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1513B1 -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1513B1
KR101331513B1 KR1020120023884A KR20120023884A KR101331513B1 KR 101331513 B1 KR101331513 B1 KR 101331513B1 KR 1020120023884 A KR1020120023884 A KR 1020120023884A KR 20120023884 A KR20120023884 A KR 20120023884A KR 101331513 B1 KR101331513 B1 KR 101331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s
control device
screen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2780A (ko
Inventor
김선용
김진성
김태완
박태근
이재동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2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513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5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04N21/44224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 H04N21/44226Monitoring of user activity on external systems, e.g. Internet browsing on social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 함)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지만 제한됨 없이는, 개인용 이동 단말인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들 중에서, 개인용 이동 단말(personal mobile device)인 제어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TV를 통하여 SNS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개인용 이동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TV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TV에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V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상기 TV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METHOD TO CONTROL TV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개시된 기술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이하, SNS라 함)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지만 제한됨 없이는, 개인용 이동 단말인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TV가 등장하고 성장함에 따라 콘텐츠 제공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데이터 방송, 맞춤형 방송 등의 다양한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단순한 방송 콘텐츠뿐 아니라 게임 등 응용 프로그램,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웹 브라우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 TV, 소위 스마트 TV가 차츰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 TV의 응용프로그램의 대표적인 기능 중 하나가 소셜 TV인데, 소셜 TV란 TV방송을 보면서 문자 메시지, 채팅, 소셜 커뮤니티 등의 SNS를 동시에 이용하거나, SNS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채널을 추천하는 등의 SNS와 TV방송을 융합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의미한다. 소셜 TV의 기능에 포함된 SNS는 PC나 스마트 폰에서 주로 사용되기 위해 개발된 것이기 때문에 스마트 TV에서 이용할 때 불편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셜 TV를 이용하려면 먼저 사용자 로그인과 같은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사용자 로그인은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을 필요로 하는데, 현재 상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스마트 TV용 리모콘을 이용하면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에 스마트 TV 제조사들은 쿼티형 리모콘을 제공하거나 스마트 폰 용 응용프로그램 등을 제공하여 문자입력을 돕지만, 사용자들에게 문자입력은 여전히 불편하다. 따라서, 문자입력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는 연구와 더불어 스마트 TV 사용 시에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추가로 로그인 인터페이스로 인한 화면 가림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할 때 응용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화면 구성의 변화나 화면 가림이 사용자에게 불편함으로 작용 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할 필요가 있다.
개시된 기술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셜 TV의 사용 편의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TV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스마트 TV의 주요 기능인 소셜 TV는 사용자의 입력절차와 화면 복잡도 관점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의 소셜 TV 사용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인 디바이스(예컨대, 스마트 폰)에 사용자 개인의 소셜 TV 이용행태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성향에 맞는 소셜 TV를 자동으로 구성하여 소셜 TV 사용 중 사용자의 입력절차와 화면복잡도를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1 측면은 개인용 이동 단말(personal mobile device)인 제어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TV를 통하여 SNS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개인용 이동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TV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TV에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V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상기 TV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2 측면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TV가 상기 TV를 제어하는 개인용 이동 장치(personal mobile device)인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TV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가 인증된 경우,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개인용 이동 단말의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 중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SNS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화면을 구성하고 SNS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셜 TV 이용 중 발생하는 로그인 및 로그아웃 과정에서 입력 절차와 화면 복잡도를 줄일 수 있었다. 일례로, 제안된 방법을 적용하여 스마트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한다면, 스마트 TV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소셜 TV 사용자들의 사용 시나리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TV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에 따른 소셜 TV 제어 시에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화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TV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장치와 TV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소셜 TV 사용자들의 사용 시나리오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소셜 TV를 시청할 때, 문자입력과 TV화면구성의 변화가 어떻게 발생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소셜 TV 이용 시나리오를 작성한 뒤, 그 시나리오에 따른 현재 스마트 TV의 동작을 살펴본다.
