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9807B1 -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9807B1
KR101329807B1 KR1020120052356A KR20120052356A KR101329807B1 KR 101329807 B1 KR101329807 B1 KR 101329807B1 KR 1020120052356 A KR1020120052356 A KR 1020120052356A KR 20120052356 A KR20120052356 A KR 20120052356A KR 101329807 B1 KR101329807 B1 KR 101329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module
surveillance camera
illuminance
coupl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국
김행호
Original Assignee
(주)씨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티전자 filed Critical (주)씨티전자
Priority to KR102012005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98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 방재 등을 위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간에 일시점으로 조명되는 외부조명으로 감시 카메라 전방을 조명하는 LED모듈이 소등되어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전방을 조명하는 LED모듈;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한 조도 세기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으로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으로 LED모듈이 소등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CCTV system preventing loss of monitoring by external light}
본 발명은 방범, 방재 등을 위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간에 일시점으로 조명되는 외부조명으로 감시 카메라 전방을 조명하는 LED모듈이 소등되어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장소나 우범지역 등에 설치되어 방범과 방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감시 카메라(CCTV)는 일반적으로 야간에 감시 능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감시 카메라의 전방을 조명하는 조명기구를 구비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예방하기 위해 조명이 필요한 야간과 조명이 필요 없는 주간을 판단하는 조도센서를 구비한다.
참고로, 조명기구로는 저전력소비, 반영구적인 수명, 높은 조도, 친환경적인 장점을 갖는 LED모듈이 최근에 각광받고 있다.
이처럼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야간에도 감시가 가능하도록 조명기구(LED모듈)를 구비하고, 주야간 구별을 위해 조도센서를 구비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조도센서에서 감지되는 조도가 기준조도 이하가 되거나 이상이 되면 즉시로 야간 또는 주간으로 판단하여 조명기구(LED모듈)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고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과 같이 조도센서에 감지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이 되어 바로 LED모듈을 소등시키는 때에는 감시 카메라의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나가는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이 일시적으로 조도센서에 입사되는 경우에, 조도센서는 입사되는 헤드라이트의 밝은 빛에 의해 기준조도 이상의 조도를 감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주간으로 판단하여 LED모듈을 소등시키는 상황이 발생된다. 그리고 LED모듈이 소등되면 조도센서에는 밝은 빛이 입사될 지언정 카메라의 전방은 LED모듈의 소등으로 어두워져 카메라 촬영한 전방 영상은 피사체가 식별되기 어려운 이미지, 즉, 감시 능력이 상실된 이미지의 영상이 된다.
그래서 감시 카메라 중에서 일부는 주야간 구분 없이 계속 LED모듈을 점등시키는 것이 있는데, 이는 불필요하게 전력을 소비시키는 것이고, LED모듈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야간에 일시적으로 조사되는 외부조명에 의해 주간으로 오판하여 LED모듈을 소등시킴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외부조명이 기준조도 이상으로 조명되는 때에 바로 주간으로 판단하여 LED모듈을 소등시키지 아니하고 기준조도 이상의 조명이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때에만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에 의해 감시 카메라의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LED모듈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조명이 기준조도 이상으로 조명되더라도 카메라 전방에 물체가 출현되어 모션센서가 이를 감지한 때에는 LED모듈을 소등시키지 아니하고, 모션센서에 물체가 감지되지 않게 된 시점 이후로 일정시간 이상 기준조도 이상이 감지되면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인지에 대한 오판을 줄여주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기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전방을 조명하는 LED모듈;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한 조도 세기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으로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으로 LED모듈이 소등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감시 카메라 전방의 물체 출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모듈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에 물체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 세기에 우선하여 상기 LED모듈의 점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전방을 촬영하는 렌즈모듈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렌즈모듈 전방에 배치되는 적외선 LED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캡과,
상기 전방캡의 윈도우에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렌즈모듈 전방 주변을 덮어 역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광차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되는 전자소자들과, 상기 PCB에 실장되고 통신케이블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컨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컨넥터는
상기 통신케이블체의 바디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신케이블체 바디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어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과,
상기 탄성판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과,
상기 걸림홈에 연결되어 상기 탄성판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두 탄성판의 내측 바닥에 형성되는 막힘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구는
상기 두 탄성판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힌지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걸려 내측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힘부에 걸려 외측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야간에 차량 헤드라이트와 같은 일시적인 외부조명으로 인해 주간으로 오인하여 LED모듈을 소등시킴으로써 감시 카메라의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예방하고,
LED모듈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 즉, 야간에 외부조명이 일정시간 이상 조명되더라도 물체가 출현하면 LED모듈의 점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물체가 사라지고 난 후에 일정시간 경과할 때까지 기준조도 이상으로 감지하는 경우라야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에 의해 주간으로 오판하는 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기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야간에 LED모듈을 소등시키거나 점등 상태를 유지하는 절차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감시 카메라의 사시도.
