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2122B1 -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2122B1
KR101332122B1 KR1020120039791A KR20120039791A KR101332122B1 KR 101332122 B1 KR101332122 B1 KR 101332122B1 KR 1020120039791 A KR1020120039791 A KR 1020120039791A KR 20120039791 A KR20120039791 A KR 20120039791A KR 101332122 B1 KR101332122 B1 KR 10133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supply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nit
servo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080A (ko
Inventor
방용수
Original Assignee
방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용수 filed Critical 방용수
Priority to KR1020120039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1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1/00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 B23G1/16Thread cutting; Automatic machine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in holes of workpieces by taps
    • B23G1/18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 B23G1/185Machines with one working spindl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23Chucks for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3/00Arrangements or accessories for enabling machine tools not specially designed only for thread cutting to be used for this purpose, e.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working spindle
    • B23G3/08Arrangements or accessories for enabling machine tools not specially designed only for thread cutting to be used for this purpose, e.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working spindle for advancing or controlling the threading tool or the work by templates, c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10/00Details of threads produced
    • B23G2210/21Threads in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GTHREAD CUTTING; WORKING OF SCREWS, BOLT HEADS, OR NUTS, IN CONJUNCTION THEREWITH
    • B23G2240/00Details of equipment for threading other than threading tools, details of the threading process
    • B23G2240/32Threading devices designed to be mounted in the tailstock of a lath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척과, 상기 척의 내측 중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의 반제품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선반장치; 상기 선반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기 위한 탭과, 상기 고정구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탭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탭을 회전시키는 회전 서보 모터와, 상기 고정구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회전 서보 모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를 상기 선반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주축과, 상기 주축을 구동시키는 직선 서보 모터와, 상기 회전 서보 모터와 상기 직선 서보 모터에 연결되어 각각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이송장치; 및 상기 모터 구동부에 하나의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 서보모터와 상기 직선 서보모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전원부사이에 구비된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탭과 상기 회전 서보 모터 사이에는 편심방지용 보조탭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 탭 내부에는 볼 베어링을 스프링과 함께 설치하여 동심도 변화에 따른 공차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AUTOMATIC NUT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스크류(Ball screw)는 외주면에 나사골이 가공된 스크류(Screw.미도시)와 내주면에 나사골이 가공된 너트(Nut)가 볼(Ball.미도시)의 구름운동에 의해 작동하는 기계부품으로서, 상기 너트와 스크류 중 어느 하나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가 회전시에 이러한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크류는 수치제어공작기계, 항공기의 기계적 제어장치 또는 기타 정밀을 요하는 기계 및 장치류의 이송기구(Feeding mechanism)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상기 볼스크류는 너트의 내주면과 스크류(Screw)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골이 각각 반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반원형의 단면은 상기 너트 내부에 스크류가 삽입될 때 원형의 단면을 이루게 됨으로써 나선형 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와 스크류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나선형 통로 내부에 볼(Ball)이 끼워지게 되고, 상기 볼은 통로를 따라 구름운동하여 순환하게 됨으로써 상기 너트의 회전시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골은 선반장치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가공 가능하나, 너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골은 위치상 선반 가공이 어려우며, 선반 가공을 하더라도 탭(tap)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다수회에 걸쳐 가공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탭가공이 다수회 실시됨에 따라 불량율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상기 너트 내주면의 나사골 가공은 드릴가공, 탭가공을 거친 후에 NC(수치제어)가공장치를 이용한 정삭 가공이 요구된다.
