설정됨과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설정되는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에서 제공된다.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되는 접속이 패킷 스위칭 채널을 위한 것이므로,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에 이용 가능한 대역폭은 데이터 패킷이 전달되기 전까지 소모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동 사용자 장비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는 동안에는 대역폭이 소모되지 않는다. 그러나,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와의 접속 손실시, 데이터 패킷들은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패킷 스위칭 접속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접속 손실은 이동 사용자 장비가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거나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신호를 갑자기 놓친 결과일 수 있다. 3G 비디오 호 통신 또는 음성 통신과 같은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이 통신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정될 수 있기 전까지 패킷 스위칭 접속이 충분한 연속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예시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는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패킷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및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의 설정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이동 사용자 장비에는 프로토콜 스택이 제공될 수 있는데, 프로토콜 스택은 이동 사용자 장비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세션을 수신하도록 하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채널을 해체(tear-down)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 사용자 장비는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채널을 통해 설정된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 세션을 해체할 수 있고, WLAN의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를 통해 설정된 통신 채널을 UMTS 네트워크에 대하여 해체하기 위해 시그널링 데이터를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다.
한 예시에서, 그리고 특히 통신 세션이 설정된 대응 노드가 회선 스위칭 네트워크 내에 있을 경우에, 인터넷 패킷들을 이용하여 전달되는 데이터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라우팅되고, 결과적으로 정확한 인터넷 프로토콜 세션이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들(IP 패킷들)을 대응 노드에 라우팅하기 위하여 식별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IP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의해 제어된다. SIP 메시지들과 같은 시그널링 데이터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전달되고, 상기 메시지들에 따라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구성하기 위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는 통신 세션을 제어하기 위해 전달되는 메시지들에 응답한다.
한 예시에서, 대응 노드는 IP 네트워크에 소속되고, 따라서 핸드오버 이전에 호는 VoIP(voice-over IP)이고 핸드오버 이후에 호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라우팅된다. 다른 예시에서, 대응 노드는 셀룰러 또는 공중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PSTN)에 소속되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 장비가 초기에 IP 네트워크에 존재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이전에 호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라우팅되고, 핸드오버 이후에 호는 회선 스위칭 호이고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라우팅되지 않는다.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및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이 무선 네트워크 인프라구조 및 공통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이용하여 설정될 수 있으면서,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및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은 별도의 무선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인프라구조를 이용하여서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되고, 이동 사용자 장비 및 원격통신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동반된 도면들을 예시로서 참조하여 이제 기술될 것이며, 유사한 부분들에는 상응하는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1A는 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이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1B는 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이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A는 핸드오버 절차 동안, 도 1A의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2B는 핸드오버 절차 동안, 도 1B의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3A는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된 이후, 도 1A 및 도 2A의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3B는 핸드오버 절차가 완료된 이후, 도 1B 및 도 2B의 원격통신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핸드오버 절차를 도시한 개략적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제어된 핸드오버 절차에 동반되는 개략적인 시그널링 데이터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어되는 핸드오버 절차를 위한 개략적인 시그널링 데이터 흐름도, 및
도 7은 도 6의 핸드오버 절차를 제어하는 이동 사용자 장비의 기능적 아키텍처의 개략도.
도 1A를 참조하면, 인터넷 프로토콜(IP) 코어 네트워크(10), 무선 근거리통신망(WLAN)(20), 및 UMTS 네트워크(30)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무선 근거리통신망은 예컨대 무선 링크를 통한 로컬 영역 네트워크 연동을 제공한다. UMTS 네트워크는 패킷 스위칭 채널 및 회선 스위칭 채널 모두를 통해 광대역 통신을 제공한다. IP 코어 네트워크(10)는 소속된 액세스 네트워크들에 가입된 이동 사용자 장비 사이에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한다. 특히, 본 예시에서, IP 코어 네트워크(10)는 WLAN(20) 및 UMTS 네트워크(30) 모두의 커버리지 영역들 내에 있는 사용자 장비(UE)(22)와 IP 통신 네트워크(도시되지 않음)에 가입된 대응 노드(CN)(42) 사이의 인터넷 프로토콜 통신을 제어한다. 도 1A에서,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사이의 통신 링크들은 실선으로 도시된다. 반대로, 사용자 장비(22)와, 미디어 데이터보다는 시그널링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링크들을 포함하는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통신 링크들은 점선으로 도시된다.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22)가 WLAN(20)을 통해 대응 노드(42)와 통신할 수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 장비(22)는 무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거나 상기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4)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IP 코어 네트워크(10), 특히 IP 코어 네트워크(10) 내 인터넷 프로토콜 이동성 관리자(12)에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 장비(22)와 외부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특히 대응 노드(42)에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26)와 통신한다.