도 4 는 도3에 도시된 감시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도4에 도시된 렌즈모듈, 고정브라켓, 회전브라켓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고밀도 집적화, 소형화를 위한 피씨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7 은 외부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케이블체가 결합되는 컨넥터의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기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1), LED모듈(3), 조도센서(5), 모션센서(7), 컨트롤러(9)의 구성요소로 대별된다.
상기 감시 카메라(1)는 전방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은 모니터가 설치된 관리실에 통신케이블체를 통해 전송되고 기록저장된다.
상기 감시 카메라(1)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LED모듈(3)은 상기 감시 카메라(1)가 촬영하는 전방을 조명하여, 어두운 야간에 피사체가 나타나 촬영되도록 한다.
상기 조도센서(5)는 상기 감시 카메라(1) 주변에 설치되어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별도의 조명이 필요 없는 밝은 낮에 상기 LED모듈(3)이 점등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모션센서(7)는 상기 감시 카메라(1)가 촬영하는 전방에 출현한 물체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야간에 물체가 나타났을 때 LED모듈(3)이 소등되어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션센서(7)는 물체가 나타났을 때 상기 감시 카메라(1)가 나타나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여 지속적으로 물체가 촬영되도록 감시 카메라(1)의 방향이 전환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9)는 상기 조도센서(5)와 모션센서(7)에서 전송되는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3)과 감시 카메라(1)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9)는 상기 조도센서(5)가 감지하여 전송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일 때에는 밝은 낮(주간)으로 인식하여 상기 LED모듈(3)을 소등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방지하고, 상기 조도센서(5)가 감지하여 전송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일 때에는 어두운 밤(야간)으로 인식하여 상기 LED모듈(3)을 점등시킴으로써 감시 카메라(1)가 촬영하는 영상에 피사체가 보이도록 한다.
이때, 문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야간에 차량 헤드라이트와 같은 기준조도 외부조명이 조도센서(5)에 입사되어 컨트롤러(9)가 주간으로 오인하고, 그에 따라 LED모듈(3)을 소등시킴으로써 카메라의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것(즉,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피사체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는 상황)이다.
이러한 감시 능력 상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러(9)는 조도센서(5)가 감지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으로 일정시간(예; 30초 or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만 주간으로 판단하여 LED모듈(3)을 소등시킴으로써, 일시적인 외부조명에 의해 LED모듈(3)이 소등되어 감시 카메라(1)의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컨트롤러(9)는 야간에, 즉, 상기 LED모듈(3)이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7)가 물체의 출현을 감지하여 전송하는 때에는 상기 조도센서(5)가 감지하는 조도의 세기에 우선하여 상기 LED모듈(3)의 점등 상태를 유지한다.
즉, 야간에 상기 조도센서(5)에 기준조도 이상이 조명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더라도 상기 LED모듈(3)을 지속적으로 점등시키고, 모션센서(7)에 물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아니하는 시점 이후로 상기 조도센서(5)에 기준조도 이상의 조명이 일정시간 이상 감지되면 비로소 상기 LED모듈(3)을 소등시킴으로써, 야간에 외부조명에 의해 주간으로 오인하여 감시 능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될 위험을 줄인다.
이는 야간에 잠시 정차한 차량의 헤드라이트와 같이 외부조명이 상당한 시간동안 조명되는 상황에 대한 예방책이고, 방범이나 방재가 발생되는 중요한 시기에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모션센서(7)는 사람이나 차량과 같이 움직이는 물체의 출현을 감지할 뿐만 아니라, 주변과 조도 차가 있는 강한 조명도 물체의 출현으로 감지한다.