그리고, 상기 NC가공장치를 이용하여 너트 내주면의 나사골을 정치수로 가공하더라도, 앞서 가공된 탭의 위치와 어긋난 상태로 가공되어 너트 자체의 불량이 빈번하게 야기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는 탭을 동작시키는 서보모터와 척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각각의 서보모터에 동일한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동시에 제어가능한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은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척과, 상기 척의 내측 중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의 반제품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선반장치; 상기 선반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기 위한 탭과, 상기 고정구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탭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탭을 회전시키는 회전 서보 모터와, 상기 고정구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회전 서보 모터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송몸체와, 상기 이송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를 상기 선반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주축과, 상기 주축을 구동시키는 직선 서보 모터와, 상기 회전 서보 모터와 상기 직선 서보 모터에 연결되어 각각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가 구비되는 이송장치; 및 상기 모터 구동부에 하나의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 서보모터와 상기 직선 서보모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컨트롤러와 상기 전원부사이에 구비된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탭과 상기 회전 서보 모터 사이에는 편심방지용 보조탭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 탭 내부에는 볼 베어링을 스프링과 함께 설치하여 동심도 변화에 따른 공차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구는 상기 반제품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탭은 그 중심이 상기 척의 중심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은 배터리부, 외부 입력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회로부, 외부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정류부에서 정류된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임피던스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제 1 스위치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임피던스부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연결 노드와 외부 입력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부하기기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 기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보호를 위한 휴즈부;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 필터의 역할을 하는 LC 필터부; 및 상기 출력단의 교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기 위한 리액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입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입력단 측정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의 출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출력단 측정부; 상기 입력단 측정부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상기 가변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키는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입력단 신호와 출력단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 상기 PLL 회로부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버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되는 시간 설정부; 및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의 이상을 판단하는 안전 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은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는 탭을 동작시키는 서모모터와 척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각각의 서보모터에 동일한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편심방지용 보조탭을 사용하여 가공시 부하를 줄여주어 절삭칩 배출이 없게 할 수 하여 트러블 발생을 줄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부의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측에 무정전 전원장치를 설치하여 평상 시에 상용전원의 50%만이 무정전 전원장치를 통과하여 컨트롤러에 도달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전달 손실이 감소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의 주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의 탭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무정전 전원장치부 회로도 및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안전 장치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은 선반장치(10), 이송장치(20) 및 컨트롤 박스(3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장치(10)는 봉재(棒材)를 회전시켜 외면이나 내부 가공을 하기 위한 장치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선반장치는 일반적인 선반장치의 구성을 일부 변경하여 보다 용이하게 너트를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선반장치(10)는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척(11)과, 상기 척(11)의 내측 중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의 반제품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2)는 척(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되어 내부에 반제품(나사골이 형성되기 전의 너트 반제품)이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구(12)는 반제품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12) 내부에 반제품을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구(12)를 척(11)에 물려 고정하게 되면, 상기 척(11)으로부터 고정구(12)로 전해진 압력은 고정구(12)의 내경을 감소시켜 반제품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반제품은 고정구(12)에 의해 척(11)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구(12)는 척(11)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고정구(12)에 삽입된 반제품은 고정구(12)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이송장치(20)는 선반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선반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한다. 이러한 이송장치(20)는, 상기 선반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기 위한 탭(21)과, 상기 고정구(12)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탭(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탭(21)을 회전시키는 회전 서보 모터(22)와, 상기 고정구(12)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회전 서보 모터(22)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송몸체(25)와, 상기 이송몸체(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25)를 상기 선반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주축(23)과, 상기 주축(23)을 구동시키는 직선 서보 모터(24)와, 상기 회전 서보 모터(22)와 상기 직선 서보 모터(24)에 연결되어 각각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26)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탭(21)과 주축(23)은 고정구(12)와 탭(21)을 향하여 동일방향 또는 반대방향에 설치되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탭(21)은 그 중심이 척(11)의 중심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탭(21)과 상기 회전 서보 모터(22) 사이에는 편심방지용 보조탭(2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편심방지용 보조탭(21b)은 그 내부에 볼 베어링을 스프링과 함께 설치하여 동심도 변화에 따른 공차를 따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고정밀도의 부품 가공중 1차 가공에서의 동심도 편차(예를 들면, 100분의 7mm)로 인한 2차 가공에서 동심도 편차를 0으로 줄이기 위한 편심방지용 보조탭(21b)을 장착하였다. 