서로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는 두 명의 소셜 사용자 A와 B가 있다고 가정한다. A가 이용하는 SNS는 Facebook이며 TV방송을 시청할 때는 보통 소셜 TV를 이용하지 않고, 광고가 나올 때 소셜 TV를 이용한다. B는 Facebook과 Twitter 2가지를 모두 사용하며 주로 Twitter를 사용한다. 그리고 TV를 시청하고 있을 때에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와 상관없이 항상 소셜 TV를 이용하고 싶어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A, B의 가상의 소셜 TV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처음에 A가 TV 시청을 시작한다. 방송프로그램 시청 도중 A는 소셜 TV를 실행하여 SNS에 로그인을 한다. 방송프로그램 중에는 SNS를 잘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TV 화면 구성을 SNS 숨김 모드로 바꾼다. 이후, 방송 프로그램이 끝나고 광고 영상이 나면 다시 화면 구성을 분할 모드로 바꾸어 SNS를 확인한다. A는 더 이상 TV 시청을 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SNS에 로그아웃 하여 소셜 TV를 종료한 후 TV시청을 마친다. 이후 B가 소셜 TV를 실행하여 로그인 한 후 facebook과 twitter를 확인하고 방송프로그램을 보다가 로그아웃을 하고 시청을 마친다. B는 twitter를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facebook에 로그인하여 게시물들을 작성하거나 확인한 후, twitter에 로그인한 채 twitter를 이용하면서 방송 프로그램을 계속 시청한다. 그리고 B가 TV시청을 마친 후 A가 다시 돌아와 로그인하여 소셜 TV를 실행하고 SNS를 확인한 후 TV를 시청하기 시작한다.
위의 시나리오에서 가장 많이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는 부분은 소셜 TV의 사용자가 바뀔 때 로그인 하는 부분이다. 삼성 스마트 TV에서 로그인을 하려면 사용자는 최소 20번 이상의 리모콘 버튼을 눌러야 한다. 도 1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A와 B 두 사람이 하나의 스마트 TV로 소셜 TV를 이용할 때 로그인을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TV 화면에 5번에 걸쳐 나타났고 각 인터페이스에서의 사용자 입력은 평균적으로 10번 이상 리모콘 버튼을 눌러야 했다. 이러한 로그인 인터페이스로 인한 화면 가림과 사용자 전환에 따른 비효율적인 입력은 소셜 TV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이 된다. 소셜 TV 제어 장치를 설계할 때 사용자의 소셜 TV 이용행태를 고려한다면 사용자의 리모콘 조작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셜 TV에 로그인하거나, TV 방송 프로그램이 변경되었을 때, 사용자의 성향에 맞게 TV화면을 자동으로 구성하여 준다면 사용자는 그에 따른 리모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이상에 살펴본 사용자 로그인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인용 이동 단말을 이용하여 소셜 TV를 제어하는 방식을 새로이 제안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TV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예컨대, 사용자는 개인용 이동 단말인 스마트 폰에서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소셜 TV 로그인과 SNS 로그인을하고,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화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도록 스마트 폰에 저장된 정보를 TV로 전달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른 소셜 TV 제어 장치(예컨대, 소셜 TV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스마트 폰)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SNS에 로그인하고 소셜 TV의 설정을 바꾸는 것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소셜 TV를 제어할 수 있는 개인용 이동 단말이, TV로 전달하는 정보의 예시는 도 2와 같다. 예컨대, 개인용 이동 단말은 미리 저장된, 사용자가 가입한 SNS 리스트 및 각각의 SNS에 로그인하기 위한 계정 정보와, TV에서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의 종류에 따른 화면 모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V는 사용자를 인증한 후 소셜 TV가 실행되면, 개인용 이동 단말에서 받아온 SNS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입한 SNS 서비스에 자동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또한, TV는 개인용 이동 단말에서 받아온 화면구성정보를 이용하여 TV 방송에 따라 적절한 화면 구성을 할 수 있다. 개인용 이동 단말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성향에 맞는 화면 구성으로 TV 화면을 자동으로 변화시켜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에 따른 소셜 TV 제어 시에 사용될 수 있는 각각의 화면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A)는 시청하고 있는 방송화면 위에 응용프로그램의 화면이 반투명상태로 화면 한 부분에 띄워지는 팝업 모드이다. 팝업 모드에서는 응용프로그램 화면이 방송 화면을 가리기 때문에 비교적 사용자의 시청 집중도가 떨어지는 광고 등의 콘텐츠를 볼 때 가장 적합하다. (B)는 방송화면과 응용프로그램이 TV화면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분할 모드이다. 