IP 코어 네트워크(10)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MGC)(14)를 이용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A에서, 사용자 장비(22)는 UMTS 네트워크(30)를 이용하여 현재 통신중이지 않으며, 그러므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 및 그들의 상호 접속들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노드 B(31), 노드 B(32) 및 노드 B(33)가 도시되어 있고, 그들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무선 링크를 통해 이동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하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34)는 노드 B(31)를 이용한 통신들을 제어하도록 배치되고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5)는 노드 B(32) 및 노드 B(33)를 이용한 통신들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노드 B들 중 하나와의 무선 접촉을 통해 이동 사용자 장비로 또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달되고 있는 데이터는 통신 세션을 지원하기 위해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또는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중 어느 것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각각의 RNC(34, 35)를 통해 이동 스위칭 센터(MSC)(36) 또는 서비스중인 GPRS 지원노드(SGSN)(37)에 전달될 것이다. 특히,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 이동 사용자 장비로 또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달되고 있는 데이터는 SGSN(37)을 통해 게이트웨이 GPRS 지원노드(GGSN)(38)에 및 그런 다음에 미디어 게이트웨이(50)에 라우팅된다. 대안적으로,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이 사용되는 경우, 이동 사용자 장비로 또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로부터 전달되고 있는 데이터는 MSC(36)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50)에 라우팅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도 1A의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1A의 대응 노드(42)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UMTS 네트워크(30) 내에 존재하며 여기에 가입된 대응 노드(42')로 대체된다. 대안적으로, 대응 노드는 공중 스위칭 전화 네트워크(PSTN)의 일부일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데이터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26)로부터 IP 코어 네트워크(10)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50)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에 미디어 데이터는 미디어 게이트웨이(50)로부터 MSC(36), RNC(34) 및 노드 B(31)를 통해 대응 노드(42')에 전달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WLAN(20)으로부터 UMTS 네트워크(30)로 사용자 장비(22)와 및 대응 노드(42) 사이의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가 발생한 상태의 경우, 도 1A의 원격통신 시스템이 도시되고, 도 1A 및 도 2A의 상응하는 특징들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공된다. 도 2A로부터, 사용자 장비(22)가 WLAN(20)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더 이상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제 사용자 장비(22)는 UMTS 네트워크(30)에 의해서만 서비스받는다. 도 2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는 다양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통해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전달되고, 따라서 도 1A에 도시된 네트워크 엘리먼트들과 상이한 경로를 따른다. 특히, 도 1A에서 미디어 데이터가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전달되고 전진하여 액세스 포인트(24)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26)를 통해 대응 노드(42)에 전달된 반면에, 상기 신호 경로는 이동 사용자 장비(22)에 의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그래서 미디어 데이터는 대신에 UMTS 네트워크(30)를 통해 전달된다. UE(22)는 RNC(35)의 제어 하에서 작동하는 노드 B(32)와 무선 접촉한다. 핸드오버 절차 동안에, 미디어 데이터는 사용자 장비(22)와 미디어 게이트웨이(50) 사이에서 SGSN(37) 및 GGSN(38)을 통해 전달된다.
이제 핸드오버 절차의 제어가 기술될 것이다. 사용자 장비(22)가 WLAN(20)의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할 때, UE(22)는 상기 손실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IP 코어(10)의 IPMM(12)에 전달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UE(22) 또는 IPMM(12)은 UE(22)에 대한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킴으로써 WLAN으로부터 UMTS 네트워크로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하여 MGC가 통신 세션을 UMTS 네트워크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50)에 라우팅하도록 할 것이다. 도 2A에서, UMTS 네트워크(30)의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에 의해 통신 세션이 제공되고, 상기 통신 세션은 특히 UMTS 네트워크(30)의 패킷 스위칭 엘리먼트들인 SGSN 및 GGSN을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대응 노드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다면)에 라우팅된다. 이미 PDP 컨텍스트-활성화된 UMTS 패킷 스위칭 세션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 간은 매우 작으며, 그래서 상대적으로 중단되지 않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이 항상 "온" 이지만 데이터가 실제로 송신되기 전까지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2A의 대응 노드(42)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UMTS 네트워크(30) 내에 존재하며 여기에 가입된 대응 노드(42')로 대체된다. 즉, 도 2B는 WLAN(20)로부터 UMTS 네트워크(30)로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의 통신 세션의 핸드오브가 발생한 상태의 경우, 도 1B의 원격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경우, 미디어 데이터는 UE(22)와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노드 B(32), RNC(35), SGSN(37), GGSN(38), 미디어 게이트웨이(50), MSC(36), RNC(34) 및 노드 B(31)를 통해 전달된다.