여기서, 상기 편심방지용 보조탭(21b)의 기능은 2단 부분 속에 볼 베어링을 스프링과 함께 박아 움직임을 0,5mm로 하여 동심도 변화에 따른 공차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1차 가공오차(예를 들면, 100분의 7 mm) 편심도 만을 2차가 공에서도 그대로(100분의 7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실제로 제품 생산과정에서 가공을 하게 되면, 2차 탭 가공에서 동심도 변화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직선 서보 모터(24)는 회전축(24a)을 통하여 주축(23)에 연결되어 그 회전력을 주축(23)에 전달하고, 상기 회전축(24a)은 소정 공간내부에서 동작하도록 프레임(24b)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4a)에서의 상기 직선 서보 모터(24) 측 일단에는 주축을 고정하기 위한 주축 고정부(24c)가 설치된다. 상기 주축 고정부(24c)에 의하여 상기 주축(23)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이송장치(20)는 직선 왕복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레일(27)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장치(20)를 좌측으로 이동하여 반제품 내부에 탭(21)을 일정 깊이만큼 삽입한 다음 척(11)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탭(21)은 너트 내주면에 나사골을 가공하면서 좌측으로 끌려가게 되며, 이때 상기 이송장치(20) 역시 레일(26)을 따라 좌측으로 부드럽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척(11)을 주축(23)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척(11)으로부터 고정구(12)에 삽입된 반제품으로의 압력이 제거되고, 그런 다음 고정구(12)에 삽입된 반제품은 고정구(12)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장치(20)와 레일(27)은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이송장치(20)와 레일(27)의 마찰력이 높아지면 탭(21)에 의해 가공되는 나사골은 반원 형상을 갖지 못하고 타원 형상을 갖게 되어, 결국 너트의 불량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상기 컨트롤 박스(30)는 선반장치(10) 및 이송장치(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 서보 모터(22)와 직선 서보 모터(24)에 각각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2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30)는 회전 서보 모터(22)와 직선 서보모터(24)의 동작을 동일한 전기신호를 통하여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러(31)와, 상기 컨트롤러(31)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와, 상기 컨트롤러(31)와 전원부(32)사이에 구비된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컨트롤러(31), 전원부(32) 및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은 컨트롤 박스(30) 내부에 하나의 몸체에 형성되거나 각각 별개로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2)는 구동을 위한 전원이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은 평상 시에 상용전원단자를 통하여 공급되는 상용전원의 50%만을 통과하여 컨트롤러(31)에 도달되도록 하여, 상기 컨트롤러(31)로의 전력 전달 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에 대하여는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은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는 탭을 동작시키는 회전 서모모터와 척을 이동시키는 직선 서보 모터에 연결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여, 각각의 서보모터에 동일한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하나의 전기신호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고, 나아가 각각의 서보 모터를 연동하여 컨트롤함으로써 가공시 부하를 제거하여 마찰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강도 및 경도가 강한 S45C 또는 SUS(304)와 같은 제품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은 내부가 천공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천공된 내부에는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을 가지는 스크류가 삽입되고, 이러한 스크류의 외면에는 볼이 구름운동으로 작동하는 볼스크류에 의하여 나사가 끝까지 들어갔다 나오는 동작에 의하여 너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은 입력 필터부(110),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제 1 스위치(SW1), 가변 임피던스부(130), 제 2 스위치(SW2), 제 3 스위치(SW3), 제어부(140), 무선 통신부(150) 및 검출부(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들에 의해, 본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는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입력 필터부(110)는 상용 전원(32) 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 전원(32) 즉, 교류(AC) 전원의 전기적 노이즈를 필터링한다.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상용 전원(32) 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는 입력 필터부(110)를 통과한 전원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제 1 스위치(SW1)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스위치(SW1)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온/오프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상용 전원(32)에 이상이 생기거나,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컨트롤러(31, 이하 부하기기라 함.)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부하기기는 컨트롤러(31)인 것으로 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모든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제 1 스위치(SW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에는 제2 스위치(SW2)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스위치(SW2)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온/오프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동일한 임피던스로 제어된다.
상기 제 3 스위치(SW3)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연결 노드 A와 입력 필터부(11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가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동일한 임피던스가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40)는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의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자체전력 제공 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평상 모드는 상용 전원(32)과 무정전 전원장치부(120)가 모두 이상없이 동작할 때의 모드이다. 평상 모드시에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스위지(SW1, SW2, SW3)가 모두 턴온된다. 이에 따라 상용 전원(32)은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거쳐 부하기기(31)에 전달된다. 이때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는 임피던스가 같게 유지되므로, 각각에 흐르는 전류는 같게 된다. 그리고, 부하기기(31)에 전달되는 전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과한 전류와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통과한 전류의 합이 된다. 한편, 평상 모드시, 후술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전원이 충전될 수 있다.