분할 모드는 팝업 모드와는 달리 방송화면을 가리지는 않지만 방송화면이 작아지는 단점이 있다. 분할 모드는 방송화면과 응용프로그램 화면이 모두 잘 보이기 때문에 방송화면과 응용프로그램 화면을 둘 다 보고 싶을 때 적합하다. 분할 모드로 응용프로그램을 TV화면에 띄우면 방송화면을 방해받지 않으면서 응용프로그램 화면도 같이 볼 수 있다. (C)는 응용프로그램이 실행은 되고 있으나 프로그램 실행 내용이 화면에 보이지는 않고 백그라운드로 실행이 되는 숨김 모드 상태이다. 응용프로그램 내에서 새로운 알림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화면 일부분에 알림 인터페이스를 띄워 사용자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숨김 모드는 영화나 드라마 등 사용자의 시청 집중도가 높은 콘텐츠를 볼 때 적합하다. 응용프로그램 화면은 보지 않지만 새로운 알림(새 글, 새 메시지)이 있을때 알림을 받고 싶을 때 사용된다. (D)는 방송화면은 보이지 않고 오직 응용프로그램화면만 보여지는 전체 모드 상태이다. TV 응용프로그램이 다양한 화면 모드를 지원한다면, 사용자는 어떤 화면 모드로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킬 것인지 쉽게 선택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개시된 기술에서는 앞서 설명한 각 모드 별 특성을 기반으로 각각의 방송 프로그램에 적합한 화면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선호에 맞도록 화면 모드를 수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 4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가 TV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개인용 이동 단말인 제어 장치가 TV 연결요청을 하면 TV가 가지고 있는 사용자정보 DB에서 매칭되는 사용자를 찾아내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인증되면, TV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SNS 로그인하거나, 화면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가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405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TV를 통하여 SNS를 제공받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TV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다. 제어 장치는 TV의 소셜 TV 기능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통신 모듈을 구비한 개인용 이동 단말로 구성된다. 개인용 이동 단말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뿐 아니라, PMP,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가 개인용 단말이기 때문에, 개인 별로 상이한 소셜 TV 관련 정보(예컨대, SNS의 계정 정보 또는 SNS 서비스 제공 시 선호하는 화면 구성 정보 등)를 저장, 관리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어 장치가 개인용 단말이 아닌 경우에는, 제어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부가적인 단계가 필요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개인용 이동 단말은 TV와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하여, TV와 통신할 수 있는 모듈을 구비하여야 한다.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WiFi, IrDA, 또는 Zigbee 등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뿐 아니라, 이동 통신 모듈 등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연결 요청을 입력받은 제어 장치는 TV에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는, 제어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의 물리적인 주소(예컨대, WiFi 모듈의 MAC 주소) 또는 제어 장치의 가입자 식별 모듈(예컨대, USIM, SIM)의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는, 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TV 및 제어 장치는 제어 장치가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기 이전에, 미리 제어 장치의 인증을 위한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미도시).
S415 단계에서, 제어 장치로부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한 TV는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기초로 제어 장치를 인증한다. 예컨대, TV는 미리 각 사용자들의 제어 장치를 등록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제어 장치의 식별 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의 물리적인 주소, 가입자 식별 모듈의 식별자 또는 제어 장치의 인증을 위한 별도의 ID/PW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V는 수신된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 식별 정보가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 장치를 등록된 장치로서 인증한다. 이후, TV는 제어 장치의 인증 결과를 제어 장치에 제공한다(S420 단계).