도 3A를 참조하면, WLAN(20)으로부터 UMTS 네트워크(30)의 패킷 스위칭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의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상태의 경우, 도 1A 및 도 2A에 도시된 원격통신 시스템이 도시되며, 이때 대응하는 특징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도 2A에서와 같이, UMTS 네트워크(30)를 이용하여 통신 세션이 제공되지만, 이제는 패킷 스위칭 채널이 아니라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시그널링 데이터 및 미디어 데이터는 RNC(35)의 제어 하에서 사용자 장비(22)와 노드 B(32) 사이의 무선 링크를 통해 계속 전달되지만, 3A에서는 SGSN 및 GGSN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대신에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을 미디어 게이트웨이(50)에 제공하기 위하여 MSC(36)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을 설정하는데 요구되는 시간은 대략 4 내지 6초일 것이다. 설정 절차는 WLAN(20)로부터 UMTS 네트워크(30)의 패킷 스위칭 인터페이스로의 초기 핸드오버에 따라 개시되며, 설정 과정이 완료되고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기 전까지,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의 통신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에 의해 제공될 것이다. 도 2A에서와 같이, UMTS 네트워크(30)와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제어는 대응 노드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있다면 MGC(14)로 제공된다. 도 2A 및 도 3A의 비교는,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및 회선 스위칭 채널을 위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의 많은 부분이 동일함을 드러낸다. 도 2A 및 도 3A의 예시에서, SGSN(37) 및 GGSN(38)의 사용은 단지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또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어느 것이 사용되는지에 따라 의존한다.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 또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에 있어서 다른 엘리먼트들은 공통이다.
도 1A 내지 도 3A에서 대응 노드(42)가 WLAN(20) 또는 UMTS 네트워크(30)의 어디에도 가입되지 않은 반면에, 상기 네트워크들 중 어디에도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대응 노드가 동일하거나 다른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경우, 호들은 사용자 장비(22)가 WLAN 커버리지 영역에 존재할 때 미디어 게이트웨이(50)를 통해 통신할 필요 없이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관리될 것이다. 대응 노드가 UMTS 네트워크(30)에 존재하는 경우, 호들은 사용자 장비가 WLAN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할 때 UMTS 네트워크(30) 내에서 관리될 것이다. 상기 후자의 시나리오는 도 1B, 도 2B, 및 도 3B에 의해 도시된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 3A의 통신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나, 도 3A의 대응 노드(42)가 UMTS 네트워크(30) 내에 존재하며 여기에 가입된 대응 노드(42')로 대체된다. 즉, 도 3B는 WLAN(20)로부터 UMTS 네트워크(30)로 사용자 장비(22)와 대응 노드(42) 사이의 통신 세션의 핸드오버가 완료된 상태의 경우, 도 1B 및 도 2B의 원격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이 경우, 미디어 데이터는 UE(22)와 대응 노드(42') 사이에서 노드B(32), RNC(35), MSC(36), RNC(34) 및 노드 B(31)를 통해 전달된다.