이와 같이 조도센서(5)와 모션센서(7)를 이용하여 LED모듈(3)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에서 야간임에도 주간으로 오인하여 LED모듈(3)을 소등시켜 감시 카메라(1)의 감시 기능이 상실되는 상황은, 모션센서(7)가 감지되는 물체의 출현은 없으면서 외부조명이 있지만 외부조명은 조도센서(5)에는 입사되지만 모션센서(7)에는 거의 입사되지 않아 물체의 출현으로 인식하는 못하는 예외적인 경우에 한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의 발생은 현실에서 극히 드물기 때문에 감시 기능에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도2는 야간에 LED모듈(3)이 점등 유지 또는 소등되는 상황에 대한 플로우 차트이다.
컨트롤러(9)는 조도센서(5)의 감지에 의해 야간으로 판단되면 LED모듈(3)을 점등시켜 감시 카메라(1)가 촬영하는 전방의 조명을 확보한다.(S10)
LED모듈(3)이 점등된 상태에서 조도센서(5)에 기준조도 이상의 외부조명이 감지되나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지 아니하는 때에는 일시적인 외부조명으로 판단하여 LED모듈(3)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S20),
LED모듈(3)이 점등된 상태에서 모션센서(7)에 물체의 출현이 감지되는 때에는 조도센서(5)의 감지와 무관하게 LED모듈(3)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여, 방범, 방재의 사건 발생 중요 시기에 감시 기능이 상실되지 아니하도록 하고(S40),
출현한 물체가 사라져 모션센서(7)에 물체가 감지되지 아니하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는 기준조도 이상의 조명이 있더라도 LED모듈(3)의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S60),
출현한 물체가 사라져 모션센서(7)에 물체가 감지되지 아니하며(S50), 기준조도 이상의 외부조명이 감지되며(S30), 기준조도 이상의 외부조명이 일정시간 이상 경과되면(S70), 비로서 LED모듈(3)을 소등시켜 야간에 감시 카메라(1)의 감시 기능이 상실될 위험의 발생을 최소화 한다.
상기 감시 카메라(1)는 하우징(10), 고정브라켓(30), 렌즈모듈(20), 제어부(29), 회전브라켓(40,50), 적외선 LED모듈(60), 전방캡(91), 후방캡(95), 차양판(8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내측에 렌즈모듈(20)과 고정브라켓(30)과 회전브라켓(40,50)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13)가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13)의 상부, 즉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하부면에는 회전브라켓(40,50)의 제1레버(47)와 제2레버(57)가 각각 삽입관통되고, 삽입관통된 제1레버(47)와 제2레버(57)의 회전을 각각 가이드하는 제1회전가이드홀(11)과 제2회전가이드홀(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수용부(13) 내벽에는 고정브라켓(30)의 슬라이드홈(31)이 안착되는 슬라이드돌기(17)와, 수용부(13)에 수용된 고정브라켓(3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단턱(1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돌기(17)의 상부면은 적외선 LED모듈(60)의 PCB(61)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슬라이드홈(31)과 상기 슬라이드돌기(17)는 고정브라켓(30)이 하우징(10)의 수용부(13)에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도록 함과 아울러 고정브라켓(30)이 수용부(13)의 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턱(15)의 상부면에는 지지된 고정브라켓(30)을 볼트로 고정시키는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돌기(17)의 상부면에는 적외선 LED모듈(60)의 PCB(61)를 볼트로 고정시키는 또 다른 볼트공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 외주연에는 각각 상기 전방캡(91)과 후방캡(95)이 조립식으로 스크류결합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전방캡(91)과 후방캡(95)이 결합되는 하우징(10)의 상부와 하부 외주연에는 각각 패킹(92,96)이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틈새로 물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전방캡(91)과 후방캡(95)은 각각 상기 하우징(10)의 전방과 후방을 덮어 하우징(10)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함과 아울러 하우징(10) 내부로 물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캡(91)에는 상기 렌즈모듈(20)이 전방을 투시하여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한 윈도우(91a)가 구비되고, 상기 윈도우(91a)의 내면에는 상기 렌즈모듈(20)의 전방 주변을 감싸 외부에서 윈도우(91a)를 통해 렌즈모듈(20)로 역광이 유입되거나 적외선 LED모듈(60)에서 발산되는 빛이 렌즈모듈(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렌즈모듈(20)이 촬영하는 영상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역광차단부재(91b)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캡(91)(특히 전면)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렌즈모듈(20)이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적외선 LED모듈(60)이 발산하는 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양판(8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 결합되고, 전방에 결합되는 전방캡(91)의 일부를 덮어 외부 빛이 전방캡(91)으로 조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차양판(80)은 나사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데, 차양판(80)이 전방캡(91)을 덮는 범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나사가 결합되는 차양판(80)의 나사공(81)은 장공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외선 LED모듈(60)은 렌즈모듈(20)의 촬영방향으로 적외선을 조사하여 어두운 환경에서도 영상이 보다 밝고 선명하게 촬영되도록 한다.
