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0203B1 - 금속 탐지기 - Google Patents
금속 탐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30203B1 KR101330203B1 KR1020130025024A KR20130025024A KR101330203B1 KR 101330203 B1 KR101330203 B1 KR 101330203B1 KR 1020130025024 A KR1020130025024 A KR 1020130025024A KR 20130025024 A KR20130025024 A KR 20130025024A KR 101330203 B1 KR101330203 B1 KR 101330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metal
- transmitter
- receiver
- magnetic shie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5—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 G01V3/17—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during transport, e.g. by a person, vehicle or boat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락하고 편안하며, 금속을 분류하여 탐지할 수 있고, 주변에 의해 오작동하지 않는 금속 탐지기를 위하여, 제1송수신부가 구비된 제1판넬과 제2송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판넬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판넬과 서로 분리된 제2판넬과 상기 제1판넬과 상기 제2판넬 사이를 통과하는 금속을 적어도 철과 비철금속으로 나누어 탐지하는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속 탐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속 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게이트형 금속 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게이트형 금속 탐지기는 주로 공항의 입, 출입장이나 보안이 요구되는 각종 장소에 설치되어 출입자들이 통과될 때에 보안상에 문제가 되는 금속의 소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보안 장치로 널리 사용되며, 일정 거리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 판넬과, 수직 판넬이 상단을 연결하는 수평 판넬로 구성된다.
이러한 게이트형 금속 탐지기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코일과 이를 수신하는 2차 코일을 구비하며, 주위의 전도체에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게 된다.
자기장은 주위의 전도체에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하고, 자기장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유도전류라고 한다.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전도체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며, 전도체에 발생된 유도전류 또한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유도전류는 평소에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코일과 이를 수신하는 2차 코일에 동일한 값으로 흐르고 있다가 전도성의 물체인 금속 등이 통과하게 되면, 2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값이 달라지며, 이를 측정하여 금속의 통과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62167호(2003.07.23.)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금속 탐지기에는 상부가 밀폐되어 있어 출입자에게 답답함과 밀폐된 느낌을 주는 문제점과 단순히 전도성의 물체를 탐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락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고, 금속을 분류하여 탐지할 수 있는 금속 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제1송수신부가 구비된 제1판넬과, 제2송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판넬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판넬과 서로 분리된 제2판넬과, 상기 제1판넬과 상기 제2판넬 사이를 통과하는 금속을 적어도 철과 비철금속으로 나누어 탐지하는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속 탐지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는 철과 비철금속을 동시에 탐지하는 제1감지모드와 철은 배제하고 비철금속을 탐지하는 제2감지모드의 멀티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모드에서 핸드폰, 스마트폰 및 외장형 저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금속의 종류에 따른 기준 파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파형과 상기 기준 파형을 비교하여 금속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판넬은 상기 제2판넬 반대측의 상기 제1판넬의 외면 상에 접착된 제1자기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넬은 상기 제1판넬 반대측의 상기 제2판넬의 외면 상에 접착된 제2자기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기차폐층은 상기 제1판넬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되고, 상기 제2자기차폐층은 상기 제2판넬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송수신부 및 상기 제2송수신부는 상기 제1판넬 및 상기 제2판넬을 다중 구획으로 나누어, 구획 별로 금속의 탐지 감도를 다르게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락하고 편안하며, 금속을 분류하여 탐지할 수 있는 금속 탐지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주위에 다른 금속 및 기기에 의해 오작동 하지 않는 금속 탐지기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송수신부에서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는 송수신부(55), 제1판넬(10), 제2판넬(2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판넬(10)은 내부에 송신부(50) 및 수신부(60)를 포함하는 송수신부(55)를 구비할 수 있으며, 공항 및 기업 등의 장소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판넬(20)에도 송수신부(5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판넬(20)은 제1판넬(10)과 마주보며 이격될 수 있다. 즉 제2판넬(20)은 제1판넬(10)과 대략 수평을 이루도록 공항 및 기업 등의 보안이 필요한 장소에서 지면에 대략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판넬(10) 내부의 송수신부(55)를 제1송수신부로 지칭하고, 제2판넬(20) 내부의 송수신부(55)를 제2송수신부로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탐지기의 제1판넬(10)과 제2판넬(20)은 그 사이에 출입자나 탐지하려는 물체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의 상단이 연결되지 않고 개방되어 있어 출입자가 금속 탐지기를 통과할 때, 답답함을 느끼지 않으며 안락하고 편안하게 금속 탐지기를 통과할 수 있다.