도 4에서, 도 1A, 도 2A, 도 3A의 통신 시스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핸드오버 절차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흐름도가 제공된다. 단계(S1)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22)가 WLAN(20) 및 UMTS(30) 커버리지 영역들 모두에 있을 때 스위칭 온 된다. 단계(S2)에서, 통신 세션이 사용자 장비(20)로부터 대응 노드(42)로 또는 대응 노드(42)로부터 사용자 장비(22)로 설정된다. 그 결과, 단계(S3)에서, WLAN(20)이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게 하는 통신 채널이 설정된다. 그 동안에, 단계(S4)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가 WLAN의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과 같은 핸드오버 이벤트가 일어날 것이 틀림없는 상황에서 WLAN(20)의 백업으로서 UMTS 네트워크상에서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이 설정된다. 후속하여, 단계(S5)에서, 사용자 장비(22)는 통신 세션이 여전히 진행중인 동안에 WLAN 커버리지 영역을 벗어난다. 호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단계(S4)에서 설정된 UMTS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이 단계(S6)에서 활성화된다. 상기 활성화 단계는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그래서 단절된 호가 야기될 수 없고, 호의 극심한 불연속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동안에, 단계(S7)에서, UMTS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이 설정된다. 상기 절차는 더 느린데, 통상적으로 완료되기까지 4 내지 6초를 요구한다. 일단 단계(S8)에서 회선 스위칭 채널의 설정이 완료되면, 단계(S9)에서 호는 패킷 스위칭 채널로부터 회선 스위칭 채널로 전달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미디어 데이터의 낮은 지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UMTS 네트워크 통신 채널은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근본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패킷 스위칭 채널은 대역폭에 있어서 제한되고 따라서 운영자 입장에서 자원 효과적이지 못하다. 그러나,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기 전까지 패킷 스위칭 채널이 서비스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비록 어쩌면 낮은 품질로 또는 일부 서비스 제한이 있더라도 이용될 수 있다.
도 5에서, 네트워크 제어된 통신 세션 핸드오버 절차에서 동반되는 시그널링 데이터 흐름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5에 존재하는 기능적 네트워크 엔티티들은 사용자 장비(UE),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 게이트웨이 GPRS 지원노드(GGSN), 회선 스위칭 네트워크 엘리먼트(CS), 인터넷 프로토콜 이동성 관리자(IPMM)이다. 네트워크 제어된 핸드오버 절차는 WLAN로부터 회선 스위칭 셀룰러 네트워크로 핸드오버를 제어하기 위하여 코어 네트워크에서 인터넷 프로토콜 이동성 관리자(IPMM)를 사용한다. UE(22) 및 만일 사용된다면 IPMM은 핸드오버의 결정 및 제어를 허용하는 시그널링 메시지들을 교환하기 위하여 언제든지(사용자 장비가 어디에 위치되든, 즉 WLAN IP 도메인에 있든 또는 CS 도메인에 있든) 패킷 데이터 프로토콜(PDP) 컨텍스트가 활성화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VoIP 세션이 IP 네트워크(WLAN 커버리지 하에서)를 통해 실행중일 때, PDP 컨텍스트가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UMTS 인터페이스상에서 활성화된다.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단계(S101)에서, 사용자 장비는 PDP 컨텍스트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UMTS 네트워크 내 GGSN에 PDP 컨텍스트 활성화 메시지를 전달하고,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실제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기 전까지는 대역폭이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단계(S102)에서, 사용자 장비는 WLAN 상에서 활성 호 세션을 갖지만, 단계(S103)에서, 사용자 장비는 WLAN로부터 이동하여 이로써 커버리지를 벗어난다. 커버리지를 벗어난 이후, 단계(S104)에서 사용자 장비는 모니터링 메시지를 IPMM에 전달한다. 상기 메시지의 결과로서, IPMM은 단계(S105)에서 UMTS 네트워크의 회선 스위칭 도메인으로 통신 세션을 핸드오버할 것을 결정한다. 그러면, 단계(S106)에서, IPMM으로부터 사용자 장비로 핸드오버 명령어가 생성되어 전달된다. 핸드오버 절차는 두 개의 주요한 단계들을 동반한다. 단계(S107)에서 수행되는 제1 단계는, WLAN으로부터 단계(S101)에서 PDP 컨텍스트 활성화 메시지에 의해 이미 설정된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 VoIP 세션을 전달(transfer)하는 것이다. 단계(S108)에서, 사용자 장비가 핸드오버 명령어를 IPMM으로부터 수신하였고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전달의 제1 단계를 수행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핸드오버 명령어 응답신호 메시지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IPMM으로 전달된다.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의 VoIP 세션의 전달과 동시에, 단계(S109)에서, 회선 스위 칭 도메인에서 통신 채널을 설정하기 위하여, 호 설정 요청이 사용자 장비로부터 회선 스위칭 인터페이스로 전달된다. 단계(S110)에서, 사용자 장비는 회선 스위칭 호를 설정하고, 그에 뒤이어, 단계(S111)에서, 회선 스위칭 인터페이스가 설정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에 회신한다. 단계(S112)에서 핸드오버 절차의 제2 단계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서는 VoIP 세션이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부터 UMTS 네트워크의 회선 스위칭 도메인으로 전달된다. 최종적으로, 단계(S113)에서, 사용자 장비가 회선 스위칭 도메인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전달의 제2 단계를 수행하였음을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자 장비는 핸드오버 명령어 응답신호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므로, IPMM이 표준 IPMM 메커니즘들을 이용하여 WLAN IP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UMTS 인터페이스로 사용자 장비의 통신 세션을 일시적으로 스위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VoIP/비디오 세션은 WLAN VoIP/비디오 채널로부터 패킷 스위칭 UMTS VoIP/비디오 채널로 스위칭된다. 동시에, 회선 스위칭 UMTS 도메인에서 호 설정이 수행된다. 패킷 스위칭 UMTS VoIP/비디오 채널은 회선 스위칭 세션이 설정되기 전까지 지속되고, 그런 다음에 상기 호는 표준 3GPP 정의된 메커니즘들을 이용하여 패킷 스위칭 UMTS VoIP/비디오 세션 인터페이스로부터 회선 스위칭 셀룰러 인터페이스로 스위칭된다. 그런 다음에, 패킷 스위칭 VoIP/비디오 채널은 중지될 수 있다.