S425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TV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SNS 제공 시의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제어 장치의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TV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화면구성이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화면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SNS 전체화면, SNS 팝업화면, 방송-SNS 분할화면 및 SNS 숨김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TV 방송 프로그램은, 정규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 방송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는 드라마, 뉴스, 교양, 예능 등의 세분화된 장르정보 또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이름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요청을 입력받는다. S435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 입력에 따라, TV에 상기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도 4에서와는 달리, 제어 장치는 별도의 사용자의 SNS 로그인 요청이 없더라도 자동으로 미리 설정된 바에 따른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의 로그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facebook을 주로 사용하여, 소셜 TV를 실행하는 경우 facebook에 자동으로 로그인 하도록 미리 설정한 경우, 제어 장치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facebook에 로그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TV에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자동 로그인 설정 정보가 미리 TV에 저장되어 있거나, 이전에 로그인 설정 정보를 TV에 제공한 경우, 제어 장치는 별도의 로그인 요청 신호를 TV에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S440 단계에서, TV는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 중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SNS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화면을 구성하고 SNS 로그인을 수행한다. 일례로, TV가 제어 장치로부터, 정규방송 프로그램 중에는 숨김 모드로, 광고 중에는 분할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화면 구성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경우, TV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프로그램이 정규 방송인지, 광고 방송인지 판단하여 숨김 모드 또는 분할 모드로 화면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화면 구성에 관한 정보가 정규방송 프로그램 중에서도, 드라마 방송 중에는 숨김 모드로, 뉴스 방송 중에는 분할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TV는 방송 프로그램의 종류가 드라마인지, 뉴스인지를 판단하여 숨김 모드 또는 분할 모드로 화면 구성을 설정할 수 있다. 이후, TV는 SNS에 관한 정보(ID/PW 등의 계정 정보)를 기초로 SNS에 로그인한 이후, 해당 SNS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례로 현재 화면 구성이 숨김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SNS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새 메시지 등의 알림 사항만을 표시해 줄 수 있다. 다른 일례로, 현재 화면 구성이 분할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할 화면 중 SNS에 할당된 화면에 SN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제어 장치가 TV에 연결되어 소셜 TV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제어 장치를 통하여 연결요청을 시도하면, TV는 중복 로그인을 방지하기 위해 나중에 연결을 요청한 제어 장치에게 연결 실패를 통보하여 준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현재의 화면 구성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화면구성의 변경 요청을 입력 받을 수 있다(S445 단계). S450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화면구성 변경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TV에 화면구성 변경을 요청한다.
S455 단계에서, TV는 제어 장치로부터 현재 화면에 대한 화면구성의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경우, 변경 요청된 화면구성으로 현재 화면의 구성을 변경한다. 예컨대, 현재 TV가 분할 모드로 표시 되고 있는 때에, 사용자가 화면 구성을 숨김 모드로 변경하도록 요청한 경우, TV는 현재 TV의 화면 구성을 변경 요청된 숨김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TV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고(S455), 이를 제어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S460). S465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TV로부터 수신된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제어 장치에 저장되어 있던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를 갱신한다. 예컨대,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방송 프로그램이 드라마인 경우, 제어 장치는 종래 분할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드라마의 화면구성을 숨김 모드로 변경하여 저장할 수 있다.
S470 단계에서, 사용자는 제공되고 있는 SNS 서비스를 변경하여 로그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현재 제공되는 SNS가 twitter일 때, SNS 서비스를 facebook으로 변경하고, facebook에 로그인 하는 명령을 제어 장치에 입력(예컨대, facebook 버튼 누름)할 수 있다. S475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SNS 서비스 변경 및 로그인 요청을 TV에 송신한다. TV는 제어 장치로부터 전송된 요청에 따라 변경된 SNS에 로그인할 수 있다(S480 단계).