정전 모드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가 정상이고, 상용 전원(32)이 공급되지 않는 때의 모드이다. 정전 모드시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제 1 스위치(SW1)는 턴온되고, 제 2 스위치(SW2)는 턴오프 된다. 이때, 상용 전원(32)은 공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제 3 스위치(SW3)의 상태는 정전 모드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전 모드에서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에 저장된 전원이 부하기기(31)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정전 시에도 부하기기(31)는 지속적인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다.
자체전력 제공모드는 상용 전원(32)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120)가 모두 정상 상태이지만, 상기 제어부(14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 동안에 상용 전원(32)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120)의 배터리부(127)에서 부하기기(31)로 자체 전원을 공급하는 모드이다. 자체전력 제공모드 시에는 상기 제어부(140)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위치(SW1)가 턴온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가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40)에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 동안에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에 저장된 전원이 부하기기(31)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 또는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장치 이상 모드는 상용 전원(32)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이상이 생겼을 때의 동작 모드이다. 장치 이상 모드시에는 상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제 1 스위치(SW1)는 턴오프 되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는 턴온 된다. 이에 따라 상용 전원(32)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거쳐 부하기기(31)로 전달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병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제어가 가능하여, 모드 전환 때 절체 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며, 미리 설정된 피크전력 사용 시간대나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른 사용 시간대(사용요금이 낮은 시간대)에 자동적으로 자체전력을 사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본 선반장치, 이송장치 및 컨트롤 박스(이하 가공설비라 함)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어 안정적이고, 전기 사용료를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제어부(140)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하는 상기 제어부(140)의 상기 시간 설정부(148)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40)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외부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출부(160)는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전류량을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출력되는 전류량도 검출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구성 및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대한 제어부(140)의 동작 및 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00)의 회로도 및 제어부(1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입력측에 연결되는 휴즈부(121), 휴즈부(121)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정류부(122), 정류부(122)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인버터부(123), 인버터부(123)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LC 필터부(124), LC 필터부(124)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리액터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입력 Line 및 입력 Neutral에 연결되며 인버터부(123)의 입력단에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 충전회로(126) 및 배터리(1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122)는 제 1 커패시터(C1)와 제 2 커패시터(C2)를 입력 Neutral 단자에 대해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커패시터(C1)과 직렬 연결된 제 1 다이오드(D1) 및 제 2 커패시터(C2)와 직렬 연결된 제 2 다이오드(D2)를 입력 Line단자에 대해 병렬 연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정류부(122)에 의해, 입력 전원은 반파 정류된다.
상기 인버터부(123)는 다수개의 직병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Q1, Q2, Q3, Q4)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인버터부(123)는 IGBT에 의한 순시 전압 제어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Q1, Q2, Q3, Q4)의 게이트 단자에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인버터 제어부(147)의 신호가 전달되어 입력측과 동기화된 교류 출력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상기 LC 필터부(124)는 인버터부(123)에 대하여 직렬로 연결된 제 2 인덕터(L2)와 제 2 인덕터(L2)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 제 3 커패시터(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액터부(125)는 LC 필터부(124)의 제 2 인덕터(L2)와 직렬 연결된 리액터(L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스위치 제어부(141),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단 측정부(143),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 안전 장치부(145), PLL 회로부(146), 인버터 제어부(147) 및 시간 설정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어부(140)가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것만을 도시하였지만, 제어부(140)는 가변 임피던스부(130) 및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에도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제어부(141)는 후술하는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부 측정부(143) 및 안전 장치부(145)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여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제어부(141)는 시간 설정부(148)에 설정된 시간대에 따른 자체 전력 제공모드도 인식하여 제 1 내지 제 3 스위치(SW1, SW2, SW3)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 측정부(142)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입력단에 연결되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입력단의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출력단 측정부(143)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출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출력단과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출력단의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 측정부(142) 및 출력단 측정부(143)에서 측정된 값은 상기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되어, 스위치 제어부(141)에서 평상 모드, 정전 모드 및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게 된다.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입력단 측정부(142) 및 출력단 측정부(143)에서 측정한 수치를 토대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임피던스 값을 계산하고,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 값을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임피던스 값과 동일하게 제어한다. 이에 따라, 평상 모드 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가변 임피던스부(130)에 흐르는 전류량이 동일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127)의 기본 충전량은 상원전원(1)의 총 공급량의 50%가 된다.