송수신부(55)는 전도성이 있거나 자기화가 가능한 금속 등을 탐지하기 위해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에 구비될 수 있다. 송수신부(55)는 자기장을 형성하거나, 송수신부(55)에 흐르는 유도전류의 값을 측정하여 금속을 탐지할 수 있다. 이밖에 송수신부(55)는 주파수를 상호 송수신하여 금속을 탐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송신부(50)는 송신 코일을 구비하고, 수신부(60)는 송신부(50)에서 송출된 전자기장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50)에 전류가 인가되면 송신 코일에 의해서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러한 자기장에 의해서 수신부(60)의 수신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제1판넬(10)의 송수신부(55)와 제2판넬(20)의 송수신부(55) 사이에 금속성의 물체가 통과하게 되면 이런 자기장에 변화가 생기고 이에 따라서 송수신부(55)내 수신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파형 변화를 발생시킨다. 금속 탐지기는 이러한 유도 전류의 변화를 기초로 제1판넬(10)과 제2판넬(20) 사이에 금속성 물체의 통과 여부를 탐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판넬(10) 내부에 구비된 송수신부(55)에 포함되는 송신부(50)와 수신부(60)의 위치는 제2판넬(20)의 송신부(50)와 수신부(60)의 위치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판넬(10)의 송신부(50)가 배치되는 높이에는 제2판넬(20)에서는 수신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판넬(10)의 수신부(60)가 배치되는 높이에는 제2판넬(20)에서는 송신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판넬(10)의 송신부(5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제2판넬(20)의 수신부(60)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금속 탐지기 사이로 금속이 통과할 때 제1판넬의 송신부(50)가 배치되는 높이에 제2판넬에도 송신부(50)가 배치되는 것보다 탐지 감도가 높아 금속이 더 잘 탐지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금속 탐지기의 작동 및 금속의 탐지 여부 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과 케이블(110)로 연결되어 이동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00)는 제1판넬(10) 또는 제2판넬(2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제1판넬(10) 또는 제2판넬(20)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모드설정부(120), 데이터베이스부(130) 및 판독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송수신부(55)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에 대한 기준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드설정부(120)는 감지하고자 하는 금속 종류에 따른 감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판독부(140)는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 파형을 송수신부(55)의 측정 파형과 비교하여 금속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어부(100)는 금속을 적어도 두 가지로 분류하여 탐지하도록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금속을 철과 비철금속의 두 가지로 나누어 탐지하도록 감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감지모드는 철과 비철금속을 동시에 탐지하는 제1감지모드로 설정할 수 있고, 철은 배제하고 비철금속을 탐지하는 제2감지모드로도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멀티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어부(100)는 금속의 감지율도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감지모드는 철 및 비철금속의 감지율을 모두 100%로 하여, 이들 모두를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모드의 경우 비철금속의 감지율만 100%로 하고 철의 감지율은 0%로 하여, 철을 포함하지 않고, 비철금속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탐지가 가능하도록 감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밖에 철의 감지율을 100%로 하고 비철금속의 감지율은 0%로 하여 철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탐지가 가능하도록 감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철의 감지율을 50%로 하고, 비철금속의 감지율을 80%로 하여 철도 탐지하되, 상대적으로 비철금속이 철 보다 적게 함유된 경우에도 비철금속을 잘 탐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수동으로 조절한 감지율 값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모드설정부(120)에 의해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금속을 철, 구리, 구리를 포함하지 않는 세 가지로 나누어 탐지하도록 감지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구리를 포함하는 경우 제1비철금속으로 나타낼 수 있고, 구리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비철금속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금속을 세 가지로 나누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금속의 감지율은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철의 감지율을 30%로 하고, 구리를 포함하는 제1비철금속의 감지율은 70%, 구리를 포함하지 않는 제2비철금속은 감지율을 40%로 하여 상대적으로 철에 비해 구리나 구리 외의 비철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금속이 탐지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감지모드는 금속을 세 가지 이상으로 분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 알루미늄, 구리 및 그 외 비철 금속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금속별로 감지율을 조절하여 모드로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철, 알루미늄, 구리 및 그 외 비철 금속의 감지율이 각각 100%로 모든 금속이 감지되게 할 수 있으며, 철의 감지율을 40%, 알루미늄의 감지율을 20%, 구리의 감지율 70%, 그 외 비철 금속의 감지율을 45%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모드의 경우 모든 금속 모드 보다 상대적으로 철의 감지율이 낮아 철로 구성된 물체, 예컨대, 손목시계 및 벨트의 버클 등은 감지되지 않고 구리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물체만을 감지할 수 있다.