사용자는 TV를 시청하다가, 더 이상 소셜 TV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으려는 경우, 소셜 TV를 끝내고 제어 장치와 TV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S485 단계에서, 사용자는 소셜 TV 종료 요청을 제어 장치에 입력한다. S490 단계에서, 제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소셜 TV 종료 요청 및 그에 따른 제어 장치와 TV 간 연결 해제를 요청을 TV에 전송한다. S495 단계에서, TV는 수신된 소셜 TV 종료 요청에 따라 소셜 TV 기능을 종료하고, 제어 장치와의 연결을 해제한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방법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 장치와 TV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5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증모듈, 컨트롤러 모듈, 화면구성 관리모듈 및 SNS 관리 모듈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510)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소셜 TV 연결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폰에서 구동되는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으로 소셜 TV 연결 요청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인증모듈이 TV(520)로 사용자를 확인하기 위한 정보(예컨대, MAC 주소)를 전달한다. TV(520)는 인증모듈, SNS 로그인 에이전트, 화면 구성 모듈 및 EPG 모듈을 포함한다. TV(520)의 인증모듈은 제어 장치(510)로부터 제공되는 MAC 주소 등을 기초로 제어 장치(510)를 인증한다. TV(520)에서 사용자가 인증이 되면, 제어 장치(510)의 컨트롤러 모듈은 화면구성 관리 모듈과 SNS 계정 관리 모듈에 소셜 TV 실행명령을 전달한다. 소셜 TV 실행명령이 전달되면, 화면구성 관리 모듈은 화면 구성에 관한 정보를 TV에 전송하고, SNS 계정 관리 모듈은 SNS 계정 정보를 TV(520)에 전송하여 소셜 TV가 실행되도록 한다. SNS 계정 정보를 전송 받은 TV(520)의 SNS 로그인 에이전트는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SNS 로그인을 수행한다. 또한, 화면 구성에 관한 정보를 전송 받은 TV(520)는 화면 구성 모듈로 하여금 방송되는 프로그램에 매핑된 화면 모드로 TV(520)가 동작하도록 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TV가 제어 장치에 방송정보를 제공하면, 스마트 폰의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보고 있는 방송에 따라 화면모드 변경을 컨트롤러 모듈을 통해 TV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SNS 계정정보를 TV에 전달하여 미리 설정된 SNS 서비스에 바로 로그인을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요청에 따른 SNS 서비스에 로그인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되는 "Twitter" 또는 "Facebook" 버튼을 눌러 새로 SNS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현재 서비스되는 SNS를 변경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개인용 이동 단말인 제어 장치에서 연결버튼을 눌렀을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없이 사용자 로그인이 된다. 사용자의 입력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로그인 인터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용자 전환 시에는 전에 이용하던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해야 다른 사용자의 로그인이 가능하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과 스마트 TV를 연결해제 하면 자동으로 소셜 TV가 종료되고 곧 바로 다른 스마트 폰의 소셜 TV 컨트롤러 App을 사용하여 연결을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에 입력하는 절차가 없기 때문에 로그인 인터페이스가 뜨지 않는다. 또한, 종래 소셜 TV에서는, 소셜 TV를 종료하더라도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바로 종료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이후에 다른 사용자가 소셜 TV를 실행하면 전에 사용하던 사용자 아이디로 로그인이 되어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반면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소셜 TV를 종료할 때(예컨대, 스마트폰의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할 때), 자동으로 로그아웃이 되고, 소셜 TV를 시작할 때 (예컨대, 스마트폰의 소셜 TV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할 때), 자동으로 TV에 새로운 사용자의 계정 정보가 제공되기 때문에 프라이버시 침해의 문제가 없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시스템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개인용 이동 단말(personal mobile device)인 제어 장치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라 함)를 제공하는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를 통하여 SNS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개인용 이동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TV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TV에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TV로부터 인증 확인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저장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상기 TV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 서비스 중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TV에 상기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의 로그인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화면구성이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은, SNS 전체화면, SNS 팝업화면, 방송-SNS 분할화면 및 SNS 숨김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은, 정규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 방송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화면구성의 변경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TV에 화면구성 변경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TV로부터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저장된 화면구성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의 물리적인 주소 또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가입자 식별 모듈(usim, sim)의 식별자를 상기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TV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TV와 연결 시 인증을 위하여 미리 저장된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상기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에 포함하여 송신하는 TV 제어 방법.