또한,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상기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를 통해 흐르는 전류량이 조절되어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용전원(1)의 총 공급량이 100%라고 가정할 경우,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상기 총 공급량 중에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으로 공급되는 전류량이 10% 내지 90%이 되도록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4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부(160)를 통해 검출된 값을 모니터링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흐르는 전류량이 원하는 값에 이를 때까지 상기 가변 임피던부(13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은 10% 내지 90%로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와 검출부(160)가 동작하는 이유는, 설정된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과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간이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해 줄 있는 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배터리부(127)는 설정된 충전량보다 더 많은 양의 전원을 저장하고 있어야 하므로,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기본 충전량보다 증가시켜야 한다. 그리고,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전원을 공급해 줄 있는 시간보다 작을 경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감소시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흐르는 전류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그 만큼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도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는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시간대의 총 시간에 맞게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을 감지한다. 안전 장치부(145)에 의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이 감지되면, 안전장치부(145)는 장치 이상 모드임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141)는 제 1 스위치(SW1)를 닫고, 제 2 스위치(SW2)를 열게 된다. 안전 장치부(145)의 회로 구성에 대해서는 도 6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PLL 회로부(146)는 입력단 측정부(142)에서 측정된 입력 위상을 기준으로 이에 동기화시킨 인버터 기준 주파수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인버터 제어부(147)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측과 출력측의 신호의 동기화를 위하여, PLL 회로부(146)에서 발생된 인버터 기준 주파수 신호 및 반송파 신호를 인버터부(123) 스위칭 소자(Q1, Q2, Q3, Q4)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한다. 상기의 PLL 회로부(146) 및 인버터 제어부(147)의 동작에 의하여, 입력 위상과 출력 위상은 동기화된다. 특히, 본 발명은 PLL 회로부(146) 및 인버터 제어부(147)의 동작에 의하여, 입력 위상과 출력 위상을 정확히 동기화시켜 무정전 전원 장치부(120)를 모듈러 형식으로 병렬 연결할 때 유용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설정부(148)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로 진입하면, 자체전력 제공모드임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제어부(141)는 설정된 시간 동안 제 1 스위치(SW1)를 턴온 시키고, 제 2 및 제 3 스위치(SW2, SW3)를 턴오프 시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배터리부(127)에 충전된 전원이 부하기기(31)에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시간 설정부(148)는 설정된 시간대가 끝나면 자체전력 제공모드가 종료됨을 스위치 제어부(141)로 전달하며, 이때, 자체 전력 제공모드에 따른 제어를 종료하고, 입력단 측정부(142), 출력부 측정부(143) 및 안전 장치부(145)에서 측정된 값에 따라, 평상 모드, 정전 모드, 장치 이상 모드를 구별하여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이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되도록 제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상기 시간 설정부(148)는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따라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 사용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이 상기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보다 클 경우,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맞게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상기 배터리부(127)의 저장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보다 클 경우, 자체 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을 늘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간 설정부(148)를 통해 상기 배터리부(127)의 충전량에 따라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조절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를 통해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의 총 시간에 따라 미리 상기 배터리부(127)에서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시간 설정부(148)의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제어부(140)에 직접 입력하여 설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어플 등을 이용하는 휴대기기 혹은 전력 관리 서버에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한 설정도 가능하다.
