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682B1 -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 Google Patents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682B1
KR101332682B1 KR1020120075994A KR20120075994A KR101332682B1 KR 101332682 B1 KR101332682 B1 KR 101332682B1 KR 1020120075994 A KR1020120075994 A KR 1020120075994A KR 20120075994 A KR20120075994 A KR 20120075994A KR 101332682 B1 KR101332682 B1 KR 101332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code
manufacturing
artificial fingerprin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준
김정현
이승윤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5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6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47Preprocessing; Feature extraction

Abstract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으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단계;상기 인식된 지문정보로부터 지문 패턴이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지문 패턴으로부터 QR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ngerprint using QR code and QR cod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재료를 기반으로 QR 코드를 생성하며, 따라서 QR 코드 형태로 전환된 개인 생체 정보는 통상적인 카메라 등과 같은 인식 수단으로는 정보 획득이 불가능하며, 아울러 지문인식기보다 빠르고 정확한 신분 인증이 가능한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누구나 쉽게 만들 수 있는 QR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사람의 지문 형상을 QR코드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인공지문은 여러 방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이나 단체에서 보안이 철저하게 지켜져야 하며, 지문인식기 또한 새롭게 탈바꿈 되어야 한다. 따라서 만들어진 인공지문을 사람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칩의 형태로 만들거나 필름 형태로 만들어 사람의 손에 삽입하거나, 팔찌형태, 또는 문신으로 인공지문을 삽입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 정보와 QR 코드를 융합한 새로운 방식의 인공지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으로,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정보로부터 지문 패턴이 추출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지문 패턴으로부터 QR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 정보이다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지문의 패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패턴은 상기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의 기설정된 복수 지점에 대한 등고 패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은 상기 생성된 QR 코드가 칩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식 인공지문은 칩 형태에 프린트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재료를 기반으로 QR 코드를 생성한다. 따라서 QR 코드 형태로 전환된 개인 생체 정보는 통상적인 카메라 등과 같은 인식 수단으로는 정보 획득이 불가능하며, 아울러 지문인식기보다 빠르고 정확한 신분 인증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생체 정보 기반 QR 코드식 인공지문은 문신 형태 등으로 생체 내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방식의 인공지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방식의 인공지문 및 이를 이용한 보안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지문 형태에 따라 QR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QR 코드식 인공지문에 개인정보를 저장한다. 이로써 통상적인 실제 지문 인식기에 비하여 인식 속도가 빠르고, 아울러 휴대성이 간편하다. 또한 통상적인 지문 인식 수단 만으로는 QR 코드화된 지문 정보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없으므로, 보안성이 향상되며, 아울러 넓은 활용범위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의 단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식 인공지문은 별도의 종이나, 칩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지문정보가 인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정보는 사용자 손가락(또는 손바탁)과 같이 지문이 형성된 신체의 사진 등과 같은 이미지 정보이며, 이후, 상기 인식된 지문정보로부터 지문 패턴이 추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문패턴은 지문 음영의 형태이나, 이와 달리 기설정된 복수 개의 분할영역(또는 지점)에 대한 지문의 굴곡 패턴에 따라 상기 지문 패턴이 추출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추출된 지문 패턴으로부터 QR 코드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QR 코드는 숫자 최대 7,089자, 문자최대 4,296자, 이진(8비트)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수 있는 2차원 코드이다. 특히 본 발명자는 지문 등과 같은 생체 정보 또한 2차원 형태로 패턴화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상기 패턴화된 생체 정보로부터 2차원 코드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식의 QR 코드식 인공지문을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인공지문이라는 용어는 실제 용자의 지문은 아니지만, 지문을 복사, 모사한 것으로, 칩 등의 형태로 생체에 삽입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방식의 인공지문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코드로 변환될 데이터(Data)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변환될 데이터(Data)는 신체 지문에 기반한 영상 정보로서, 예를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변환될 지문 패턴 데이터(Data)가 입력되면, 데이터(Data)를 복수개의 부분 데이터(Data1, Data2, Data3)로 분할한다. 여기서 데이터(Data)는 손가락 이미지를 균일 크기로 분할한 후 각 분할 영역에서 추출된 지문 패턴 정보 데이터일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각각의 부분 데이터(Data1, Data2, Data3)의 데이터 량이 미리 지정되어 데이터(Data)를 분할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또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다른 규칙에 따라 분할 될 수도 있다. 도1 에서는 일예로 지문 데이터(Data)를 3개의 부분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3개의 부분 영역에 대한 지문 패턴 데이터(Data1, Data2, Data3)를 추출하였다. 즉, 도2에서는 손가락 영역을 동일 단위 영역(3개 영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된 영역(또는 지점일 수 있음)에 대한 부분 데이터 각각을 지정된 1차원 또는 2차원의 코드로 변환하였으며, 이렇게 변환된 코드를 본 발명에서는 부분 코드(Code1, Code2, Code3)로 지칭한다.
이후, 상기 부분 코드를 중첩하여 하나의 QR 코드 방식의 인공지문을 생성하는데, 상기 부분 데이터(Data1, Data2, Data3)의 정보량은 전체 손가락 지문 데이터(Data)에 비해 1/3 이므로, 전체 데이터를 그대로 코드로 변환하는 경우보다, 부분 데이터를 부분 코드로 변환하게 되면, 각각의 부분 코드의 밀도는 크게 낮다. 복수개의 부분 데이터(Data1, Data2, Data3) 각각을 복수개의 코드로 변환하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이상 살핀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따른 QR 코드 방식의 인공지문은 각 손가락 지문의 분할 영역 패턴을 추출하고, 이를 단위 코드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단위 코드를 중첩시킴으로써 지문 정보가 외부로 용이하게 추출되지 않으면서도, 칩 형태 등을 통하여 효과적인 생체 정보를 통한 보안 인증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으로,
    사용자의 전체 지문 영역에 대응되는 지문 정보가 인식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지문정보로부터 지문 패턴이 추출되는 단계;
    상기 지문 패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분할한 후, 상기 복수개의 분할 영역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부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부분 데이터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QR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를 중첩시켜, 하나의 QR 코드를 최종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패턴은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지문의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문패턴은 상기 손가락에 대한 이미지의 기설정된 복수 지점에 대한 등고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은
    상기 생성된 QR 코드가 칩 형태로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QR 코드가 중첩되는 영역은 중첩된 QR 코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가지는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식 인공지문은 칩 형태에 프린트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 코드식 인공지문.
KR1020120075994A 2012-07-12 2012-07-12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KR101332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94A KR101332682B1 (ko) 2012-07-12 2012-07-12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994A KR101332682B1 (ko) 2012-07-12 2012-07-12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682B1 true KR101332682B1 (ko) 2013-11-26