  8.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이하, SNS라 함)를 제공하는 TV가 상기 TV를 제어하는 개인용 이동 장치(personal mobile device)인 제어 장치와 연동하여 상기 TV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TV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TV가 상기 제어 장치를 인증한 경우, 상기 TV가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상기 개인용 이동 장치의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TV는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SNS 중 어느 하나의 SNS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수신된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 및 SNS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화면을 구성하고 SNS 로그인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에 관한 정보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에 따른 화면구성이 서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구성은, SNS 전체화면, SNS 팝업화면, 방송-SNS 분할화면 및 SNS 숨김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TV 방송 프로그램은, 정규 방송 프로그램 및 광고 방송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로부터 현재 화면에 대한 화면구성의 변경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변경 요청된 화면구성으로 현재 화면의 구성을 변경하는 단계; 및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제어 장치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의 물리적인 주소 또는 상기 제어 장치의 가입자 식별 모듈(usim, sim)의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TV는 상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기초로 상기 제어 장치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 시 상기 제어 장치의 인증을 위한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TV 연결 및 인증 요청 신호는, 상기 제어 장치에 미리 저장된 식별자(ID) 및 패스워드(password)를 포함하는 TV 제어 방법.
KR1020120023884A 2012-03-08 2012-03-08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KR101331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84A KR101331513B1 (ko) 2012-03-08 2012-03-08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84A KR101331513B1 (ko) 2012-03-08 2012-03-08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80A KR20130102780A (ko) 2013-09-23
KR101331513B1 true KR101331513B1 (ko) 2013-11-26

Family

ID=49452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84A KR101331513B1 (ko) 2012-03-08 2012-03-08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5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395A (ja) * 2008-05-28 2009-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端末操作方法
JP2010003068A (ja) * 2008-06-19 2010-01-07 Sony Corp 端末装置、情報送信方法、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システム
KR20110004182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Tv와 연계된 sn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18292A (ko) * 2010-04-23 2011-10-31 (주)필링크 클라우드 컴퓨팅 및 스마트폰 제어를 통한 티브이 서비스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395A (ja) * 2008-05-28 2009-12-10 Kyocera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通信端末および端末操作方法
JP2010003068A (ja) * 2008-06-19 2010-01-07 Sony Corp 端末装置、情報送信方法、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システム
KR20110004182A (ko) * 2009-07-07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Tv와 연계된 sn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118292A (ko) * 2010-04-23 2011-10-31 (주)필링크 클라우드 컴퓨팅 및 스마트폰 제어를 통한 티브이 서비스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80A (ko) 2013-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390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device,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998784B2 (en) Digit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in digital device for controlling content within a multi-view screen
EP2768234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splaying interaction messages
US20190149880A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028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a native application and a second application
EP2921933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creensaver thereof
US11949955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EP30894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ame-screen interaction
CN110870292B (zh) 在多用户识别模块sim多待机电子设备中选择性地传送一项或多项服务
US10235791B2 (en) Digital device and service processing method thereof
KR102105169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23721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haring media data between terminals
EP2891064B1 (en) Provision of applications on multiple electronic devices
US10063923B2 (en)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21240B2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screensaver thereof
CN102821150A (zh) 基于云服务的应用管理方法及云服务器
EP3240284B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y same digital device
CN103648036A (zh) 智能电视的必要设置项的设置方法和设置装置
CN108028956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185061A (zh) 一种通过智能移动终端配置电视终端的系统及方法
US20190014294A1 (en) Digital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lor using same
KR101331513B1 (ko) Sns 서비스를 제공하는 tv의 제어 방법
KR102201735B1 (ko) 외부 서버와 디바이스를 연동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EP4297367A1 (en) Messenger connection method in multi-messenger service environment, and device therefor
KR20120039162A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를 이용한 데이터 백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