상기 적외선 LED모듈(60)은 상기 렌즈모듈(20)의 상부 외주연이 삽입되는 중공(62)을 갖는 PCB(61)와, 상기 PCB에 실장되며 적외선을 발산하는 다수의 LED(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외선 LED모듈(60)은 감시 카메라(1)의 전방을 적외선으로 조명하는 바, 상기 LED모듈(3)의 하나라고 할 것이고, 적외선 LED모듈(60) 외에 가시광선의 빛을 발산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 장착되어 카메라 전방을 조사하는 LED모듈(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부(13)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의 슬라이드돌기(17)에 안차되어 고정브라켓(30)이 하우징(10) 수용부(13)에 슬라이드 이동하여 안착되도록 하고, 고정브라켓이 수용부(13)에서 제 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슬라이드홈(3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30)의 상부에는 렌즈모듈(20)이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렌즈모듈(20) 및 적외선 LED모듈(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의 촬영과 적외선 조사를 제어하는 제어부(29)가 결합된다.
참고로, 상기 제어부(29)는 조도센서(5)와 모션센서(7)의 감지신호를 전송받아 LED모듈(3)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1)이거나, 적어도 컨트롤러(1)의 일부를 구성한다. 즉, 카메라의 하우징(10) 내부에 장착되어 적외선 LED모듈(60)과 렌즈모듈(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9)와, 하우징(10) 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29)와 통신하며 조도센서(5)와 모션센서(7)의 감지신호를 전송받고 LED모듈(3)을 제어하는 또 다른 제어부를 컨트롤러(9)의 구성요소로 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20)은 상기 고정브라켓(30)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촬영되는 영상이 맺히는 촬영소자(21)(CCD)와, 상기 촬영소자(2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초점조절부(23)와, 상기 제1초점조절부(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초점조절부(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초점조절부(23)와 제2초점조절부(25)는 상기 초점조절부를 구성하고, 각각의 외주연에는 제1결합돌출부(24)와 제2결합돌출부(26)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여기서 말하는 초점조절은 포커스(FOCUS)의 조절 외에 줌인, 줌아웃의 조절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40,50)은 제1회전브라켓(40)과 제2회전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회전브라켓(40)과 제2회전브라켓(50)은 각각 상기 제1초점조절부(23)와 제2초점조절부(25)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1회전브라켓(40)은
상기 제1초점조절부(23)의 외연을 감싸고, 상기 제1결합돌출부(24)에 고정결합되는 제1결합부(41)와,
상기 하우징(10)의 수용부(13) 하부에 배치되는 제1하부판(43)과,
상기 제1하부판(43)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 하부면의 제1회전가이드홀(11)에 삽입관통되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되는 제1레버(47)와,
상기 제1결합부(41)와 제1하부판(43)을 연결하는 제1연결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브라켓(50)은 상기 제1회전브라켓(10)과 유사하게 제2결합부(51), 제2하부판(53), 제2레버(57), 제2연결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2회전브라켓(50)은 상기 제1회전브라켓(40)의 외측에 배치되어 제1초점조절부(23)의 회전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제2하부판(53)에는 상기 제1레버(47)가 삽입관통되는 관통홀(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고정판(70)이 결합되고, 고정판(70)에는 제1고정핀(75)과 제2고정핀(76)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판(70)과 제1,2고정핀은 제1,2회전브라켓(40,50)의 회전운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행해지도록 하고, 제1,2회전브라켓(40,50)을 고정시켜 우발적인 외력에 의해 제1,2회전브라켓(40,50)이 임의적으로 회전되어 초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고정판(70)은 상기 하우징의 하부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돌기(19)에 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70)의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0)의 하부 내벽에 형성되어 있는 정렬돌기(18)에 안착되어 고정판(70)의 정렬 위치를 가이드하는 정렬홈(7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제1,2회전브라켓(40,5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소정 위치에서 고정시키는 호형상의 제1고정가이드홀(71)과 제2고정가이드홀(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고정핀(75)과 제1고정핀(75)은 각각 상기 제1고정가이드홀(71)과 제2고정가이드홀(72)에 삽입관통되며, 각각 제1회전브라켓(40)의 제1레버(47)와 제2회전브라켓(50)의 제2레버(57)에 전후진이 가능하게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가이드홀(71)과 