Family

ID=4985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994A KR101332682B1 (ko) 2012-07-12 2012-07-12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6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170B1 (ko) * 2014-07-23 2015-10-2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과 암호화된 qr코드 융합 기반 신분증 인증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330A (ko) * 1995-03-10 1996-10-24 피. 존슨 넬든 I.d. 카드에 지문을 암호화하는 장치
JP2001134700A (ja) 1999-11-09 2001-05-18 Mitsui Bussan Plant Kk 医療用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50077294A (ko) * 2004-01-27 2005-08-02 한국알엠아이(주) 생체정보, 얼굴 및 신상정보를 이차원 코드 및 스마트 칩을 사용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자료와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비교 검증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5330A (ko) * 1995-03-10 1996-10-24 피. 존슨 넬든 I.d. 카드에 지문을 암호화하는 장치
JP2001134700A (ja) 1999-11-09 2001-05-18 Mitsui Bussan Plant Kk 医療用情報管理システム
KR20050077294A (ko) * 2004-01-27 2005-08-02 한국알엠아이(주) 생체정보, 얼굴 및 신상정보를 이차원 코드 및 스마트 칩을 사용하여 자료를 저장하고 저장된 자료와 출입자의 생체정보를 비교 검증하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170B1 (ko) * 2014-07-23 2015-10-27 백석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인식과 암호화된 qr코드 융합 기반 신분증 인증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78525B (zh) 身份认证方法和装置
KR101656566B1 (ko) 생체 특징 벡터 추출 장치, 생체 특징 벡터 추출 방법, 및 생체 특징 벡터 추출 프로그램
Yang et al. Securing mobile healthcare data: a smart card based cancelable finger-vein bio-cryptosystem
Gonzalez-Soler et al. Fingerprint presentation attack detection based on local features encoding for unknown attacks
ES2741814T3 (es) Método de desbloqueo de huellas dactilares y terminal
Rathgeb et al. Cancelable multi-biometrics: Mixing iris-codes based on adaptive bloom filters
Galbally et al. An evaluation of direct attacks using fake fingers generated from ISO templates
Schouten et al. Biometrics and their use in e-passports
US20140245019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rivacy-protecting documen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nd method of performing privacy-protecting document authentication using the same
US20210166092A1 (en) Method of Detecting at Least One Element of Interest Visible in an Input Image by Means of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107423798A (zh) 基于纳米颗粒的荧光二维码防伪标识方法
CN104732132A (zh) 身份识别装置及电子设备
Bobkowska et al. Incorporating iris, fingerprint and face biometric for fraud prevention in e‐passports using fuzzy vault
KR101332682B1 (ko) Qr 코드식 인공지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qr 코드식 인공지문
Grother et al. Biometric specifications for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CN113574537A (zh) 使用复合手部图像的生物特征识别
CN103886303A (zh) 一种掌纹识别方法及装置
Lalithamani et al. Palm and hand vein-based fuzzy vault generation scheme for multibiometric cryptosystem
JP2022000809A (ja) 合成装置、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onti et al. Fingerprint traits and RSA algorithm fusion technique
Gururaj et al. Threats, consequences and issues of various attacks on online social networks
KR100879961B1 (ko) 이미지 퍼즐형 키코드와, 이를 이용한 정보 보안시스템 및그 방법
JP2006338612A (ja) 本人認証システム
Khalil-Hani et al. GA-based parameter tuning in finger-vein biometric embedded systems for information security
EP2737433B1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individual and correspon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