도 6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 제어된 통신 세션 핸드오버 절차에서 동반되는 시그널링 데이터 흐름도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6에 존재하는 기능적 네트워 크 엔티티들은 사용자 장비(UE),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DG), 게이트웨이 GPRS 지원노드(GGSN), 회선 스위칭 네트워크 엘리먼트(CS)이다. 네트워크 제어된 핸드오버 절차에 관한 도 5와 달리, 도 6은 이동 사용자 장비 제어된 핸드오버 절차에 관한 것이다. 두 절차들의 초기 단계들 중 여러 단계는 동일한데, 특히 단계들(S201, S202, S203)은 도 5의 단계들(S101, S102, S103)과 동일하고 여기에는 반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단계(S204)에서, 네트워크 제어된 절차 및 이동 사용자 장비 제어된 절차가 갈라지는데, 도 6의 이동 사용자 장비 제어된 절차에서는, 사용자 장비가 스스로 UMTS 네트워크의 회선 스위칭 도메인으로 핸드오버할 것을 결정한다. 상기 결정의 결과로서, 단계(S205)에서, 회선 스위칭 도메인에 대한 설정 프로세스를 개시하기 위하여, 호 설정 요청 메시지가 사용자 장비로부터 회선 스위칭 인터페이스로 전달된다. 네트워크 제어된 핸드오버 절차에서와 같이, 두 단계들이 존재한다. 단계(S206)에서, 제1 단계는 WLAN으로부터 PDP 컨텍스트 활성화 메시지를 통해 단계(S201)에서 이미 설정된 UMTS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 VoIP 세션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 장비는 단계(S207)에서 회선 스위칭 호를 설정하고, 회선 스위칭 인터페이스는 단계(S208)에서 설정 완료 메시지를 사용자 장비로 전달한다. 핸드오버 절차의 제2 단계에서, VoIP 세션은 패킷 스위칭 도메인으로부터 회선 스위칭 도메인으로 전달된다.
도 7에서, 도 6의 통신 세션 핸드오버 절차를 제어하는 이동 사용자 장비의 기능적 아키텍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 6의 단계(S204)를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결정 과정을 수행하는 핸드오버 결정 핸들링 로직(710)이 제공된다. 핸드오버 결정 핸들링 로직(710)은 또한 제공된 통신 채널의 타입에 따라, 그리고 특히 통신 채널이 IP 기반 채널인지 또는 회선 스위칭 채널인지의 여부에 따라 VoIP 애플리케이션(720) 및 회선 스위칭 음성 애플리케이션(730) 중 적절한 하나를 선택한다. VoIP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IP 기반 통신 채널이 제공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이것은 IP 기반 WLAN 채널(740)일 수도 있고 패킷 스위칭 UMTS 채널(750)일 수도 있다. 회선 스위칭 음성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회선 스위칭 통신 세션(760)을 이용한 통신 기능을 제공할 것이다.
다양한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상기 기술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추가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정의된다.