금속 탐지기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금속은 철, 알루미늄, 구리, 납, 주석, 금, 백금 및 니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외 비철금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나열하지 않은 새로운 금속, 예컨대 마그네슘을 탐지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는 금속 탐지기 사이로 마그네슘을 지나가게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보안원 또는 처음 금속 탐지기를 설정(setup)하는 사람일 수 있다. 마그네슘이 금속 탐지기 사이로 지나가게 되면 송수신부(55)는 이를 감지하여 새로운 파형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파형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되어 같은 파형이 나타날 경우, 제어부(100)의 판독부(140)가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된 값과 비교하여 마그네슘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송수신부(55)로부터 출력되는 파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금속 탐지기는 출력된 파형을 통해 금속을 분류하여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탐지기 사이에 아무런 물체 또는 금속이 없을시 기본 파형은 도 4a 또는 4b의 실선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금속 탐지기 사이로 금속이 통과하면 각 금속의 특성에 따라 출력되는 파형이 변화할 수 있다. 예컨대, 철의 경우 금속탐지기의 파형은 도 4a의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고, 기본 파형에 비해서 피크(P1)를 갖는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비철금속의 경우에 수신되는 파형은 도 4b의 점선과 같고, 기본 파형과 철의 파형에 비해서 테일(P2)을 갖는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가질 수 있다.
제1감지모드에서 금속 탐지기는 수신되는 파형의 피크(P1) 부분을 기준 파형과 비교하여 철과 비철 금속을 동시에 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모드에서 금속 탐지기는 수신되는 파형의 테일(P2) 부분을 기준 파형과 비교하고, 다시 철과 비철 금속의 저장 파형과 비교하여 철은 제외하고 비철 금속만 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에 따라 수신되는 파형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130)에 저장하여 금속별로 기준 파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제어부(100)는 원하는 금속을 탐지하도록 모드설정부(120)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공항과 같은 장소에서 금속 탐지기는 대부분의 금속을 모두 감지할 필요성이 있으나, 회사와 같은 경우에서 금속 탐지기는 열쇠고리와 같은 금속 보다는 비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저장매체 등을 감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이나 저장매체만을 선별하여 탐지하기 위해서는 철은 배제하고 비철금속에 대해서만 선별적으로 감지할 필요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파형에 대한 분석을 업데이트함으로써 비철금속에 대한 감지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폰에는 금, 구리 및 주석 등 철 외에 많은 비철금속이 포함되어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폰 및 태블릿 기기에는 구리를 포함하는 부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금속의 분류를 통해 기업 및 연구소 등에서 상대적으로 보안상에 덜 중요한 철만으로 구성된 물체는 탐지하지 않고, 핸드폰, 스마트폰 및 외장형 저장장치와 같은 보안상에 문제가 되는 물체만을 탐지할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라 설정된 금속 탐지기 사이로 핸드폰, 스마트폰, 외장형 저장장치, 버클, 열쇠고리 및 금속시계를 통과시켰을 때 감지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모드 | 종류별 감지비율(%) | |||||
핸드폰 | 스마트폰 | 외장형 저장장치 |
버클 | 열쇠 고리 |
금속 시계 |
|
A1 | 70 | 75 | 80 | 90 | 100 | 95 |
B1 | 98 | 65 | 85 | 0 | 0 | 0 |
B2 | 100 | 90 | 100 | 0 | 0 | 0 |
표 1의 A1은 제1감지모드이고, B1 및 B2는 제2감지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제1감지모드에서는 대부분의 금속, 즉 철과 비철 금속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제2감지모드에서는 주로 철강으로 이루어진 버클, 열쇠 고리, 금속 시계에 대해서는 감지가 거의 되지 않고, 주로 비철 금속으로 이루어진 핸드폰, 스마트폰, 외장형 저장장치에 대한 감지율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최근에 법원 등에서는 법원 판결에 대한 불만의 표시로 물리적 수단을 동원하여 소란을 피우는 등 극단적 폭력을 행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어, 금속 탐지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워낙에 드나드는 사람이 많고, 쉴 새 없이 경고음이 울려 이를 관리하는 보안원이 금속 탐지기를 꺼놓고 사용하지 않는 곳이 많다. 이러한 경우 위에서 서술한 철 또는 철을 비철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는 금속을 탐지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최신 기기 등은 감지하지 않고, 철의 함유량이 높은 칼 등을 소지한 사람만을 판별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금속 탐지기는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의 바깥에 위치한 금속에 의한 감지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 제1판넬(10)과 제2판넬(20)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자기차폐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면이라 함은 제1판넬(10)과 제2판넬(20)이 마주하는 면이 아닌 바깥측의 면이라 할 수 있다. 