이때, 외부 시스템과 상기 제어부(140)는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통신할 수 있으므로,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대한 정보는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시간 설정부(148)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는 전력사용량이 가장 많은 시간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시간대별뿐만 아니라 지역별로도 전력 예비율이 떨어지는 곳을 파악하여 지역 단위별로 적절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기요금 차등제에 따라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혹은 관리자가 원하는 임의의 시간대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도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어플 등을 탑재한 휴대기기를 이용하거나, 관리자는 관리 서버를 통해서 시간 설정부(148)을 직접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부하기기(31)로 출력되는 전력량을 약 10% 내지 90%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기기(31)에서 사용하는 전력이 6KW라면, 상용전원(1)에서 제공하는 전력으로 100% 사용해도 되고,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전력만을 사용해도 되지만,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전력을 100% 사용하게 되면, 사용할 수 있는 총 시간이 상용전원(1)을 사용할 때 보다 줄어들게 됨으로,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서 5KW(50%)를 사용하고, 나머지 4KW는 상용전원(1)에서 제공하는 전력과 병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안전 장치부(145)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안전 장치부(14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출력 Line 단자 및 출력 Neutral 단자에 대한 입력 Line단자 및 입력 Neutral 단자의 안전 장치부(145)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의 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 장치부(120)의 입력단의 일측에 병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안전 장치부(145)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장애가 발생하여,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내부 회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등의 위험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안전 장치부(145)는 PWM IN 단자에서 스위칭 소자(Qp1)를 단락하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스위칭 소자(Qp1)를 통과하여 CT 소자를 통과한 전류를 전류감지 단자에서 검출하게 된다. 평상 모드 즉, 무정전 전원 장치부(1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전류감지 단자에서는 전류가 검출되어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정상 작동을 확정 짓는다. 그리고, 장치 이상 모드 즉,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장애가 발생하여 휴즈부(121)가 끊어졌을 경우에는 전류감지 단자에서는 전류가 감지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을 스위치 제어부(141)에 전달하여, 제 1 스위치(SW1) 및 제 2 스위치(SW2)를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온라인 무정전 전원장치가 상용 전원의 100%를 무정전 전원장치를 통하여 부하기기에 전달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은 평상 시에 상용 전원의 50%만이 무정전 전원장치부를 통과하여 부하기기에 전달됨으로써, 무정전 전원장치부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전력 전달 손실이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선반장치 11: 척
12: 고정구 20: 이송장치
21: 탭 22: 제1 서보모터
23: 주축 24: 제2 서보모터
25: 고정부 26: 레일
30: 컨트롤 박스 31: 컨트롤러
32: 전원부 100: 무정전 전원장치부

Claims (6)

  1. 피가공물이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는 척(11)과, 상기 척(11)의 내측 중심에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의 반제품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구(12)가 구비된 선반장치(10);
    상기 선반장치(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제품의 내주면에 나사골을 형성하기 위한 탭(21)과, 상기 고정구(12)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탭(21)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탭(21)을 회전시키는 회전 서보 모터(22)와, 상기 고정구(12) 측에 대하여 반대방향의 회전 서보 모터(22)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송몸체(25)와, 상기 이송몸체(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25)를 상기 선반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시키는 주축(23)과, 상기 주축(23)을 구동시키는 직선 서보 모터(24)와, 상기 회전 서보 모터(22)와 상기 직선 서보 모터(24)에 연결되어 각각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모터 구동부(26)가 구비되는 이송장치(20); 및
    상기 모터 구동부(26)에 하나의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회전 서보모터(22)와 상기 직선 서보모터(24)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는 컨트롤러(31)와, 상기 컨트롤러(31)에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와, 상기 컨트롤러(31)와 상기 전원부(32)사이에 구비된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이 구비된 컨트롤 박스(30)를 포함하고,
    상기 탭(21)과 상기 회전 서보 모터(22) 사이에는 편심방지용 보조탭(21b)이 형성되되, 상기 보조 탭(21b) 내부에는 볼 베어링을 스프링과 함께 설치하여 동심도 변화에 따른 공차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며,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모듈(100)은