제1회전가이드홀(11), 제2고정가이드홀(72)과 제2회전가이드홀(12)에는 스크류결합되어 서로 연결된 제1레버(47)와 제1고정핀(75) 또는 제2레버(57)와 제2고정핀(76)이 삽입관통되어 이들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므로, 제1회전브라켓(40)과 제2회전브라켓(50)이 각각 가상의 회전축을 축으로 안정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가상의 회전축을 벗어나려는 힘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핀(75)과 제2고정핀(76)은 각각 제1레버(47)와 제2레버(57)에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는 제1고정핀(75) 또는 제2고정핀(76)의 헤드를 돌려 이들을 후진시킨 후에 헤드를 잡고 돌려 제1회전브라켓(40) 또는 제2회전브라켓(50)을 회전시켜 초점을 조절할 수 있고, 초점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제1고정핀(75) 또는 제2고정핀(76)의 헤드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전진시켜 헤드가 고정판(70)의 표면을 가압하도록 하여 제1회전브라켓(40) 또는 제2회전브라켓(5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고정핀의 헤드를 돌려 고정핀의 헤드를 고정판(70)에 고정시키 놓으면 렌즈모듈(20)의 초점이 외력에 의해 임으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9)의 기구적인 구성은
PCB와,
상기 PCB에 실장되는 각종 전자소자들과,
상기 PCB에 장착되고 통신케이블체가 착탁 가능하게 결합되어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의 명령신호를 수신하도록 하는 컨넥터를 포함한다.
도6은 카메라(1) 하우징(10)의 좁은 공간에 내장되는 컨트롤러(9)의 기구적 구조인 피씨비 어셈블리(19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190)는 단면 PCB(single-side PCB)와 양면 PCB (double-side PCB)를 끼움결합하고 솔더링 연결하여 피씨비 제품의 고밀도 집적화와 소형화에 일조하면서도 제조단가는 절감할 수 있고, 무엇보다도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여 두 피씨비를 솔더링 하는 경우 플럭스에 대한 피씨비의 이송운동을 고려하여 사선형 접속부의 형상을 도입한 피씨비 어셈블리이다.
상기 피씨비 어셈블리(190)는 상호 결합된 후 솔더링 연결되는 제1피씨비(190A) 및 제2피씨비(190B)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제1피씨비(190A)는 단면 PCB(single-side PCB)이고, 제2피씨비(190B)는 양면 PCB (double-side PCB)이다.
상기 제1피씨비(190A)에는 각종 칩과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피씨비(190B)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공(1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피씨비(190B)는 상기 결합공(191)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19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끼움부(193)에는 제1피씨비와 제2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19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피씨비(190B)의 끼움부(193)는 두 결합돌기(193a,193b)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피씨비(190A)의 결합공(191)도 이에 상응하게 2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는 필요에 따라 돌기의 수, 위치 및 크기의 일부 또는 모두를 달리하여 제품 종류별 코드화 기능을 하여 조립 편리성, 생산성, 제고관리 편리성 등의 제고에 일조할 수 있다.
상기 제2피씨비(190B)의 접속부(195)는 부식된 동박판 등으로 제조되거나, 공지의 무연(無鉛)(또는 유연(有鉛)) 페이스트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도6b의 우측 확대된 일점 쇄선 원 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개의 접속부(195)는 본체(195A) 하부에 사선부(195a)를 가지며, 특히 이 사선부(195a)는 대략 사각형의 본체(195A)를 벗어난 영역으로 이어져 형성된 꼬리부(195b)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는 대량 생산성 및 품질 확보를 위하여 제1피씨비(190A)와 제2피씨비(190B)의 전기적 연결시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상호 교차 결합된 제1 및 제2 피씨비(190A)(190B)에서, 일정 두께를 갖고 제1피씨비(190A)의 하면으로 돌출된 제2피씨비(190B)의 끼움부(193), 특히 결합돌기(193a,193b) 부분(193p)(도6a [B] 하부 일점쇄선 원 내 참조)까지 연장되어 있는 접속부(95) 하단부가
[제1 및 제2 피씨비(190A)(190B) 조립체]를 이송하는 상황에서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제1피씨비(190A)의 결합공(191)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의 연결단부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결과로 제1피씨비(190A)의 결합공(191)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회로패턴(미도시)의 연결단부와
접속부(195) 하단부의 꼬리부(195b)를 따라 형성된 사선부(195a)는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형성된 갈매기 날개 형상의 땜부(197)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피씨비(190B) 접속부(195)의 사선부(195a)는 플로우 솔더링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 [제1 및 제2 피씨비(190A)(190B) 조립체]의 솔더링 플럭스에 대한 이송상황 및 이송방향을 고려한 것이다.