Claims (8)

  1.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원격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1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22)에게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됨 -;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3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22)에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데이터가 패킷들로 분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들과 공유된 통신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과, 데이터가 전용 대역폭을 갖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의 가입을 변경하기 위한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이 설정(establish)되는 동안에 상기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계속 통신하고, 및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원격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22)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통신 시스템은 이동성 관리자(12)를 구비한 인터넷 프로토콜 코어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는 상기 이동성 관리자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통신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는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와 다른 이동 사용자 장비 사이에서 실시간 통신을 제공하는,
    원격통신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가 설정될 때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이 설정되는,
    원격통신 시스템.
  6. 이동 사용자 장비(22)로서,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1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됨 -; 및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3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는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데이터가 패킷들로 분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들과 공유된 통신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과, 데이터가 전용 대역폭을 갖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됨 - 에 액세스하도록 작동 가능하고,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활성화하고,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상기 이동 사용자 장비의 가입을 변경하기 위한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고,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설정하고,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이 설정(establish)되는 동안에 상기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계속 통신하고, 그리고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도록 작동 가능한,
    이동 사용자 장비.
  7. 원격통신 방법으로서,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1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됨 -; 및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30)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이동 통신을 위한 설비를 제공하도록 작동 가능한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 - 상기 이동 통신은, 데이터가 패킷들로 분할되고 다른 데이터 패킷들과 공유된 통신 베어러를 통해 전달되는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과, 데이터가 전용 대역폭을 갖는 통신 채널을 통해 전달되는 회선 스위칭 통신 채널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됨 - 를 통해 이동 통신을 이동 사용자 장비(22)에 제공하고,
    상기 원격통신 방법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서비스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패킷 스위칭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액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로 이동 사용자 장비의 가입을 변경하기 위한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의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셀룰러 이동 무선 네트워크상의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이 설정되는 동안에 상기 패킷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계속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이 설정되면 상기 회선 스위칭 채널 상의 접속을 통해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격통신 방법.
  8. 데이터 처리 장치에 설치될 때 제 7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명령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87013955A 2005-11-10 2006-11-07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KR101332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92397A EP1786227A1 (en) 2005-11-10 2005-11-10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EP05292397.6 2005-11-10
PCT/EP2006/068195 WO2007054501A1 (en) 2005-11-10 2006-11-07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7162A KR20080077162A (ko) 2008-08-21
KR101332769B1 true KR101332769B1 (ko) 2013-11-25

Family

ID=35953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955A KR101332769B1 (ko) 2005-11-10 2006-11-07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06276B2 (ko)
EP (2) EP1786227A1 (ko)
JP (1) JP4959711B2 (ko)
KR (1) KR101332769B1 (ko)
CN (1) CN101305637B (ko)
AT (1) ATE480973T1 (ko)
DE (1) DE602006016837D1 (ko)
ES (1) ES2351765T3 (ko)
WO (1) WO20070545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8877A1 (en) * 2006-11-13 2008-05-22 Nokia Corporation A fast combinational voice call continuity from lte to 2g/3g cs domain
WO2008081267A1 (en) * 2006-12-29 2008-07-10 Nokia Corporation A method of handover of circuit-switched voice call to packet-switched voice call
KR100862744B1 (ko) * 2007-01-23 2008-10-1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GB0701637D0 (en) * 2007-01-29 2007-03-07 Mundio Ltd Telephony method and apparatus
WO2009026447A1 (en) 2007-08-21 2009-02-26 Tango Network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rovisioning dual-homed voice call continuity
WO2009121201A1 (en) * 2008-03-31 2009-10-08 Intel Corporation Interworking and handover between wimax networks and other networks
JP5042939B2 (ja) * 2008-08-08 2012-10-0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局
WO2010066082A1 (zh) * 2008-12-12 2010-06-17 上海贝尔阿尔卡特股份有限公司 移动电视网络间切换方法及装置
US20110149848A1 (en) * 2009-08-17 2011-06-23 Qualcomm Incorporated Header compression for relay nodes
CN102577504B (zh) 2009-10-28 2015-01-28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一种将视频通话从ps域切换到cs域的方法和装置
JP5140696B2 (ja) * 2010-04-26 2013-0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EP2567572A4 (en) * 2010-05-03 2017-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over of video calls from a packet switched network to a circuit switched network in a single radio environment