예컨대, 자기차폐층은 제1판넬(10)과 제2판넬(20) 중 보안원이 위치하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판넬(10)은 제2판넬(20)과 마주보는 반대측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1자기차폐층(31)을 포함하고, 제2판넬(20)은 제1판넬(10)과 마주보는 반대측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된 제2자기차폐층(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자기차폐층(31) 및 제2자기차폐층(32)은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의 자기진동에 의한 영향을 줄이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자기차폐층(31)은 제1판넬(10) 상에 접착되고, 제2자기차폐층(32)은 제2판넬(20)의 외면상에 접착될 수 있다.
나아가, 자기차폐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제1자기차폐층(31)은 제1판넬(10)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될 수 있으며, 제2자기차폐층(32)은 제2판넬(20)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자기차폐층(31) 및 제2자기차폐층(32)을 통해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 주변의 다른 금속에 의한 금속 탐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제 금속을 탐지하는 곳에서는 이와 같은 금속 탐지기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러한 제1자기차폐층(31) 및 제2자기차폐층(32)을 통해 금속 탐지기들 사이의 간섭에 의한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차폐층(31, 32)은 퍼멀로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퍼멀로이는 Ni의 함량이 49%인 pb와 Ni의 함량이 80%인 pc로 분류할 수 있으며 pb와 pc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퍼멀로이 외에도 규소강판과 같은 강자성 합금재료에 특수 열처리를 하여 자기차폐층(31, 32)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수 열처리를 한 고투자율의 제품은 자기장 차폐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금속 탐지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 금속 탐지기는 내부에 사람이 통과할 때만 작동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탐지기는 제1판넬(10)과 제2판넬(20) 사이에 출입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7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센서부(70)에서 검출된 결과로 금속 탐지기가 온/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70)가 제1판넬(10)과 제2판넬(20) 사이에 출입자가 있다고 감지하면, 금속 탐지기의 작동할 수 있다. 센서부(70)가 출입자가 없다고 감지하면, 금속 탐지기의 작동을 멈출 것이다. 여기서, 센서부(70)의 감지 결과에 따라, 표시부(80) 또는 경보부(미도시)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센서부(70)에 위치를 설명하면, 센서부(70)는 제1판넬(10) 또는 제2판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70)는 제1판넬(10)과 제2판넬(20)의 상호 대향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외면을 제외한 면을 내면이라 하면, 센서부(70)는 제1판넬(10)과 제2판넬(20)의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센서부(70)는 송신센서(71)와 수신센서(72)를 포함하고, 송신센서(71)는 제1판넬(10)에 수신센서(72)는 제2판넬(20)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예컨대, 송신센서(71)는 적외선 등의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센서(72)는 송신센서(71)에서 발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평상시에 송신센서(71)와 수신센서(72)가 상호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으면, 금속 탐지기는 금속을 감지하는 작동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출입자가 통과하면, 송신센서(71)와 수신센서(72)는 출입자에 의해 가려져 송수신을 방해받거나 끊길 수 있다. 이때, 금속 탐지기는 금속류를 감지하는 작동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센서(71)와 수신센서(72)가 상호 신호를 송수신할 때, 금속 탐지기 중 경보부(90) 또는 표시부(80)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70)에서 출입자의 존부를 감지하여 출입자가 금속 탐지기를 통과할 때만 금속류의 탐지를 하게 함으로써, 금속 탐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70)는 전술한 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판넬(20)은 복수개의 송수신부(55)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판넬(10)도 제2판넬(20)의 송수신부(55)가 위치하는 같은 위치에 복수개의 송수신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판넬(10)의 송신부(50)가 배치되는 높이에는 제2판넬(20)에서는 수신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판넬(10)의 수신부(60)가 배치되는 높이에는 제2판넬(20)에서는 송신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송수신부(55)는 제1판넬(10) 및 제2판넬(20)을 다중 구획(s1, s2, s3...)