또 상기 꼬리부(195b)는 접속부(195)에 사선부(195a)를 형성하는 경우
회로패턴을 구성하는 배선과 배선의 간격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집적도를 높이게 되는 회로부의 현실을 고려하여
솔더링 플럭스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부위(즉,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195)의 사선부(195a)) 중
접속부(195)의 사선부(95a) 폭을 가능한 좁게 형성하여
땜부(197)에 의하여 정확하고 정밀하게 회로패턴의 연결단부 및 접속부(195)의 사선부(195a)가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아울러 도6b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내 변형예를 도시하여 비교한 바와 같이,
상기 꼬리부(195b)에 의하여 꼬리부 없이 동일한 구간 길이를 갖는 사선부를 형성한 접속부(195D)에 비하여,
본 고안의 꼬리부(195b)를 갖는 접속부(195)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그만큼에 소요되는 재료의 낭비를 방지하는 효과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7은 컨트롤러(9)의 기구적인 구성으로서 컨트롤러와 모니터가 구비되는 외부 관리소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케이블체(140)가 결합되는 컨넥터(100)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컨넥터(100)는 통신케이블체(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착탈이 간편하게 행해지고, 통신케이블체(140)의 접속을 견고히 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컨넥터(100)는 통신케이블체(140)의 바디(141)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접속을 위한 접속핀(113)들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홈(111)을 갖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140) 바디(141)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130)를 포함한다.
상기 컨넥터(100) 몸체(110)의 양측에는 각각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114)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판(114)의 내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걸림홈(115)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판(114)의 상기 걸림홈(115)에는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홀(116)이 형성되고,
상기 두 탄성판(114) 사이의 바닥 내측과 외측에는 막힘부(117, 1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걸림구(130)는
상기 두 탄성판(114)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131)와,
상기 삽입부(131)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116)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136)와,
상기 삽입부(131)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15)에 배치되어, 걸림홈(115)의 내측벽(115a)과 외측벽(115b)에 걸려 걸림구(130)가 비의도적으로 내외측으로 젖혀지는 것을 예방하면서 사용자가 젖히는 외력에는 어렵지 않게 젖혀지도록 하는 걸림돌기(135)와,
상기 삽입부(131)의 하단 외측과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막힘부(117, 118)에 걸려 걸림구(130)가 내외측으로 더 이상 젖혀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외측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제한돌기(137, 138)와,
상기 삽입부(131)의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140)의 바디(141) 상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결합부(139)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135)는 원형 모양을 하는데, 그 직경은 상기 걸림홈(115)의 폭에 근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걸림구(130)가 외측으로 젖혀졌을 때 상기 걸림돌기(135)는 상기 탄성판(114)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외측으로 젖힌 걸림구(130)를 내측으로 젖힐 때 걸림돌기(135)가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감시 카메라 3 : LED모듈
5 : 조도센서 7 : 모션센서
9 : 컨트롤러

Claims (4)

  1. 감시 카메라;
    상기 감시 카메라의 전방을 조명하는 LED모듈;
    주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한 조도 세기에 따라 상기 LED모듈의 점소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컨트롤러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피씨비와, 상기 결합공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된 제2피씨비를 포함하는 피씨비 어셈블리와,
    상기 끼움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피씨비와 상기 제2피씨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끼움부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접속부는 본체와, 본체를 벗어난 영역으로 이어져 형성된 꼬리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꼬리부를 잇는 사선부로 구성되고
    상기 사선부와 솔더링 결합되며, 결합공 주변 저면부에 형성된 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의 세기가 기준조도 이상으로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LED모듈을 소등시켜, 일시적인 외부조명으로 LED모듈이 소등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시 카메라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전방을 촬영하는 렌즈모듈과,
    상기 렌즈모듈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과 회전브라켓과
    상기 렌즈모듈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며 상기 렌즈모듈 전방에 배치되는 적외선 LED모듈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 개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전방캡과,