US8346274B2 (en) 2010-05-21 2013-01-01 Apple Inc. Method to control multiple radio access bearers in a wireless device
US9578577B2 (en) * 2011-03-11 2017-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es in communication systems
US20120327851A1 (en) * 2011-05-27 2012-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unneled direct link setup (tdls) for establishing basic service set
US9408177B2 (en) 2011-12-19 2016-08-02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for operator services and internet
US9137171B2 (en) * 2011-12-19 2015-09-15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for operator services and internet
US9210728B2 (en) 2011-12-19 2015-12-08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ource management for operator services and internet
US9668161B2 (en) 2012-07-09 2017-05-30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with a service flow router
US9220123B1 (en) 2014-07-10 2015-1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er-to-peer sharing of network resources
EP3048565B1 (en) 2015-01-21 2019-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transaction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21A (ko) * 1999-07-26 2002-03-06 칼 하인쯔 호르닝어 패킷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KR20040063168A (ko) * 2001-12-19 2004-07-12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모바일 네트워크와 무선 lan 사이의 모바일 단말기를통화 채널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03452A (ko) * 2002-05-21 2005-01-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게이트웨이 및 관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9633A (ja) * 1999-01-14 2000-07-28 Toshiba Corp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移動無線端末装置
GB0011913D0 (en) * 2000-05-17 2000-07-05 Nokia Networks Oy Connec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GB2381706B (en) * 2000-07-03 2004-02-11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and methods for performing a handover between a circuit switched environment and a packet switched environment
US8437368B2 (en) * 2003-06-04 2013-05-07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handing over a call from a packet-switched network to a circuit-switched network
GB0315278D0 (en) * 2003-06-30 2003-08-06 Nokia Corp A method for optimising handover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6975881B2 (en) * 2003-08-25 2005-12-13 Motorola, Inc. Communication controller and method for maintain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during a cell reselection
US7366513B2 (en) * 2003-12-02 2008-04-2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on hold calls
US20050138178A1 (en) * 2003-12-19 2005-06-23 Shaun Astarabadi Wireless mobility manager
EP1551144A1 (en) * 2003-12-31 2005-07-06 France Teleco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communications services
US7697480B2 (en) * 2004-11-22 2010-04-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system active handoff of a hybrid subscriber un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6921A (ko) * 1999-07-26 2002-03-06 칼 하인쯔 호르닝어 패킷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20040063168A (ko) * 2001-12-19 2004-07-12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모바일 네트워크와 무선 lan 사이의 모바일 단말기를통화 채널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03452A (ko) * 2002-05-21 2005-01-10 노키아 코포레이션 패킷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 게이트웨이 및 관련방법
KR20040054213A (ko) * 2002-12-18 2004-06-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46589B1 (en) 2010-09-08
ES2351765T3 (es) 2011-02-10
ATE480973T1 (de) 2010-09-15
CN101305637A (zh) 2008-11-12
JP4959711B2 (ja) 2012-06-27
WO2007054501A1 (en) 2007-05-18
DE602006016837D1 (de) 2010-10-21
JP2009516405A (ja) 2009-04-16
EP1786227A1 (en) 2007-05-16
CN101305637B (zh) 2011-09-21
KR20080077162A (ko) 2008-08-21
US8606276B2 (en) 2013-12-10
EP1946589A1 (en) 2008-07-23
US20080280612A1 (en)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769B1 (ko) 원격통신 장치 및 방법
EP2304999B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upporting a session identifier in case of a transfer between different radio access networks
KR101069470B1 (ko)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로부터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사용자 단말 개시 하드 핸드오프
KR100703264B1 (ko) 다양한 억세스망들이 중첩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음성 및데이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EP1803310B1 (en) Mobilit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s
KR10131158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기반 통신 시스템에서의 베어러 경로의 라우팅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6015904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transfer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US20100260105A1 (en) Domain transfer service continuity provision to a mobile terminal
US200900881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itioning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networks that are not commonly controlled
US20100062776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seamless handover method
JP465483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交換局サーバ、移動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ハンドオーバ方法
KR20050008746A (ko) 셀룰러와 무선 근거리 통신망 사이의 효율적인 핸드오프
KR20070086770A (ko) 패킷 라디오 시스템에서 망 사이 핸드오버
US20020097693A1 (en) Mobile to mobile calls
CN103384397A (zh) 移动通信系统、节点装置以及网间转移控制方法
JP201006823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基地局装置
EP2575320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inter access network handover
US2009011645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gistration of mobile station and generic access network controller
KR200413066Y1 (ko) 이종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온고잉 통신 세션을 전달하기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