으로 나누어, 구획(s1, s2, s3...) 별로 금속의 탐지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에 따라 6개의 구획(s1, s2, s3...)으로 나누고 출입자의 발이나 종아리 그리고 머리가 위치하는 구획(s1, s2, s6)은 금속류 탐지 감도를 낮출 수 있고, 출입자의 주머니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구획(s3, s4, s5)은 탐지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도 필요에 따라 각 구획(s1, s2, s3...)별로 탐지 감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나아가, 구획(s1, s2, s3...)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금속 탐지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획(s1, s2, s3...)의 수를 늘림으로써 금속 탐지기의 높이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다. 각 구획은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1부터 s4 구획까지만 구비되어 4개의 구획으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에 한 구획을 추가하여 더 높게 형성할 수도 있다. 즉, s1부터 s5 구획까지 구비되어 5개의 구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같은 높이더라도 1개의 구획만을 형성할 수 있고, 다중 구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는 표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80)는 제1판넬(10) 또는 제2판넬(20)의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비록 표시부(80)는 제2판넬(20)의 좁은 폭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시된 바와 다르게 표시부(80)는 제2판넬(20)의 넓은 평면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자기차폐층 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1판넬(10)에도 제2판넬(20)과 마찬가지로 표시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80)는 금속류의 존재 여부만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금속류의 위치까지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80)가 복수개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특히 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표시부(80)의 구획은 탐지 감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구획과 일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송수신부(55)가 형성되어 있는 구획에 하나의 표시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금속류가 포착된 위치의 LED가 켜져, 보다 손쉽게 금속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자가 무엇 때문에 표시부(80)가 켜졌는지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보안원도 어디에 금속류가 위치하는지 수월하게 파악할 수 있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탐지기는 금속류가 감지되면 소리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보부(미도시)는 금속류가 감지된 경우 소리 신호를 발생하여 보안원에게 경보를 알릴 수 있다. 예컨대, 경보부(미도시)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제1판넬 20: 제2판넬
31, 32: 자기차폐층 55: 송수신부
70: 센서부 80: 표시부
100: 제어부 110: 케이블
120: 모드설정부 130: 데이터베이스부
140: 판독부
31, 32: 자기차폐층 55: 송수신부
70: 센서부 80: 표시부
100: 제어부 110: 케이블
120: 모드설정부 130: 데이터베이스부
140: 판독부
Claims (8)
- 제1 송신부와 제1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1송수신부가 구비된 제1판넬;
제2 송신부와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제2송수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판넬과 마주보며 배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제1판넬과 서로 분리된 제2판넬;
상기 제1판넬과 상기 제2판넬 사이를 통과하는 금속을 적어도 철과 비철금속으로 나누어 탐지하는 감지모드 설정이 가능한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송신부와 상기 제2 수신부가 서로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송신부와 상기 제1 수신부가 서로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수신부 상에 상기 제1 송신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2 송신부 상에 상기 제2 수신부가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에 대한 감지율을 설정하여, 상기 금속을 선택적으로 감지하는, 금속 탐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철과 비철금속을 동시에 탐지하는 제1감지모드; 및