    상기 전방캡의 윈도우에 내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렌즈모듈 전방 주변을 덮어 역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광차단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모듈은
    상기 고정브라켓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촬영되는 영상이 맺히는 촬영소자와,
    상기 촬영소자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 제1결합돌출부가 형성된 제1초점조절부와,
    상기 제1초점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연에 제2결합돌출부가 형성된 제2초점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제1결합돌출부에 고정결합되는 제1결합부 포함하여, 상기 제1초점조절부를 회전시키는 제1회전브라켓과
    상기 제2결합돌출부에 고정결합되는 제2결합부 포함하여, 상기 제2초점조절부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브라켓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피씨비는 통신케이블체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컨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컨넥터는
    상기 통신케이블체의 바디가 삽입되어 안착되고, 접속을 위한 접속핀들이 구비되어 있는 안착홈을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각각 내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 바디의 상단을 걸어주는 걸림구와,

    상기 몸체 양측에 각각 마주보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탄성을 갖는 두 탄성판과,
    상기 두 탄성판의 내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과,
    상기 두 탄성판의 상기 걸림홈에 형성된 내외측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두 탄성판 사이의 바닥 내측과 외측에 형성된 막힘부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두 탄성판 사이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배치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하단 외측과 내측에 돌출 형성된 제한돌기와,
    상기 삽입부의 상단 내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통신케이블체의 바디 상단에 후크식으로 결합되는 후크결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카메라 전방의 물체 출현을 감지하는 모션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LED모듈이 점등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센서에 물체 출현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 세기에 우선하여 상기 LED모듈의 점등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52356A 2012-05-17 2012-05-17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329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56A KR101329807B1 (ko) 2012-05-17 2012-05-17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356A KR101329807B1 (ko) 2012-05-17 2012-05-17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9807B1 true KR101329807B1 (ko) 2013-11-15

Family

ID=4985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356A KR101329807B1 (ko) 2012-05-17 2012-05-17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9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70A (ko) * 2000-06-14 2001-12-20 천국성 적외선엘이디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KR20090127648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넥스캄 외부환경 조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작동장치 및작동방법
KR20100030318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윈도우
KR20110136095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1970A (ko) * 2000-06-14 2001-12-20 천국성 적외선엘이디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KR20090127648A (ko) * 2008-06-09 2009-12-14 주식회사 넥스캄 외부환경 조건을 이용한 감시카메라의 작동장치 및작동방법
KR20100030318A (ko) * 2008-09-10 2010-03-18 주식회사 에이프로테크놀로지 적외선 감시카메라의 윈도우
KR20110136095A (ko) * 2010-06-14 2011-12-21 주식회사 비젼하이텍 센서등 일체형 cctv 카메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6446B1 (ko) 돔형 감시카메라
US8913886B2 (en) Photographic device
WO2015005510A1 (ko) 스마트 회전 led 조명장치
KR100696608B1 (ko) 적외선 조명 감시 카메라 장치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JP6400822B2 (ja) カメラ一体型エルイーディー照明装置
JP2009017185A (ja) 監視カメラ
JP4736955B2 (ja) センサカメラ
KR101329807B1 (ko) 외부조명에 의한 감시 능력 상실을 예방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0416965Y1 (ko) 적외선 감시카메라
JP2009111656A (ja) 撮像システム
KR101228338B1 (ko) Cctv 카메라 및 그의 감시 방법
JP2003163091A (ja) 防犯照明器具および防犯照明システム
KR20020030218A (ko) 적외선 엘이디부착구를 장착한 감시카메라
BRPI0709172A2 (pt) método e ativadores e método para preparação dos mesmos
KR102258747B1 (ko) Ptz 카메라와 외부 조명기가 연동된 모니터링 시스템
JP3726817B2 (ja) 撮像装置
JP2006295591A (ja) 撮像素子を使用する監視カメラを用いる監視システム
KR200286962Y1 (ko) 적외선 엘이디가 설치된 감시카메라
KR200361986Y1 (ko) 감시용 컬러 적외선 led 조명기기 일체형 ccd 카메라
JP6890044B2 (ja) 照明器具
KR200389293Y1 (ko) 적외선 엘이디가 장착되는 돔형 감시카메라
KR20010111970A (ko) 적외선엘이디를 구비한 감시카메라
KR200425303Y1 (ko) 적외선 엘이디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의 광량 조절장치
KR200220883Y1 (ko) 적외선 엘이디부착구를 장착한 감시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