    배터리부(127), 외부 입력 전원으로 상기 배터리부(127)를 충전하기 위한 배터리 충전회로부(126), 외부 입력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22) 및 상기 정류부(122)에서 정류된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부(123)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에 직렬로 연결된 제 1 스위치(SW1);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상기 제 1 스위치(SW1)에 병렬로 연결된 가변 임피던스부(130);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상기 제 1 스위치(SW1)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가변임피던스부(130)와 직렬로 연결된 제 2 스위치(SW2);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연결 노드와 외부 입력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 3 스위치(SW3); 및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임피던스를 제어하고, 부하기기(31)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SW1, SW2, SW3)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40)는,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가 설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설정된 자체전력 사용 시간대에 외부 입력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이 부하 기기에 공급되도록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SW1, SW2, SW3)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2)는 상기 반제품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탭(21)은 그 중심이 상기 척(11)의 중심과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는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보호를 위한 휴즈부(121);
    상기 인버터부(12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 필터의 역할을 하는 LC 필터부(124); 및
    상기 출력단의 교류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막기 위한 리액터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제 1 스위치 내지 상기 제 3 스위치(SW1, SW2, SW3)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141);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입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입력단 측정부(142);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와 상기 가변 임피던스부(130)의 출력단 전압, 전류, 위상을 측정하는 출력단 측정부(143);
    상기 입력단 측정부(142)와 상기 출력단 측정부(143)에서 측정된 값을 토대로 상기 가변 임피던스의 임피던스 값을 변화시키는 가변 임피던스 제어부(144);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입력단 신호와 출력단 신호를 동기화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PLL 회로부(146);
    상기 PLL 회로부(146)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버터부(123)를 제어하는 인버터 제어부(147);
    전력사용 피크 시간대가 설정되는 시간 설정부(148); 및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전류 흐름을 감지하여 상기 무정전 전원장치부(120)의 이상을 판단하는 안전 장치부(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KR1020120039791A 2012-04-17 2012-04-17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KR10133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91A KR101332122B1 (ko) 2012-04-17 2012-04-17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791A KR101332122B1 (ko) 2012-04-17 2012-04-17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80A KR20130117080A (ko) 2013-10-25
KR101332122B1 true KR101332122B1 (ko) 2013-11-21

Family

ID=49635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791A KR101332122B1 (ko) 2012-04-17 2012-04-17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1685B (zh) * 2016-08-11 2018-04-13 平湖市品耀机器自动化有限公司 一种内螺纹攻丝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1121A (ja) * 1987-04-02 1988-10-18 Brother Ind Ltd ねじ加工装置
JPH02198745A (ja) * 1989-01-26 1990-08-07 Okuma Mach Works Ltd タツプ折損検知機構
JPH1177484A (ja) * 1997-09-08 1999-03-23 Murata Mach Ltd Nc工作機械
JP2002268717A (ja) * 2001-03-08 2002-09-20 Nsk Ltd Cnc加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1121A (ja) * 1987-04-02 1988-10-18 Brother Ind Ltd ねじ加工装置
JPH02198745A (ja) * 1989-01-26 1990-08-07 Okuma Mach Works Ltd タツプ折損検知機構
JPH1177484A (ja) * 1997-09-08 1999-03-23 Murata Mach Ltd Nc工作機械
JP2002268717A (ja) * 2001-03-08 2002-09-20 Nsk Ltd Cnc加工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080A (ko) 2013-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165B1 (ko) 에너지 및/또는 신호 전송용 전송 시스템
CN102205512B (zh) 用于机床的控制装置
US6474913B2 (en) Tool management system
JPH0854914A (ja) 停電時制御方法及び装置
CN111266876B (zh) 机床的控制器
US20150012119A1 (en) Machine controller
KR101332122B1 (ko) 자동 너트 가공시스템
US20200078872A1 (en) Coupling device
JP6936735B2 (ja) 切削工具のプルアウト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切削工具のための回転可能な工具ホルダー
KR101260340B1 (ko)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의 비상 바이패스 절체회로
JP2018063585A (ja) 複数軸を有する工作機械におけるモータ制御装置
JP2017007070A (ja) 同期電動機により駆動する切粉排出装置
US20060202556A1 (en)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machine
WO2022080093A1 (ja) 給電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
CN114450124B (zh) 刀具夹
US2019007695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a welding-type power supply
JP4242878B2 (ja) 工具、変速装置、工作機械および工具管理システム
KR101698982B1 (ko) 엠씨티 탭 안전토크 척 내장용 무선송신 작업 정지장치와 그 방법
CN114393436B (zh) 一种数控机床辅助驱动装置
KR101246048B1 (ko)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JP3944359B2 (ja) 工具、工具ホルダ、工作機械および工作機械の制御装置
KR102307486B1 (ko) 탭핑머신의 기동 및 정지 전원 제어장치
JP2002059331A (ja) 工具および工具管理システム
KR830001046B1 (ko) 탭반(Tap 盤)
GB2074405A (en) Overload mon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