철은 배제하고 비철금속을 탐지하는 제2감지모드의 멀티 감지모드 설정을 제공하는, 금속 탐지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감지모드에서 핸드폰, 스마트폰 및 외장형 저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금속 탐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금속의 종류에 따른 기준 파형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2송수신부로부터 출력되는 파형과 상기 기준 파형을 비교하여 금속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독부를 포함하는, 금속 탐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넬 및 상기 제2판넬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차폐층을 포함하는, 금속 탐지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넬은 상기 제2판넬 반대측의 상기 제1판넬의 외면 상에 접착된 제1자기차폐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판넬은 상기 제1판넬 반대측의 상기 제2판넬의 외면 상에 접착된 제2자기차폐층을 포함하는, 금속 탐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기차폐층은 상기 제1판넬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되고,
상기 제2자기차폐층은 상기 제2판넬의 외면의 전면 상에 접착된, 금속 탐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수신부 또는 상기 제2송수신부는 상기 제1판넬 및 상기 제2판넬을 다중 구획으로 나누어, 구획 별로 금속의 탐지 감도를 다르게 설정 가능한, 금속 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20002450 | 2012-03-27 | ||
KR2020120002450 | 2012-03-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021A KR20130110021A (ko) | 2013-10-08 |
KR101330203B1 true KR101330203B1 (ko) | 2013-11-15 |
Family
ID=49632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5024A KR101330203B1 (ko) | 2012-03-27 | 2013-03-08 | 금속 탐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3020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350Y1 (ko) * | 2005-04-01 | 2005-07-14 | 주식회사 뉴인 | 문형 금속 탐지기 |
KR100733063B1 (ko) * | 2005-10-06 | 2007-06-27 | 이동인 | 문형 금속 탐지기 |
JP2008020346A (ja) * | 2006-07-13 | 2008-01-31 | Fuji Xerox Co Ltd | 物体検知装置および物体検知方法 |
-
2013
- 2013-03-08 KR KR1020130025024A patent/KR10133020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9350Y1 (ko) * | 2005-04-01 | 2005-07-14 | 주식회사 뉴인 | 문형 금속 탐지기 |
KR100733063B1 (ko) * | 2005-10-06 | 2007-06-27 | 이동인 | 문형 금속 탐지기 |
JP2008020346A (ja) * | 2006-07-13 | 2008-01-31 | Fuji Xerox Co Ltd | 物体検知装置および物体検知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10021A (ko) | 2013-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25335B2 (en) | Metal detector gate comprising refined indicator means | |
CN206975232U (zh) | 一种带测温功能的安检门 | |
CN104903752B (zh) | 用于检测受保护门口组件处铁磁性物体的装置 | |
US7889076B2 (en) | Symmetric multiple sensing apparatus | |
EP3870987B1 (en) | Personnel inspection with threat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 |
US9514624B2 (en) | Apparatus for detecting ferromagnetic objects and a protected doorway assembly | |
CA2798428C (en) | Method and system for sliding door pattern cancellation in metal detection | |
US20080117044A1 (en) | Passive Magnetic Detection System for Security Screening | |
CN106710856B (zh) | 通过式探测器的线圈结构及通过式探测器 | |
US7592907B2 (en) | Metal detector presenting high performance | |
EP2489025B9 (en) | An electronic anti-theft protection system | |
KR101330203B1 (ko) | 금속 탐지기 | |
US11644596B2 (en) | Combined detector for detecting metals and magnetized target objects | |
ES2714454T3 (es) | Método y sistema para la cancelación de un patrón de puerta deslizante adaptativa en la detección de metales | |
US20100156408A1 (en) | DC magnetic field interceptor apparatus and method | |
CN201096891Y (zh) | γ放射性安全检测装置 | |
JP2015125918A (ja) | 建具用開閉検知装置 | |
US6686846B1 (en) | Detachable entrance and exit gate with a combined commodity burglarproof and weapon detecting system | |
US20100156634A1 (en) | Table top contraband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 |
RU2800334C2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детектор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металлов и намагниченных предметов | |
WO2023028750A1 (en) | An apparatus for detecting entry and exit by crossing a virtual line | |
CN205562828U (zh) | 一种航空飞机场的安全检测设备 | |
JP2006216004A (ja) | 危険物探知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